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가상징거리의 구성요소 특징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광화문 광장을 중심으로

        최현아,조영태,이우균,Choi, Hyun-Ah,Cho, Young-Tae,Lee, Woo-Kyu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4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5 No.4

        국가상징거리는 도시 및 국가의 환경개선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공공 오픈 스페이스 중의 하나이다. 상징거리는 한나라의 수도 및 도시의 중심부에 있으며, 프랑스, 영국, 미국 등은 복합적 역할을 하는 광장과 연결되어 문화와 역사를 포함한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상징거리의 장소 정체성 도출을 위해 광화문광장을 대상으로 상징거리의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 구성요소 특징과 만족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수집한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하였다. 국가상징거리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i) 교통 접근성 대한 만족도가 다른 요소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i) 공간특성 요소는 구성요소보다 상징거리 이용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주며, iii) 연구대상지가 국가상징거리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인 구성요소 특징과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국가상징거리의 장소 정체성 확보와 주변 상업지구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관리 계획 및 개선방안 제시가 필요하다. National street has become one of open space for enhancing environmental qualities of city and country. In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France, U.K. U.S.A are designed symbolic malls, squares and street which are represented the historicity, culture and symbolic place. For place identit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 and user satisfaction in Sejong Avenue, Gwangwhamun Squar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correl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factor analysis is carried out to extract spatial components and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concerning transportation access was the higher than other factors, ii) user satisfaction was strongly correlated on the spatial elements, iii) user showed high user perception to study site. Results of this study can identify representative street management plan based on landscape elements and user satisfaction.

      • 시.공간정보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최현아,이우균,곽한빈,최성호,변재균,유성진,Choi, Hyun-Ah,Lee, Woo-Kyun,Kwak, Han-Bin,Choi, Sung-Ho,Byun, Jae-Gyun,Yoo, Sung-Jin,Cui, Guishan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3

        기후변화는 생태계, 수자원, 재난, 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 영향을 부문별로 평가하여 적절한 적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부문별 평가지표도 다르고, 자료의 형태와 내용도 달라 통일된 형태의 영향평가 및 적응전략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문별 기후변화영향평가지표를 마련하고, 이 평가지표를 설명하는 각종 주제도를 GIS기반의 시 공간정보로 통합하였다. 이와 같이 통합된 시 공간정보를 부문별 취약성평가 방법에 적용하여 부문별 취약성을 통합한 후 평가할 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Climate change has influenced on various sectors including ecosystem, water resource, natural hazards and health and so on. Thus, it is essential to more accurately assess climate change impact and prepare adaptation strategy. However, it is difficult to assess for climate change impact on various sectors with integrated form due to various data format by sectors. In this study, we prepared criteria and indicators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and integrated GIS based data which in correspond to indicators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using GIS. Finally we suggest a guideline to assess vulnerability of each sectors to climate change based on integrated spatio-temporal information.

      • 건축마당 - 해외잡지동향

        최현아,Choi, Hyun-Ah 대한건축사협회 2009 建築士 Vol.2009 No.11

        이번 호의 Project 섹션에서는 Bernard Tschumi Architects의 Acropolis Museum, High Standard라는 주제 아래에서 James Corner Field Operation의 High Line, Polsh다 Partnership의 Standard New York을, 그리고 UNStudio의 MUMUTH Music Theater가 소개되고 있다. Building Type Study에서는 '도심의 녹색 건축(Green Civie Building)'이라는 주제로 Anmahian Winton Architects의 Community Rowing Boathouse, Safdie Rabines Architecs의 Baldwin Hills Scenic Overlook, 그리고, Jane F. Kolleny의 Whistler Public Library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 KCI등재

        실시간 트래픽 전송을 위한 RTP/RTCP의 TFRC 흐름제어 기법

        최현아(Hyun-Ah Choi),송복섭(Bok-Sob Song),김정호(Jeong-H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8

        지연시간으로 인한 부정확한 네트워크 상태정보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방향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정확한 지연정보로 네트워크 상황을 판단하고 TFRC 흐름제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상태변화에 따라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율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흐름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시뮬레이션 결과, 네트워크 상태 정보 측정을 위해 RTT와 OWD×2를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약 12% 차이를 보였다. RTT를 사용하였을 경우 TFRC가 TCP보다 약 32%정도 더 많은 대역폭을 사용하였으며, OWD를 사용하였을 경우 3%정도의 오차를 보이고 링크의 공정한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황을 판단하고 TFRC 기반으로 네트워크 상태변화에 따라 TCP와 공정한 대역폭을 사용하면서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맞게 전송율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자들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o resolve the problem caused by a network state information inaccuracy the slow delay time that conclusion of network state of one way delay time which accuracy delay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network state changes on the based TFRC flow control, and suggest that flow control mechanism to adjust transfer rate fit of real time multimedia data. In simulation, to measure of netowork state information that on the average about 12% difference of compared RTT and OWD×2. When used RTT, used fair bandwidth TFRC much better than TCP about 32%, when used OWD, difference about 3% used fair bandwidth. Thus, conclusion of accuracy network state that used fair bandwidth according to network state changes on the based TFRC, users can support service of high quality that flow control mechanism to adjust transfer rate fit of real time data.

      • KCI등재

        남북한 통합조성을 위한 국제 비정부 기구의 활동 : 독일 정치재단 사례를 중심으로

        최현아(Choi, Hyun-Ah),이혜경(Lee, Hye-Ky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0 亞細亞硏究 Vol.63 No.4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독일 정치재단은 통일 독일의 경험을 공유하고, 남북한 화해정착과 협력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독일 정치재단 한국사무소의 남북협력 지원은 2003년부터 경제, 의료, 환경, 스포츠 및 문화 교류 등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북한 전문가의 능력배양을 위한 교육 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독일 정치재단 한국사무소의 교류협력 사업은 소규모로 진행되고 있으나, 인도적 지원사업을 넘어 개발 협력 성격의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북한 현지 파트너기관과의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독일 정치재단이 가지는 특수성과 교류협력 사업에서 보듯이 북한과의 지속가능한 교류협력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인적교류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교육 및 기술적 지원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교류협력 사업 진행 시 직접적인 물품 지원이 아닌 북한 내 정책결정자와 연구자의 분야별 능력배양을 위한 소규모 지원사업을 진행하면서 사업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비정부기구인 독일 정치재단이 진행하고 있는 북한과의 공식적, 비공식적 교류 확대사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제 비정부기구의 지속적이며 장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협력사례를 통해서 향후 정부와 민간단체의 남북교류 사업이 재개될 경우, 독일 정치재단의 사례 연구는 지속적인 추진과 강화를 위한 전략 수립 시 경험적 차원에서 의미 있는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erman Political Foundation (GPF) is one of the leading institutions that share the experience of a unified Germany and support the reconcil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 German Political Foundation Korea has supported the environment including forest and water management, sports and culture, market economy, economy and medical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since 2003. It also supported training and education to develop the capabilities of North Korean experts. The project of GPF Korea implemented small scale humanitarian aid, but it goes beyond humanitarian aid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t is working to form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s local partner agencies to proceed continuously. Although there are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GPF Korea, it is necessary to conduct human exchanges in various fields and educational and technical support should be carried for sustainable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he scope of the project needs to be expanded while carrying out small-scale aid projects to sector-specific capabilities of policymakers and researchers in North Korea.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ansion of formal and informal exchanges with North Korea, which are currently being carried out by the GPF Kore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This study findings can help to establish the strategy to restart the sustainable inter-Korean cooperation.

      • KCI등재

        서해안 이동성 조류 서식지 보전을 위한 남북환경협력 방향

        최현아 ( Choi Hyun-ah ) 평화문제연구소 2021 統一問題硏究 Vol.33 No.2

        최근 북한은 생태환경분야 국제협력을 강조하면서 습지생태계 보전을 위한 환경 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국제 환경레짐 안에서 환경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 필요로 하는 분야의 협력을 추진하여 북한 당국이 수용할 수 있도록 서해안 이동성 조류 서식지 보전을 통한 교류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서해안 이동성 조류 서식지 보전을 위한 북한의 대내외 활동과 협력 여건을 분석하여 향후 진행 가능한 환경협력 방향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남북환경협력 방향은 한반도 생태공동체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North Korea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environmental project to conserve the wetland ecosystem while emphasiz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field. Unlike in the past, environmental cooperation is being promoted with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ime.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exchange and cooperation through conserving migratory bird habitats on the Korean west coas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an accept cooperation in the areas North Korea needs.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le readiness and cooperation direction with North Korea based 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tland conservation activities and step-wise analysis.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and help to prepare ecological community on the Korean Peninsu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