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분석 학습자료 제공을 통한 체조 무릎 펴앞구르기 동작 기능향상에 관한 연구

        최수남(Choi, Su-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도전활동 영역인 체조종목의 기능향상에 목적을 두고 연구되었다. 이를 위해서 체조 마루운동인 무릎 펴 앞구르기 영상분석을 통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의 효과와 정량적인 정보제공에 따른 체조 기술개선에 있다. 구체적인 수업전개는 초등학교 체조 스포츠클럽 학생들에게 영상분석 학습 자료를 제공하여 수업전개를 4주간 주2회, 영상녹화에 대한 무릎 펴 앞구르기 동작 분석 30분, 기능개선을 위한 과제제시 및 문제해결학습 30분간 수업을 실천하였다. 무릎 펴 앞구르기 동작의 수행력 향상을 위해서 개선된 운동학적 요인(시간, 거리, 각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빠른 회전에 의한 무릎 펴 앞구르기 동작의 변화로 인하여 소요시간이 단축 되었다. 둘째, 신체중심의 수직위치가 소폭의 상승된 변화를 보였다. 셋째, 무릎 펴앞구르기 진행방향으로 이동된 보폭은 소폭의 증가된 이동거리를 보였다. 넷째, 앞구르기 진행후 신전된 무릎 각도, 굴곡된 신체 각도, 고관절 각도의 변화로 인하여 빠른 회전에 의한 무릎 펴 앞구르기 동작의 기능이 개선된 변화를 보였다. 다섯째, 준비자세에서 양손이 매트에 지지된 후 앞구르기 동작이 시작될 때, 팔꿈치 관절각, 머리각의 변화로 인한 앞구르기 동작 기능이 개선된 변화를 보였다. 이는 영상분석 학습자료 제공을 통한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무릎 펴 앞구르기 동작을 정확하게 실시하여 기술개선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준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gymnastics exercise class by applying motion analysis program, to provide visual materials including videos to elementary school athletes so that they can enhance the spirit of challenge and get feedback from video, to improve learning effects and to cultivate motivation for gymnastics. The students who were registered in the Korean Gymnastics Federation had the classes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The classes were composed of 30 minutes of video analysis regarding the forward roll with knees straight and 60 minutes of task presentation and problem solving session to improve functionality. The results of the improved kinematic factors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forward roll with knees straight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forward roll movement was changed to make quicker rolling, the time required was shortened. Seco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body center was slightly moved upward. Third, the stride moved to the heading direction showed a slightly increased distance. Fourth, there was an improvement in the movement of forward roll due to the rapid roll in the change of the knee Gymnastics, the bent body angle, and the angle of the hip joint after the forward roll.. when both hands were supported on the mat at the starting position and the rolling movement started the change in the elbow joint angle and the head angle resulted in an improved movement of the forward roll function. It means that the class applying motion analysis using video material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motion by mak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cisely perform the movement.

      • KCI등재

        육상 단거리 100m 수평속도 요인에 기여하는 지면반력분석

        최수남(Choi, Su-N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4

        본 연구는 육상 100m 수평속도 요인에 기여하는 지면반력분석을 하기 위하여 여자 단거리 선수 8명을 대상으로 스타트 블록간의 거리를 세 가지(BunchStart,Medium Start,ElongatedStart)유형으로 8주간 출발에 관여하는 운동역학적 요인을 분석하였다.최대 수평 지면반력은 단거리 경기 진행방향에 대한 추진력으로 전이되는 요인으로서 기록단축에 중요 한 수치라고 볼 수 있다.분석 결과는 앞쪽에 위치한 왼발에서는 우수그룹은 BS,비우수그룹은 MS가 지면반발력 힘값이 가장 크게,뒤쪽에 위치한 오른발에서는 우수,비우수그룹 모두 MS에서 지면반발력 힘값이 가장 큰 결과를 보였다.뒷발에 위치한 오른발은 우수그룹의 MS(0.83BW)에서는 BS에서 추진력으로 전이될 때,가장 유리한 출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최대 수직 지면반력의 분석 결과는 앞쪽에 위치한 왼발에서는 우수그룹은 ES,비우수그룹은 BS가 지면반발력 힘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뒷쪽에 위치한 오른발에서는 우수그룹은 BS,비우수그룹은 MS에서 반발력 힘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지면 반발력이 크게 되면 초기 수평속도를 빠르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결국에는 전방 추진력을 크게 하는 자세나 방법 을 찾게 되면 초기 기록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어 기록단축을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ground reaction force according to Crouching Start type at the starting point of 100M ra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 women sprinters and we analyzed their ground reaction force by classifying the distance between start blocks as three type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According to maximum horizontal ground reaction force analysis result, in the left foot placed in front, BS among excellent group and MS in non-excellent group showed the biggest reaction force value. In the right foot placed at the back, MS in both groups showed the biggest reaction force value. MS in the right foot of the excellent group was the biggest (0.83 BW). According to maximum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analysis result, in the left foot placed in front, ES among excellent group and BS in non-excellent group showed the biggest reaction force value. In the right foot placed at the back, BS among excellent group and MS in non-excellent group showed the biggest reaction force value.

      • KCI등재

        대학 육상선수의 100m Medium Start 출발 구간에 대한 운동학적 비교 분석

        최수남(Choi, Su-Nam),오정환(Oh, Cheong-Hwa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5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대학부 여자선수 10명을 기준으로 지도방법에 대한 수준별 지도를 위해서 100m 기록을 12.5 s이하인 학생들을 A그룹으로 12.5∼13 s 이하의 학생을 B그룹으로 선정하여 고속카메라를 통해서 출발후 제3보까지 미디엄 스타트 동작의 3차원 영상분석 방법을 통하여 그에 따른 운동학적 요인을 규명하여 기록단축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단거리 경주의 기록은 보수와 보폭에 의해서 결정이 이루어진다. 출발에서 3보 스텝까지의 소요된 시간은 A그룹에서 소요된 시간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이동거리의 변화에서는 출발에서 3보 스텝까지의 보폭은 A그룹에서 3보 스텝의 보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중심의 수평속도의 변화는 전 스텝에서 A그룹에서 수평속도의 증가율이 크게 나타났다. 신체 중심의 수직속도의 상하의 변화는 B그룹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단거리 스타트 동작의 기록 단축을 위해서는 구간별 수평속도와 거리를 증가시켜야 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블록 반응시간, 지면 접촉시간을 단축시키고, 착지시 족관절각, 슬관절각, 고관절각의 변화를 효율적으로 하여 각 관절의 각속도를 증가시키는 이상적인 스타트가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is perform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shorten the record by understanding the physical factor of the bunch start through three dimensional image analysis with excellent group Methods: (A) that is composed of female university players who have won first prizes in national contests and non-excellent group (B) of female university players. There were 8 female university players. Results: The record of short distance contest is determined by the piech and stride. The time from the start to three steps was 0.86 sec for the group A and 0.89 sec for the group B. It showed that group A was faster at the first three steps. The stride from the start to three steps was 3.14 m for the group A and 2.69m sec for the group B. It showed that group A had bigger stride. When we measured the change of horizontal velocity of physical center, the group A showed high increase of horizontal velocity in the all steps. When we measured the change of vertical velocity of physical center, the group Bshowed big change. Conclusion: For the angle of the coxa, the superior group had larger flection than the inferior, when the foot contacted on the ground for the first steps. In a conclusion, the horizontal speed and the stride per block should be increased for theshorter sprint start motion. For this, shortening the reaction time and the ground-contact time per block is prerequisite. The ideal start is therefore that the angles of the ankle, the knee joint and the coxa at landing should be so small as to accelerate the angle speed of each joint.

      • KCI등재

        기록 도전활동 참여 학생선수의 스타트 방법에 따른 100m 구간속도 비교연구

        최수남(Choi Su Nam)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스타팅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단거리 스타트 학습을 받고 있다. 이에 스 타팅 블록 사용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갖고 단거리 스타트 방법을 Bunch, Medium, Free Start로 구분하여 학생선 수들에게 100m 달리기시 가속질주(30m), 전력질주(50m), 라스트 스퍼트(70m), 피니시(100m) 구간에서 속도변화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단거리 스타트 기술개선에 있다. 세부적으로는 주3회 2주간 육상 단거리 스타팅블록 사용 및 학습과제를 수행하고 구간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학생선수 8명을 기록수준에 따라서 A, B그룹으로 구분하 였고, 연구결과는 두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번째는 30, 50, 70, 100m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 누적속 도를 분석하였고, 두번째는 100m 달리기를 출발후 0∼30m, 30∼50m, 50∼70m, 70∼100m의 소요된 평균속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초등학교 기록 도전활동 수업에서의 단거리 스타팅블록 사용에 대한 효과적인 지도방 법에 대한 개선과 육상 100m 달리기시 구간속도에 대한 정보제공에 있다. 연구결과 스타팅블록을 사용한 스타트 방 법 Bunch, Medium Start에서 스타팅블록을 사용하지 않은 Free Start유형보다는 100m 경기의 세부 구간에서 전 체적으로 구간속도가 빠르게 나타났고 그중에서 Bunch Start가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속도 감속율은 70m 이후 증가되었다. 기록단축을 위해서는 최고속도 발현지점과 유지구간을 향상시키고 스피드 지구력 강화훈련과 역학적인 스타팅블록 사용에 대한 수행과제 학습이 이루어진다면 기록단축이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compared the change of 100 m overall speed depending on the starting method of elementary school athlete students by each group, observed the starting area, accelerating run, spurt, fastest speed of each finish section, time to pass a section and speed decrease rate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tudents of A and B groups showed faster section speed in the order of Bunch, Medium and Free Start for section speed at 30, 50, 70 and 100 m. Second, the section speed of 100 m at Bunch, Medium and Free Start was faster in the order of following sections: 30∼50 m, 50∼70 m, 70∼100 m and 0∼30 m. Third, B group showed relatively bigger decrease speed rate at the finish section. The students showed faster section speed with starting block method of Bunch and Medium Start than the Free Start method that doesn’t use starting block at 100 m sections. Bunch Start showed relatively faster speed. The speed decrease rate increased after 70 m. It is believed that improving the fastest speed area and maintaining area, speed endurance strengthening training and dynamic starting block usage could shorten the record time.

      • KCI등재

        단계별 교정 프로그램을 통한 체조 물구나무서서 앞구르기 동작 기능향상에 관한 연

        최수남(Choi, Su-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조 학생선수의 마루운동의 효과적인 기술개선을 위해 단계별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체조지도방법에 대한 정보제공과 문제해결력을 함양시키 고자 연구되었다. 이를위해 대한체조연맹에 등록된 학생선수들에게 물구나무서서 앞구르기 교정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수업전개를 5주간 주2회, 단계별 교정프로그램 40분, 체조동작 수행 및 문제해결 20분간 수업을 실천하였다. 적용전․후의 시간, 각도, 위치등의 운동학적 변인은 효율적인 물구나무서서 앞구르기 동작을 실천할 수있도록 변화되었다. 첫째, 신체가 수직축과 일직선이 되는 순간부터 머리가 매트에 지지되는 순간까지의 4구간에서 소요시간이 증가되었다. 둘째, 출발자세에서 하지각 도가 신전된 자세로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셋째, 양발이 지면에서 이지되는 순간의 어깨각도는 신전된 변화가 이루어졌다. 넷째, 수직축과 일직선이 되는 순간에서 머리각도가 신전된 변화로 균형된 물구나무서기 동작을 수행하였다. 다섯째, 어깨각의 신전된 변화로 발이 지면에 닿을 때도 어깨의 위치가 진행방향 쪽으로 밀려 나가지 않도록 어깨 관절의 굴곡각을 최소화 하였다. 신체중심의 높이와 이동변위는 상승되 었고, 왼발과 오른발의 변위와 앞발과 양손의 변위가 적용후에 증가된 결과를 보였 다. 이는 단계별 교정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선수들에게 물구나무서서 앞구르기 기술개선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and to improve problem-solving capacities in gymnastics teaching through application of step-by-step program to improve effective techniques of floor exercise of elementary school gymnastic athletes. A step-by-step rolling forward on the head movement correc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it was administered to the student athletes registered in the Korea Gymnastics Federation.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twice in 5 weeks. The step-by-step correction program was given in 40 minutes and gymnastic movement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were performed in 20 minutes. The kinematical variables (time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angle and position) were changed so as to practice efficient motion of rolling forward on the head). First, due to the rapid change of the four sections from the moment the body is aligned with the vertical axis to the moment the head is supported on the mat, the time required for the motion increased. Second, in the starting position, the lower leg angle was changed to an extended posture. Third, the shoulder angle at the time of both feet leaving the ground was changed to an extended posture. Fourth, at the moment of being in line with the vertical axis, the athlete performed the balanced standing on the head motion with the extended posture. Fifth, due to the extended shoulder angle, he could minimize the flexion angel of the shoulder joints so that the position of shoulders could not be pushed to the direction of progress when the feet touched the surface. The body center height and displacement were increased, and the displacement of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t and the displacement of the forefoot and both hands were increase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It suggests that the step-by-step correction program has positively changed the elementary school athletes skills to perform the rolling forward on the head.

      • KCI등재

        육상 400m 허들경기 구간속도 분석에 따른 기록단축에 관한연구

        최수남(Choi, Su-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에서는 400m 허들종목 학생선수의 허들기능 향상과 일반학생들의 허들수업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교수법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2020년에 개최된 제48회 KBS 전국육상대회 여고부 400m 허들, 제100회 전국체육대회 남고부 400m 허들 결승경기 상위권 학생들을 그룹별로 편성하여 허들간의 국면별 최고속도, 구간별 평균속도, 속도감속율, 구간별 보폭 및 발구름 위치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400m 허들 경주에서 이루어지는 운동학적 요인등을 제시하고 학생선수의 동기유발과 허들종목 기술향상에 목적을 두고 연구되었다.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국면별 최고속도에서 A그룹은 E4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평균 6.61m/s를 보였다. B그룹은 E5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평균 7.66m/s를 나타냈다. 둘째, 구간별 평균속도에서 A, B 그룹은 P2 구간에서 가장 빠른 평균속도를 P10 구간에서 가장 느린 평균속도를 나타냈다. 셋재, 구간별 평균보수에서는 A그룹은 제1허들까지는 25∼26보, 그 외에는 평균적으로 17∼19보를 나타냈다. B그룹은 제1허들까지는 22∼24보, 그 외에는 평균적으로 15∼16보를 나타냈다. 넷째, 허들 넘기전 구름발 위치에서는 A, B그룹은 평균적으로 오른발을 발구름하여 리드하여 허들을 넘는 동작을 수행하였다. 학생선수들의 속도감속율은 P11(허들10∼골인지점)에서 크게 나타났는데, 기록단축을 위해서는 국면별 최고속도의 향상과 더불어 최고속도 유지구간을 향상시키는 지구력 강화훈련과 더불어 허들간의 인터벌 달리기시 일정한 보폭과 발구름 위치에 대한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훈련을 통한 수평속도가 감소되지 않는 연습을 실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shorten the record by observing the middle speed per hurdle intervals, elapsed time by zone, and deceleration rate according to the level of record in order to compare changes of speed in 400m hurdle interval velocity. First, in the maximum speed of each section, group A was the fastest in E4, showing an average of 6.61 m/s. Group B was the fastest in E5 with the average speed of 7.66 m/s. Second, in the average speed of each section, groups A and B showed the fastest average speed in the P2 section and the slowest in the P10 section. Third, In the average steps in each section, group A showed 25 to 26 steps up to the first hurdle, and 17 to 19 steps on average for the others. Group B showed 22 to 24 steps up to the first hurdle, and 15 to 16 steps on average for others.Fourth, in the foot position before vaulting the hurdle, both groups (A and B) stepped over the huddle by stamping their right foot. The speed reduction rate of the student athletes was large in P11. In order to shorten the record, there should be improvement of maximum speed by section, endurance training to improve the maximum speed maintenance section, and exercise not to decrease horizontal speed through repeated training in a pattern for a certain stride length and foot stamping position when running between hurdles.

      • KCI등재

        크라우칭 스타트 출발선과 Starting block 위치 변화에 따른 운동학적 분석

        최수남(Su Nam Choi),오정환(Jheong Hwan Oh) 한국사회체육학회 2007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0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nalyze different three types of starting position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starting line and block by means of three-dimensional images, with the subjects of sprinters who have ranked first in a national athletic meet or the equival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orchanges in the time required from first step to third step, Type B was the fastest; even for the total time required, Type B (1.4 sec) was the fastest. Thus, it is considered that for best record, it is required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starting position. 2. For the Y-axis (또는 Y-sided) displacements around the body in the starting section, Type A displayed the greatest change (3.31 m) even for Z-axis displacements, the same type did (20.64 cm).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increase the Y-axis displacement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keeping the displacement of the vertical axis appropriate. 3. For changes in generally moved strides, Type A (4.05 m) showed the widest stride, and the most efficient one for best record.

      • KCI등재

        초등학교 육상 학생선수 멀리뛰기 기록 향상에 관여하는 자세연구

        최수남(Choi, Su-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멀리뛰기 경기를 통해서 도움닫기 구간에 대한 보폭, 신체중심 높이, 소요시간의 변화, 발구름 순간의 신체각도의 멀리뛰기 비행거리 증가에 필요한 운동학적 정보와 육상지도시 효율적인 지도방법 개선에 있으며, 연구대 상은 육상 멀리뛰기 전국대회에 참여한 여초 학생선수들을 기록수준에 따라서 A(입상그룹), B(참가그룹)로 실제 전국대회 6회 실시중 기록이 가장 뛰어난 동작을 분석하였으며, 촬영속도는 120 frame/s로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멀리뛰기 도움닫기에 소요된 시간요인은 A그룹 선수들이 상대적으로 소요시간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나 도움닫기 수평속도와 멀리뛰기 기록은 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기에 A그룹 학생선수들이 유리한 결과를 보였으며, 가속도를 높여 발구름 3보전에 최고속도가 되도 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멀리뛰기 동작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신체각도는 신체 균형을 유지하고 비행거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A그룹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발구름후 공중동작, 착지동작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신체각도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멀리뛰기 동작에서 이루어지는 신체중심의 높이, 보폭, 위치요인에서도 A그룹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비행거리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치요인을 보여주고 있다. 멀리뛰기 종목에 기록향상을 위해서는 도움닫기 수평 스피드를 최대한 향상시키고, 이상적인 신체각도와, 보폭, 위치요인을 만들어준다면 비행거리를 향상시킬 수있는 기술적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우수한 학생들의 멀리뛰기 운영에 대한 정량적 인 정보와 비교하여 꾸준한 도전활동에 대한 문제해결 과정을 갖는다면 기록단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technical guidance for the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long jump athletes. The student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national competitions were divided into groups and the time required for long jump, main body angle at the stamping, stride length, body center and position factors were analyzed. In th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time factor for the long jump help stamping was relatively fast for Group A students. As the stamping horizontal speed and long jump record form static relationship, Group A students showed favorable result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cceleration and to achieve the maximum speed at three steps before the stamping. Second, the main body angle in long jump is the factor that maintains body balance and influences the flight distance. Group A students showed relatively favorable body angle in aerial motion after stamping and landing motion. Third, in the height of the center of gravity, stride, and position factors in the long jump motion, Group A students show good position factors that can affect flight distance. In order to improve long jump record, it is important to increase stamping horizontal speed as much as possible and to improve flight distance by creating ideal body angle, stride and position factors. It is possible to make the new record if we continue the challenges and have problem solving process through quantitative comparison with the information of students who have excellent long jump records.

      • KCI등재

        보행동작 시 가방 끈 길이 변화에 따른 운동학적 분석

        최수남(Su Nam Choi),오정환(Cheong Hwan Oh) 한국사회체육학회 201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3

        When the bag string becomes longer, the stride becomes shorter to save walking energy because of the physical adjustment mechanism, and the upper body becomes slanted to the front. When the bag string becomes shorter, they tend to bend their heads to the front more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f such phenomena repeat for a long time every day, it will make bad influence on the postur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still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may induce pains in the back and the neck.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we need to educate them not to make their bag string too long or too short.

      • KCI등재

        육상 100m 허들경기 구간속도 분석에 따른 기록단축에 관한 고찰

        최수남(Choi, Su Nam)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전국육상대회 여고부 100m 허들경기를 기록수준에 따라 S, A 그룹별로 편성하여 허들간의 국면별 최고속도, 구간별 평균속도, 구간별 속도요인, 비행시간 및 보폭 등을 허들경기 속도 분석프램을 사용하여 100m 허들 경주에서 이루어지는 속도 요인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여고부 학생선수의 동기유발과 학교현장에서 허들종목을 지도하는데 있어 정보제공과 정확한 동작 향상에 목적을 두고 연구되었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국면별 최고속도에서 S그룹은 E9, E10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평균 6.78∼6.80m/s를 보였다. A그룹은 E9, E10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평균 6.59m/s를 나타냈다. 둘째, 구간별 평균속도에서 S, A 그룹 모두 P2 구간에서 가장 빠른 평균속도를 P10 구간에서 가장 느린 평균속도를 나타냈다. 셋째, 구간별 속도 요인에 대해서는 S, A 그룹 모두 가속구간에서 가장 빠르게 피니쉬 구간에서 가장 느린 속도를 보였다. 넷째, 전체허들을 넘는데 소요된 비행시간은 발구름발이 지지되고 허들을 넘고 양발이 지면에 지지되는 순간으로 S그룹은 6.79sec, A그룹은 7.09sec의 비행시간을 나타냈다. 다섯째, 보폭의 변화는 S그룹은 4.73m, A그룹은 4.69m의 보폭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허들 기술향상을 위한 운동학적 요인들을 제시하면 허들을 넘는데 소요되는 체공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자세와 최고속도 유지구간 향상을 위한 스피드 훈련, 허들을 넘는 과정에서 신체중심 수직이동의 최소화, 허들을 넘기 전·후의 보폭을 최대한 크게 하여 기록을 단축할 수 있는 역학적 원리에 대한 이해와 반복적인 학습과정을 통해서 기술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organizes the results of the Women"s High School 100m Hurdle Games in the 2020 National Athletics Competition by Group S and Group A and quantitatively analyze speed factors including maximum speed by phase between hurdles, average speed by section and flight time and stride using the hurdle race speed analysis frame.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and improve accurate movements to motivate female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and teach hurdle games in the school fiel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aximum speed of each phase, S group was the fastest in E9 and E10 at the average of 6.78&6.80 m/s. Group A was the fastest in E9 and E10 at the average of 6.59 m/s. Second, in the average speed of each section, both groups S and A showed the fastest average speed in the P2 section and the slowest in the P10 section. Third, as for the speed factor per section, both S and A groups showed the fastest speed in the acceleration section and the slowest speed in the finish section. Fourth, the flight time required to cross the entire hurdle was the moment when the rolling feet were supported, crossed the hurdles, and both feet were supported on the ground. The flight time of group S was 6.79 m/s and group A was 7.09 m/s. Fifth, the change in stride length was 4.73 m in S group and 4.69 m in A group. Conclusion: To suggest kinematic factors for improving hurdle skill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kills can be improved through repetitive learning processes and understanding of the mechanical principles to shorten the record such as posture to reduce the flight time required to cross the hurdle and speed training to improve the maximum speed maintenance section, minimiz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enter of the body in the process of crossing the hurdles, and increasing the stride length before and after crossing the hurdles as much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