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근대계몽기 문예운동의 시각 ; 신소설 형성의 양식적 기반 - ' 단편서사물 ' 과 신소설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기형(Kee Hyung Han)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1999 민족문학사연구 Vol.14 No.-

        Thinking about the basis of the Sinsoˇsul[新小說]-formation, we have to take both social and formative sidelight into consideration: Seen from the social side, following is noteworthy : the self-awakening of the identity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 re-cognition of the mother tongue(Korean) and Karean-written novel, and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and Japanese literature. In case of considering the formative side, above all, we need to focus on the changes of the transmission: system of narrative literature. In the course of changing from the way of the oral statement in the pre-modern narrative literature to the way of the `writing- reading`, the emergence of the modern narrative form is accelerated. The short-narrative produced in the early modern time respond to a sprout of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narrative literature. We can see the influence of the short-narrative on the Sinsoˇsul in the following spheres : the self-consciousness of writers` awareness, the enlargement of the realistic description, and the uplift of the critical spirit proper to the enlighten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지식문화의 변동과 문학장의 재구성 -1910년대와 1920년대 초반의 상황

        한기형 ( Kee Hyung Han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8

        일본에 의한 강제병합으로 한국 지식문화의 성격은 근본적으로 달라졌다. 강력한 통제로 황폐화된 한국의 출판시장은 식민권력이 추천하거나 그 의도에 영합하려는 새로운 서적들로 채워졌다. 특정한 서구적 기준의 수용을 근대문학의 성립조건으로 제시한 이광수의 주장은 그러한 지식문화의 강제교체의 와중에서 이루어진 일이다. 자생적인 지식인사회의 붕괴와 공백 속에서 문학과 서구성이란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이광수의 주장에는 근대문학이 근대문명과 근대사회가 구성한 복잡다기한 지식문화의 일부이자 그 총체와 대응하고 있다는 본질적인 사안이 결락되어 있었다. 이광수는 문학과 學/知를 분리하고 문학의 독자성을 고창했지만 그가 제시한 기준은 형식적이며 부분적인 것에 불과했다. 그것은 강제병합으로 인한 지식인 사회의 혼란 속에서 ‘리터래처’라는 도구를 통해 시대정신을 자기 방식으로 전유하려는 의도의 소산이라고 판단된다. 문학과 사회의 전면적 관계가 이론적으로 부정되면서 식민주의의 의도와 문학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된 것이다. 그러한 문학의 성격은 시대와의 접점을 전면화하기 어려웠다. 「문학이란 何오」에서 주장된 이광수의 판단은 지식문화의 공백과 지식인사회의 부재 속에서 이루어진 과잉독백과 같은 것이었다. 3.1운동 이후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형성된 민간학술사회와 지식장의 형성은 근대문학의 새로운 환경과 사회관계를 만들었다. 1910년대와 1920년대사이에는 지식문화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볼 때 매우 분명한 단층이 있었다. 예컨대 _개벽_이 창출한 문학장은 한국적 근대문학의 새로운 이정표를 만들었는데, 그것은 이 잡지가 조성한 민간학술사회와 그 대중 전파력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일이었다. 식민지는 제국의 영향력으로 인한 압도적 원심력이 작용하는 공간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인사회의 독자성과 구심력을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장기적 계획과 문제의식,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구비되어야만 가능한 일이었다. _개벽_의 전략은 표현에 대한 피식민자의 욕구를 문학이란 형식을 통해 구현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_개벽_의 문학은 식민지로 편입되면서 상실된 한국 지식문화의 사회적 관계망을 회복하고 그것을 통해 피식민자의 독자적 문화구조를 구축하려는 의도의 산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fundamental attributes of the knowledge culture in Korea inevitably changed when it was annexed by Japan. The publishing market of colonial Korea was devastated because of the severe control imposed by imperial Japan; there were filled with publications only which were recommended by the authorities or going with them. At this historical juncture, Yi Guang-soo formulated the requirements of establishing a modern literature. Namely, amid the ruin of the spontaneous society of Korean intellectuals, he proposed the new criteria for literature and modernity-mostly patterned after those of Western Europe. However, among his suggestions was omitted the essential insight that literature is partly composed of and corresponds to the intricate knowledge produced by a modern civilization. Yi Guang-soo severed literature from learning/knowledge(學/知) and firmly advocated for a particular identity of literature, but his criteria were nothing more than partial and extrinsic. According to my observations, Yi`s recommendations constitute the expression of an intention to assimilate Zeitgeist through ‘리터래처(literature)’ in his own way amid the chaotic state of Korean intellectuals due to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His recommendations may therefore be interpreted as a quest for co-existence of literature and the realities of colonial rule in a situation which denied the comprehensiv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That such a characteristic and existing method of literature could not find the interface with the realities of its time is not a mystery. I cannot but view what Yi Guang-soo argued in his essay <What is literature? (문학이란 何오)> as merely a kind of ‘over-soliloquy’ in the eclipse of knowledge culture and the intellectual community of Korea. Since the March 1st Movement, an intellectual sphere emerged together with private academies and through Korea`s mass print media, which laid down new conditions and encouraged a social network for a modern literature. An obvious discontinuity can be observed through the 1910s and 1920s in the history of Korea`s knowledge culture. For example, the literary sphere enabled by the monthly journal Gaebyeok showed how different the conditions of its time were from those of the previous decade. This new stage largely based on the private academies and intellectual community fostered by the diffused influence of Gaebyeok, marked a new milestone in the modern literature of Korea. Forging an identity and centralizing the forces of Korean society under the overwhelming presence of imperial Japan were very difficult tasks; they required a long-term scheme and a critical mind with concrete plans for praxis. Gaebyeok aimed to realize colonial Korea`s desire for self-expression, and in this sense, the literature of Gaebyeok may be regarded as an outcome of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knowledge culture network that had been devastated by the vortex of colonization and of constructing an independently forged Korean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선전과 시장 -“문예대중화론”과 식민지 검열의 교착

        한기형 ( Kee Hyung H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9 No.-

        문예대중화논쟁은 ``사회주의 혁명을 위해 문학이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라는 과제를 둘러싸고 동아시아 근대사회가 겪었던 공통의 문화현상이었다. 그러나 그 논쟁의 경과와 내용은 한국과 일본, 중국이 지닌 각국의 특수한 상황에 따라 미묘하거나 근본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조선에서 진행된 대중화론의 초점은 이중출판시장과 충독부 검열의 영향 속에서 문학을 통한 사회주의 선전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의 문제였는데, 그 논의과정을 통해 식민지 문화구조의 특성들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1920년대 이후 조선사회에서 일본출판시장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식민지 검열과 이중출판시장이 중첩되어 파생한 현상들이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조선의 토착 출판 자본은 이 과정에서 생존의 여부를 둘러싸고 식민지 검열과 새로운 관계를 맺지 않을 수 없었다. 조선에서 일본어 출판물의 확대는 일본어 보급의 정책 강도, 내지와 식민지의 검열 수위에 따른 표현력과 표현 내용의 차별성 등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수준 높은 지식/정보의 상당부분을 일본 서적을 통해 얻게 됨으로써 출판물과 지식정보의 지역 간 비대칭성이 만들어졌다. 만약 식민지의 검열이 이입출판물에 대한 검열의 수위를 낮출 경우 그 비대칭성은 커질 수 밖에 없었다. 출판물의 출생지와 그 가치화가 연동되는 현상이 생겨날 여지가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조선에서의 시장과 검열의 관계가 일본에 비해 훨씬 불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김기진은 토착 출판자본이 압박을 받고 있는 식민지적 상황에서 합법적 시장의 확대와 사회주의 문예대중화가 결합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조선어 출판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식민지에서 사회주의 문화운동의 생존력을 강화하는 것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반면 임화는 그러한 김기진의 견해를 신뢰하지 않았다. 김기진은 조선에서 ``시장``과 ``선전`` 사이의 합법적 중간지대를 기대했던 반면 임화는 김기진이 생각한 완충지대가 식민지에서 존재할 수 없다고 보았던 것이다. 임화와 김기진의 대립은 식민지 검열의 영향에 대한 그러한 인식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그것을 정치적 견해차이나 조직 노선 상의 충돌로만 해석할 때 식민지의 고유함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Literary Popularization Debate was a cultural phenomenon commonly experienced in Far East Asian countries during modern era, surrounding the task-what role literature should play for the socialist revolution. Meanwhile the process and its contents of this debate showed subtle, sometimes fundament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pecific situations of Korea, Japan and China respectively. The point of Literary Popularization in colonial Korea was an issue how literature could accomplish the propaganda task for socialism under the censorship by colonial regime and duplicated publishing market-native publishing capital and language of Korea coexisted with those from Japan. Due to this debate, peculiarities of cultural structure in colonial Korea came to be revealed consequentially. Since 1920, accompanying the expansion of Japanese publishing capital`s influence in colonial Korea, the phenomena which derived from the intricacy of duplicated publishing market and censorship reality were concretely taken into shape. The expansion of Japanese language publications in colonial Korea was directly-indirectly related with the intensity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drive and the differentiation of tolerance limit for expression (in form and content) between in colonial Korean and in mainland of Japanese Empire. This means it was inevitable to renew the relationship with colonial censorship situation for the native Korean publishing capitals in seeking for their way to survive. In colonial Korea, the reality that considerable part of higher-level knowledge and information was accepted generally through publications written in Japanese caused regional asymmetry of publications and knowledge-information. The more control intensity for imported publications would be lowered, the more unbalancing aspect of the regional asymmetry would come to be growing. It was because the evaluation on publications could be decisively influenced by their native place, and this impl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shing market and censorship reality in colonial Korea might be much more unfavorable than that in Japan, the mainland. KIM Ki-jin believed it was needed to find the way for harmonizing socialist literary popularization with expansion of legal market. He judged that vitalizing the Korean language publishing market deeply connected with strengthening survival ability of the socialist cultural movement in colonial Korea. On the contrary, IM Hwa seems to have not relied on KIM`s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KIM expected a legal domain between the ``marketing`` and ``socialist propaganda campaign``, while IM regarded the existence of such a buffer zone as impossible. The conflict of these two socialist figures reflects difference of understanding about the censorship and its practical influence in colonial Korea. Hence, if the conflict of KIM and IM would be paraphrased just as a crash of political viewpoint and line, the endemic characteristics of Korea`s reality during colonial period might not prove.

      • KCI등재

        노블과 식민지 -염상섭소설의 통속과 반통속

        한기형 ( Kee Hyung H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2 No.-

        이 논문은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초반 『삼대』에 이르는 염상섭 장편소설의 미학적 특징과 문학사적 의미를 새롭게 설명하기 위해서 작성되었다. 필자는 그시기 염상섭 소설의 통속성을 식민지적 상황을 넘어서려는 서사전략의 소산으로 이해한다. 염상섭은 식민지와 노블의 관계를 면밀하게 분석했던 인물이다. 그는 지식 인문학의 성격이 강했던 초기 단편과 『만세전』의 한계를 대신할 방법적 대안으로 통속의 서사를 발견하고 자신의 방식으로 그것을 재창조했다. 통속성은 식민지 사회 속에서 대중의 정서와 작가의 관점을 동시에 투사할 수 있는 서사방법이었다. 염상섭은 통속서사의 일반적 질서를 독창적으로 비틀면서 자신의 예술적 의도를 관철시 켰다. 그의 통속성은 재래의 문화적 관습을 존중하고 서구적 모더니티에 대한 일방적 경도를 차단하면서 식민지 현실을 재현하는 복합적 효과를 내장하고 있었다. 1920년대 장편소설을 그러한 관점에서 읽을 때 염상섭문학의 새로운 이해 가능성이 생겨날 것으로 판단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Yeom Sang-seop`s novels written between the middle of 1920s and early 1930s represented with the novel Samdai(Three Generation). Not to mention, my attempt is meant to newly evaluate the esthetic character and their status in Korean literary history. I appreciate Yeom`s popular fictions in this period as the products of his own narrative tactic to overcome the restricted reality of colonial Korea. Yeom Sang-seop was a writer who arrived at a scrupulous analysis for novel`s way of being in colony-how to be related to the common people of Korea. In other words, he realized the possibility which popular narrative might achieve and recreated it in his original way. It was preferably a methodical alternative to overpass his early short stories characterized as an intellectual literature, and limitation of the novella Manseijeon(Eve of Independent Movement). His popular narrative style might be the very way how he could project simultaneously people`s sentiments and writer`s viewpoint. It could be said that he accomplished his artistic intention through creatively adjusting the conventional grammar of popular narratives. The popular nature in Yeom Sang-seop`s novels combined multi-effects to imagine the reality of colonial Korea while valuing cultural mentality tradition of common people in Korea and also blocking the over inclination toward western modernity. Reviewing his full-length novels mainly written in 1920s from this perspective will certainly lead us to a new prospect in understanding his literature in genera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불온문서의 창출과 식민지 출판경찰

        한기형 ( Kee Hyung H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大東文化硏究 Vol.72 No.-

        ``불온문서``라는 용어는 제국 일본에 적대적인 존재에 대한 공격적 규정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었던 시대상황의 산물이다. 이 용어의 성립 이면에는 일본의 안과 밖에서 비등하고 있던 다양한 반제국의 욕망을 총체적으로 제어하려는 제국 일본의 국가적 의도가 작용하고 있었다. 제국 일본은 ``불온문서``라는 용어의 발화주체가 됨으로써 현존하는 텍스트 전체에 대한 부정적 가치규정을 독점하고 동시에 사회윤리와 법률의 차원에서 정당한 존재로 자기를 상대화했다. 특정한 대상을 불온한 자로 호명하는 것은 그들로 인한 질서의 파괴를 방지하거나 복구하는 주체로 자신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불온문서``라는 어의는 곧 제국의 안정을 파괴하고 질서를 교란한 텍스트라는 의미로 이해되었다. ``불온문서``라는 용어의 주된 역할은 행정기관의 처분과 사법부의 판결 이전에 특정 텍스트의 불법성을 임의로 사전 규정하는 데에 있었다. ``불온문서``라는 표현은 어떤 출판물이나 문서가 행정처분과 법적판결의 대상이 되어야 함을 강력하게 촉구하고나 심지어 결정하는 의미를 내포했다. 출판물에 대한 국가의 판단이 포괄적인 자의성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였지만 시간이 갈수록 그러한 현상은 확대되어 갔다. 1920년대 후반부터 구체화된 출판경찰 제도는 ``불온성``과 ``불온문서``의 의미와 개념을 끊임없이 새롭게 재규정하면서 출판물에 대한 제국 권력의 억압과 사후적으로 합법화했다. The term seditious documents should be appreciated as a result of situation at the time which increasingly needed a hostile definition for dissident people against Japan Empire. It is impossible to overlook an intention of the Japan Empire -embodied in the hidden background of this term`s formation-to control over all the anti-Japan desires being intensified both inside and outside. For instance, by becoming the only agent naming the term seditious documents, the Japan Empire monopolized authority to distinguish between wrong and right values, and also legally social-ethically justified itself to be a rational body. And declaring specific person to be seditious one, was aimed to characterize the imperial government as an agent to prevent social chaos due to him or her, or to restore the empire to its stability and order. In brief, so-called seditious documents were recognized as reading materials which tended towards destroying stability and order of the empire. The main role of the term seditious documents was focused on provisional voluntary pre-designating illegality of specific reading materials. To call specific publication seditious documents connoted urging, according to circumstances, even concluding that it should be taken into an administrative measure or juridical judgment. It was serious situation that the state judgment was influenced by comprehensive arbitrariness, but this phenomenon was kept up its expansive reproductions. The publication police system, concretely shaped since late 1920s, could be supposed to have accomplished ex post facto legalization for empire`s suppression against publication by constantly defining(or re-defining) the meaning and concept of seditiousness seditious doc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