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교육의 평생교육적 개선방안 연구

        최성희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 사회는 물론이고 세계적인 차원에서 교육 개혁의 방향으로 논의의 중심 화두가 되고 있는 평생교육이라는 인식론적 틀 위에서 조망하는 학교교육은 어떠한 위상을 가지고 있으며, 지금의 공교육 시스템이 노정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평생교육적 함의는 무엇인가를 고찰하는 연구이다. 이것은 평생교육적 패러다임이 공교육의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적 이념으로서의 이론적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학교교육의 위기를 극복해내는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첫 단계로 평생교육을 그 지향하는 이념적 쟁점에 따라 학습주의, 교육영역의 통합을 지향하는 평생교육체제,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학습경제론의 세 가지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각각의 분석기준을 이론적으로 규명한 뒤, 이를 토대로 평생교육을 통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각각의 분석 기준에 따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학습주의는 학교교육은 학습자(교육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독자적인 생존전략을 자체적으로 마련하는 경쟁체제로 개혁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이런 주장이 가능한 근거는 학교교육은 다른 교육영역과 등가(等價)적인 가치를 지닐 뿐, 이제까지와 같은 교육 독점적 위상을 인정받을 수 없다는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학습의 본원적인 의미에 비추어보면 학습이란 삶의 세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현상이므로, 학교는 그러한 다양한 학습의 장 중에서 인위적인 계획된 학습공간이라는 특성을 지닌 것으로 현대와 같은 탈근대적 시대에서 학교라는 형식적 틀만으로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으며 학습자는 이제 자신의 요구에 맞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과 그러한 선택을 보장하는 대안적인 교육의 장이 더 절실하다고 보는 주장이다. 학습주의적 관점은 이처럼 학교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초를 기존의 비판 교육학과 같이 거대담론에 기대어 찾기보다는 ‘학습’이라는 교육현상이 이루어지는 학교와 교실이라는 학습의 공간 안에서, 교사가 교육과정을 스스로 구성하고, 지식의 생산자로서의 교사의 위상을 담보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본다. 둘째, 형식적인 교육과 더불어 비형식적이고 무형식적인 교육의 중요성이 갈수록 증대하는 현 상황에서 학교교육이 담보해야할 위상은 지금과 같은 독점적인 교육 기관에서 탈피하여, 평생교육체제라는 커다란 교육체제 속의 한 영역을 점유하는 유기적인 관계 속에 다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 입장은 위에서 고찰한 학습주의와 같이 ‘학교교육은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양식 중의 하나다.’ 라고 보거나 ‘더 이상 학교교육은 교육의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고 보는 맥락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학교교육은 평생교육체제 속에서 여전히 독자적이고 핵심적인 기능을 담보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학교교육이 앞으로 평생교육체제 속의 다른 교육 영역과의 유기적인 통합을 형성하여, 각 교육 영역간의 경계를 허물고, 평생학습자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육성해야 한다는 교육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형식적이고 의도적인 계획성이 강한 학교교육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셋째, 지식기반사회에서 현장경험과 방법적 지식을 중요시하는 새로운 지식관이 대두하고 있는 현재의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는 것으로, 국가 경쟁력을 담보할 수 있는 인적자원과 신지식인을 육성해야 한다는 ‘학습경제론적 입장’에서 학교교육을 바라본다. 이러한 관점은 신자유주의의 거센 파고 속에서 초기 평생교육의 유토피아적 이념이 힘을 잃어 가다가 다시 화려하게 부활하면서 힘을 얻게된 평생학습사회 담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입장은 공교육 시스템 속에 경쟁의 논리를 도입하여 교육의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교육 정책을 개혁하고자 하는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을 반영하고 있다. 학교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새로운 평생교육적 패러다임은 다음과 같은 문제 해결을 실천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지금의 학교교육의 문제는 근대화 과정에서 생긴 아주 복합적인 현상이라는 점에서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평생교육은 학교교육의 위기를 해결함에 있어 기존의 학교 중심으로 교육을 이해하고 있는 뿌리 깊은 고정관념에서 과감하게 벗어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우리에게 역설하고 있다. 즉 “교육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혹은 “배우는 데는 다 때가 있다.” 등의 고정관념은 근대교육 시대에는 타당한 명제였지만 후기 산업화 시대에 들어선 이 시점에서는 더 이상 유일한 대안일 수 없다는 것이다. 공교육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상상을 우리는 할 수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대안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교육에 대한 상상의 자유와 선택의 권리는 평생교육이 근대 교육을 비판하고 등장한 이유이기도 한 것이다. 누구나, 어디서나, 언제나, 무엇이든 자유롭게 배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평생학습사회에서 교육은 더 이상 학교만의 점유물은 아니라는 인식의 전환을 평생교육이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학교를 모든 교육의 중심에 놓고 영구적이고 권위적인 공간으로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는 것, 그리고 이제는 학교를 ‘가볍게’ 보는 사고가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인식의 전환이라는 것을 우리에게 상기시켜 주고 있는 것이다. 둘째, 거대한 학교체제를 한꺼번에 바꾸려는 생각은 더 이상 유의미하지 못하다는 것을 평생교육은 상기시키고 있다. 거대 담론에 기대어 공룡조직과도 같은 학교를 한꺼번에 바꾸고자 하기보다는 오히려 학교 안과 밖에서 작지만 중요한 많은 작업들을 통해 ‘학교’의 개념 자체를 서서히 바꾸어 내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을 우리에게 심어 주었다. 학교라는 공간을 변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집단들의 노력과 새로운 인력을 학교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교육 다시 보기 운동이 바로 평생교육이기 때문이다. 외부의 강제적인 압력으로 평생교육을 운영하기보다는 학교 내부적인 요인에 의해 추동된 평생교육이 되도록 정책적 지원을 하거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지도할 전문적인 인력을 확보하는 일, 문화계에서 활동해온 이들과 연결해서 다양한 실험을 해보는 방법, 학생과 교사들이 선택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노력 등이 모두 평생교육적 안목에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교사 스스로 기존의 교육체제 안 혹은 제도 밖의 대안 공간에서 교육적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고자 하는 공동의 노력이 뒷받침이 될 때 성공적으로 뿌리 내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끝으로, 교사들이 단위 학교에서 학생들과 더불어 교육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을 평생교육은 강조하고 있다. 학습이란 생활세계와 연관된 경험위주의 학습이어야 한다는 평생교육적 학습담론은 관심이 아주 다양해진 학생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교사 스스로가 끊임없이 배우고 발전하는 학습자로서의 모습을 회복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더 이상 학생들은 교과서 속의 지식만을 일방적으로 전수 받아야 하는 자신들의 위치를 거부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가 거대한 외부적 명분에 기대어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스스로가 서 있는 작은 영역에서 변화에 적응하고 새롭게 거듭나는 모습으로 자기 발전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is article for a lifelong-educational solution that is becoming a centered topic of discussion in a direction of an education innovation for a problem of school education in Our society and an international dimension currently. School education and public education system which is viewed on an epistemology called lifelong-education have what kind of meaning. this research i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at writes down for an innov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a new paradigm of lifelong-education can be proper as an ideology as expected, and is in several for the practical effort which will be going to overcome a crisis of school educat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al approach. In this study, research was progressed through the practical assignment that can solve a problem of school education after three analysis standards are determined, and studying the each analysis standard with a theoretical method. three analysis standards is learningism, a lifelong education as an integrated concept of education scope, learning-economy educatio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first, learningism are putting the assertion that had to be reformed with a competition system according to demand of an learner into school education. It is to consist of various methods in the world of life called education and a school is nothing more than one education space that carried a characteristic called artificial education space. The second, school education pull down a boundary with other education scope of the education system inside for life and must achieve the education purpose that had to rear a natural aptitude as an lifelong-learner and ability for life. and The third, school education have to rear human resources which had field experience and how to-knowledge in a knowledge-based society. Thus, lifelong educational approach about school education has the following meaning.; the first, lifelong-educational approach to solve a problem of school is emphasizing that it was necessary to avoid such as a fixed general idea that is the whole that education is achieved at school. the second, It is impossible to change a huge school system at once but, emphasizing the recognition that will have had to exchange a concept of 'school' through important effort gradually in or outside school. In closing, teachers and student have to compose education in a unit school freely.

      • Weighted IMM 알고리즘을 이용한 각도 추정 오차 감소 기법에 관한 연구

        최성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레이다의 측정 정보 중 각도 추정 오차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새로운 방법, Weighed IMM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알고리즘은 등속 운동을 하는 표적에 대해서 각도 추정 오차에 훨씬 효율적임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증명하였으며, 기동하는 표적에 대해서는 기존의 IMM 알고리즘과 대등한 각도 추정 오차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장거리레이더의 경우 대부분의 관심 표적인 등속 운동을 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장거리 표적에 대한 각도 추적 정확도를 높힐 수 있는 좋은 알고리즘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타운하우스 개념의 전원주택단지에 관한 연구 :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일대 주택단지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최성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 50-60대 이상의 부유층에 한정되었던 전원주택에 대한 선호가 최근 40-50대의 장년층과 20-30대의 젊은층까지 폭넓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田園住宅 需要層의 확대는 도시 거주자들의 소득수준 향상, 자동차보급 급증, 광역교통망 확대, 주5일 근무제 실시 등의 원인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일"과 "최소한의 휴식" 중심에서 "건강"과 "행복한 삶" 중심으로 사람들의 價値觀이 변화하고 있으며, 일상생활 공간의 중심이 도심에서 자연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이렇듯 변화하는 최근의 추세 속에서 1990년대 이후 도시 거주자들의 전원주택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 초부터 시작된 "웰빙" 열풍이 건강을 추구하는 自然親和的 전원주택에 대한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고 보고, 자연경관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인간과 자연과 집이 함께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도록 타운하우스 개념을 도입한 田園住宅團地의 計劃 및 開發方案을 제시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007년 10월 1일부터 2008년 1월 31일까지 전원주택이 가장 많이 조성된□□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일대의 전원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하여 현지 개발사례 조사와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해 낸 연구의 結論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계획수립 단계에서 건축전문가는 단지 전체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세우고 설계부터 시공-준공 및 유지-관리까지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단지의 환금성을 유지한다. 둘째, 다양한 건축설계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조경설계로 그 지역에 맞는 수목을 식재하여 단지 내·외부를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관리한다. 셋째, 타운하우스 개념을 도입하여 클럽하우스, 공원, 놀이터 등 테마별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단지내 주민들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安定的이고 高級化된 전원단지를 만든다. 넷째, 분양하는 토지 및 건축면적, 단지 세대수, 공동 시설 등 단위주거 및 단지계획은 消費者의 요구를 철저히 수용한다. 본 연구는 조사지역이 한정되고 사례수가 많지 않아 전원주택 생활의 특징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한계점을 안고 있다. 하지만 타운하우스의 개념을 적용한 건강한 미래형 전원주택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친환경 건축소재의 도입 필요성과 자연환경 보존의 중요성이 더욱 중시되고 있음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그 意義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전원주택의 질적 향상은 물론 과밀화된 대도시의 양적 주택부족 문제해결과 지역균형발전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計劃的으로 建築을 시공하고, 친환경소재를 활용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다양한 건축모양과 형태를 도출해 낼 수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예술적 공간 및 건강한 주거공간으로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과 발전은 새로운 주거환경을 토대로 지역실정에 맞는 건강하고 未來指向的인 전원주택단지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demands for the rural houses which were limited to the rich people in 50's and 60's have been much increasing lately among those in their 40's and 50's and even in their 20's and 30's. Such expanding basis of demands for the rural houses seem to be attributable to urban dwellers' improving income level, rapid distribution of automobiles, expanding wide-area traffic networks, five weekdays, etc. Such phenomenon may well reflect people's value system shifting from "work" and "minimum recess" toward "health" and "happy life" as well as the trend of living space changing from downtowns to the nature. Amid such trends, the demands for rural house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among urban dwellers since 1990's. 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ing the ways to plan and develop the rural housing complexes of a townhouse concept minimizing damages to the natural landscape and striking a harmony between men and nature, on the assumption that the fever of "well-being" ignited since early 2002 has been creating the demands for the health-oriented and nature-friendly rural hous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the rural housing complex at 'Yangji-myon, Cheoin-gu, Yongin-si, Gyeonggi-do' where the rural houses have been built most in the region for the period from October 1, 2007 until January 31, 2008, and thereupon, surveyed the cases of rural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architects should master-plan the whole complex at the earlier stage of planning and thereby, ensure the profitability of the development project by systematically developing the complex through the entire processes of design,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Second, the rural housing complexes need to be designed in diverse ways, and the landscape needs to be designed aesthetically. In particular, the trees and plants adaptable to the area should be transplanted, whil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mplex should be systematically planned and managed. Third, a concept of townhouse needs to be introduced to provide for such thematic public spaces as club house, park and play ground, so that the resident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onveniently in the complex. In a nutshell, the rural townhouse should ensure a stable and decent life. Fourth, the unit household and entire complex plans should reflect residents' needs effectively in terms of site and building areas, number of the households and public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limited to be generalized because the sample area was limited. However,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applied a concept of townhouse to the rural housing complex and thereby, suggested a model of healthy and futuristic rural housing complex, while theorizing the needs for environmental-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and pre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Ultimately, this study suggests how the rural houses should be improved qualitatively, how the shortage of the houses in the dense metropolitan areas should be solved and how the balanced development among regions should be realized. If the rural houses should be planned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and the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s should be used more, more diverse architectural models and forms for rural houses would be derived and therefore, rural houses would evolve into artistic and healthy living spaces. It is expected that such approaches and efforts would result in creation of healthy and futuristic rural housing complexes in a new living environment befitting the regional conditions.

      • 주관적 건강인식과 비만유무 차이에 따른 건강행위

        최성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전통적인 면대면(오프라인) 수업이 갖는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극복한 인터넷 기반의 이러닝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아울러 이러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 간의 경쟁도 치열해 지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업은 다양한 고객욕구를 충족시킬 보다 나은 제품/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닝도 '교육'의 한 수단인 만큼 종래의 오프라인 수업방식과 마찬가지로 수업내용을 중심으로 참여자들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중시되며, 학습자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이러닝의 효과와 밀접한 관련에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요인들을 교육공학적 패러다임의 선행연구에서 찾아보았고, 이들을 다시 콘텐츠, 상호작용, 운영특성 및 개인적 특성 이라는 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변수들이 기존의 마케팅패러다임에서의 사용자 만족 및 재이용의향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만들고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특히, 이러닝이라는 제품/서비스를 소비하기 위해서는 '학습'이라는 소비행위가 수반되므로 본 연구에는 사용자의 '학습동기'를 전반적 만족의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매개적 역할을 검정하였다. 또한 '사전경험'을 전반적 만족의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조절적 역할을 검정하였다. 이는 이러닝 연구에 있어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접근방법이며, 이러닝의 사용자 만족에 어떤 관계구조가 존재하는지를 명확하게 규명함으로써 연구모형확장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닝의 성장이 고객 만족, 즉 학습자의 만족으로부터 생겨나며, 학습자의 만족은 학습자의 학습동기로 비롯되며, 학습동기는 이러닝을 구성하는 특징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를 전제로,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0.0을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계층회귀분석, 그리고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정 결과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보면, 전반적 만족은 재이용의향의 강력한 예측변수라는 기존의 마케팅패러다임이 본 연구에서도 입증되었다. 그리고 개인적 특성인 학습동기가 전반적 만족의 매개변수로 작용할 때, 사전경험이 조절변수로 작용할 때, 만족과 재이용의향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금까지 교육공학에서 다루어졌던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인 학습동기와 사전경험이 마케팅패러다임의 사용자 만족에 매개 및 조절변수로 작용하면서 이러닝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관계구조를 밝혔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이러닝 기업의 제품/서비스 개발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투입,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의 성과를 개인적 차원에서 조사·분석하였는데, 이러닝이 학교단위, 기업단위에서 활발히 성장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향후에는 조직에서의 이러닝 경과를 대상으로 연구를 확장하여 마케팅영역을 넓혀갈 것이 필요하다.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technologies has allowed both face-to-face teaching method and Internet-driven e-Learning to spread at a rapid face. Therefore competition among e-Learning service providers has become fiercer.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 edge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businesses need to provide better goods and services to satisfy various needs of customers. Since e-Learning is a part of 'education', it has to be carried out through active mutual interaction among learners, centering on the contents of class as seen in the existing face-to-face teaching method. In addition, how to provide and operate multiple services to efficiently support this has much to do with effects of e-Learning. In conducting this study, factors necessary to boost learning effects of e-Learning have been identified in preceding study of educational technology paradigm, and then those factors have been set as such variables as contents, mutual interaction, operatio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verify what relationship those factors have formed with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n the existing marketing paradigm, study model and assumption were come up with and substantially verified. In particular, as consumption activity, 'learning' is accompanied to consume goods and services of e-Learning, this study set 'learning intention' of consumers as a mediating variable of general satisfaction, thereby having verified a mediating role. Also, the study verified a moderator role by setting 'previous experience' as a moderator variable of general satisfaction. That is an untried approach ever so far in this type of studies, providing logical ground for expanding a study model by clearly verifying what relation structure exists in consumer satisfaction of e-Learning. This study premises that the growth of e-Learning arises from consumer satisfaction, i.e., learners' satisfaction ; learners' satisfaction comes from learning intention of learners ; and the learning intention is determined by characteristics which compose e-Learning. On this promise, this study carried out a poll on those who have experienced e-Learning. Statistics of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tilizing SPSS for Windows 10.0, while Technology Statistics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all those assumptions were adopted. Looking at overal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existing marketing paradigm that general satisfaction is a strong forecast variable of repurchase intention was also verified. In addition, when learning inten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rves as a mediating variable of general satisfaction and previous experience serves as a moderator variable, it is found that bigger impacts are made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has identified the relationship that learning intention and previous experience, which is learn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as been dealt with in Educational Technology, have a huge impact on e-Learning performances by serving as mediating and moderator variables of consumer satisfaction in marketing paradigm. This can be utilized as criteria to efficiently invest limited resources and to boost performances when developing goods and services of e-Learning businesses. As future research tasks, this study looked at and analyzed e-Learning performances at an individual level.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e-Learning has rapidly grown at school as well as business levels,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one based on e-Learning performances of groups, thereby widening marketing areas.

      •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색채교육에 관한 연구 : 제7차 교육과정 중심으로

        최성희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색채는 우리들의 인간생활에 있어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인간은 아름다움을 추구한다. 그 중 가장 빠르고 강하게 다가오는 것이 색이다. 또한 제품을 구매할 때, 컬러가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색채에 대한 이해는 보다 효율적인 생활을 영위함과 동시에 쾌적한 환경과 미적효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더욱이 물질문명이 날로 번창하는 현대 산업 사회에 적응해 살고 있는 현대인 들은 색채의 홍수 속에서 있으면서 무감각적으로 받아들이고, 그 속에 묻혀 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색채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것은 학교 미술 교육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볼 때, 색채 교육은 비중 있고, 심도 있게 다루어 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유과정에 따르고 교육부 및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검정 받은 교과서 8종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현행 미술교과서를 대상으로 색채 단원을 분석하였다. 색채 교육이 각 교과서마다 차지하는 비율과 교과서 마다의 색채 내용을 분석하여, 색채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교육현장에서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은 취지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미술교육 중에서 색채 역역이 차기하는 비중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색채에 대한 사회의 관심도가 증가하는데 비해, 할당쪽수나, 수업시수가 부족하다. 색채교육에 대한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색채지도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내용이 없고, 중복되거나 난의도가 모호하다. 각 교과서마다 색채지도 목표와 어느 정도 수준까지 가르쳐야 할지 알 수 없는 것이 원인이다. 전교과서에서, 색채교육부분 만큼은 통일성을 갖추고 교육과정상 구체적인 색채목표가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실질적 성격의 학습내용의 부족한 점이다. 현행 교과서에는 획일적이고, 의무적인 색채교육은 학생들에게 미적교양을 심어주기에 부족한 점이 많다.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폭넓은 내용과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내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넷째, 우리나라의 전통 색채에 대한 관심과 지도를 강화하여야 한다. 제7차 의 교육과정의 목표인 우리미술문화에 대한 주체성을 확립 할 수 있도록 전통미술을 강조하며, 이를 바탕으로 세계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 다섯째, 경험에 의한 교육은 교육적 효과가 높기 때문에 이론상의 것들을 실제로 체험하면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생활 속의 색채교육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색채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폭 넓게 인식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교과서는 학습현장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학생들로 하여금 미술을 학습하는데 기초적인 부분으로서 올바른 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교과서의 내용 체계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안함으로서 고등학교에 있어서 색채교육의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Color is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and humans pursue beauty. Among beauty, the most immediate and intense element is color. When we purchase a product, color is an important factor to stimulate customers' interest. The understanding of color is the significant key to lead a more efficient life and decide pleasant surroundings and esthetic effect. Moreover, the moderns, who adapt to life in a modern industrial society in which civilization progresses day by day, insensibly accept color and are buried in a flood of color. Accordingly, the better understanding of color is required. In respect that this can be achieved by school art education, color education should be treated importantly and seriously.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analyzing color chapters of existing eight high school art textbooks, which are authorized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complies with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By investigating the proportion of color courses and its contents in each textbook, I identified the reality of color education and tried to address the problem in education and its solution. The results examined by the study with this object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color is given relatively less weight in the art education curriculum than other parts. In other words, while the social interest in color is increasing, there are not enough pages and classes allocated to color instruction. Therefore, mor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color education. Second, there is no systematic teaching manual on color education and most of them have some overlapping areas and obscure degree of difficulty. This is mainly because there does not exist the standard of the purpose of color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 difficulty to teach in the textbooks. Thus, a specific objective on color education with consistency should be presented in the education curriculum of every textbook. Third, the textbooks lack in substantial learning contents. That is, the current textbooks are standardized and unfortunately, the obligatory color education is insufficient to cultivate esthetical culture to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extensive contents with which students can apply the knowledge to practical lif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a class. Fourth, the interest and instruction on Korea's traditional color should be enforced. In order to create the identity towards the traditional art culture, which is a purpose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traditional art has to be emphasized and on the basis of this instruction, the understanding of world culture can be enhanced. Fifth, since the education through experience has a high educational effect, it needs to establish color education from which students can practice a theory and apply it to actual life. In conclusion, the importance of color education examined through the study has to be recognized on a wide scale. Furthermore, As a textbook has a crucial and direct influence on students in a learning field, the contents of a text book need an organizational reformation so that students can develop proper knowledge of art with the textbook as a basic part in learning art. By improving and supplementing the problem, we can expect a desirable result of color education in high school.

      • 캠프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성희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캠프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 성 희 지도교수 : 고 은 교 사회복지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문화프로그램 중 캠프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아동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연구자, 아동복지전문 사회복지사, 여가복지전문 사회복지사, 지역아동센터 운영자 및 교사들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광주시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3∼6학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임의 표집방법을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3년 8월10일∼8월30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된 설문지는 총 197부였다. 분석자료는 통계 패키지 SPSS/WIN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증, ANOVA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자(61.7%)가 남자보다 다소 많았으며, 학년분포는 5학년(39.6%), 6학년(36.0%), 4학년(16,8%), 3학년(7.6%)순으로 나타났다. 가정형태는 대부분 아빠와 엄마(74.6%)아 함께 지내고 있었으며 캠프횟수는 1년에 2회∼3회(56.3%), 2회 이하(43.7%)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캠프활동만족도의 차이 분석결과를 보면, 하위요인 가정형태에 따른 체험환경 만족도(P=.035), 교사 만족도(P=.007), 캠프활동내용만족도(P=.018), 참여횟수에 따른 체험환경 만족도(P=.014), 교사 만족도(P=.031)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 분석 결과를 보면 가족 상황에 따라 친구만족도(P=.003), 참여횟수에 따라 친구만족도(P=.042), 환경만족도(P=.026), 학년에 따라 환경만족도(P=.21)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캠프활동 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체험환경(P=.000)만 유의수준 .001에서 친구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만족요인(P=.011)과 캠프활동내용 만족 요인(P=.012)이 유의수준 .05에서 학교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환경 만족요인(P=.011)과 교사 만족요인(P=.018)이 유의수준 .05에서, 활동내용 만족요인(P=.000)이 유의수준 .001에서 가족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험환경 만족요인(P=.000)이 유의수준 .001에서, 교사 만족요인(P=.004)이 유위수준 .01에서 환경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환경 만족요인(P=.000)과 캠프활동내용 만족요인(P=.001)이 유의수준 .001에서 자아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캠프활동 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족기능의 강화 및 캠프활동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적, 재정적 기반이 필요하다. 가족기능의 강화를 위해 국가와 사회는 가정문제의 예방 및 해결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통합적 복지정책의 틀과 방향을 새롭게 제시하여야 할 것으로 보이며 캠프활동을 겨울방학과 여름방학뿐만 아니라 봄과 가을에도 주말을 이용하여 실시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캠프활동 지도자 양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캠프활동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실천기술을 갖춘 여가복지 전문사회복지사에 의해 운영된다면 아동의 캠프만족도 및 생활만족도는 증가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실시해 캠프활동 만족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아동의 특성과 관심분야를 고려한 캠프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관련 분야의 협조가 이루어져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캠프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참여아동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줬지만 연구대상자를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중 일부만을 표본으로 하여 모든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캠프활동을 통한 생활만족도에 대한 결과로 일반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의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대상으로 좀 더 포괄적인 표집에 다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미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성희 영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Youth unemployment is coming, and knowledge into economic and social change, a college student in the future for growth as to mature to be able to live productive lives. You should polish your foundation. However, despite concrete action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their course is very important in the process so far, like knowledge and attitudes and cognitive path. The side has been highlighted. Beauty art career choice by a college student, your composition, in the case of major interest, ability to grow through the professional to high cost and time despite the fact that different. Choose careers for other areas due to lack the job market for the Explorer or turn a completely different as their major cases is happening.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in the relation between self 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effect relation that behavior centered strategy and cognitive strategy influence to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are the strategy of self leadership by college students with beauty major.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empirical study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 of difference level of self leadership, the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statistical characteristic, shows that there exists no difference according to age, the hair and make up major shows higher cognitive strategy of self leadership than hair and make-up while the skin major shows higher problem solving of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than make up major. It was proved that two-year beauty college shows higher future plan of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than four-year beauty college. The case experienced in leadership training shows higher behavior centered strategy, cognitive strategy of self leadership than the case not experienced while the case experienced shows higher future plan, goal selection of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than the case not experienced. Second, it was proved that the behavior centered strategy and cognitive strategy of self 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with beauty major influence positively to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 with beauty major, the cases where the problem solving, future plan, goal selection and career information of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are performed, positively influence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above study, we can say that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gnitive strategy which can prevent the negative and critical thinking through behavior centered strategy and positive self-dialogue of self leadership which is the influential power that college students with beauty major can set their goal themselves lead the course of effort and self evalu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self leadership can bring the result which corresponds to the leadership training theory including the promotion of self-efficacy, the satisfaction increase of college life and basic career ability, is the ultimate goal of colleg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would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career preparation and future organizational life adaptation if the self leadership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of college student i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ult verified by this study can provide the basic data for various measures which can be applicable to the actual work and theoric knowledge of support program that is changeable to the activ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beauty major by analyzing various educational system for the enhancement of the self-efficacy for decision making. 청년실업 문제가 대두되고, 지식경제 사회로 변화하면서 대학생은 미래의 삶을 생산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성숙한 직업인으로서 성장하기 위한 기초를 닦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진로수행의 구체적 실천과정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진로에 관한 지식이나 태도와 같은 인지적인 측면만이 부각되어 왔다. 미용전공 대학생의 경우, 본인의 적성, 흥미, 능력에 의한 진로선택을 통해 전문 미용인으로 성장하기 위해 고비용과 시간을 들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직업분야에 대한 탐색기회 부족으로 인해 다른 분야의 직업을 선택하거나 전혀 다른 전공으로 전향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의 전략인 행동 중심적 전략과 인지적 전략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정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의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대학 전공이 피부인 경우에 비하여 헤어와 메이크업인 경우가 셀프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이 높게 나타났고, 메이크업인 경우에 비하여 피부인 경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문제해결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 구분에 따른 4년제 미용대학인 경우에 비하여 2년제 미용대학인 경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리더십 교육 참여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있는 경우가 셀프리더십의 행동 중심적 전략, 인지적 전략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 목표선택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미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의 행동 중심적 전략과 인지적 전략은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더불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문제해결, 미래계획, 목표선택, 직업정보를 통했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이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미용전공 대학생에게 있어 본인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노력과 자기평가의 과정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영향력인 셀프리더십의 행동 중심적 전략과 긍정적인 자기대화를 통해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인지적 전략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셀프리더십을 개발하면 자기효능감이 촉진되어 기초직업능력과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대학의 궁극적 목표인 리더십 육성이론에 부합하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역량 개발 프로그램들이 개발된다면 대학생의 성공적인 진로준비 및 향후 조직생활 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결과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체계를 분석하여, 미용전공 대학생의 적극적인 진로준비로 전환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의 이론적 지식과 실무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방안들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미래 한 미 전략동맹 발전방향 : 전시작전권 전환 이후의 한미동맹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최성희 한성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동맹은 "특정한 환경에서 공동의 이익과 목표달성, 또한 위협으로부터 자국의 안전보장을 위해 군사력이라는 수단을 함께 사용하기 위한 공동체" 로서, 엄밀히 말하면 계산된 이익과 목표에 기초한 효용관계라고 할 수 있다. 한미관계에 있어 미국은 처음으로 한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한 서양 국가로 한국의 해방과 건국에 일조했을 뿐만 아니라, 북한의 침략으로 시작된 한국전쟁에도 참전했으며, 그 이후 현재에 이르는 동안 한국의 비약적인 경제발전과 민주주의국가로의 성장에 든든한 안보우산 역할을 해주었으며, 경제적 지원 및 수출시장 역할도 하는 등 일종의 "후견인", "혈맹"의 역할을 해주었다. 이러한 한․미동맹은 21세기를 넘어 다음 세기에도 변함없는 동맹으로 존속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변화하는 전략환경에 맞추어 창조적 발전을 거듭해야 한다. 특히 특정한 정부가 아니라 2020년 이후에도 적용될 수 있는 한미동맹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향후 10여년 사이 발생할 수 있는 북한문제, 주한미군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하며, 새로운 비전통적 안보위협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한반도 전작권 전환 이전과 이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한미 동맹의 당위성을 개발하고, 양국의 공통된 안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항구적인 협력방안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북한의 급변사태 가능성에 대비하여 주한미군의 주둔을 지속 허용하고,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소멸된 이후와 중국의 부상 및 군사력 증강에 대응하기 위하여 한미 간의 공동방위체제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나가야 할 것이다. 전작권 전환과 이에 따른 한미 지휘관계의 변화는 중국의 부상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안보상황의 변화, 그리고 중국의 예상되는 대응이라는 맥락 속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현재의 유엔사/연합사 작계의 수정이 불가피하고, 북한 대신 불특정한 대한반도 위협세력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전역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불가피한 변화를 예상하고 있는 중국은 한반도가 통일되지 않은 상황 하에서 한미 간의 전략적 동맹 강화와 지휘관계의 변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보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다양한 대응책을 모색하려 할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전작권의 전환과 한미 지휘관계의 변화는 한국의 독자적인 전쟁수행능력의 향상을 감안하여 대중관계에서 한미동맹을 지렛대로 활용 할 수 있도록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 한미동맹은 북한위협의 억제 및 예방뿐만 아니라 중국의 부상에 따른 지역 강대국들 간의 경쟁과 협력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새로운 21세기 안보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동맹으로 변환하는 것이 매우 긴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향후에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보장, 주한미군의 재배치 및 감축, 전시작전통제권의 전환과 지휘관계의 변화, 유엔사의 역할과 위상 변화 등에 대한 한미양국 간의 합의와 이행이 중대한 안보현안으로 남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전략적 대비방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전작권 전환 시기를 좀 더 연기하거나, 정상적으로 추진해야만 한다면 효율적이고 원활한 전작권 전환을 위해 군사적, 특히 C4ISR을 포함한 국방아키텍쳐 상의 대비를 완료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KH-11 군사위성, U-2 고공전략정찰기, RC-135 정찰기 등 주산미군의 자산 가치인 주요장비 및 전시 전술장비 확보를 위한 133억 달러와 전쟁비축탄약(WRSA) 확보를 위한 67억 달러 등 총 200억 달러(약 20조원)의 예산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2020년 이후의 중장기적으로는 새로운 한미 지휘체제하에서의 동맹의 역할 확대, 주한미군의 추가적 감축에 따른 주한미군 기지의 추가적 통폐합을 추진해야 한다. 이러한 중장기적 조치는 전작권 전환 후 한미동맹관계의 재조정과 미래 통일 한국의 전략적 위상과 역할을 조정하는데 핵심 분야가 될 것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 한미동맹관계는 한국에게 있어서는 그 자체가 목적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해 왔으며, 일방적으로 시혜만을 받아왔기 때문에 우리가 어려울 때 도와주겠지 하는 의존적인 심리성향이 작용해 다소 불균형한 상태가 되어 왔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제는 국제적 지위향상에 따라 그에 걸맞은 역할과 책임을 수행해야 하는 현실이 되었다. 또한 신장된 국력과 제고된 국민적 자긍심은 모름지기 상당부분 한반도의 안보상황을 스스로 관리 할 수 있을 때 진정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고, 이때 비로소 한반도의 운명을 주도적으로 항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미동맹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오늘날의 시대처럼, 미래 비전을 구현해나가면서 한반도 및 국제사회의 문제에 공동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성숙한 형태의 동맹으로 변화되어 가야 할 것이다. The term "alliance" generally suggests "an allied group of which members agreed upon sharing their military forces to gain mutual benefits, accomplish certain objectives, and protect their nations from outer threats." Therefore, strictly speaking, an alliance is a type of a relationship based on carefully devised plans and possible benefits. In regards of the allia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had been the first nation which established its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had assisted Korea liberating from Japan, and participated in Korean War which was caused by North's invasion into South. Moreover, not only the Unites States has provided financial support and foreign market pool to South Korea, but also it functioned as some kind of 'patron' or 'blood-tied ally' to South Korea until South Korea transformed itself into the country of ?erapid economic development?f and that of ?edemocracy?f. The US-ROK alliance, to keep itself tight for a long time, should be developed as the strategic circumstances change. In particular, the alliance must obtain its flexibility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matters to cope with possible issues about North Korea, the U.S. Forces in Korea, and other threats, so that the policies would be valid until 2020, not just for the current administration. Repeatedly, the U.S. and South Korea should develop rationale of the necessity of the US-ROK alliance which is effective both before and after the transfer of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ver South Korean territory, and also both countries should move on to 'permanent collaboration' for their mutual security aims. Especially, South Korea has to preserve the stationing of the U.S. Forces in Korea in preparation of an unforeseen occurrence in North Korea. Even after North Korea would collapse, the U.S. Forces will still be needed in Korea to confront with the growing giant, China. The transfer of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nd following changes in command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will have the significant meaning on the change of security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caused by the rise of China. That is because a modification of current operational plans of the Unites Nations Command and the Combined Forces Command would be inevitable, and a new military plan should be established for uncertain threateners besides North Korea. Eventually, China, anticipating all these unavoidable changes, would try to make countermeasures. Therefore, South Korea should develop tactics to effectively use the US-ROK alliance in China-ROK relationship considering the transfer of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he changes in command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and the improvement of South Korea's independent ability to execute war. Finally, it is important that the US-ROK alliance should be modified in adaptation to the latest security circumstances featured by the rise of Chinaand the competition and collaboration among the regional nations. In this context, theU.S. and South Korea should agree on the security of strategic flexibility, the relocation and reduction of the U.S. Forces in Korea, the transfer of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nd the changes in command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and the changes in the role and position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To maintain these strategic course, South Korea, in a short term, should complete the military preparation on the national defense architecture framework including C4ISR for the efficient and smooth transfer of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n a long term, South Korea should extend the role of the US-ROK alliance under the new command system, and gradually reduce the U.S. Forces in Korea until the year of 2020. These plans must be mainly considered when South Korea coordinates the US-ROK alliance after the transfer of the Wartime Operational Controland the national strategy of unified Korea. For the past half century, the US-ROK alliance has been the imperative shield for South Korea,and has been quite unbalanced because of its one-sided relationship. However, South Koreahas achieved extraordinary development in economy and politics and its role and responsibility in international community have thoroughly been changed. Since South Korea holds enough power and influence over controlling the nation's security conditions, it can play a leading role in deciding the national destiny. Hence, the US-ROK alliance should turn into matur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which they deal with North Korea issues and other international affairs collabor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