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기권총 사격 시 스포츠 테이핑의 적용이 상지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류종우(Jong Woo Ryu),유동훈(Dong Hoon Yoo) 한국사회체육학회 201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ports taping on muscle activity of upper extremity during air pistol shooting. Nine male students, no musculskeletal disorders and no shooting experiences, were recruited as the subjects. Shooting training was continued for 12 weeks using Coaching machine (ZAO co., Russia) by a coach who was a member of nation shooting player. Each participants performed ten shots for the two conditions (WOT: Without Taping, WT: With Taping, attached sports taping: Kinesio Tex 5cm, Kinesio, Japan). In order to accessing to the muscle activity the mean and peak IEMG were calculated for each trial. The result of the Coaching machine scores was increased 20% than be fore shooting training. The WT score was higher than WOT points. Peak IEMG on WT of DP shape, muscle activity of upper extremity, was lower than that of WOT. SP shape of trapezius on WT was lower than that of WOT. Non-athletes with taping were similar to muscle activity of athletes on air pistol shooting. Therefore Air pistol shooting on sports taping can be effective for air pistol shooting. The study suggest research on elite players is needed on the relation between air pistol shooting and taping.

      • KCI등재

        Semi-Variogram을 이용한 소규모 자연휴양림 내 기상조건의 정밀 시공간 분포 추정

        임철희 ( Chul Hee Lim ),유동훈 ( Dong Hoon Ryu ),송철호 ( Chol Ho Song ),주용언 ( Yong Yan Zhu ),이우균 ( Woo Kyun Lee ),김민선 ( Min Seon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5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8 No.3

        최근 각광받고 있는 산림치유를 위해서는 산림 내 기상조건의 시공간분포를 기초로 활동시간 및 공간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에 기상관측 장비를 설치하여 장기 기상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해당 자료를 통해 기상자료의 정밀 시공간 분포를 파악하여 산림휴양·치유 활동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먼저, Semi-Variogram을 추정하는 네 가지 모형을 통계적으로 비교한 결과,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이나, Circular 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Circular 모형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Circular 모형으로 추정된 총128개의 Semi-Variogram을 통해 계절 및 시간대에 따른 온·습도의 공간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Partial Sill 값으로 표출한 Boxplot을 통해 보다 확연한 계절 및 시간대별 분포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결과 봄철과 이른 오전 시간대에는 온·습도가 모두 균일한 미기상 공간분포를 보였고, 여름과 이른 오후에는 온·습도 모두 불균일한 결과를 보였다. 봄철과 이른 오전 시간대에는 산림활동 시 공간의 이동에 따른 기상조건 변화가 적으므로, 휴양과 치유에 보다 긍정적일 수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불균일한 여름철과 이른 오후 시간에는 기상조건에 따른 위험이 따를수 있으므로 별도의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 곳의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사계절 기상조건의 정밀 시공간분포를 추정하여 계절별, 시간대별 세부적인 결과를 제시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 As forest therapy is getting more attention than ever, it is important to organize time for activity and location based on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weather condition in fores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recis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weather condition by installing long-term weather monitoring device in Yonghyun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using acquired weather data in order to support forest recreation and therapy activity. First, we statistically compared 4 models of semi-variogram and the results were all similar. We selected and analyzed the circular model for this study because it was presumed to be the best model for this case. We derived 128 results from the circular model and through semi-variogram, we identified season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Then, we used boxplot, made of partial sill level,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ason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As a result, in spring and early morning, both temperature and humidity showed equalized result. On the other hand, in summer and early afternoon, both temperature and humidity showed uneven result. In spring and early morning, changes in weather condition are shown little from spatial shifting, it is ideal to perform recreational activities and forest therapy but in summer and early afternoon, it is unadvisable to do so as the changes in weather condition could be harmful unless any other means of preparations are made. This study proposes its significance by analyzing seasonal micro-weather of single recreation forest and presenting seasonal and temporal outcomes.

      • KCI등재
      •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소나무와 참나무 임분의 탄소흡수량 추정

        김문일 ( Moon Il Kim ),이우균 ( Woo Kyun Lee ),최솔이 ( Sol E Choi ),유동훈 ( Dong Hoon Ryu ),김창길 ( Chang Gil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수종인 소나무와 참나무를 대상으로 RCP 8.5 시나리오와 산림 생장모형, 제5차 임상도를 이용하여 2020년에서 2050년까지의 미래 탄소 흡수량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두 수종의 미래 탄소 흡수량의 감소가 나타나는 취약 지역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 도별 산림통계와 모형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비교적 높은 적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탄소 흡수량은 현재와 기후가 같다고 가정하였을 때, 2050년 소나무 4.01(std. 1.42), 참나무는 4.38 tCO2/ha/year(std. 1.42)으로 2020년과 비교하여 각각 18.7%, 27.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를 고려하였을 때에는 2050년 소나무 3.00(std. 2.42), 참나무가 5.82(std. 2.51) tCO2/ha/year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나무와 참나무의 탄소 흡수량 변화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미래 탄소 흡수 기능 취약지역을 분석 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산림 분야의 정책 및 산림 관리 계획에 있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of the carbon sequestration about Quercus spp. and P.densiflora 2020 to 2050 and vulnerable area such as decrease carbon sequestration by using RCP 8.5 scenarios and forest growth model, 5th forest type map.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province forest statistic data and predict data which is data from growth model showed a high suitability. The carbon sequestration was estimated using by two assumption. one of the result, which was assumed the future climate same current climate was appeared P.densiflora 4.01 (std. 1.42), Quercus spp. 4.38tCO2/ha (std. 1.42) in 2050. Each result decrease 18.7, 27.6 percent compared with 2020. another result, which is assumed the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was appeared P. densiflora 3.00 (std. 2.42), Quercus spp. 5.82 (std. 2.51) tCO2/ha. Through this study we predicted not only carbon sequestration change but also, the vulnerable area about carbon sequestration fun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ful for the adaptation policy and forest management of climat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