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4기 토함분지

        최성자,홍덕균,최위찬,김명진,이석규,Choi Sung-Ja,Hong Dukgeun,Chwae Ueechan,Kim Myungjin,Lee Seog-kyu,Murray Andrew S.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 자원환경지질 Vol.37 No.5

        A steadily consolidated conglomerate formation (CCF) is developed thickly around Tabjeong-ri and Janghang-ri to the east of Tohamsan, Gyeongju City. The CCF has been regarded to a basal conglomerate, Cheonbug Conglomerate, of the Yonil Group by Tateiwa (1924). Son et al. (2000) correlated the CCF to the Songjeon Formation, which occupies the southwestern block of Tertiary Waup Basin. However, the Songjeon Formation stratigraphically does not face to the extension of the CCF. 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ata on the reddish brown to bluish gray psammitic layers, which are intercalated in the CCF, yielded to 85∼92 ka. Therefore, the age of CCF constrains to the last interglacial stage (MIS 5c-5e) rather than the Early Miocene Cheonbug Conglomerate. The Late Pleistocene Tohamsan Formation (TF) is newly named to the CCF and is subdivided to megabreccias and boulders. A rectangular basin, in which the TF is accumulated, is bounded by Oedong and Yonil faults (segments of Yonil Tectonic Line) and is given a name of Toham Basin. Neotectonically, Pliocene EW-transpression gave an effect of the top-up-to-the-west reverse faulting and the accompanied normal fault movement during the last interglacial age (ca. 100 ka). The basin is graben type, in which basin fills are composed of collapsed colluvial deposits, TF. 활성단층 연구가 시작된 이래로 제4기 퇴적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단구 지형에 퇴적된 미고결 퇴적물에 대하여 많은 자료가 축척되어 있으나, 지금까지 고결된 제4기 지층에 대한 자료는 보고 된 바 없다. 토함산 동쪽의 탐정리와 장항리에는 단단하게 고화되어 있는 역층이 두껍게 발달하고 있다. 이 층을 조양도폭(Tateiwa, 1924)에서는 연일층군의 기저역암인 천북역암으로 보았으며, 손문 등(2000)는 제3기 퇴적분지인 와읍분지 남서부 지괴를 구성하고 있는 송전층에 대비한 바 있으나, 이 퇴적층의 분포를 추적하여 보면 제4기의 미고결 역질층과 정면으로 대치되고 있다. 이 역질층에 협재되어 있는 적갈색 내지 청회색의 사질층에 대한 OSL 연대 측정결과 85∼92ka의 연대가 산출되었으므로 신제3기 전기 마이오세의 천북역암이 아닌 제4기 최후기 간빙기(MIS 5c∼5e)로 확인되었다. 이 역질층을 토함산층으로 명명하였으며 거각력질 층준과 역질 층준으로 분류된다. 이 층은 연일구조선의 분절단층인 외동단층과 연일단층에 의하여 규제되는 북북동방향의 장방형 퇴적분지 내에서 발달하고 있으며, 이 분지를 토함분지라 정하였다. 플라이오세부터 가해진 동서압축력에 의한 서향 역단층 운동은 최후기 간빙기 동안인 약 10만 년 전 까지 계속되었으며, 서향압축에 수반된 정단층이 동쪽으로 일어나 붕적층이 퇴적되어 토함분지가 형성되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A Case Study of Geometrical Fracture Model for Groundwater Well Placement, Eastern Munsan, Gyeonggido, Korea

        Sung-Ja Choi(최성자),Ueechan Chwae(최위찬),Se-Kon Kim(김세건),Jun-Beom Park(박준범),Kisung Sung(성기성),Ikwhan Sun(성익환)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 자원환경지질 Vol.39 No.2

        본 연구는 단열지질조사를 통한 대상지역의 지하수 단열 모델을 규명하여 지하수를 개발한 사례이다. 경기도 문산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업시설물에서는 시설물 유지에 필요한 용수 수급용 지하수개발이 요구되었다. 지하수 개발 대상지역은 0.15 Km2 면적으로 제한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지하 매설물, 건물 등의 시설물을 피하여 선정, 개발해야 되는 매우 어려운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지하수 개발 대상지역은 지하 매설물이 설치되어 있어 지구물리탐사가 불가한 곳으로 지질조사에만 의존하여 지하수개발을 수행하였다. 편마암의 엽리와 암상조사로 엽리 궤적도를 작성하여 조사대상지역에 발달하고 있는 남북방향 습곡축의 향사형 습곡이 인지되었다. 동서방향의 지질단면 분석에서는 아이스크림 스푼 모양의 F2 향사형 중첩습곡이 해석된다. 광역조사에서 인지된 N20oE, N30oW, NS 주향의 단층연장 상에 위치하는 평평한 조사대상지역에 수반성 인장단열들의 존재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우수향 운동감각을 갖고 있는 N20oE 단층은 F2 향사형 습곡에 발달하고 있는 두 조의 요곡성 공액형인 P-전단단층으로 해석된다. NE 주향 지질단면상에서, N20oE 단층과 엽리 간의 교각으로 약 100 m 심도에서 지하수저장이 가능한 삼각 프리즘형태의 공간형성이 가능함을 알수 있어, 중첩습곡의 서쪽 날개 쪽이 지하수개발 가능지역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N40oE 단층도 지하수공급원이 될 수 있다. 단열지질조사와 단면해석을 기초로 하여 N20oE와 N40oE 단층을 따라서 지하수 개발가능 위치를 선정하였으며, N20oE 단층선 상에 위치한 한 지점을 선정한 결과 이곳에서 145 ton/day의 지하수를 개발하였다. 결론적으로 개발에 성공한 지하수는 중첩습곡에 수반된 요곡단층과 엽리 교차로 형성된 지하수 저장고의 불투수 공간으로부터 공급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This study is the case of groundwater development based on the geometrical fracture model of target area established only through geological fracture mapping technique. A fracture mapping of 9 km2, eastern Munsan,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geological and hydrological factors for new water well placement in the Gyeonggi gneiss complex. Geophysical exploration was not applicable because of small restricted area and dense underground utilities at the site. Form line mapping on the basis of foliation orientation and rock type revealed a synform of NS fold axis bearing to the south. An EW geological cross-section passed through the site area shows a F2 synform as a double-wall ice cream spoon shape. Three regional faults of N20oE, N30oW and NS have been dragged into the site to help understand extensional fault paths. The N20oE fault with dextral sense is geometrically interpreted as a western fault of two flexural conjugate type-P shear faults in the F2 synformal fold. The NE cross-section reveals that a possible groundwater belt in the western limb of superposed fold area is formed as a trigonal prism within 100 m depth of the intersectional space between the N20oE fault plane the weakly sheared plane of transposed foliation. Another possible fault for water resource strikes N40oE. Recommended sites for new water well placement are along the N20oE and N40oE faults. As a result of fracture mapping, 145ton/day of water can be produced at one well along the N20oE fault line. Exploration of groundwater in the area is succeeded only using with geological fracture mapping and interpretation of geological cross-section, without any geophysical survey. Intersection of fault generated with the F2 synformal fold and foliation supply space of groundwater reservoir.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경기육괴 북동부 고성-간성 지역 선캠브리아 암석의 CHIME 연대와 그 지체구조적 의의

        조등룡(Deung-Lyong Cho),Kazuhiro Suzuki,최위찬(Ueechan Chwae),Mamoru Adachi 한국암석학회 2007 암석학회지 Vol.16 No.1

        경기육괴 북동부 고성-간성 지역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 암석의 CHIME 연대를 측정하였다. 정편마암류의 모나자이트 및 저어콘은 1672±69Ma 내지 1414±36Ma이고, 준편마암류의 모나자이트는 1703±70Ma 내지 1395±97Ma로서 약 1.7-1.4 Ga 사이의 화성활동과 수반한 변성작용을 나타낸다. 이를 전 지구적인 지체구조운동에 대비하변 경기육괴에서 광범위하게 보고되는 1.9-1.8 Ga의 열적사건은 콜롬비아 초대륙의 형성과 관련된 조산운동으로, 이 연구의 1.7-1.4 Ga 심성암의 관입과 변성작용은 콜롬비아 초대륙 형성 후의 대륙연변부의 성장과 관련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주로 연대측정 자료에 의존한 것으로서 추후 자세한 암석학 및 지화학적 연구를 통한 검정이 필요하다. CHIME (chemical Th-U-total Pb isochron) geochronology were made for Precambrian rocks from Goseong-Ganseong area, northeastern part of the Gyeonggi massif. Zircon and/or monazite grains from orthogneisses give 1672 ± 69 to 1414 ± 36 Ma ages, and monazite grains from paragneisses yield similar ages ranging from 1703 ± 70 to 1395 ± 97 Ma suggesting that 1.7-1.4 Ga igneous intrusions and coeval metamorphisms were occurred over the area. Together with reported prevailing 1.9-1.8 Ga igneous activities and regional metamorphism from the Gyeonggi massif, our age data from Goseong-Ganseong area would be potentially correlated with long-lived (1.8-1.3 Ga) global tectonothermal events in marginal outgrowth of supercontinent Columbia which was finally assembled by collisional orogenies at -1.8 Ga. Petrological and geochmical studies, however, should be followed to confirm this tectonic interpretation.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태백산분지 내 새로운 행매층 분포 확인

        송윤구(Yungoo Song),박채원(Chaewon Park),김남수(Namsoo Kim),최성자(Sung-Ja Choi),최위찬(Ueechan Chwae)권상훈(Sanghoon Kwon),장이랑(Yirang Ja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1 자원환경지질 Vol.54 No.3

        행매층은 정선석회암과 회동리층 사이에 위치하며 회동리층의 존재 및 지질시대를 결정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층이다. 행매층의 분포조사를 통해 정선 및 옥계 일원에서 쇄설성 탄산염암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암석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쇄설성 탄산염암의 암상 특성은 함돌로마이트역-미사질 백운암, 혹은 입자암(Dolomite-pebble bearing fine sand-sized dolostone, or grainstone)으로 정의할 수 있다. 광물조성 및 미세구조적 특징으로는 단결정 돌로마이트와 Mg-펜자이트의 존재, 그리고 입자 사이를 충진하는 교질물질로 나타나는 방해석의 생성이다. 이 같은 특성은 정선군 미탄면 행매동 일원의 전형적인 행매층의 특성과 일치하고 있어, 정선과 옥계 일원의 쇄설성 탄산염암이 행매층임을 지시한다. 본 연구결과는 태백산분지내에서 행매층은 독립 암층서단위일 뿐만 아니라 평안누층군 홍점층 직하부의 조선누층군인 정선석회암과 석병산석회암 상부에 분포하고 있음을 제시해 준다. Pebble-bearing clastic carbonate rock which has been found in and around the Jeongseon and Okgye through the field survey was studied in petr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We define the clastic carbonate rocks as Dolomite-pebble bearing fine sandsized dolostone, or grainstone ,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existence of dolomite single grains and Mg-phengite, and by the subsequent formation of secondary calcite cements. These attributes correspond well with those of the typical Haengmae Formation from Haengmae-dong, Mitan-myeon, Jeongseon-gun, thus the carbonate rocks in the Jeongseon and Okgye areas must belong to the Haengmae Formation.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Haengmae Formation is an independent unit among the Paleozoic lithostratigraphic units in Taebaek basin and lies in the upper part of Jeongseon and Sukbyungsan Formations under the Hongjeom Formation of Pyeongan Supergroup.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