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한기순(Han Ki-So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1

          영재교육의 키워드는 단연 프로그램이다. 영재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에는 물론 영재를 올바르게 선발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판별된 아동들을 위한 성공적인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재들을 교육하는 교사들이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및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명제적, 절차적 지식을 갖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집중적으로 프로그램 관련 이슈와 문제 전망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제기하였으며, 현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차별화 방안 및 대안의 하나로 문제 중심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영재교육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끝으로 현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트렌드와 전망을 영재교육의 전문화, 다양화, 특성화, 개별화, 그리고 확산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방향성과 과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Though desire of the gifted children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children, it is an undesirable reality that we have not developed sufficient researches and programs in conformity with the necessary desire and demand of the gifted children. So this study is about program issues in gifted education. The present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current status, controversial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programs are reviewed. Second, problem based learning(PBL) approach is suggested as a way to differentiate current gifted education program.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in the domain of science necessitates markedly the specializations for the specific areas of the contents, the processes, and the products of studies. In an effort to provide the optimum learning experience for the gifted, this study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pbl program and its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Finally, issues such as specialization, diversification, differentiation, individualization, and dissemination of gifted education program are discussed in depth to seek for future prospects and directions in the area of gifted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창의성과 반창의성: 유치원 교사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기순 ( Ki Soon Han ),이인화 ( In Hwa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들의 창의성 발현에 대한 교사의 반응을 심층 인터뷰를 통해 탐색하며, 유아의 창의성 발현이 존중되지 못하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나아갈 교육적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5개 유치원 12명의 교사가 심층 면담에 참여 했으며, 면담은 개별 2차례 총 24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이 창의적인 아이나 창의적인 행동에 대하여 현장에서의 어려움 혹은 반감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과의 심층면담 결과를 창의적 아이 vs 순종적 아이, 자율적 유아중심 프로그램 vs 취학 전 인지적 선행 학습, 실패를 경험하는 기회제공 vs 검증된 프로그램 수행, 독창적 시도의 결과물 vs 보기 좋은 결과물 등을 중심으로 제시하였고, 창의성 저해 요인, 교사에 따른 창의성 교육의 편차를 추가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반창의성 편향의 극복과 창의성 교육의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earch for the future direction of our education by analyzing in-depth interviews of teachers` view on young children`s expressing creativity in a kindergarten and their obstacles that hold back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To conduct the study, 12 kindergarten teachers from 5 kindergartens participated for in-depth interviews which were done twice per person, 24 times in total.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dealing with creative children or behaviors that showed creativity or at least they showed reluctance about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played by following themes: creative child vs. obedient child, self-regulated child-centered program vs. pre-school cognitive prerequisite learning, offering opportunities of failure vs. performing verified programs, output of creative trials vs. conventional good-looking output etc. Moreover, factors that hinder their creativity and creativity education deviation depending on teacher have been additionally studied.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about overcoming of anti-creative bias and planning of creativ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KCI등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간의 관계

        한기순(Ki-Soon Han),황은하(Eun-ha Hwa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영재학생 206명과 일반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 집단에서 완벽주의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완벽주의와 관련하여 적응적 측면과 부적응적 측면의 다차원적 이해를 위해 Frost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가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학교 적응 모두에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영재학생과 일 반학생 두 집단에서 완벽주의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되는지의 여부를 Baron과 Kenny의 3단계의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영재학생의 경우 적응적 완벽주의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일반학생의 경우에서는 독립변수가 적응적 완벽주의인 경우와 부적응적 완벽주의인 경우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적응적 완벽주의 경우 완전매개로,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경우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영재아의 특성이해 및 학교적응과 관련하여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가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in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school adjustment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For the study 206 gifted students and 204 general students participated. To examine the adaptive and maladaptive aspects of perfectionism, Frost'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was utili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ifted and the general students in all three variables investigated,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chool adjustment was examined using Baron and Kenny's 3 step regression analysis. As for gifted group, self-efficacy was identified to act a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adaptive perfectionism and school adjustment, while acting as a complete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chool adjustment. With regard to the mediation effects for the general students, self-efficacy showed to act as a complete mediator for the adaptive perfectionism and as a partial mediator for the maladaptive one. Implication of the study related to the gifted educ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초등교육의 디지털화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성찰

        한기순(Kisoon Han),정영근(Youngkun Tschong) 한독교육학회 201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1 No.2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른 경제적 효용성과 생활의 편리성은 교육의 방법은 물론 인간존재의 관계까지 새롭게 규정해간다. 디지털시대 기술만능주의와 상업적 문화산업의 확장에 의해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함에도 이에 대한 고민이나 비판적 성찰도 없이 디지털 기술은 초등교육 현장까지점령하고 있다. 정부의 스마트교육 정책에 따라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이 강조되면서 수업, 학교행정, 상담 등 학교교육 전반의 디지털화가 급속하게 진행 중이다. 학습의 시ㆍ공간 확장, 풍부한 콘텐츠 활용에 따른 학습자의 교육 역량 극대화를 기대했으나 디지털 교과서는 점점 더 감각적 사고에 의존케할뿐만 아니라 학생의 창조적 자율성을 저하시키고 교사-학생 사이의 대면적 상호작용을 감소시킨다. 본래 초등교육은 자발적 활동성을 지니고, 신체를 이용한 감각적 탐구 활동을 하려는 어린이의 본질과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이를 고려하지 못한 디지털화 정책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신체ㆍ정서ㆍ심리상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교육학적으로 성찰ㆍ논의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이 어린이의 존재 및 사회적 삶에 줄 영향을고민하며 디지털 기술과 함께 해야 할 초등교육을 성찰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인간학의어린이 이해 및 초등교육의 역할을 바탕으로 초등교육의 디지털화 정책, 교육의 변화과정 및 디지털화에 수반되는 문제점을 인간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Technological utility and convenience from the rapidly developed technological devices not only affect the way we live but also redefine our awareness. Problems arise from different aspects of society, including commercial cultural industry and powerful technology. The lack of consideration regarding the severity of the situation and its current influence on the education is deeply problematic, especially since only the practical facets of digital technology is being considered in current debates. Following the government’s digitalization policy, the digitalization process around the school, such as class, school administration, and counseling, has increasingly expanded. Because of the digital textbook, originally expected to help learners by expanding learning environment and adding more contents, students now depend on the more sensual interaction, their creative autonomy is dropped due to getting used to behavior pattern of technology, and their direct interaction with teachers is reduced. Elementary education has to be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speciality. Children need to have voluntary, sensual and investigational activities using their bodies. But this digitalization policy causes bodily,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children. Therefore, a debate abou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its usage for educational purpose is needed. We need to think about how the digital-using class might affect the existence and social life of children and prepare for the further-developing technology and future elementary education. For this, this study addresses the aforementioned problem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tudents from pedagogical-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and approaches the role of elementary education from the human education perspective.

      • KCI등재

        교사 관찰에 의한 창의적 유아의 판별의 가능성 탐색

        한기순 ( Ki Soon Han ),권은영 ( Eun Young Kw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창의성을 측정하고 판별함에 있어 교사관찰이라는 대안적인 방법에 의거하여 개발되어진 Nebraska Starry Night Observation Protocol(이하 NSNO)를 소개한다. NSNO는 일회성 지필고사 방식의 확산적 사고 위주의 창의성 검사에서 탈피하여 교실에서 교사에 의해 관찰 가능한 17개의 창의성 관련 행동요인을 제시한다. 교사가 관찰한 하위요인의 빈도수에 따라 창의성의 내용과 수준을 결정하게 된다. NSNO는 창의성의 인지·지각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사회적인 재능까지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기 때문에 유아의 창의성과 영재성 및 유아의 학습 선호도를 설명하는데도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을 판별하기 위한 도구로서 NSNO의 구체적인 내용과 사용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 2개 유치원 4개 학급 유아 110명이 참여하였다. 2주간의 심층 관찰 동안 각 반에서 담임교사와 2명이 관찰자에 의해 심층 관찰이 이루어졌으며 관찰자간 신뢰도는 .90이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110명의 아동 중 11명이 창의적인 아동으로 선발되었는데 그 중 2명 아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NSNO의 활용방법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troduces an alternative way to assess and identify creative young children through the teacher observation in classroom, Nebraska Starry Night Observation Protocol(NSNO). The NSNO, developmentally-appropriate and observation-based scale, provides nominal descriptions of 17 key qualities or behaviors found repeatedly in the literature on characteristics of able and creative children. Based on the numbers and areas of 17 behaviors observed by teachers, the child`s strength and level of creativity is decided. Using the NSNO, children are more likely to be truly assessed and not just identified. Specific explanation about the NSNO in both contents and methods is discussed in depth in the study. For the study 110 children who belong to the 4 classrooms in 2 kindergartens participated, and they were observed by one classroom teacher and two observers in each classroom. The inter-rater reliability among the teachers and the observers was .90. Two cases of creative children who were identified in the study were examined in depth to explain how the NSNO can be used and interpreted in real situations.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discussed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of creative young children.

      •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인성과 학습방법 관계 연구

        한기순(Han Ki Soon),허정원(Heo Jeong Weo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8 韓國敎育論壇 Vol.7 No.1

        이 연구는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인성 특성과 학습방법의 차이를 보고, 그 두 변수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수도권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재학생 132명과 일반 중학생 135명으로 총 2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과학영재는 대인관계가 원만하며 사회적 성숙도가 높고, 성취성향이 뛰어나는 등 인성적인 측면에서 일반학생들과는 다른 특성을 보였다. 둘째, 과학영재는 집중력이 높으며 학습전략과 학습 습관 모든 학습 방법적 측면에서 일반학생들보다 뛰어났다. 셋째, 인성요인은 두 집단에게서 모두 학습능력을 제외한 학습방법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력은 일반학생들보다 과학영재들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differ in personality traits and learning methods. This study also look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and the learning methods of the two groups. For the study, 132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a university based gifted education center and 135 non-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The instrument utilized in this study were the KPI Personality Inventory and the Learning Method Diagnosis Inventory develop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Research in Behavioral Scie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urpassed the non-gifted studen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maturity and achievement orientation. In contrast, the non-gifte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various things than the gifted students. Second,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non-gifted students in terms of attention, learning strategies and study habits. Finally, this study showed that persona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arning methods in both groups, but higher in the gift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and education of the gifted students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후보

        피로사회' 속 창의성과 행복에 관한 담론

        한기순(Ki Soon Han),유경훈(Kyoung Hoon Yo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1

        본고에서는 피로사회로 대변되는 현대의 성과주의와 자기착취에 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피로사회가 던지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와 학교가 안고 있는 창의성과 행복에 관한 이슈를 논의하였다. 또한 피로사회가 학교 문제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교사들의 소진이라는 측면에 비추어 논의하였으며, 우리의 학교가 창의성을 추구한다고 하면서 동시에 얼마나 반창의적인 편향을 보이고 있는가에 대하여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 학교의 창의성과 행복의 회복을 위하여 어떠한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한가를 탐색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한병철이 피로사회에서 제시하는 깊은 심심함, 중단하는 본능, 머뭇거리는 능력,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는 힘, 쓸모없는 것의 쓸모의 함의를 창의성의 이해와 계발이라는 측면에서 논하였다. Today's society is called 'fatigue society' which emphasizes excessive outcome-based evaluation and self-exploitation. This paper critically discusses why fatigued society, excessive outcome, and self-exploitation can be harmful to our society including our schools. In thi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how we can recover creativity and happiness in the fatigued schools and society where most students and teachers are exhausted too much. While we desire and seek for creativity, it is also discussed how we do not respect creativity in reality. To search for creativity and happiness in our schools and society, author suggests and discusses issues such as in-depth boredom, a will to discontinue and hesitate, courage to say 'NO', and use of uselessness.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성 영역문제의 탐색 및 재접근

        한기순(Ki-Soon Han) 한국영재학회 2005 영재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 1에서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과 영역 보편성의 문제가 109명의 초등학교 2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1의 주목적은 첫째, 세 가지 다른 영역간의 아동들의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둘째,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능력과 세 영역에서의 창의성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 참여하였던 학생의 일부 (71명)을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전문가 평정에 의한 창의적 수행평가가 3년이라는 기간동안 장기적 안정성을 나타내는가의 문제와 최근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창의성의 영역문제에 있어서의 방법론적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실제의 수행평가를 사용할 경우와 자기보고 형식을 사용할 때에 창의성의 영역 문제에 대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들의 창의력이 영역 보편적이기보다는 다소 영역 특수적이라는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아동들은 세 가지 다른 영역에서 일관성 있는 창의적 능력을 보이기보다는 각 영역 간 폭 넓은 창의력의 차이를 보이므로 창의력이 상당히 영역 특수적임을 제시했다. 또한 아동들의 일반적인 창의적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창의성 검사들은 세 가지 영역에서 드러난 아동들의 창의성과 매우 낮거나 무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함께 이 연구는 전문가 평정에 의한 아동의 창의적 수행평가가 적절한 신뢰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도 안정적이고 타당한 창의성 평가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창의성에서의 영역문제가 어떠한 접근 방법을 취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이 제기되었고 그에 따른 논의가 전개된다. This study is composed of 2 parts. Study 1 empirically examined (1)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creative performances measured by three product-based assessments (story-telling, collage-making, and math word problems) in three domains, and (2)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general creative thinking skills, measured by two divergent thinking tests, and children's creative performances. Study 2 is a three-year follow up study of the study 1. Study 2 followed up some (71)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study 1. In study 2, long-term stability of the performance based assessment involving story-telling, collage making, and math problem making were examined during the three-year time period. In addition, study 2 tried to look at the methods effect of the domain issue of creativity, comparing self-report scale and performance-based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position that creative ability in young children is rather (but not absolutely) domain-specific. The long-term stability of the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compares favorably with stability figures for other creativity tests.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method effect in explaining the domain issue of creativity. Implication of the study in connection with educational practices for gifted children is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