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추가저수량 확보 우선순위 산정을 위한 의사결정모형

        최은혁 ( Eunhyuk Choi ),이현구 ( Hyungu Lee ),심좌근 ( Jwageun Sim ),지홍기 ( Hongkee Jee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수자원계획 평가를 위한 의사결정과정에서 유역 내외의 이해관계자 및 의사결정자들의 상충되는 의견들이 수자원의 개발 및 유지관리 계획에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역의 수자원 이용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 수질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및 환경적인 요인들을 고려한 평가지수 및 평가절차가 필요하다. 또한,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여러 기준 및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인 가중치를 정확히 계산하는 것은 만족할 만한 의사결정 결과 또는 최적의 의사결정 결과를 얻기 위해 필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의사결정자의 입장에서 여러 가지 대안 중 어떤 것이 자신의 문제해결에 가장 적절한 것인지 알 수 없다면 상당한 혼란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마련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분석을 위해 경제적, 물리적, 그리고 환경적 측면에서 저수지 추가저수량 확보시의 고려사항을 평가항목으로 선정하였으며 평가자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평가항목은 7±2개의 범위에서 최소한의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분석을 위한 응답결과의 신뢰도향상을 위해 대상 저수지의 지형적·환경적·사회적·경제적 특성에 대한 사전지식이 풍부한 수자원 설계 및 관리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자원 계획수립의 다기준 의사결정문제에 대해서 평가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인 가중치 결정을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평점모형, AHP, FAHP, PROMETHEE 및 PROMETHEE-AHP 혼합모형을 적용하여 각 분석기법별 비교·검토를 통해 기존 의사결정기법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농업용 저수지 수자원 계획수립을 위해 안정성, 경제성, 환경성, 사회성 등을 고려한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선정된 평가기준에 따라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가중치산정 과정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의사결정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시스템다이내믹스 모델을 이용한 농업용수 시스템의 기후 복원력 평가

        최은혁 ( Choi Eunhyuk ) 한국농공학회 2021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3 No.4

        This study aims at testing a hypothesis that the resilience of agricultural water systems is characterized by trade-offs and synergies of effects from climate and socioeconomic change. To achieve this, an Agricultural Water System Climate Resilience Assessment (ACRA) framework is established to evaluate comprehensive resilience of an agricultural water system to the combined impacts of the climate and socioeconomic changes with a case study in South Korea. Understanding dynamic behaviors of the agricultural water systems under climate and socioeconomic drivers is not straightforward because the system structure includes complex interactions with multiple feedbacks across components in water and agriculture sectors and climate and socioeconomic factors, which has not been well addressed in the existing decision support models. No consideration of the complex interactions with feedbacks in a decision making process may lead to counterintuitive and untoward evaluation of the coupled impacts of the climate and socioeconomic changes on the system performance. In this regard, the ACRA framework employs a System Dynamics (SD) approach that has been widely used to understand dynamics of the complex systems with the feedback interactions. In the ACRA framework applied to the case study in South Korea, the SD model works along with HOMWRS simulation. The ACRA framework will help to explore resilience-based strategies with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management options for agricultural water systems.

      • 수자원 계획평가를 FAHP 의사결정기법의 적용

        최은혁 ( Eunhyuk Choi ),배상수 ( Sangsoo Bae ),이은성 ( Eunsung Lee ),지홍기 ( Hongkee Jee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농업용 저수지의 수자원계획 평가를 위해서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여 최종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다수의 대안과 속성을 동시에 고려해서 최선의 대안을 선택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계획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 및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퍼지집합이론을 이용하여 요인들 간의 현실적 인과관계를 고려하여 최종 대안을 선정하는 방법론인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FAHP) 기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대안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하였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분석을 위해 평가항목의 선정은 크게 경제적, 물리적, 그리고 환경적 측면에서 저수지 추가저수량 확보시 고려해야 할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평가자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평가항목은 7±2개의 범위에서 최소한의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분석을 위한 응답결과의 신뢰도향상을 위해 대상 저수지의 지형적·환경적·사회적·경제적 특성에 대한 사전지식이 풍부한 수자원 설계 및 관리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의사결정 방법에 따른 분석결과 AHP와 FAHP에 의한 우선순위 산정시 설문응답 결과에 따라 각 항목별 가중치 편차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설문 응답자들의 언어적 판단에 따른 주관성 및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정량화시킨 Fuzzy 접근방법과 이를 고려하지 않는 Non-Fuzzy AHP 방법과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가기준 및 대안의 수가 많아질수록 의사결정문제에서 나타나는 판단 및 평가의 모호성과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구조적인 한계점을 내포하는 기존의 AHP 기법을 보완하기 위해 삼각퍼지수를 이용하여 평가기준 및 대안간 쌍대비교 결과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수자원계획 평가를 위한 보다 현실적인 의사결정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향후 FAHP 기법은 인간의 언어적 판단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모호성과 불확실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고려하여 기존 AHP 분석의 신뢰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주관적인 환경에서의 의사결정과정을 정량화·계량화하여 보다 합리적인 평가모델로써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기계학습모델을 이용한 저수지 수위 예측

        서영민,최은혁,여운기,Seo, Youngmin,Choi, Eunhyuk,Yeo, Woonki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9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iciencies of machine learning models, includ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generalized regression neural network (GRNN), 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 (ANFIS) and random forest (RF), for reservoir water level forecasting in the Chungju Dam, South Korea. The models' efficiencies are assessed based on model efficiency indices and graphical comparison. The forecasting results of the models are dependent on lead times and the combination of input variables. For lead time t = 1 day, ANFIS1 and ANN6 models yield superior forecasting results to RF6 and GRNN6 models. For lead time t = 5 days, ANN1 and RF6 models produce better forecasting results than ANFIS1 and GRNN3 models. For lead time t = 10 days, ANN3 and RF1 models perform better than ANFIS3 and GRNN3 models. It is found that ANN model yields the best performance for all lead times, in terms of model efficiency and graphical comparis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ptimal combination of input variables and forecasting models depending on lead times should be applied in reservoir water level forecasting, instead of the single combination of input variables and forecasting models for all lead times.

      • 필터기법을 활용한 수로부 수위자료의 품질관리 기법 연구

        최규훈 ( Gyuhoon Choi ),김경환 ( Kyunghwan Kim ),임세윤 ( Seyun Lim ),유승환 ( Seung-hwan Yoo ),최은혁 ( Eunhyuk Choi ),강문성 ( Munsung Kang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하천과 저수지 수위자료의 품질관리는 많은 연구가 이어지고 있으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수로부에 대한 수위자료를 축적하기 위한 측정기 설치가 농업용 저수지보다는 짧으며, 설치 대상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수로부의 품질관리는 전무한 실정으로 저수지와 수로부의 수위자료의 품질관리는 시설별의 역할, 관개급수 방식 및 양상도 다르며, 저수지에 비하여 수로부의 수위자료는 단위별 면적, 급수 방식에 따라 급변하는 성격을 지니므로, 저수지의 품질관리의 방식 또한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저수지 수위자료의 품질관리 방식과 다른 수로부만의 품질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로부 수위자료의 품질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저수지로부터 시작되는 수로부는 농업용수 공급량을 산정할 수 있는 직접적인 인자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로부 수위자료의 이상치 제거 및 보정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Hampel 필터기법과 N차 중앙 필터기법을 활용하여 그 필터 적용 방법에 따른 품질 관리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농업용수 사용량 등의 정확한 산정이 가능하며, 공급체계 개편 등 농업용수절감에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통계적 기법을 활용한 저수지 수위자료 실시간 품질관리 기법 연구

        주동혁 ( Donghyuk Joo ),김경환 ( Kyunghwan Kim ),최규훈 ( Gyuhoon Choi ),유승환 ( Seung-hwan Yoo ),최은혁 ( Eunhyuk Choi ),강문성 ( Munsung Kang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저수지의 수위는 강우, 증발산, 용수공급 등에 의해 항상 변화하고 있으며, 재난예방 등 유지관리를 위하여 이를 적절히 관리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유효저수량 10만㎥ 이상의 저수지 1,700여개소에 10분 단위 자동수위계측을 실시하여 수위자료를 다량으로 축적 및 보정관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수위자료의 이상치 검출 및 관리시스템 자료와의 비교검증, 보간을 활용한 최적화 값 도출·적용하기까지의 일련의 단계는 실시간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기존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과거자료의 보정 및 관리에는 탁월하였으나, 시계열거동 특성을 보이는 수위자료에서는 정확도의 상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다양한 원인의 이상치를 하나의 이상치로 묶어 자동분류 되는 경우에는 통계적인 모호성이 커져서 오분류의 가능성도 존재하게 된다. 기존의 일괄적으로 보정하는 품질관리 절차를 실시간 데이터 처리 적용 시에는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보정방법 중에서 Hampel Filter를 적용하여 보정방법의 간소화 및 정확도를 상향시키고, 실시간 자동점검기준의 범위를 축소한 ‘국지적 최적화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품질관리 기법을 고도화 방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통계적 분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이상치 원인 분류 및 품질등급 부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