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주도 하천의 중대가리나무 식생

        최병기 ( Byoung Ki Choi ),류태복 ( Tae Bok Ryu ),김종원 ( Jong Won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5 생태와 환경 Vol.48 No.1

        There is no willow riparian vegetation in Jeju Island, Korea. Instead, a genetically-isolated population of Adina rubella is found in some parts of the riparian system. We describe its syntaxonomy and synecology. A total of 27 phytosociological releves were collected, 11 releves from 91 sites and 16 releves from the previously published relevant materials. Data were analyzed by traditional Braun-Blanquet method and multivariate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New syntaxa are distinguished, Adinion rubellae all. nov. and its type association Tripogono-Adinetum rubellae ass. nov. with two subassociations, typicum and rhododendretosum poukhanensae. Adino-Rhododendretum poukhanensae Itow et al. 1993 was discarded owing to mismatch of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Adina and Rhododendron phytocoena. The alliance Adinion is Jeju’s regional and partly ombrotrophic vegetation occurring in pothole and rock crevice where are independent on ground-water table. We also suggest a revised alliance, Rhododendrion poukhanensae Lee 2004 ex. hoc loco in Korean peninsula, as a corresponding syntaxon to Adinion, which completely differs from Phragmito-Salicion. Finally we pointed out that Adina phytocoena requiring an absolutely monitoring has been threatened by river maintenance project of local government.

      •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Siebold) Danser) 기주식물 다양성 및 부착특성

        최병기 ( Byoung-ki Choi ),양주은 ( Ju-eun Yang ),박민지 ( Min-ji Park ),이채빈 ( Chae-bin Lee ),서연옥 ( Yeon-ok Seo ),임은영 ( Eun-young Yim ),최형순 ( Hyung-soo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겨우살이(Mistletoe)는 교목이나 관목의 가지에 기생하는 단항목에 속하는 현화식물로 우리나라는 단향과의 겨우살이 (Viscum album L. var. coloratum (Kom.) Ohwi), 붉은겨우살이(Viscum album for. rubroauranticum (Makino) Ohwi),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Thunb.) Engl.) 등 3분류군과 꼬리겨우살이과의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Franch. & Sav.)와 참나무겨우살이(Taxillus yadoriki (Siebold) Danser) 등 2분류군을 합하여 2과 4속 5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Kim et al., 2013). 겨우살이는 항암, 항염증, 항HIV 및 면역조절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Mengoni et al., 2002; Ovesnaet al., 2004; Safayhi and Sailer, 1997; Weissenstein et al.,2011). 이 중 참나무겨우살이는 난대·아열대성 상록의 부착식물로 국내에서는 제주도 지역이 유일한 자생지로 알려져 있다(KBIS 2021). 동백나무를 포함해 상록성 수종에 부착하여 기생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수종에까지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Choi et al. 2009, e-Flora 2020, Fukunaga et al. 1989, Lee et al. 2013). 참나무겨우살이는 기주식물의 다양성에 따라 성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성분분석과 관련한 연구에서 삼나무, 녹나무, 참식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수종 간 성분비교에서 참식나무에 기주한 참나무겨우살이가 가지 및 잎 추출물에서 항염증 및 항암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Park et al., 2018a; Park et al.,2018b). 그러나 최근 자생지에서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종 이외의 다양한 기주식물에서 기생현상이 확인되어 참나무겨우살이의 한국 내 기주식물 다양성 및 기생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기주식물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및 난대·아열대산림의 지속적인 관리에 있어 기초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대상지는 제주도 전역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립생물자원관,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등의 공공기관 표본수집 정보를 기반으로 하였다. 현장조사는 참나무겨우살이의 분포 위치정보와 함께 기주식물의 수종, 수고, 부착부위(3단계), 부착가지구분(3단계) 등을 면밀히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참나무겨우살이의 기주식물 다양성은 23속 30종 1변종 3품종 등 39분류군(동정보류 5분류군 포함)으로 확인되었다. 참나무겨우살이 분포가 확인된 지역은 서귀포지역 저지대(해발 200m이하)에 제한되어 있었으며, 347그루에서 참나무겨우살이 기생을 확인하였다. 기주식물 중 자생종이 18분류군으로 전체의 52.9%를 차지하였으며, 외래종도 9분류군, 재배종 12분류군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교목 및 아교목성이 82.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보리수나무, 까마귀쪽나무 5079>등의 관목성인 종에도 기생하였다. 나자식물은 삼나무와 은행나무 2분류군의 5.9%였으며, 상록 활엽수는 참식나무,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등 16분류군의 47.1%, 팽나무, 목련, 감나무 등 하록활엽수도 16분류군의 47.10%를 차지하였다. 부착특성은 수형 중 상부 89개체, 중부 255개체, 하부 20개체였으며, 가지부착은 주 줄기 46개체, 부 가지 225개체, 잔가지 104개체가 확인되었다. 특정 수종의 경우 참나무겨우살이 부착에 있어 배타성을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도동 측백나무군락지의 식물상 및 보전방안

        최병기 ( Byoung Ki Choi ),임정철 ( Jeong Cheol Lim ),이창우 ( Chang Woo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3

        천연기념물 제1호인 도동 측백나무군락지에 대한 식물상 연구를 통하여 측백나무와 함께 지역 고유의 식생을 구성하는 식물종의 다양성을 발굴하고, 생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국가식생/식물자원의 가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도동 측백나무림의 식물상은 67과 147속 199종 16변종, 4품종, 21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출현종 가운데 멸종위기종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IUCN 기준의 취약종인 모감주나무와 약관심종인 측백나무, 가침박달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연구지역은 지질학적 연구에서 비석회암지역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측백나무를 포함한 부싯깃고사리, 금털고사리, 돌좀고사리, 산조팝나무, 분꽃나무, 청가시나무 등의 호석회식물이 다소 많은 수(15종)가 분포하고 있으며, 털개살구, 털조록싸리, 큰구와꼬리풀, 개나리(식재기원) 등 한국 특산식물도 4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어, 지역 종급원 형성에 중요한 서식처의 하나로 판단된다. 귀화식물은 큰닭의덩굴, 소리쟁이, 물냉이, 미국가막사리, 개망초 등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가 3.6%와 2.2%로 대구지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귀화식물에 의한 지역 생태계의 교란위협 정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지역은 측백나무가 고유의 식생경관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뿐 아니라 국내에서 자생하는 측백나무림의 최남단분포지라는 것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서식처를 반영한 고유한 지역식물 구성종들이 독특한 종조성을 형성하고 있어 생태학적 보존가치가 높이 평가되었다. 나아가 측백나무 자생지의 서식처에 대한 질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보존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방안들을 고찰하였다. A plant diversity, which consists of indigenous plant community with Orientla thuja community (Natural monument no. 1) in Dodong, Daegu, is identified and analyzed as ecological characteristic to consider worth plants and vegetation resource of the region. The vascular plants of Thuja orientalis community were listed as 219 taxa (3.7% of all 4,881 taxa of Korean vascular plants); 67 families, 147 genera, 199 species, 16 varieties, and 4 forms. Vulnerable species (VU) and least concerned species (LC) were recorded based on IUCN standard; Koelretueria paniculata (VU), Thuja orientalis (LC), and Exochorda serratifolia (LC). Although the study site is a non-limestone area, a total of 15 taxa of calciphilous plants were identified; Cheilanthes argentea,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Asplenium retamuraria, Thuja orientalis, Spiraea blumei, Smilax sieboldii, etc. A total of 4 taxa endemic plants were identified; Prunus mandshurica for. barbinervis, Lespedeza maximowiczii var. tomentella, Forythia koreana (artificial origin), and Veronica pyrethrina. Among the list, 8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Fallopia dentatoalalta, Rumex crispus, Nasturtium officinale, Bidens frondosa, Erigeron annuus etc. Naturalization rate (NR) was 3.6%, of all 219 taxa of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2.2%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Thuja orientalis occupies a lot of indigenous landscape in this study area which is the southern-limited part of a natural distribution where it can survive. The T. orientalis community, where indigenous plants have formed a characterful species composition based on habitat, has been confirmed as a worth national vegetation resource in an indigeous flora. It has been considered of plans for persistent conservation.

      • KCI등재

        벽방산 산림식생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최병기(Byoung-Ki Choi),허만규(Man-Kyu Huh),김성열(Seong-Yeol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5 생명과학회지 Vol.25 No.6

        벽방산의 산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벽방산은 3개 상관형의 9개 단위식생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단위식생은 상록침엽수림의 해송-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자금우 군락, 하록활엽수림의 졸참나무-홀아비꽃대군락, 신갈나무-우산나물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굴참나무-쇠물푸레나무군락, 비목-물참대군락, 인공조림식생의 사방오리나무식재림 등으로 구분되었다. 벽방산은 지역 최고봉임에도 불구하고 산지 전역이 숲 가꾸기사업, 등산객, 조림 및 육림 등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인위적 간섭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내 식생형 가운데 상대적으로 자연성이 높은 단위식생은 산지대 사면 중부에서 출현하는 졸참나무-홀아비꽃대군락, 전석지에서 확인된 비목-물참대군락 등이며, 산지능선부의 암석노출지를 중심으로 위극상의 천이계열에 해당하는 특산식물군락인 소사나무군락이 분포하고 있었다. CCA분석 결과, 각 단위식생의 발달은 해발고도, 인간간섭, 낙엽부식층, 암석노출율, 경사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위식생의 종조성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로부터 벽방산 산림식생은 인위식생, 이차식생, 근자연식생으로 구분되며, 식생의 발달정도, 토지적 특성, 인위적 식재 및 관리 유무 등에 의해 삼림이 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 phytosociological survey carried out using the Z.-M. School’s methodology and system of numerical-classification analyses, this study sought to classify the syntaxa of forest vegetation on Mt. Byeokbang and to collect basic data on the transitional zones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s coastal region. The syntaxa were classified into three physiognomic types and nine communities, including (1)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Eurya japonica-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Ardisia japon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2) summer-green, broad-leaved forests (Chloranthus japonicus-Quercus serrate community, Syneilesis palm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Carpinus turczaninovii var. coreana community, Fraxinus siebolidiana-Quercus dentate community, and Deutzia glabrata-Lindera erythrocarpa community), and (3) artificial afforestation (Alnus firma afforestation). The Chloranthus japonicus-Quercus serrata community, Syneilesis palm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Fraxinus siebolidiana-Quercus dentata community, Carpinus turczaninovii var. coreana, community and Deutzia glabrata-Lindera erythrocarpa community were closely evaluated for national vegetation naturaln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pinus turczaninovii var. coreana community was endemic to Korea. Most syntaxa were defined as a secondary forestation due to various human activities (e.g., forest fires, logging, digging, climbing, etc.). The results of a canonical-correspondence analysis (CCA) showed that human activities, altitude, humus depth, rock cover ratio, slope, etc. were the main ecological factors determining the classified plant communities’ distribution patterns.

      • KCI등재

        단양군 도담삼봉과 단양석문 일대의 현존식생

        최병기 ( Byoung Ki Choi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2

        명승 도담삼봉(제44호)과 단양석문(제45호) 일대의 측백나무림 및 주변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지역 일대의 식생은 종조성 및 서식처환경에 따라 4개 상관형, 8개 식생단위가 구분되었다: 삼림형(측백나무-회양목군락, 소나무-은조롱군락, 굴참나무-찰피나무군락), 임연형(나도국수나무-미나리냉이군락), 건생이차초지형(큰기름새-민둥갈퀴군락, 잔디-아마풀군락), 암극형(개부처손-돌마타리군락, 금털고사리군락). 식생을 구성하는 총 출현종수는 54과 109속 144분류군이었으며, 환경부 지정 법정 보호종은 출현하지 않았다. 그러나 석회암 지역의 토지적 특성으로 인해 국지적 분포종 및 지리적 분포한계종, 한국 특산종 등이 모든 식생단위에서 높은 빈도와 피도로 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지역 일대의 서식처 환경이 지역적 종급원 및 국가 생물종다양성 확보 측면에서 중요서식공간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식생을 결정짓는 중요환경요인은 토심의 발달, 경사도, 인위적 간섭 등으로 확인되었다. 식생보존등급의 평가결과 측백나무-회양목군락, 굴참나무-찰피나무군락, 개부처손-금털고사리군락 등이 높은 등급으로 나타났다. 경관생태학적 가치를 고려한 보호구역의 선정은 서식처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scription of vegetation cover and floral composition was undertaken in terms of phytosociological study in Dodamsambong (scenic site no. 44) and Danyangseokmoon(no. 45). In this study a total of 17 releves containing 144 tax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ight plant communities are differentiated, grouped into 4 physiognomic types: forest type(Buxus microphylla var. koreana-Thuja orientalis community, Tilia mandshur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Cynanchum wilfor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mantle type(Cardamine leucantha-Neillia uekii community), secondary meadow type(Galium kinuta-Spodiopogon sibiricus community, Diarthron linifolium-Zoysia japonica community), and crevice type(Patrinia rupestris-Selaginella stauntoniana community,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community). The vegetation of Dodamsambong and Danyangseokmoon is characterized by local flora, such as calciphilous plants, geological distribution-limit species, and endemic species. The soil depth, slope, and human impact have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differentiating ecological factors.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Thuja orientalis community, Tilia mandshur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atrinia rupestris-Selaginella stauntoniana community were evaluated highly by National Vegetation Naturalness. In order to restore the value of specific landscape for scenic site, we should improve the problems of protected area such as wrong management on habitat, forest fragmentation by facilities and decline in vegetation by lack of growing the next succession.

      • KCI등재

        천연기념물 문섬의 담팔수 개체군 특성 및 관리방안

        최병기 ( Choi Byoung-ki ),이호상 ( Lee Ho-sang ),서연옥 ( Seo Yeon-ok ),최형순 ( Choi Hyung-soon ),양주은 ( Yang Ju-eun ),송국만 ( Song Kuk-man ),송관필 ( Song Gwan P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1

        문섬은 국내 최대 담팔수 자생지로 알려져 있는 섬이다. 최근 문섬에서 담팔수군락의 병해피해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담팔수 최대 자생지인 문섬지역에 대해 담팔수 개체군의 피해상황과 생육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담팔수 생존개체의 개체군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군락의 자생적 재생가능성에 대해 평가하고, 자생지 복원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문섬에 분포하는 담팔수개체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개체군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개체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수고, 근원경, 흉고직경, 생육상태 등을 면밀히 기록하였다. 문섬에 분포하는 담팔수 개체의 생육상태와 각 개체들의 수고, 흉고직경, 근원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문섬에서 확인된 담팔수 총 개체군 수는 293본이었다. 2005년 문섬 육상생태 환경조사보고서에서 보고한 울창한 담팔수군락은 현재크게 훼손되거나 피해를 입은 상태로 확인되었다. 특히 숲의 수관구조를 이루는 수고 6m이상의 성목에서 피해는 더욱 심각하여성목의 80.6% 개체가 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근원경을 기준으로 숲의 건강성을 지표하는 장령목 생육특성에서도 75.4%가 고사하거나생육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섬의 담팔수 자생지 복원을 위하여 병해충 방제, 성목 보존, 유령목의 적정 간격유지 및현지 외 이식 후 재도입 등의 보존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Munseom (Island) is known as the largest native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in Korea. Recently, disease damage from the E. sylvestris var. ellipticus community has been reported in Munseo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amage situ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E. sylvestris var. ellipticus population in Munse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pontaneous regeneration potential of the community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of surviving E. sylvestris var. ellipticus individuals, and to discuss ways to restore native habitats. A total population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status of E. sylvestris var. ellipticus individuals. The field survey carefully recorded the height of tree, DBH, DRH, and growing status, along with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The growth status of E. sylvestris var. ellipticus individuals distributed in Munseo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ee height, DBH, DRH of each individual were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E. sylvestris var. ellipticus populations identified in Munseom was 293. The dense E. sylvestris var. ellipticus community reported in 2005 has been identified as being greatly damaged or damaged. In particular, the damage was more serious in mature trees with a height of 6m or more forming the canopy layer in the forest, and it was confirmed that 80.6% of the mature trees died. I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old-growth tree, which is an indicator of the health of the forest based on DRH, 75.4% died or the growth condition was found to be poor. In order to restore the native habitat of E. sylvestris var. ellipticus in Munseom, conservation efforts such as pest control, preservation of mature trees, control of the territory of young trees, and reintroduction after ex-situ transplantation etc. are considered necessary.

      • KCI등재

        장도의 식생

        최병기 ( Byoung Ki Choi ),김종원 ( Jong Won Kim ),김성열 ( Seong Yeol Kim ),임정철 ( Jeong Cheol L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4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서단(西端)에 위치하는 장도(면적 1.54㎢)는 고층습원의 발달과 국가적 생물다양성 중점지역 (hotspot)으로 주목받고 있는 생태지역(ecoregion)이다. 본 연구는 장도에 발달하고 있는 식물군락의 다양성을 규명하고, 보전생태학적 식생관리전략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장도 식생은 10개 상관형(physiognomic types)에 총 22개 단위식생(syntaxa: 3개 군집, 15개 군락, 4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현존 습지식생(actual wetland vegetation)은 갈대군강(Phragmitetea)과 벼군강(Orizetea)에 귀속되는 비교적 낮은 자연도(naturalness)의 식물군락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고층습원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의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가운데 구실잣밤나무-가는쇠고사리군집은 장도가 새로운 최북단 분포지(northernmost distribution site)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 및 국가 특산식생형(regional and nation-wide endemic vegetation type)으로 소사나무-흑산비비추군락을 특기하였으며, 토지적 지역식생형(regional edaphic vegetation type)으로 해안 절벽에서 섬향나무-밀사초군락이 기재되었다. 장도는 험준한 섬 지형에도 불구하고 집약적인 인간간섭(방목, 벌채, 산불, 개간 등)이 대부분의 식생형에서 종조성으로부터 밝혀졌다. 그러나 장도는 난온대 속에서의 높은 무상일수와 연평균 최대 안개 일수를 가지고 있는 지역생물기후 특성, 차별침식에 의하여 형성된 함몰 분지에서의 대수층 발달과 같은 토지적 수리수문체계를 반영하는 독특한 식생자원이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장도습지는 보전생태학적 관점에서 그 존재의 가치가 지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장도습지는 습지 지표면의 근본적인 수리수문 체계의 변질을 야기하는 인간간섭에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이에 대한 즉각적인 습지생태계관리 매뉴얼 구축이 요구되었다. Jangdo Island (area 1.54km²) located in the western end of Dadohae Haesang National Park has been recognized as an prominent ecoregion possessing high moor and national biodiversity hotspot. In terms of the Zurich-Montpellier School`s phytosociology, we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plant communities on the island and reevaluate the Jangdo wetland designated as Ramsar site. Ten physiognomic types of the Jangdo`s vegetation were classified into 22 syntaxa (3 associations, 15 communities and 4 subcommunities). Jangdo wetland was actually denominated as ``eutrophic wetland`` by Pharagmitetea and Orizetea rather than ``high moor``. Nevertheless, existence value of the Jangdo wetland is evaluated very high as a stepping stone for migratory birds and even plant dispersions. A new site of the northernmost distribution of Arachniodo-Castanopsietum sieboldii, which is a kind of cold-resistant phytocoenosis among the Camellietea japonicae of the warm-temperate broad-leaved forests, was described. Hosta yingeri-Carpinus turczaninovii var. coreana community and Carex wahuensis var. robusta-Juniperus chinensis var. procumbens community were described specifically as an endemic and an edaphic vegetation type, respectively. The unique Jangdo`s vegetation reflects region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much higher frequency of frost-free days and the highest number of annual average foggy days in Korea and a well-developed aquifer in the depressed basin formed by differential erosion. We identified that human interventions (pasture, logging, forest fire, cultivation, etc.) has been involved intensively on every vegetation types, even though a rugged and inaccessible topography of the island. Particularly the Jangdo wetland has been recently threatened by fundamental distortion on hydrological system. We request an immediate establishment of the conservation prescription manual.

      • KCI등재

        천연기념물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림의 식물생태학적 가치 제고

        최병기 ( Byoung Ki Choi ),이진범 ( Chin Bum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4

        제주도 평대리에 위치한 천연기념물 374호, 비자나무림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방법 및 수리적 분석에 의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나무림이 가지는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한반도 내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비교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지역에 분포하는 식생대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NMDS와 집괴분석법이 활용되었다.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림은 12개의 식물사회학적 조사표를 바탕으로 비자나무-상산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서식처 환경을 반영한 전형하위군락과 가는쇠고사리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식생의 서식처 특성과 비자나무림 발달에 근거를 제공하는 추가적인 진단종군(꽝꽝나무, 단풍나무, 양하, 산쪽풀, 긴사상자, 처녀이끼 등)이 제안되었다. 제주도 내 동일식생대 식생의 종조성 분석 및 국내 기타 비자나무림들과의 좌표결정과 집괴분석 비교를 통해서 평대리 비자나무림은 종조성 및 식생구조에 있어서 매우 독립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외 비자나무림과의 비교에서 평대리 비자나무림이 가지는 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자생지와는 종조성 및 식생유형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평대리 비자나무림에 대한 식물생태학적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국가중요자연자원에 대한 평가규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natural monument forests (no.374) located at Pyeongdae-ri in Jeju island are described and classified by using phytosociological methods and numerical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ecological character of Torreya nucifera forests between natural habitat and artificial habitat, as well as their spatial and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in the Korea. The comparison of forests between Pyeongdae-ri and other regions was analyzed by using a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NMDS) and hierarchical clustering. On the basis of the 12 phytosociological releves, the vegetation of T. nucifera dominant forest in Jeju island was arranged in one syntaxon (Alangium platanifolium-Torreya nucifera community included typicum and one subcommunity) within Camellietea. The community of T. nucifera dominant forests were characterized floristically and ecologically. We discussed diagnostic species with references, and proposed a few important diagnostic species (Ilex crenata for. microphylla, Acer palmatum, Zingiber mioga, Mercurialis leiocarpa, Osmorhiza aristata, Mecodium wrightii etc.) to explain condition of the habitat and synecological character. The communities were described by concerning their edaphical and syndynamical niche; we discussed their total distribution in Korea. In most forests they are widespread in Korean peninsular and their distribution is primarily determined by artificial plantation and periodical management. The forests consisted of T. nucifera have developed from natural environment element and artificial management. As a result they have very unique characters with the floristic,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Furthermore, we identified that they need to apposite management for sustainability.

      • KCI등재후보

        수도암 사찰림의 전나무 개체군 분포현황과 연령구조분석

        최병기 ( Byoung Ki Choi ),이창우 ( Chang Woo Lee ) 한국하천호수학회 2014 생태와 환경 Vol.47 No.3

        This study was aimed at looking into the distribution status and age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population in Sudo-Am temple forest. It was found that a total of 302 individuals of Abies holophylla existed which were more than 2m in height within the study area. Furthermore the population size is one of the largest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The CBH of Abies holophylla ranged from 1.5 cm to 500.8 cm. Age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looks like a gourd-shaped bottle. This means that they have an unstable structure status and do not survive very long. This status results from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vegetation succession, anthropogenic activities, and global warm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bies holophylla population was 931±64.5 m in mean altitude, 19.2±8.7.in mean slope in the northeastern and southeastern area of the slope direction, and 1,324,323±174,459 whm-2 in average of direct normal irradiation. Among the site environmental factors, the significant ones which influence the potential habitat for Abies holophylla distribution were chosen using the MaxEnt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ltitude and slope were found as the important factors. The average valu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by ROC analysis were altitude 903.2 m, slope 20.04., irradiation 1,352.248 whm-2, and the southeastern aspect.

      • 제2분과 : 식물상 및 식생관리 ; 국가 식생보전등급 평가기법과 그 적용

        김종원 ( Jong Won Kim ),최병기 ( Byoung Ki Choi ),류태복 ( Tae Bok Ryu ),이경연 ( Gyeong Yeo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현존식생의 구조는 서식처의 역사성과 자연성을 정밀하게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진단종을 통한 식생분류와 식생단위 체계화는 지역 생태계에서의 서식처에 대한 질적 양적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생태 선진 국가들이 국토관리를 위해서 식생정보를 활용하는 까닭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82년부터 녹지자연도(綠地自然度) 평가를 중심으로 생태자연도(生態自然圖)를 법적으로 고시하여 국토의 건전한 개발과 보전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 수단은 그 평가 항목과 기준이 개념적 정의 수준에 그치고 있음으로써 연구자들 간의 상이한 평가기준 적용과 지역 간 생태자연도의 평가기준 불명확성이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국가 식생자원의 다양성과 그 가치 평가의 궁극적인 목적을 성취하지 못하고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국가 식생자원 평가 수단의 궁극적인 목적을 성취할 수있는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평가기법의 개발에 관한 2012년도 국립환경연구원 제4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서개발 연구용역 수탁과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다항목식생평가기법」(Multicriterion-Matrix Method on Vegetation Assessment)으로부터 진화한「국가식생보전등급」(NVC: National Vegetation Class)의 정의와 범위 그리고 판정 기법이 개발되었으며, 2012년까지 기재된 신뢰도 (fidelity) 높은 단위식생 (syntaxa)을 이용하여 「국가주요식생자원」발굴을 시도하였다. 「국가식생보전등급」은 식생복합체 (상관식생형, 개개 식생조사구, 유형화된 단위식생, 삼림형 등)의 잠재성 요소 평가와 현존성 요소 평가의 조합 (combination)과 순차적 (ordinal)적용으로부터 생성된다. 잠재성 요소 평가는 평가대상 현존식생의 군락생태학적 내재 특성을 포함하는 식생 기원의 자연성 (vegetation origin)과 복원성 (resilience) 정보에 의존하고, 현존성 요소 평가는 평가 대상 현존식생의 보전생태학적 실체적 특성을 포함하는 희귀성 (rarity)과 종조성(weighted species) 정보에 의존한다. 1) 식생기원의 자연성은 잠재자연식생을 정보를 바탕으로 현존식생의 유지 및 발달에 인위적 영향 정도를 평가한다. 2) 복원성은 식생 발달과 회복능 (syndynamic and resilience)에 있어서 소요되는 시간적 길이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한다. 3) 희귀성은 식생의 수직적 (해발고도) 수평적 (위도) 지리분포 양상 정도(extent)를 평가한다. 4) 종조성은 목록화 된 국가 중요 식물종의 존재유무를 평가한다. 여기서 국가 중요 식물종이란 i)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과 II급, ii)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우선 보존대상식물, 멸종위기 보존 후보종, iii) 생태학적 종보전등급 6점 이상의 ‘절대감시 주요감시대상종’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국가식생보전등급」을 이용한 사례 분석에서 우리나라에 현존 분포하고, 정당하고 유효하게 기재되어 있는 식생자원으로부터 국가적 보호 식생자원 즉 「국가주요식생자원」총 268개가 일차적으로 발굴되었다. 본 연구에서 획득된 「국가주요식생자원」을 포함한 미등재 식생자원의 지속적인 발굴과 생태학적 정성화 (定性化) 그리고 이들에 대한 국가적 법제도적 관리전략의 성취가 후속과제로 남는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문헌자료 (국가기관보고서, 학회투고논문, 학위논문 등)를 활용하여 신뢰도 높은 모든 유형의 단위식생 (군락 및 군집수준; 하위단위 포함)을 추출, 다양성을 발굴하였다. 기재된 이들 단위식생들의 질적 속성을 고려하여 식생단위체계를 구분하였으며, 분류된 단위식생에 대해 「국가식생보전등급」(National Vegetation Class)을 적용하였다. 총 405개의 문헌자료에서 획득된 476개 단위식생을 활용하였다. 선행문헌의 분석 결과, 국내에 보고된 단위식생의 다양성은 12개 군계, 45개 상관식생형의 476개 단위식생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한 「국가식생보전등급」 평가 결과 「국가주요식생자원」으로 인정되는 절대감시 1급, 2급과 주요감시 1급, 2급의 식생자원이 발굴되었다. 절대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습지 및 하천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식생, 난온대 활엽수림 등에서 80개 단위식생 (17개 중복단위 식생 포함)이 기재되었으며, 절대감시 2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 염습지식생, 습지 및 하천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난온대 활엽수림등에서 168개 단위식생 (67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다. 주요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염습지식생, 습지하천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초원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난온대 활엽수림 등에서 112개 단위식생 (84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으며, 주요감시 2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염습지식생, 습지하천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초원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인공조림식생 등에서 135개 단위식생 (59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자연도의 1차적 적용사안으로 고려되는 ‘식생보전등급’ 분류기준의 개념적 한계를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가 식생 자원에 관한 연구가 삼림식생형에 편향적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식생형의 본질적 특성으로부터 본래부터 군락의 분포와 크기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특이식생형이 국가식생자원 평가에서 크게 누락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인문역사와 자연역사를 반영하는 국가 식생자원에 대한 발굴이 중요 우선과제로 대두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