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학사교육과 대중서사

        최미진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6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suggest Bricolage Literary History as one of the horizons of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then to study the cross-section of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communicates and the popular narratives. After the 1990s the Korean literature research opened up in earnest to the study on popular narratives, which had been neglected in the past while posing the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extension of modern literature admit of literature crisis. As a literary education, new forms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have been presented in the deconstruction movement, but the field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has not changed despite the narrowed ground. For the result of this problem recognition, the paper investigates bricolage literary history using education for the limited time postwar period. Bricolage-type literary history presupposes a multi-layered structure of literary practices of various subjects. In this regard, the education of postwar literature history should be focused on the ‘process’ itself, which is the confusion and competitions in the literary fields triggered by the Korean War. First, it shall be critically understood that conventional literary history education in the postwar period was biased toward the nationalism and the literary system preempting the literary power. Then, th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t he diversity which was closely integrating with the field of popular narrative. The detailed stages of the popular narrative education are as followed. First is the stage of understanding the interoperability of media environment and popular narratives in the postwar period, and review cross-check with the field of literary system. Second is the stage for contempla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narratives by the medias as well s the communication methods with public readers, attempting to rediscover the critical interpretation and topics. Third is the stage to examine the diversification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and activation of the literature filed by setting the public readers as the subject of creation and enjoyment in education of literature history. Last is the stage of building up the identity by expanding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nd by comparing the literary field at the time to other cultural arts in their naturally and distinctiveness. Further measures still remains in the from of opinions. Even though it is only the beginning, further changes in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is expected as new discussions are added on. 이 글의 목적은 최근 문학사교육과 문학사 기획들을 검토하고, 그 가운데 전후(戰後) 시기에 한정하여 브리콜라주 문학사의 방향과 접근방식을 고찰하는 데있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문학연구의 장은 문학의 위기 속에서 근대문학의 외연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지는 가운데 간과되어왔던 대중서사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문학교육으로서 문학사도 탈구축의 움직임 속에서 새로운 문학사교육이 제안되고 있지만, 문학사교육의 현장은 좁아진 입지에도 큰 흔들림이 없었다. 그러한 문제의식의 소산으로 전후 시기에 한정하여 브리콜라주 문학사교육을 살폈다. 브리콜라주 문학사는 브리콜라주의 정당성에 따라 설계되고 학습자의 비판적 해석력 신장을 위한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주체들의 문학적 실천들이 서로 다른 장(場)과 가치체계들이 교차되는, 다층적으로 구조화된 문학장(場)으로 전제했다. 그런 측면에서 전후 문학사교육은 한국전쟁으로 촉발된 문학 장의 혼란과 경합의 ‘과정’ 자체에 주목해야 했다. 그 ‘과정’을 보다 분명하면서도 다각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하여 문학 장을 분화시키거나 가로지르는 세 가지 장으로 나누어 살폈다. 우선, 전후 문학제도의 장이다. 전후 브리콜라주 문학사는 기존의 문학사교육이 국가주의와 문학권력을 선점한 문학제도의 장에 편향되어 있음을 비판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다음으로, 전후 대중서사의 장이다. 전후 브리콜라주 문학사는 대중서사의 장과 함께 호흡했던 다양성에 주목해야 한다. 대중서사교육의 구체적 단계는 첫째, 전후 매체환경과 대중서사의 연동성을 이해하고 문학제도의 장과 비교 검토하는 단계다. 둘째, 매체별로 대중서사의 특징적 면면과 독자대중과의 소통방식을 고찰하여 비판적 해석과 논제의 재발견을 꾀하는 단계다. 셋째, 문학사교육에서 독자대중을 창작과 향유의 주체로 곧추세워 소통방식의 다각화와 문학 장의 활성화를 검토하는 단계다. 마지막으로, 전후문화예술의 장이다. 전후 브리콜라주 문학사는 문화예술 영역으로 확장하여 이시기 문학 장이 다른 문화예술과의 친연성과 차별성을 비교 검토하여 독자성을 구축해야 한다. 이상의 접근 방식은 아직 시론에 머물러 있다. 성글지만 새로운 논의를 더해가며 문학사교육이 변전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1950년대 라디오 프로그램 ≪인생역마차≫의 성격과 매체 전이 양상

        최미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charater and traasition aspects in those days through “InsengyoukMacha” published in book form, while noting unprecedented popular success of “InsengyoukMacha” in 1950s. This study takes the first edition through the third edition of “InsengyoukMacha” as research objects, while digging and introducing the second and the third edition of the book “InsengyoukMacha”. “InsengyoukMacha” is radio narrative which falls under the story part of the solution program of “InsengyoukMacha”. The contents feature was that first, it was mainly composed of tragic characteristics and the Korean War was taken as a starting point. It seemed to draw a wide appeal to the listeners in a point of visualizing a tragic situation caused by the Korean War based on the real story. Second, it dealt with various aspects of people's lives, and especially placed a great deal of weight on family matters. By taking social matters like reunion of postwar-separated family and reorganization as a modern family system, it aroused people's sympathy. Third, the main characters of conflicts revealed various age and gender gap, especially the part of women was heavy. Women had an aspect of expressing their moral distresses surrounded by a patriarchy ideology rather than that of positive and active personality. Fourth, a social common notion which dominated the postwar Korean society and reinforcement of a patriarchy ideology were concentrated. While these contents and features of “InsengyoukMacha” vividly presenting the social reality faced with those days' radio broadcasting, implied the possibility of the function as ideological mechanism. As we observed the publication of “InsengyoukMacha”, the effect caused by “InsengyoukMacha” was enormous. In watching the internal transition aspect of radio media, “InsengyoukMacha” not only mass produced the programs which had similar formats or titles, but also lead the era of the full-scale real-story play. It is a particular fact that it provided various materials for the writers who would lead the golden age of radio drama in 1960s. Remarkable transition aspect of other media was found in the film production of “InsengyoukMacha” and its box-office success. “InsengyoukMacha” was the first program that filled the gap between the mid 1950s radio as an advanced medium and the popularization of radio programs. “InsengyoukMacha” which showed the possibility of radio drama as an example of contents was quite meaningful as a starting point of opening fields of radio drama and radio documentaries.

      • KCI등재

        1950년대 장덕조의 라디오소설 연구 -<장미는 슬프다>를 중심으로-

        최미진 대중서사학회 2009 대중서사연구 Vol.- No.22

        장덕조의 라디오소설 『장미는 슬프다』는 1956년 12월 1일부터 1957년 1월 26일까지 매일 오후 6시 30분부터 45분까지 서울중앙방송국(HLKA)의 <연속소설> 프로그램을 통해 방송되었다. <연속소설> 프로그램은 1950년대 중반 서울중앙방송국이 종일방송체제로 전환하면서 <연속낭독>류 프로그램의 성공 사례를 총동원하여 신설하였다. 청취율이 높은 시간대에 매일 방송된 이 프로그램에 첫 작품으로 창작 소설 『장미는 슬프다』를 내놓게 된 것이다. 『장미는 슬프다』는 라디오소설의 독자적 미학을 갖추지 못했던 당시에 라디오소설의 형식적 특성을 일부 보여주었다. 대사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다는 점, 방송 매 회당 등장하는 작중인물의 수가 적다는 점, 서사를 주도하고 지배하는 것은 해설자이지만 작중인물과의 구분을 최소화하고 있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특성들은 정확한 메시지 전달에 치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자 한계이기도 하다. 서사를 추동하는 방식에서 청취자들에게 친숙한 연애소설의 문법과 시의성 있는 사건을 활용한 까닭도 라디오방송의 특성에 따른 것이었다. 이를 통해 ‘자녀 있는 미망인’ 노백미의 재혼문제를 집중적으로 담론화하여 1950년대 중반을 살아가던 청취자들에게 ‘지금 여기’의 문제를 적절하게 환기시키고 있었다. 미망인이 어머니로서만 삶을 영위해야 하는지 아니면 여성으로서 살아가야 하는지를 청취자들에게 묻고 있는 셈이다. 지배 권력이 모성 이데올로기를 강화함으로써 미망인의 재혼불가론을 담론화하였다면, 이 소설은 노백미의 애정갈등을 죽음으로 귀결시키는 방식으로 코드화하였다. 그러나 지배적 코드의 틈새에서 비껴가는 코드들 또한 존재하였다. 노백미의 애정 갈등과정이 서사에 반복적으로 드러나면서 지배적 코드를 끊임없이 미끌어져 나와 틈새를 열어두고 있었으며, 부수적 인물들이 추동하는 협상적 코드는 청취자들에게 미망인의 재혼불가론을 조정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시키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노백미의 죽음을 역설적 생존 전략으로 본다면, 숨겨진 저항적 코드를 읽어낼 수도 있었다.

      • KCI등재

        <주간희망>의 도전과 매체전략

        최미진 대중서사학회 2017 대중서사연구 Vol.23 No.3

        이 글의 목적은 <주간희망>을 실증적으로 재구성하여 매체 지향과 전략을 밝히는 데 있다. <주간희망>은 1955년 희망사에서 공격적인 잡지연쇄전략의 일환으로 창간되었고, 언론인 위주의 편집동인 체제를 구축하여 2년 이상 정기적으로 발간되었다. “신문적 잡지, 잡지적 신문”을 내건 <주간희망>의 편집노선은 <새한민보>(1947년 창간)의 저널리즘 정신을 계승한 해설저널리즘에 있었다. 그것은 저널리즘의 공정성과 공공성을 회복하며 대중독자의 지식 요구와 교양 함양에 이바지하고 새로운 여론문화를 조성하는 것이었다. <주간희망>의 매체전략은 해설저널리즘의 독자성과 대중성을 강화하는 데 두었고, 초대 편집국장 시기에 보다 실험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운영되었다. 해설저널리즘의 특성화 전략은 논평의 비중을 높이는 동시에 전문화와 다양화를 꾀하여 수준 있는 여론 조성에 조력하였다. 대중성 강화전략은 뉴스의 연성화, 인터뷰 기사의 확대, 대중교양과 취향의 다변화를 각각 꾀했다. 그것은 <한국일보> 일요판의 상업화 전략과 적잖은 접점을 드러내며 독자대중의 자발성과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2대 편집국장 시기 편집노선의 부침이 자심했고, 동인들의 이직 등 거듭되는 악재 속에서 발행 지연이 잦았다. 혁신호를 기점으로 재부상을 꾀했지만, 1958년 9월 <주간희망>은 희망사의 경영악화와 우회적 정치적 압력 속에서 예고 없이 폐간되었다. 그럼에도 <주간희망>의 의의는 1950년대 전후사회에서 특유의 주간지문화를 보여주었다는 데 있다. 주간지가 지향해야 할 저널리즘 정신과 당면한 상업화 요구를 창조적 기획력과 공격적 경영전략으로 대중독자와의 소통을 이어나갔다. 나아가 그것은 1960년대 주간지시대를 이끌어나갈 인적 인프라 구축과 콘텐츠 개발에 혁혁한 자양분이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