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입부의 재도입: 멘델스존의 <무언가>

        한미숙 ( Mi Sook Han ) 한국서양음악이론학회(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음악이론포럼 Vol.28 No.1

        이 글은 멘델스존의 <무언가>에서 도입부가 본문 중에 재도입되는 경우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필자는 편의상 <무언가>에 등장하는 도입부를 서주(prelude) 유형과 전주(introduction) 유형으로 나누어 본다. 독립적인 성격의 서주 유형은 테두리 기능의 도입부로서 본문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전주 유형의 도입부는 본문 중에 그대로 또는 변형되어 재등장함으로써 형식적 단락구성과 전체적인 화성진행에서 특정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개별 곡의 분석을 통해 전주 유형의 도입부가 어떠한 방식으로 재등장하여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본다. 시작 단락(A)의 재등장을 앞두고 도입부를 소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본문에서의 도입부는 재경과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21, 26, 34번). 또한 최종 단락의 종지적 마침을 앞두고 도입부가 끼어들어 등장하면서 단락 간의 오버랩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16번과 27번). 한편 도입 부의 동기가 중간(B) 단락 끝에 포함되어 등장할 때 올림박 기능의 도입부가 내림박 기능으로 재해석되기도 한다(12, 29번). 또한 화성적 연결구로서의 기능을 하는 도입부(15번)도 있다. 이러한 멘델스존의 독특하고 독창적인 도입부의 활용방식은 무엇보다 <무언가>의 장르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무언가>라는 제목을 멘델스존이 스스로 고안해낸 것이라면, 그는 이 작품들을 진정으로 가사 없는 가곡으로서 간주한 것일 수 있다. 그래서 마치 가곡에서 전주를 다루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입부를 활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The current paper investigates the pieces in Mendelssohn’s Songs without Words, in which the introduction is reintroduced in the later course of the work. The author classifies the introductions in 48 pieces of Songs without Words into two types: prelude and true introduction. The prelude type found in 7 pieces remains outside the main part and serves as a frame-like introduction. The true introduction type found in 10 pieces is more likely to reappear later in the main part and thus plays certain role in the overall harmonic progression and formal construction. Detailed analyses of the cases of true introduction type reveal Mendelssohn’s unique and innovative way of employing the introduction. The diverse roles performed by reintroduced introduction can be observed. For instance, the introduction which reappears preceding the return of the beginning theme, functions as true retransition (found in No.21-Op.53/3, No.26-Op.62/2, No.34-Op.67/4). Or, the introduction intervening just before the final concluding cadence of the piece results in the overlap between the sections (in No.16-Op.38/4, No.27-Op.62/3). Otherwise, the motive of the introduction recurs at the end of the middle contrasting section (B), and thus, its inherent upbeat function may be reinterpreted as a downbeat function (in No,12-Op.30/6, No.29-Op.62/5). Or a unique case of the introduction which participates in the harmonic progression of the middle section can be found in No.15-Op.38/3. Such a imaginative way of employing the introduction is supposed to be relevant to the genre of the work. If the composer himself had contrived the title, ‘Lieder ohne Worte,’ he might have conceived its pieces as true songs for piano. From this perspective, it can be speculated that he treated the introduction of the wordless Lieder in a way very similar to the introduction of the Lieder.

      • KCI등재
      • KCI등재

        점진적 악구확장을 통한 아이디어의 확장 - 모차르트와 하이든의 피아노 소나타를 중심으로 -

        한미숙 ( Mi Sook Han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음악이론포럼 Vol.26 No.2

        본 논문은 모차르트와 하이든의 피아노 소나타 작품에서 악구확장을 포함한 주제가 다시 등장 할 때 더욱 확장된 모습으로 나오는 경우를 다룬다. 첫 단계의 악구확장과 둘째 단계의 악구확장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삽입된 아이디어를 더욱 확대 발전시키려는 작곡가의 의도를 가늠해 보며, 작곡가의 세밀한 작곡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필자는 둘째 단계에서의 추가확장 방식을 다음의 세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1) 첫 단계 악구확장의 삽입된 부분 안에서만 새로운 내용을 추가 삽입한다(모차르트의 K. 581/3악장과 K. 333). 2) 첫 단계의 삽입된 부분을 그대로 두고, 악구의 다른 곳에서 새로운 삽입을 추가함으로써 단락을 확장한다(모차르트의 K.533와 하이든의 두 소나타,Hob: 33, 43). 3) 삽입의 규모를 늘려가면서, 인접 악구와 단락 간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며 결국 전체 단락의 재구성을 가져온다(모차르트의 K. 576과 하이든의 Hob: 34). 각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을 하이퍼박자와 화성진행 위주로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 번째 유형의 경우 삽입된 아이디어가 변주 또는 발전되어 악구의 종결을 최대한 연기하고 있다. 따라서 제시부를 끝맺는 종지(EEC)보다 재현부를 끝맺는 종지(ESC)를 훨씬 강조하고 있다. 둘째 유형에 속하는 악구확장에서 기존의 삽입은 주변 악구들 사이에 또 다른 삽입을 야기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수용하며 단락을 확장시킨다. 한편 마지막 유형에서는 삽입된 아이디어가 형식적 단락들 사이를 넘나들어 등장하면서 매우 파격적이고 흥미로운 작곡과정을 보여준다. 모차르트의 D장조 소나타(K. 576)에서는 종결주제 단락을 확장하면서, 제2주제를 종결주제의 후행악구 중간에 포함되는 거대한 삽입으로 처리하고 있다. 또한 하이든의 경우(Hob: 34) 여러 차례에 걸친 삽입으로 인해 거대한 코다 단락을 새로 형성하기에 이른다. 즉 악구의 삽입에서 시작한 지엽적인 현상이 단락간의 삽입이라는 거시적 현상으로 확대 해석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첫 단계에서의 삽입은 둘째 단계에서의 거대한 삽입을 이끌어내는 일종의 촉매제가 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ases in which themes including phrase expansion reappear with further phrase expansion in the keyboard sonatas of Haydn and Mozart. By comparing two stages of the phrase expansion, we observe the composer’s intention to develop further the interpolated musical ideas through phrase expansion, and thus, emphasize the cadential closure. I can distinguish three different types of working method in the second stage of phrase expansion; 1) addition of new material only within the inserted area of the first stage(K. 581/III, K. 333), 2) addition of new insertion in other places of the phrase or section, while leaving aside the insertion of the first stage(K. 533, Hob: 33 and 43), and 3) the large-scale insertion which invites the reordering of the formal units and reinterpreta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hrases and sections(K. 576, Hob: 34). This paper examines the cases of three types in terms of hypermeter and harmonic progression. In the works of the first type, the inserted idea is kept varied or developed, so that the cadential closure is postponed as long as possible. As a result the cadence concluding the recapitulation(ESC) gets greater emphasis over the cadence concluding the exposition(EEC). In the cases belonging to the second type, the incorporation of newly inserted material, along with the previous insertion, makes more elaborate and expanded section. In the last type the inserted ideas which appear across the formal boundaries bring out the reordering of the whole section. As a result, they show composer’s unique and experimental solution for thematic and tonal reconstruction of the movement. In the cases of Mozart’s K. 576 and Haydn’s Hob: 34, the local phrase interpolation of the exposition turns out the global, large-scale interpolation of the recapitulation. In this respect, the inserted idea in the first stage of phrase expansion becomes the catalyst for the enormous expansion in the second stage afterward.

      • KCI등재

        쇼팽의 변형된 동형진행 패턴

        한미숙 ( Mi-sook Han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음악이론포럼 Vol.24 No.1

        본 논문에서 쇼팽이 동형진행 패턴을 변형시키는 과정을 구체적인 악곡의 문맥에서 살펴본다. 이렇게 변형된 동형진행은 `의사`(pseudo) 동형진행으로 부를 수 있는데, 넓은 범주의 동형진행에 포함될 수 있다고 본다. 필자는 쇼팽이 변형된 동형진행을 사용함으로써 얻으려고 했던 것이 무엇일까를 추정해 본다. 작품분석을 통해 쇼팽이 엄격한 동형진행 기법을 따르는 대신 선택한 것은 반음계적으로 움직이는 순차적인 선율진행(특히 윗성부에서)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Chopin`s alteration of sequential patterns in the context of the particular works. Although these altered sequential progressions may be called as `pseudo` sequences, they can be considered as being included in the broad category of sequences. I make an assumption about the composer`s intention or motivation behind the modification of sequences. The analyses show that Chopin`s pursuit in compensation for the strict sequential treatment is the chromatically moving melodic line, especially in the top voice.

      • 포스터 : 중학교 정보과학영재의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알고리즘 교육내용 설계

        한미숙 ( Mi Sook Han ),이영준 ( Young Jun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6 No.1

        지식기반사회에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지식과 아이디어를 생성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그 결과 많은 교육기관에서 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다양하고 융통성 있게 운영될 수 있는 영재교육과정을 고찰하고 분석해 영재들의 창의적 생산성, 도덕적 심성,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워주는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중학교 정보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논리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고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알고리즘 학습 내용을 중학교 정보과학영재 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재구성하고,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내용으로 설계하였다.

      • KCI등재

        문헌정보학분야 연구자들의 학회지 게재논문과 인용학술지 분석 연구

        조인숙,한미숙,Cho, In-Sook,Han, Mi-Sook 한국비블리아학회 200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8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lies in researching what kind of literature is mainly used by researchers in the related field by analyzing the research pattern of researchers who major in the same field of science. and to propose a list of literature that is indispensable for college libraries to prepare.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s of cited literature. this study is to propose necessary standards for selecting and reading journal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in the libraries of Korean colleges where a LIS department is establish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