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실시간 온라인 PBL 수업 실행연구

        한희경(Han, Hee-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상호작용 증진을 위하여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적용한 과정과 결과를 탐구한 실행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2020년 2학기에 ‘유아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수강한 유아교육학과 3학년 학생 30명이며, 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15주 중 초기 8주 동안 운영되었다. 연구자료는 수업녹화 전사자료, 연구자 저널, 연구참여자 PBL 저널, 동료 및 자기평가지, 개방식 질문지 등을 수집하였다. Miles와 Huberman(1984)의 질적 자료 분석방법에 따라 자료 추리기, 자료 배열, 결론 도출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안정적인 라포 형성 지원하기, 둘째, 중기: 학습자의 학습속도 따라가기, 셋째, 후기: 적기에 명확한 피드백 제공하기 등이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상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한 수업설계와 전략이 필요하고, PBL이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and results of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real-time online classes to promote interac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0 third-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took the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real-time online classes ran for the first eight weeks out of 15 week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class recording transcription data, researcher journals, research participants" PBL journals, peer and self-rating reports, and open questionnaires.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s of Miles and Huberman (1984), data collection, data arrangement, and conclusion extraction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Early period: supporting stable rapport building, 2) Mid-period: following learners" learning speed, 3) Late period: providing clear feedback in a timely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interaction in online classes, lesson design and strategy is required for it in advance, and that PBL can be one way.

      • KCI등재

        유아 유튜버의 놀이 콘텐츠 특성 및 적절성: <보람튜브 브이로그> 채널을 중심으로

        한희경(Han Hee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유아 유튜버의 놀이 콘텐츠 특성 및 적절성에 대한 어머니, 예비유아교사, 유아교사 집단의 인식을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해 조사한 질적연구로서, 질 높은 유아 놀이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 다. 연구참여자는 어머니 3명, 예비유아교사 5명, 유아교사 5명이었으며, 집단별로 약 95분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은 <보람튜브 브이로그> 채널의 영상 3개를 시청한 후 영상 자체와 영상 속 놀이에 대해 토의하였으며, 녹음된 면담 내용을 분석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상 특성 및 적절성에 대한 인식은 화려한 제작 기술, 유아 출연자의 권리 보호, 성인 관점의 불필요한 연출, 과다한 광고 등에 대한 의견으로 나타났고, 영상 속 놀이 특성 및 적절성에 대한 인식은 실생활과의 연계성, 실제 놀이에의 영향력, 재미 등에 대한 의견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를 위한 놀이 콘텐츠의 제작 및 활용에서 고려할 점을 논의하였다. This is a qualitative study which investigated perceptions of mother, pre-service teacher, and teacher groups about features and appropriateness of play contents performed by a child youtuber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in order to provide baseline data to develop play contents with high quality for young children. Three mothers, 5 pre-service teachers, 5 teachers participated a focus group interview for about 95 minutes independently. Each group watched three video clips of the <Boramtube Vlog> channel and discussed images and plays of the videos. Analyzed data from interview transcriptions were as follows. In terms of perceptions about features and appropriateness of images, the participants reported fancy production technique. protection of the child youtuber’s right, unnecessary directing with the adult perspective, and excessive advertisement. In terms of perceptions about features and appropriateness of plays of the videos, the groups commented the connectivity with real life, effects on real plays, and fun.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ints to consider were discussed to develop and use play contents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재미교포사회에서의 조기 이중언어 발달

        한희경 ( Hee Kyung Han ) 이중언어학회 2012 이중언어학 Vol.50 No.-

        본 연구는 재미교포 사회에서 어린 자녀의조기 이중언어발달에 대한 부모의 생각과 실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피아제(Piaget)의 인지이론(cognitive theory), 비고스키 (Vygotsky)의 사회문화이론(sociocultural theory)을 살펴보고,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사회적 환경의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에 살고 있는 재미교포 가정 중 3세에서 7세사이의 미국 국적 자녀를 둔 한국인 부모 43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각 응답자는 가족 현황 및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들과 가정 내에서 한국어와 영어의 사용에 관련한 질문들에 대해 답변하였다. 설문지는 자녀의 지배언어(dominant language)가 한국어인지 영어인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답변들은 집단 간에 비교분석 되었다. 재미교포 학부모들이 자녀의 이중언어발달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생각이 실제 생활에 어떻게 적용 되는지 그 관계성을 분석하여 몇 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대다수의 응답자는 자녀의 현재 주요언어가 한국어이든 영어이든 상관없이, 자녀의 영어 발달 보다 한국어 발달에 더 큰 가치를 두고 있었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그러한 믿음이 반영되지 못하였다. 또한, 자녀의 지배언어에 따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영어가 지배언어인 자녀를 둔 부모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자녀들과 일상생활에서 한국어를 습득하고 사용할 기회가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 및 제언에서는, 재미교포 사회에서 성공적인 조기 이중언 어발달을 위해서는 모국어인 한국어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인 태도와 더불 어 실제적인 지원이 다방면으로 요구됨을 주장하였다. (우송대학교)

      • KCI등재

        유아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수업분석 능력 신장을 위한 실행연구

        한희경(Han Hee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수업분석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실행연구로, 2017학년도 2학기에 연구자가 강의하는 유아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수업을 중심으로 8월부터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충청도 소재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학과 3학년 학생 32명이었다. 연구자는 이전 수업에 대한 반성과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현직 교사의 수업사례분석, 마이크로티칭, 교수와의 수업분석 면담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널, 수업행동분석보고서, 면담 전사 노트, 연구자 저널을 수집하고 내용분석 하였다. 실행 결과, 현직 교사의 수업사례분석, 마이크로티칭, 교수와의 수업분석 면담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수업분석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행연구 과정을 통해 연구자도 유아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수업을 분석하고 반성할 수 있었으며 과정과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예비교사교육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an action research to develop reflective teaching analysis compet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ducted in the class of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 study for young children in the fall semester of 2017, from August to December. The participants were 32 junior students at a university in the Chung-cheong province. The researcher planned and implemented a teaching analysis on in-service teachers’ classes, micro-teaching, and interviews for teaching analysis with a professor, based on the reflections of previous class and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investigate participants’ experiences,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 z ed self-reports on teaching, journals, interview transcripts, and researcher journals. In the results, such experiences as teaching analysis on in-service teachers’ classes, micro-teaching, and interviews for teaching analysis with a professor seemed to influence positively to their teaching analysis competency development. The researcher could analy z e and reflect the class of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 study and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y sharing the procedures and results.

      • KCI등재

        노인의 인적·경제·문화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희경(Han, Hee Kyung)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는 노인의 인적자본, 경제자본, 문화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활동참여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3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자본 중 인적자본과 문화자본은 사화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지만 경제자본은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노인자본 중 경제자본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인적자본과 문화자본은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사회활동참여는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노인자본 중 인적자본, 경제자본, 문화자본은 모두 사회활동참여를 매개하여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의 자본과 사회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verifies if the engagement in social activities mediates the effects of human,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s on successful aging in elderly citizens. The questionnaire survey data collected from 356 elderly citizens aged 65 and over in Busan undergo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analysis. The analysis highlights the following. First, human and cultural capitals influence social engagement activities whereas economic capital does not. Second, economic capital affects successful aging whereas human and cultural capitals do not. Third, engagement in social activities impacts on successful aging. Fourth, engagement in social activities mediates the effects of human,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s on successful ag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make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capitals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for successful aging.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내용을 주제로 한 유아미술활동 계획하기 경험

        한희경(Han, Heeky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교원양성과정에서 기존의 유아미술교육 수업에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접목하는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내용을 주제로 한 유아미술활동 계획하기 경험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충청 지역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32명으로 2016학년도 2학기에 유아미술교육 수업을 수강하였으며, 연구자료로 미술활동계획안, 최종 발표 보고서, 개방형 질문지를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 관찰이나 일상생활을 통한 직접 경험, 미디어나 수업을 통한 간접 경험, 마인드맵을 토대로 미술활동을 계획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미술활동계획안의 생활주제로 환경과 생활, 동식물과 자연, 세계 여러나라를 주로 선정하였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내용은 환경문제, 생물종다양성, 인권 순으로 많이 언급했으며, 만 5세를 주요 교육대상으로 하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증진되었으며, 미술활동을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원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유아미술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접목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planning early childhood art activities based on key conten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The participants were 32 college students in Chungcheong province, who took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class in one university in the fall semester, 2016. Content analysis was administer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art lesson plans, final presentation reports, and open questionnaires about the experi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nned art activities based on their direct experiences through child observations and daily routines, indirect experiences through media and classes, and mind mapping; 2) They mostly chose the life themes such as ‘environment and life’, ‘animals, plants, and nature’, ‘countries around the world’ for planning; they considered ‘environmental challenges’, ‘biodiversity’, and ‘human rights’ as core ESD contents; and mainly targeted 5-year-olds; and 3) The participants’ interests and understanding of ESD improved through their art activities planning experiences and they thought that ESD through art activities was proper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integrating ESD with Art Education was suggested as a way of promo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e of ESD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 KCI등재
      • KCI등재

        공간적 사고를 플랫폼으로 한 융합교육 방안에 대한 실행 연구:

        한희경(Han, Hee Kyo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7 글로벌교육연구 Vol.9 No.1

        국내외적으로 융합적 소양과 역량이 21세기가 요청하는 핵심 역량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영어권에서는 STEM 분야가, 우리나라에서는 STEAM 분야가 교육학계의 새로운 영역으로 개척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창의・융합적 인재를 중요한 교육적 인간상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와 같이 융합교육을향한 학문적, 사회적 관심이 최근 크게 확산되고 있는 것에 반해, 교육현장에서 관련개념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정도는 미흡한 편이고 융합교육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대체로 담론적 차원에 머물고 있으며 구체적 실천 방안에 대한 탐색은 소수에 불과한 형편이다. 특히 융합교육의 현장실천을 위해 시급하면서도 아직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않은 연구 주제가 있는데, 바로 융합적 역량을 조장하고 지원하기 위한 기반 환경, 즉 융합 플랫폼의 구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적 사고를 플랫폼으로 한 융합 교육을 구상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하였다. 선행 연구들에 근거하여 공간적 사고가 지식의 영역에 제한받지 않는 인간의 보편적 사고 유형의 하나라는 점에서 융합 플랫폼으로서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적 사고의 3대 요소와 관련 개념을고찰하였고, 공간적 사고를 플랫폼으로 한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하였으며, 실행연구의방법으로 현장실천에 대한 관찰평가를 토대로 융합교육의 실제와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Literacy and competence for Convergence are becoming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21st century. Reflecting this situation, the STEM field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the STEAM field in Korea have been pioneered as a new field of educational division, and th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was present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In contrast to the recent proliferation of academic and social interest in convergence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of related concepts is insufficient, academic researches on convergence education are largely discursive, and there is only a small number of searches for concrete action plans. In particular, there is an urgent but unexplored research topic for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a convergence platform to support the convergence competencies. This study proposes a way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spatial thinking and applies in practic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t is judged to be valid as a convergence platform in that spatial thinking is one of human universal thinking types which is not limited to any domain of knowledges. This study examines three major elements of spatial thinking and related concepts, lays out the lesson plan based on spatial thinking as a platform, and applies in practice. On the base of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practice in viewpoint of an action research, the author proposes actual and future tasks of convergen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기 자녀의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연구

        한희경(Han, Hee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배경에 따라 자녀의 놀이에 대한 인식과 양육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어머니의 놀이인식과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D시에 위치한 4개 유치원의 어머니 218명이 2015년 6월 한달 간 놀이인식과 양육효능감 검사에 응답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2.0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어머니의 교육수준, 취업여부, 월평균 가구소득, 자녀의 연령에 따라 자녀의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양육효능감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녀의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정도와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놀이인식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높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녀의 놀이에 대한 인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놀이인식의 하위요인 중 자녀와의 놀이참여, 자녀의 놀이능력, 유아놀이의 개념 및 교육적 가치 순서로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아교육기관이 공동책임의식을 가지고 자녀의 놀이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mothers’ perceptions on their young children’s play and parent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s of play and parenting self-efficacy. Two hundred eighteen mothers from four kindergartens in D city participated in a Perception of Play Test and a Parenting Self-Efficacy Test during one month of June, 2015. SPSS WIN 22.0 was used to analyse the collected survey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mothers’ perceptions of play and parenting self-efficacy among groups depending on the mothers’ education level, the employment status, monthly income level, and their child’s age. Second, there were som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on the parenting self-efficacy score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perceptions of play scores. The group with the higher perception scores tended to show a higher parenting self-efficacy scores. Thir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parenting self-efficacy level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child’s play, child’s play skills, and the value of play in order. The results implies the needs for examining mothers’ perceptions of their young children’s play to increase their parenting self-efficacy level. Discussion includes the ways to support mothers within shared responsibility between home and school in order to provide their children with a proper parenting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