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효울금 분말 첨가가 매작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최수남 ( Soo Nam Choi ),최은희 ( Eun Hee Choi ),유승석 ( Seung Seok Yoo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황국균으로 발효한 울금 분말을 유지를 이용한 식품인 매작과의 제조에 적용하여 매작과의 저장성과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발효울금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10.26 %, 조지방 5.64 % 탄수화물 61.16 %, 조단백 12.83 %, 조회분 10.11 %, curcumin 7.06 ㎎ %으로 조회분과 curcumin함량이 울금 분말(Choi SN 2012)에 비해 증가하였고 항산화 활성도 울금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튀긴 매작과와 반죽의 pH는 발효 울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증가하여 산성도가 약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명도와 황색도는 발효 울금 첨가량이 증가 할수 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9 % 첨가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경도와 파쇄성은 발효 울금 첨가량이 증가할 수 록 증가하여 조직감에 영향을 주었으며, 매작과의 산가는 발효 울금 분말을 3~6 % 첨가했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되었으며, 과산화 물가는 6 %첨가시 저장 초기부터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났고, TBA값은 6 % 첨가시 울금 0~3 % 첨가구에 비하여 낮은 증가폭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보여 주었으나 9 % 이상 첨가시 대조구인 일반매작과보다 높은 TBA값을 나타내어 오히려 항산화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효 울금 매작과의 쓴맛, 표면색, 울금향, 단단함, 바삭한 정도는 발효 울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9 % 첨가구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발효 울금 분말 6~9 %를 첨가하는 것이 발효 울금의 이취와 쓴맛을 최소화하여 가장 좋은 기호도와 효과적인 항산화력을 나타며 저장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되며 울금 매작과의 가장 적합한 배합비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quiring into the effects on shelf-lif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jakgwa. This study also regards to the use fermented turmeric powder at varying concentrations in the recipe.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fermented turmeric powder, crude fat,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ash was decreased. Viewed division compared to the freeze-dried turmeric curcumin content wa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due to the increase of mineral content. With an increased of the amount of fermented turmeric powder used in Majakgwa recipes, the pH of the doug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led group. The acid value of Maejakgwa was lowered down, and most effectively controled when adding Turmeric power by 3~6%, and the peroxide value shows high antioxidant ability from the initial storagr period when adding 6%. TBA value appears to have the highest antioxidant ability, when adding 6%, showing lower increasing rate than that of sample group added 0~3% Turmeric powder. When added 9% or more, however, it shows higher TBA value comparing with normal Maejakgwa, the reference group, which indicates on the contrary that the antioxidant ability is lowering. The bitter taste, exterior color, incense of Turmeric, solidity, and crispy level of Maejakgwa with fermented Turmeric powder have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as per increase of fermented Turmeric powder, and the sample group added with 9% have shown the best result in the overall taste level. It is anticipated that adding 6~9% of fermented Turmeric powder can increase the storage capability to give the best taste level and effective antioxidant ability by minimizing the off-flavor and bitter taste, through the research as above, which would be the most appropriate blending ratio of Turmeric powder for producing Maejakgwa.

      • KCI등재

        보행동작 시 가방 끈 길이 변화에 따른 운동학적 분석

        최수남(Su Nam Choi),오정환(Cheong Hwan Oh) 한국사회체육학회 201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3

        When the bag string becomes longer, the stride becomes shorter to save walking energy because of the physical adjustment mechanism, and the upper body becomes slanted to the front. When the bag string becomes shorter, they tend to bend their heads to the front more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f such phenomena repeat for a long time every day, it will make bad influence on the postur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still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may induce pains in the back and the neck.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we need to educate them not to make their bag string too long or too short.

      • KCI등재

        기록 도전활동 참여 학생선수의 스타트 방법에 따른 100m 구간속도 비교연구

        최수남(Choi Su Nam)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스타팅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단거리 스타트 학습을 받고 있다. 이에 스 타팅 블록 사용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갖고 단거리 스타트 방법을 Bunch, Medium, Free Start로 구분하여 학생선 수들에게 100m 달리기시 가속질주(30m), 전력질주(50m), 라스트 스퍼트(70m), 피니시(100m) 구간에서 속도변화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단거리 스타트 기술개선에 있다. 세부적으로는 주3회 2주간 육상 단거리 스타팅블록 사용 및 학습과제를 수행하고 구간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학생선수 8명을 기록수준에 따라서 A, B그룹으로 구분하 였고, 연구결과는 두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번째는 30, 50, 70, 100m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 누적속 도를 분석하였고, 두번째는 100m 달리기를 출발후 0∼30m, 30∼50m, 50∼70m, 70∼100m의 소요된 평균속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초등학교 기록 도전활동 수업에서의 단거리 스타팅블록 사용에 대한 효과적인 지도방 법에 대한 개선과 육상 100m 달리기시 구간속도에 대한 정보제공에 있다. 연구결과 스타팅블록을 사용한 스타트 방 법 Bunch, Medium Start에서 스타팅블록을 사용하지 않은 Free Start유형보다는 100m 경기의 세부 구간에서 전 체적으로 구간속도가 빠르게 나타났고 그중에서 Bunch Start가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속도 감속율은 70m 이후 증가되었다. 기록단축을 위해서는 최고속도 발현지점과 유지구간을 향상시키고 스피드 지구력 강화훈련과 역학적인 스타팅블록 사용에 대한 수행과제 학습이 이루어진다면 기록단축이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compared the change of 100 m overall speed depending on the starting method of elementary school athlete students by each group, observed the starting area, accelerating run, spurt, fastest speed of each finish section, time to pass a section and speed decrease rate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tudents of A and B groups showed faster section speed in the order of Bunch, Medium and Free Start for section speed at 30, 50, 70 and 100 m. Second, the section speed of 100 m at Bunch, Medium and Free Start was faster in the order of following sections: 30∼50 m, 50∼70 m, 70∼100 m and 0∼30 m. Third, B group showed relatively bigger decrease speed rate at the finish section. The students showed faster section speed with starting block method of Bunch and Medium Start than the Free Start method that doesn’t use starting block at 100 m sections. Bunch Start showed relatively faster speed. The speed decrease rate increased after 70 m. It is believed that improving the fastest speed area and maintaining area, speed endurance strengthening training and dynamic starting block usage could shorten the record time.

      • KCI등재

        육상 400m 허들경기 구간속도 분석에 따른 기록단축에 관한연구

        최수남(Choi, Su-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에서는 400m 허들종목 학생선수의 허들기능 향상과 일반학생들의 허들수업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교수법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2020년에 개최된 제48회 KBS 전국육상대회 여고부 400m 허들, 제100회 전국체육대회 남고부 400m 허들 결승경기 상위권 학생들을 그룹별로 편성하여 허들간의 국면별 최고속도, 구간별 평균속도, 속도감속율, 구간별 보폭 및 발구름 위치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400m 허들 경주에서 이루어지는 운동학적 요인등을 제시하고 학생선수의 동기유발과 허들종목 기술향상에 목적을 두고 연구되었다.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국면별 최고속도에서 A그룹은 E4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평균 6.61m/s를 보였다. B그룹은 E5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평균 7.66m/s를 나타냈다. 둘째, 구간별 평균속도에서 A, B 그룹은 P2 구간에서 가장 빠른 평균속도를 P10 구간에서 가장 느린 평균속도를 나타냈다. 셋재, 구간별 평균보수에서는 A그룹은 제1허들까지는 25∼26보, 그 외에는 평균적으로 17∼19보를 나타냈다. B그룹은 제1허들까지는 22∼24보, 그 외에는 평균적으로 15∼16보를 나타냈다. 넷째, 허들 넘기전 구름발 위치에서는 A, B그룹은 평균적으로 오른발을 발구름하여 리드하여 허들을 넘는 동작을 수행하였다. 학생선수들의 속도감속율은 P11(허들10∼골인지점)에서 크게 나타났는데, 기록단축을 위해서는 국면별 최고속도의 향상과 더불어 최고속도 유지구간을 향상시키는 지구력 강화훈련과 더불어 허들간의 인터벌 달리기시 일정한 보폭과 발구름 위치에 대한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훈련을 통한 수평속도가 감소되지 않는 연습을 실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shorten the record by observing the middle speed per hurdle intervals, elapsed time by zone, and deceleration rate according to the level of record in order to compare changes of speed in 400m hurdle interval velocity. First, in the maximum speed of each section, group A was the fastest in E4, showing an average of 6.61 m/s. Group B was the fastest in E5 with the average speed of 7.66 m/s. Second, in the average speed of each section, groups A and B showed the fastest average speed in the P2 section and the slowest in the P10 section. Third, In the average steps in each section, group A showed 25 to 26 steps up to the first hurdle, and 17 to 19 steps on average for the others. Group B showed 22 to 24 steps up to the first hurdle, and 15 to 16 steps on average for others.Fourth, in the foot position before vaulting the hurdle, both groups (A and B) stepped over the huddle by stamping their right foot. The speed reduction rate of the student athletes was large in P11. In order to shorten the record, there should be improvement of maximum speed by section, endurance training to improve the maximum speed maintenance section, and exercise not to decrease horizontal speed through repeated training in a pattern for a certain stride length and foot stamping position when running between hurdles.

      • KCI등재

        육상 100m 허들경기 구간속도 분석에 따른 기록단축에 관한 고찰

        최수남(Choi, Su Nam)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전국육상대회 여고부 100m 허들경기를 기록수준에 따라 S, A 그룹별로 편성하여 허들간의 국면별 최고속도, 구간별 평균속도, 구간별 속도요인, 비행시간 및 보폭 등을 허들경기 속도 분석프램을 사용하여 100m 허들 경주에서 이루어지는 속도 요인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여고부 학생선수의 동기유발과 학교현장에서 허들종목을 지도하는데 있어 정보제공과 정확한 동작 향상에 목적을 두고 연구되었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국면별 최고속도에서 S그룹은 E9, E10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평균 6.78∼6.80m/s를 보였다. A그룹은 E9, E10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평균 6.59m/s를 나타냈다. 둘째, 구간별 평균속도에서 S, A 그룹 모두 P2 구간에서 가장 빠른 평균속도를 P10 구간에서 가장 느린 평균속도를 나타냈다. 셋째, 구간별 속도 요인에 대해서는 S, A 그룹 모두 가속구간에서 가장 빠르게 피니쉬 구간에서 가장 느린 속도를 보였다. 넷째, 전체허들을 넘는데 소요된 비행시간은 발구름발이 지지되고 허들을 넘고 양발이 지면에 지지되는 순간으로 S그룹은 6.79sec, A그룹은 7.09sec의 비행시간을 나타냈다. 다섯째, 보폭의 변화는 S그룹은 4.73m, A그룹은 4.69m의 보폭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허들 기술향상을 위한 운동학적 요인들을 제시하면 허들을 넘는데 소요되는 체공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자세와 최고속도 유지구간 향상을 위한 스피드 훈련, 허들을 넘는 과정에서 신체중심 수직이동의 최소화, 허들을 넘기 전·후의 보폭을 최대한 크게 하여 기록을 단축할 수 있는 역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와 반복적인 학습과정을 통해서 기술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organizes the results of the Women"s High School 100m Hurdle Games in the 2020 National Athletics Competition by Group S and Group A and quantitatively analyze speed factors including maximum speed by phase between hurdles, average speed by section and flight time and stride using the hurdle race speed analysis frame.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and improve accurate movements to motivate female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and teach hurdle games in the school fiel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aximum speed of each phase, S group was the fastest in E9 and E10 at the average of 6.78&6.80 m/s. Group A was the fastest in E9 and E10 at the average of 6.59 m/s. Second, in the average speed of each section, both groups S and A showed the fastest average speed in the P2 section and the slowest in the P10 section. Third, as for the speed factor per section, both S and A groups showed the fastest speed in the acceleration section and the slowest speed in the finish section. Fourth, the flight time required to cross the entire hurdle was the moment when the rolling feet were supported, crossed the hurdles, and both feet were supported on the ground. The flight time of group S was 6.79 m/s and group A was 7.09 m/s. Fifth, the change in stride length was 4.73 m in S group and 4.69 m in A group. Conclusion: To suggest kinematic factors for improving hurdle skill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kills can be improved through repetitive learning processes and understanding of the mechanical principles to shorten the record such as posture to reduce the flight time required to cross the hurdle and speed training to improve the maximum speed maintenance section, minimiz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enter of the body in the process of crossing the hurdles, and increasing the stride length before and after crossing the hurdles as much as possible.

      • KCI등재

        연구논문 : 울금 분말 첨가가 매작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최수남 ( Soo Nam Choi ),윤수봉 ( Soo Bong Youn ),유승석 ( Seung Seok Yoo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한국조리과학회) 2012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8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quiring into the effects on shelf-lif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ajakgwa with regard to the use turmeric powder at varying concentrations in the recipe.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crude fat, crude protein and carbohydrates are high in turmeric powder. With an increase of the amount of turmeric powder used in Majakgwa recipes, dough p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the highest in the groups with 3% and 9% turmeric powder content, and the value increased largely after 12 days of storage. Excellent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observed in the 6% turmeric content group. For recipes with turmeric contents of more than 15%, oxidation was accelerated from early on in storage. The hardness, brittleness and bitternes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of the turmeric content. The intensity, chromaticity, crunch and intensity of the surface colors, all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of turmeric content . The general preference ratings for Majakgwa with added turmeric was highest for the 9% content recipe. Over all Majakgwa recipes with 6~9% turmeric powder content were found to ideal.

      • KCI등재

        초등학교 높이뛰기 선수의 도움닫기 유형에 따른 수직속도 향상에 관한 연구

        최수남(Choi, Su-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In this study,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igh jump competitio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pproach type and the kinematic factor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in the analysis. Type A students used less time in the approach than type B students. The time spent for the last step was the shortest. In the position of body center, the vertical movement from H2 to H3 was relatively bigger in Type B. The stride length was relatively small in Type B. The variance of main body angle at the time of stamping is the factor that brings about improvement of approach speed and vertical velocity at the moment of the stamping. Type B students showed more efficient body angle than type A students at maximum knee angle, internal angle at the approach, and real angle at the stamping.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high jump, the center of the body should be raised vertically after the stamping, and the vertical reaction speed should be improved greatly in response to the floor reaction force. It is required to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for record enhancement and technology using video Technology improvement utilizing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high jump records and technology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is study on challenging activities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5, 6학년의 도전활동 영역으로 높이뛰기 종목의 기능향상에 목적을 두고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서 전국 초등학생 높이뛰기 대회에서 참여한 학생들의 도움닫기를 A유형(스피드 싱글 플롭), B유형(파워 더블 플롭) 스타일로 분류하여 높이뛰기 경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소요시간, 신체중심위치, 보폭, 신체각도를 분석하였다. A유형이 B유형보다 도움닫기에 소요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고, 발구름 마지막 1보전에 소요된 시간이 가장 빠른 구간을 나타냈다. 신체 중심 위치에서는 B유형에서 H2, H3에서 수직으로 이동된 신체중심 위치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발구름시 보폭은 B유형에서 상대적 적게 나타났다. B유형은 최대무릎각, 도움닫기 내경각, 발구름시 후경각에서 높이뛰기 수직속도 기여를 위한 A유형 학생보다 효율적인 신체각을 보였다. 높이뛰기 경기력 증가를 위해서 발구름후 신체중심을 수직으로 상승시키고 발구름시 지면반력을 크게 하여 수직속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높이뛰기 기록향상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제공과 영상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학습과정을 통한 기술향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육상 높이뛰기 기술 향상을 위한 운동역학적 원리 고찰

        최수남(Choi, Su Nam)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2

        목적: 육상경기 높이뛰기 경기를 도움닫기, 발구름, 공중동작, 착지동작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동작에서 발현되는 역학적 원리를 고찰하여 교수·학습과정에서 신체의 움직임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높이뛰기 운동기술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도전활동 내 육상운동이 포함된 단원에서 제시된 움직임의 원리를 분석하기 위해 중학교 체육교과서, 육상경기 지도서, 운동역학 지도서, 초·중·고등학교 체육관련 교과서, 높이뛰기 관련 논문등 전공문헌 등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육상운동에 관여하는 핵심적인 역학적 원리들을 정리하였다. 정리된 자료를 본 연구자를 포함한 육상종목 지도경력 10년이상 D광역시 체육중·고등학교 육상부 지도자를 대상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높이뛰기 동작에 대한 학습내용과 움직임의 원리를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첫째, 도움닫기 국면에서는 이지높이가 증가되도록 한다. 곡선주로를 달릴 때는 곡선 경로를 따라 몸을 안쪽으로 기울이고 원심력을 줄여서 곡선주로를 효율적으로 달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발구름 국면에서는 신체를 안쪽으로 기울임(내경), 뒤쪽으로 기울임(후경)의 자세를 통해서 지면에 작용하는 시간을 증가시켜 수직속도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셋째, 공중동작 국면에서는 발구름시 강한 킥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얻고 수직상승으로 위치에너지의 변환을 통해서 체공높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넷째, 착지국면에서는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충격량을 감소시켜야 한다. 결론: 높이뛰기 동작에 대한 역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적용시켜 움직임의 효율적 운영을 통한 수업개선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향후 도전활동 수업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달리기, 도약, 투척, 장애물 경기에 대한 역학적 원리를 적용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한 정보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rough utilization of each step of high jump technics (e.g.,run-up, take-off, aerial movement, and landing kinematics) with an acknowledge of physical movement. Methods: With comprehending of principle movementof athletics in challenging activities, through analyzing textbook of physical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athletic guides, physics guides, and articles related to high jump, critical movement factors related to athletics are summarized. Additiona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from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ics’ leaders who have been coaching athletics more than 10 years in D metropolitancity and with this process, subdivided principle of high jump movement was stated in below. Results: First, in the run-up phase, the height of easy should be increased. In a curved line, jumper’s body should be tilt inward along the curved path and reduce centrifugal force to efficiently run the curved line. Second, in a take-off path, the vertical speed should be improved through increasing the acting time on the ground (learning the body inward and tiltingto the back). Third, in the aerial movement path, the kinetic energy should be increased through strong kicking while foot is rolling, and the height of the air is increased thorough the conversion of the position energy by vertical rise. Fourth, in the landing kinematics phase, to prevent injuries, jumpers should be reduced an landing impact.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lass through efficient operation of movement by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mechanical principles of high jump movemen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through various studies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pplying the dynamic principles of running, leaping, throwing, and obstacle games included in the field of challenging activity classes.

      • KCI등재

        대학교 육상전공 학생들의 스타트 출발속도에 기여하는 운동역학적 비교분석

        최수남(Choi Su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대학부 단거리 100 m를 전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육상 단 거리 출발 시 스타팅 블록의 유형에 따라 지면반발력과 출발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 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실험과정(블록의 각도, 거리)을 통해 스타팅 블록에 대한 지면반력을 측정하였고, 자세변경에 따른 기록변화(반응시간, 5 m 구간속도)를 분석 하였다. 첫째, 스타팅 블록(좌측)에 대한 대상자의 평균반응시간은 전(0.22 s)에서 후 (0.18 s)로 0.04 s의 반응시간의 감속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스타팅 블록(우측)에 대 한 대상자의 평균 반응시간은 전(0.2 s)에서 후(0.15 s)로 0.05 s의 반응시간의 감속 변 화를 가져왔다, 셋째, 출발 후 5 m 까지 제3보 스텝이 이루어지는 거리까지의 출발구 간에 소요된 시간은 전(1.12 s)에서 후(1.09 s)로 0.03 s 감속 시간의 변화를 가져왔다. 엘리트 100 m 선수들에게 스타팅 블록에 대한 지면반력의 작용력의 크기와 전방추진 력의 결과를 인지시키고, 100 m 출발 시 스타팅 블록의 변화를 다양하게 하여 스타트 의 교정지도가 이루어진다면 기록단축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과 정량적인 정보제공과 더불어 개인적인 체격조건에 맞도록 블록의 거리와 각도를 달리하여 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기록단축을 위한 효과적인 지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easure the ground reaction forces and starting speed and to analyze the record change effect resultign from five different starting block types when 100 m short distance male elite runners start to run. First, the average response time for the starting block (left side) has changed from 0.22 s to 0.18 s with the gap of 0.04 s. Second, the average response time for the starting block (right side) has changed from 0.2 s to 0.15 s with the gap of 0.05 s. Third, the time to go 5 m from the start that is three steps of a runner has changed from 1.12 s to 1.09 s with the gap of 0.03 s. If the elite runners recognize the power of the ground raction forces of starting blocks and the result of the forwarding driving force and if they change their starting postures with different starting blocks together with providing quantitative information and changing the distance and angle of the blocks to meet the physical conditions of each runner, it could result in shortening the running time effectively.

      • KCI등재

        고등학교 학생선수 100m 달리기 구간속도 분석을 통한 수평속도 향상에 관한연구

        최수남(Choi, Su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육상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100 m 달리기 동작의 출발(30m), 전력(50m), 가속(70m), 감속(100m) 구간에 대한 속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기록수준에 따라서 우수(S), 비우수(A) 그룹으로 나누어서 육상 100 m 경주에서 소요되는 소요시간, 국면별 최고속도, 구간별 평균속도 등을 분석하였다.방법 실험은 무선구간 속도기를 사용하여 100 m를 4개의 국면과 구간으로 설정하였다. 스타팅 블록의 조건(각도, 거리)은 출발선과 앞발의 거리(50~60 cm), 앞발과 뒤발의 거리(30~40 cm)로 실시하였고, 앞 블록의 각도를 이동하지 않음(55°), 뒤 블록의 각도를 1칸 위로 이동(65°)로 실험설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결과 S그룹은 100 m 국면에서 최고속도는 대상자 평균은 8.70 m/s를 보였고, A그룹은 7.34 m/s를 나타냈다. S그룹은 50~70 m 구간에서 10.05 m/s의 가장 빠른 평균속도를 보였다. A그룹은 30~50 m 구간에서 8.29 m/s로 가장 빠른 평균속도를 보였다. 최고속도 도달구간은 두 그룹에서 상대적으로 차이가 보였다. 세계최고수준의 선수들이 보여준 55~60 m 지점에서의 최고속도가 도달이 될 수 있는 질주능력의 향상된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결론 본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의 속도 감속율은 중반이후에 크게 나타났으며, 기록단축을 위해서는 최고속도의 향상과 더불어 최고속도 도달구간을 후반부로 향상시켜 감속율을 줄이고, 스피드 지구력 강화훈련을 진행시켜 나가는 것이 기술적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study analyzed the time required for 100 m race, the maximum speed by phase, and the average speed by section by dividing it into excellent (S) and non-excellent (A) groups according to the record level to compare the change of speed for the 100 m running motion of high school athletes. Methods The experiment was set to four phases and sections using a wireless interval speeder., The starting block condition (angle, distance) was carried out with the distance (50-60 cm) of the starting line and front foot, the distance (30-40 cm) of the front and rear foot, and the angle of the front block was not moved (55°), and the angle of the rear block was moved (65°) to one space. Results In the S group, the highest speed was 8.70 m/s in the 100 m phase, and 7.34 m/s in the A group., The S group showed the fastest average speed of 10.05 m/s in the 50-70 m section, and the A group showed the fastest average speed of 8.29 m/s in the 30-50 m section., The peak velocity reach interval was relatively different in the two groups., There should be an improved change in speed, which can reach the highest speed at 55 to 60 m points shown by the world s best players. Conclusions The speed reduction rate of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large after the middle, and it is a technical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maximum speed and improve the maximum speed reach section in the second half to reduce the speed reduction rate and to carry out speed endurance strengthening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