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lger-Huet Anomaly 가족 1 례

        최혜순 ( Hye Soon Choi ),오안수 ( An Soo Oh ),홍재화 ( Jae Hwa Hong ),강승희 ( Seung Hee Kang ),김진순 ( Jin Soon Kim ),이영채 ( Young Chae Lee ),정진화 ( Jin Hwa Jung ),김기헌 ( Ki Heun Kim ),조무자 ( Moo Ja Cho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1999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31 No.2

        The Pelger-Huet anomaly is a benign anomaly of leukocytes that it is characterized by reduced number of nuclear segments and is inherited as autosomal donimant trait. The nuclei appear fod-like, dumbbell-shaped, peanut-shaped or spectacle-like with round or oval individual lobes but the Pelger-Huet cells are functionally normal. A 11-year-old boy was admitted for chemotheraphy of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The peripheral blood smears reveal that mahority of neutrophils have one two lobes per mucleus, His father``s peripheral blood showed the same findings, We report a family case of Pelger-Huet anomaly.

      • 영유아 독서놀이의 뇌과학적 접근

        최혜순 ( Choi Hye Soon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0 독서아카고라연구 Vol.2 No.-

        21세기를 대표하는 키워드인 뇌가 의학과 과학의 분야를 넘어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교육이란 개인의 정신, 성격, 능력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모든 행위와 경험을 말하기도 하지만 뇌과학의 차원에서 보면 한 인간의 마음, 행동, 감정, 사고를 포함하는 통합적 과정의 주체인 뇌의 변화를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급속도로 발달한 뇌과학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영유아 독서놀이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최근 발간된 뇌과학과 독서 관련 연구문헌을 토대로 독서놀이의 개념과 범위 그리고 영유아 뇌발달 특성을 논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영유아독서놀이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가정이나 교육현장에 적용가능한 영유아 뇌발달에 적합한 독서놀이 지침을 제시하는 것은 교사나 부모들에게 의미있는 일이지만 이것이 정말 영유아의 뇌발달을 촉진하는 것인지에 대한 실험적인 추후연구가 요구된다. The brain, a keyword representing the 21st century, is changing the paradigm of education beyond the fields of medicine and science. Traditionally, education refers to all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at affect the formation of an individual’s mind, personality, and abilitie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cience, education refers to the change in the brain, the principal agent of an integration involving one’s mind, behavior, emotions, and though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eading play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based on the recent research results of the rapidly evolving field of brain science.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 and scope of reading play and the characteristics of brain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from recent brain science and reading literature and explores the direction of the reading play. Whi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to teachers and parents as guidelines for reading play suitable for brain development in early chlidhood, experimenta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whether this actually stimulates brain development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 KCI등재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최혜순(Choi Hye-Soon),김찬숙(Kim Chan-Su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3~5세 유아 236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학급의 담임교사가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을 평정하였으며, 가정에서의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및 시간은 부모용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을 때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을 놀이 유형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부모가 신체놀이, 역할놀이, 기능놀이에서의 참여수준이 높을 때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분하여 살펴보면, 아버지의 경우 역할놀이, 기능놀이 수준이 높은 경우, 어머니의 경우 역할놀이의 참여수준이 높은 경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부모의 신체놀이 참여 수준과 유아의 행동억제와 정서성이, 부모의 역할놀이 참여수준과 유아의 행동억제가, 부모의 기능놀이 참여수준과 유아의 정서성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부모의 놀이참여 시간이 많을 때 자기조절능력도 높게 나타났다. 자기조절능력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유아의 행동억제가 부모의 놀이참여 시간이 많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studied how parent’s play participation level and duration affecte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236 children at age between 3-5 years old and their parents. For the study, self-regulation ability of children were evaluated by their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play participation level and duration were recorded using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self-regulation ability of childre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arents’ level of participation. In terms of different types of play, child showed higher level of self-regulation when parents showed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play, role play, and functional play. Moreover, higher participation of fathers in role play and functional play, and higher participation of mothers in role play is correlated with higher self-regulation ability of their children. In terms of sub categories of self-regulation, parents’ level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play and children’s ability of behavior and emotional control;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role play and behavior control;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functional play and the emotional control are related to each other. 2) Children exhibit higher self-regulation when parents participate in play for longer duration. Among the sub categories, children show better behavior control when the parents participate in play for longer duration.

      • KCI등재

        영상자극 유형에 따른 유아의 정서안정성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최혜순(Choi, Hye-Soon),남효순(Nam, Hyo-So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영상자극의 유형에 따라서 유아의 정서안정성과 스트레스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뇌 과학적 연구방법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측정을 실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5세 유아 33명이며, 뇌파 측정 장비(QEEG-4 System)로 유아별 기초뇌파를 측정한 후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정적영상자극과 동적영상자극을 차례로 제시하고 이를 통해 유발된 정서안정성과 스트레스에 관한 뇌파지수를 측정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안정성에 관한 뇌파지수는 기초자극, 정적영상자극, 동적영상자극 순으로 활성화 되었고, 세 가지 자극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에 관한 뇌파지수는 동적영상자극, 정적영상자극, 기초자극 순으로 활성화 되었으며 세 가지 자극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한 영상매체를 통한 자극들이 유아의 정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유아에게 제공되는 영상매체의 남용에 대해 교사나 부모에게 경각심을 갖게 할수 있다. 동시에 최근 부각되고 있는 유아교육 연구방법에 있어 뇌과학 또는 뇌발달에 기초한 접근과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performs Electroencephalogram (EEG), one of the emerging brain science research methods, on young children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their emotional stability and stress in response to different visual stimuli. Research was carried out on the subject of 33 young children at 5 year old age, by first, measuring resting EEG using measurement equipment (QEEG-4 System), then exposing two types of visual stimuli (Calming Video Clip, Active Video Clip), and finally measuring EEG responsible for emotional stability and stress of each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tability index was more active in resting EEG, compared to EEG after exposure to Calming Video Clip, and EEG after exposure to Active Video Clip in that order,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classes of stimuli. (2) Stress Indexes are more active in EEG after exposure to Active Video Clip, compared to EEG after exposure to Calming Video Clip, and resting EEG in that order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classes of stimuli. By examining potential influence of various audiovisual stimuli prevalent in young children’s everyday life, this research attempts to caution against overuse of visual media, and, at the same time, hopes to promote access and utilization of more scientific research methods on the field of young children education research.

      • KCI등재

        유아사회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분석

        최혜순(Hye Soon Cho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사회교육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유아사회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4년 3월 까지 발표된 유아사회교육 관련 국내 연구 574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 연구대상으로 구분하고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사회교육 관련 연구는 2006년 이후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다가 2013년 급증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내용은 유아사회교육 프로그램의 교수방법 실행 연구 및 사회성 발달 변인을 다룬 실천 연구가 많았다. 셋째, 사회교육의 교수활동과 관련된 교육과정 영역별 통합유형 연구동향은 사회관계 영역과의 통합이 가장 많았으며, 전체 영역과의 통합 활동도 증가하고 있었다. 넷째, 최근 다문화교육, 인성교육, 환경교육에 대한 연구가 증가 하고 있었다. 다섯째, 연구방법에 있어서 질적연구 보다 양적연구가 많았다. 여섯째, 연구대상이 만 5세 유아에 집중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analysis on the current research trends related to social studies for young children and seek an effective direction of social studies in early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produced through the analysi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classified 574 domestic researches related to social studies in early education published from 2006 through March 2014 into the time, contents, method and object of research, and analyzed by calculating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s related to social studies in early education repeated increase and decrease after 2006 and has increased rapidly from 2013. Second, as for contents of research, researches on the execution of teaching method for social studies in early education program and practical researches dealing with social development variables make up the majority. Third, as for research trends of the type of areal integration of course of study related to teaching activities in social studies, integration with social relation was the most, and activities integrated with entire areas are also increasing. Fourth, research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personality education and environment education are also increasing recently. Fifth, with regard to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es outnumber qualitative ones. Sixth, object of research is concentrated on the early childhood under 5.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연구

        양은호(Yang, Eun-Ho),최혜순(Choi, Hye-S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연령, 학력, 소득수준, 취업유무에 따라 심리적안녕감과 양육효능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심리적안녕감의 하위요인과 양육효능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6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심리적안녕감, 양육효능감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차이검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양육효능감은 어머니의 연령, 학력, 소득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연령, 학력, 소득수준이 높은 경우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효능감은 더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안녕감은 어머니의 학력, 소득수준, 취업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 소득수준이 높고, 취업모인 경우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육효능감은 심리적안녕감의 모든 하위 영역에 걸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안녕감의 하위영역인 삶의 목적이 양육효능감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자아수용과 할경통제력, 개인성장,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의 순으로 양육효능감과 상관이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 correlations between preschooler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enting self-efficacy in respect to mothers’ age,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current employment status. The Study subjects were 166 preschooler mothers reside in Seoul and Gyeonggi. The Psychological well-being/Parenting self-efficacy testing form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research was analyzed by t-test and Correlation with SPSS 18.0. The analyzed data indicat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self-efficacy respect to mothers’ age, educ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The increased values in following variables-mothers’ age, education level and socioeconomic status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self-efficacy. Based on mothers’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current employment, positive correlation was noticed in respect to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values in following variables increases-mothers’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current employment, parenting self-efficacy increased. Second, parenting self-efficacy indicated the static correlationin all Sub-reg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urpose in Life, which is Sub-region in psychological well-being revealed the closest relationships and Self-Acceptance, Environmental Mastery, Personal Growth,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utonomy, followed respectively. There i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parenting self-efficacy.

      • KCI등재

        유아행복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

        신지혜 ( Ji Hye Shin ),최혜순 ( Hye Soon Cho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행복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유아행복연구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3년 3월까지 발표된 유아 및 아동의 행복 관련 국내연구 198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 연구대상의 순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고 유아행복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행복연구는 200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2006년 이후 급증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내용은 행복 관련 교수방법 및 행복 관련 변인들을 다룬 실천연구에 편중되어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질적연구 보다 양적연구가 훨씬 많았다. 넷째, 연구대상이 아동의 행복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행복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아 대상의 연구 및 행복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기초연구와 질적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현시대의 문화와 가치를 반영한 유아의 행복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검증할 척도 개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early childhood happiness by analyzing the trends of domestic studies on happiness. To this end, 198 theses related to happiness, published from 2000 to March 2013, were analyze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in order of research period, content, methodologies and object. Findings reveal 1) that the studies increased rapidly after the year 2006. One reason for this might be that happiness was lower than Korean economic growth after 2006 and education was impacted by social crises reflected by anti-social or non-social behavior such as the suicid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maladaptation; 2) research contents, were found to be biased toward practical research on happiness related variables associated with teaching. 3) Basic general research suggests the direction of study on early childhood happiness should focus more deeply on our society and its relation to depression in children. 4) Despite the quantity of available research, high-standard qualitative studies involving on-the-site research exploring the meaning of happiness more deeply are needed. 5) Since the focus of most current research is happines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ore studies on young children using expanded variables including modern culture and socio-economic variables are needed. Based on these findings, an early childhood happiness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modern culture and current socio-economic statistics and aimed at positively affecting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dditionally, a measuring scale for verification is warranted.

      • KCI등재

        원장의 리더십 및 보육교사의 심리적안녕감과 이직의도의 관계

        전선영(Jeon, Sun Young),최혜순(Choi, Hye So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원장의 리더십 및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원장의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심리적안녕감이 이직의도에 갖는 설명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민간어린이집과 구립 및 시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413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원장의 리더십, 그리고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원장의 리더십이 인간지향과 목표지향일수록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낮았고, 원장의 리더십이 관료지향일수록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높았다. 그리고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낮았다. 또한 원장의 리더십이 인간지향과 목표지향일수록 보육교사의 심리적안녕감이 높았다. 둘째, 원장의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심리적안녕감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 원장은 긍정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며 보육교사의 심리적안녕감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and directors’leadership and child-care teachers’psychological well-being, and how do those factors contribute to the turnover inten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13 teachers working at public or private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are correlated with their directors’ leadership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eachers showed lower levels of turnover intentions when their directors have higher human orientation or goal orientation. However, higher levels of the director’ bureaucrat orient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the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And the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were lower when the levels of th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high. On the basis of the director’s leadership by the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higher the directors’ human orientation and goal orientation leaderships were, the higher the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econd, their directors’ leadership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re reliable predictors of the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Thus, the director’s positive leadership and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should be promoted in order to decrease the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구형선(Gu Hyung seon),최혜순(Choi Hye sun),조인주(Cho In j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마음챙김, 그리고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그 경로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었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총 1,30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1,269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그 중 응답이 불충분한 58부를 제외한 1,211부가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생활스트레스는 정신건강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다. 이는 생활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할수록 정신건강이 악화됨을 의미한다. 또한, 생활스트레스는 마음챙김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마음챙김은 정신건강에 부적인 영향을 미쳐 마음챙김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활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마음챙김 정도가 낮았으며, 마음챙김 정도가 낮을수록 정신건강이 악화됨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is topic, we specified a research model and tested hypothesized paths on mental health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llege students in Jeonbuk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a total of 1,30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ata were collected from 1,269 college students from six universities in Jeonbuk area. Fifty-eight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because of the unreliable responses, and the final data included 1,211.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tres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mental health and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mental health through mindfulnes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mplications for practice to improv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뇌기반교육에 기초한 유아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남효순(Nam, Hyo-Soon),최혜순(Choi, Hye So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뇌기반교육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유아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단계 개발과정을 거쳤다. 첫 번째 단계로, 뇌기반 교육이론, 5세 누리과정, 유아 신체활동 관련 선행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유아 신체활동에 대한 교사 요구도 조사 실시와 전문가 협의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본 방향을 수립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수립된 프로그램 기본 방향을 기초로 프로그램의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교사의 역할, 평가의 구체적인 준거를 설정하여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프로그램 시안을 토대로 예비연구를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 및 문제점을 수정.보완하는 전문가 협의를 거쳐 프로그램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뇌에 기반한 유아신체활동 프로그램과 교수원리를 제공하고, 뇌기반교육에 기초한 신체활동 관련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young children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the basis of brain-based education. Process 1 was a basic stage of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program development. Theoretical literature of the brain-based education, NURI Curriculum for the 5 years old, young children physical activities etc. was reviewed. In addition, basic directions for the program development were established by the specialists council. Process 2 was to design the program and to draw up the proposal for a model that played a major role in the program development. Specific criteria for objective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teacher’s role, educational evaluation were established, and specific activities were constructed. Process 3 was associated with the preliminary research for qualifying the program. Circulating system for checking the field application possibility and problems and for verify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instruments was performed by the specialists council. Overall, the young children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the basis of brain-based education was effective in the young children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emotional stability, and attention. Teachers could improve their brain-based teaching abilities and effective interaction skills by applying this program in their educational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