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얀마 건조지 토지피복 변화와 식생온도조건지수간의 관계분석

        최솔이 ( Sol E Choi ),이우균 ( Woo Kyun Lee2 ),( Hangnan Yu ),강호덕 ( Ho Duck Kang ),김용석 ( Yong Suk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 내 Mandalay, Magway 지역에 대해 Landsat 4-5 TM 위성영상을 이 용하여 토지피복 변화와 식생온도조건지수(Vegetation Temperature Condition Index; VTCI)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미얀마 토지피복 변화와 건조 정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토지피복 변 화를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 지역에서 산림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주거지와 농경지의 면적은 증가하였다. VTCI 분석을 수행한 결과, (a)지역에서는 매우 건조한 지역의 면적이 점차 감소하고, 건조한 지역 및 보통, 습윤한 지역의 면적이 증가하여 건조의 정도가 다소 감소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b)지역 또한 매우 건조한 지역의 면적이 증가하여 건조 정도가 심각해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VTCI와 토지피복 변화의 관계 분석결과는 두 지역의 매우 건조한 지역에서 산 림 및 주거지의 농경지로의 변화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변화된 지역의 VTCI 평균이 감소 하여 토지피복의 변화와 건조 정도의 변화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으며, 건조지역이 점차 증가하 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ondition Index(VTCI) using Landsat 4-5 TM satellite images in Central Dry Zones of Myanmar. As a result of land cover classifications, while vegetation areas gradually decrease, residential area and cropland were increased. VTCI analysis shows that region (a) showed a gradual decrease in the area of severely arid, and increase in the area of moderate dry and wet, which sums up to a slight decrease in aridity. Region (b) also showed to increase in dry areas and severe aridity. The result of relational analysis between VTCI and land cover change showed high ratio of land cover change, from severe arid area to forest and residential farmland. The average VTCI decreased in the changed land covers, which 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idity and land cover change and a gradual increase in the arid area was identified.

      • KCI등재

        야생동물의 존재에 대한 인지 및 야생동물의 종류(곰과 고라니)에 따른 국립공원 방문객의 휴양경험 비교

        김상미 ( Sang Mi Kim ),최솔아 ( Sol Ah Choi ),김상오 ( Sang Oh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wildlife or wildlife species on national park visitors`` perception of place attributes and recreational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502 users of Seongsamjae Rest area and Nogodan Shelter area in Jirisan National Park and 173 college students during May-June 2014 using survey questionnaire. Some simulated photographs of water deer and Asiatic black bears were used for the college student survey. Overall, awareness about wildlife inhabiting in Jirisan National Park (AW) was not related with one’s perception of place attributes (PPA) (i.e., crowdedness, naturalness, safety) and types of visitors`` recreational experiences. Respondents with higher awareness about the presence of Asiatic black bear (AABB), however, tended to perceive Jirisan National Park as a place that provides ``wild`` or ``natural`` recreational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wildlife or wildlife species on national park visitors`` perception of place attributes and recreational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502 users of Seongsamjae Rest area and Nogodan Shelter area in Jirisan National Park and 173 college students during May-June 2014 using survey questionnaire. Some simulated photographs of water deer and Asiatic black bears were used for the college student survey. Overall, awareness about wildlife inhabiting in Jirisan National Park (AW) was not related with one’s perception of place attributes (PPA) (i.e., crowdedness, naturalness, safety) and types of visitors`` recreational experiences. Respondents with higher awareness about the presence of Asiatic black bear (AABB), however, tended to perceive Jirisan National Park as a place that provides ``wild`` or ``natural`` recreational opportunities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AABB. Differences in PPA (i.e., crowdedness, naturalness, safety) and types of recreational experiences were also found to be influenced by wildlife species. Respondents exposed to bear or water deer tended to perceive their recreational experiences as more ``wild``. Existence of wildlife in Jirisan National Par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visitors`` recreational experiences. Different wildlife species showed different levels of effectiveness to quality enhancement of recreational experienc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from a managerial point of view.

      • KCI등재

        치유의 숲길 해설판이 이용객의 회복환경 및 전반적 치유효과 지각에 미치는 효과: 플라시보 효과의 적용<sup>1a</sup>

        김상미 ( Sang-mi Kim ),최솔아 ( Sol-ah Choi ),김상오 ( Sang-oh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6

        본 연구에서는 해설판의 `숲의 명칭` 또는 `숲의 치유 효과에 대한 정보`가 이용객의 회복환경지각(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PER)과 전반적 치유효과지각(perceived healing effectiveness: PH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5년 5-6월 중 연구대상지역인 무등산국립공원 내 `치유의 숲길` 방문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247명의 표본이 선정되었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지기법을 통하여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실험을 위해 `치유의 숲길`을 따라 설치한 해설판(숲의 명칭과 치유의 숲길의 치유효과에 관한 내용 포함)을 읽은 응답자는 플라시보그룹, 해설판을 읽지 않은 응답자는 컨트롤그룹으로 간주하였다. 분석결과, 컨트롤과 플라시보그룹 간 PER과 PHE는 전반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PER의 구성 요인별 비교 결과에 따르면 플라시보그룹이 `벗어남`(being away) 요인에서 컨트롤그룹에 비해 긍정적인 수치를 나타냈다. PER의 4개 요인(벗어남, 짜임새, 매혹감, 적합성) 모두 PHE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01) 이들 4개 요인은 PHE의 51.1%를 설명하였다. PHE에 미치는 영향력은 짜임새, 벗어남, 적합성, 매혹감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PER에 미치는 플라시보 효과는 남성,저연령층, 저 방문경험 그룹에서 나타났으며, PHE에 미치는 플라시보 효과는 남성, 소그룹, 혼자서 또는 친척/가족 동반그룹, 저 방문경험 그룹에서 발견되었다. 관리적 관점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forest name` or `information of forest healing effectiveness` influence their 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PER) and perceived healing effectiveness (PHE). Study area was the `Forest Healing Road (FHR)` in Mudeungsan National Park. Data were collected from 247 visitors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using questionnaire survey during May-June, 2015. Respondents who read interpretive signs (forest name and information on forest healing effectiveness of FHR were written) installed along the FHR were regarded as placebo group and respondents who didn`t read them as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overall differences on PER and PHE between control and placebo groups. Placebo group, however, rated more positive on `being away` factor of PER than control group. All four factors (i.e., being away, coherence, fascination, comparability) of PER statistically influenced PHE (p<0.001), and these factors explained 51.1% of PHE. The `coherence` was the most influential to PHE, followed by `being away`, `comparability`, and `fascination` in order. Placebo effects on PER were shown in male, in lower age group(age≤54), or respondents with lower visiting experience to FHR(≤20 times/year). Placebo effects on PHE were found in male, in small group (≤2 persons), in respondents who visited `alone` or `with relatives/family`, or in respondents with lower visiting experience to FHR(≤20 times/year). Some research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소나무와 참나무 임분의 탄소흡수량 추정

        김문일 ( Moon Il Kim ),이우균 ( Woo Kyun Lee ),최솔이 ( Sol E Choi ),유동훈 ( Dong Hoon Ryu ),김창길 ( Chang Gil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수종인 소나무와 참나무를 대상으로 RCP 8.5 시나리오와 산림 생장모형, 제5차 임상도를 이용하여 2020년에서 2050년까지의 미래 탄소 흡수량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두 수종의 미래 탄소 흡수량의 감소가 나타나는 취약 지역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 도별 산림통계와 모형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비교적 높은 적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탄소 흡수량은 현재와 기후가 같다고 가정하였을 때, 2050년 소나무 4.01(std. 1.42), 참나무는 4.38 tCO2/ha/year(std. 1.42)으로 2020년과 비교하여 각각 18.7%, 27.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를 고려하였을 때에는 2050년 소나무 3.00(std. 2.42), 참나무가 5.82(std. 2.51) tCO2/ha/year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나무와 참나무의 탄소 흡수량 변화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미래 탄소 흡수 기능 취약지역을 분석 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산림 분야의 정책 및 산림 관리 계획에 있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of the carbon sequestration about Quercus spp. and P.densiflora 2020 to 2050 and vulnerable area such as decrease carbon sequestration by using RCP 8.5 scenarios and forest growth model, 5th forest type map.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province forest statistic data and predict data which is data from growth model showed a high suitability. The carbon sequestration was estimated using by two assumption. one of the result, which was assumed the future climate same current climate was appeared P.densiflora 4.01 (std. 1.42), Quercus spp. 4.38tCO2/ha (std. 1.42) in 2050. Each result decrease 18.7, 27.6 percent compared with 2020. another result, which is assumed the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was appeared P. densiflora 3.00 (std. 2.42), Quercus spp. 5.82 (std. 2.51) tCO2/ha. Through this study we predicted not only carbon sequestration change but also, the vulnerable area about carbon sequestration fun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ful for the adaptation policy and forest management of climate chan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4분과 :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소나무 임부의 재적 추정

        김문일 ( Moon Il Kim ),이우균 ( Woo Kyun Lee ),( Gui Shan Gui ),( Hang Nan Yu ),최솔이 ( Sol E Choi ),김창길 ( Chang Gil Kim ),권태성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수종인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8.5 시나리오에 따른 임목 재적의 시·공간적 변이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규모의 예측을 위해 5차임상도와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기후와 공간의 변이가 임목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기상 및 지형인자를 반영한 생장모형을 적용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시, 도별 산림통계와 모형 결과를 비교한 결과, 비교적 높은 적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를 고려하였을 때, 소나무림의 임분 재적은 현재 131 m3/ha에서2050년에는 212.42 m3/ha까지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현재의 기후가 유지될 경우에는 221.92 m3/ha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일부 고산지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나무림의 생장률이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특히 해안지역과 남부지역에서 생장률의 감소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후변화가 소나무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시·공간에 따라 정량화 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한 산림관리 및 시업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spatio-temporal variation of forest tree volume basedon the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8.5 scenario, targeting on Pinus densiflora forests which is the main tree species in South Korea. To estimate nationwide scale, 5th forest type map and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were used. Also, to reflect the impact of change in place and climate on growth of forest trees, growth model reflecting the climate and topography features were applied. The result of the model validation, which compared the result of the model with the forest statistics of different cities and provinces, showed a high suitability. Considering the continuous climate change, volume of Pinus densiflora forest is predicted to increase from 131 m3/ha at present to 212.42 m3/ha in the year of 2050. If the climate maintains as the present, volumeis predicted to increase to 221.92 m3/ha. With the climate change, it is predicted that most of the region, except for some of the alpine region, will have a decrease in growth rate of Pinus densiflora forest. The growth rate of Pinus densiflora forest will have a greater decline, especially in the coastal area and the southern area.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quantify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 of Pinusdensiflora forest according to spatio-temporal is possible.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ful in establishing the forest management practices, considering the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