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억의 ‘창작적 역시’의 사적(史的) 의미

        최라영(Choi, Ra-young)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4 No.-

        이 연구는 계보상으로 뚜렷한 작가들만을 중심으로 우리 근대시사를 이야기하기보다는, 우리의 근대시형, 시체 형성에 있어서 그 기본적 바탕이 되었으면서도 부각되지 못해온 근대시 형성의 주역인 김억의 역시와 그것의 시사적 의미를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즉 이 글은 김억이 서구시의 주체적 수용과 우리 근대시의 창조라는 당대 시대적 요구를 그의 창작적 역시를 통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실천하였는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그 작업은 김억의 『기탄자리』를 중심으로 하여 타고르의 『GITANJALI』, ?野三良의 『印度新詩集』, 한용운의 『님의 침묵』의 시편들을 비교하면서 우리의 근대 종교적 산문시형, 시체가 김억에 의해 ‘주체적으로’ 형성되고 한용운에 의해 그것이 발전적으로 전개되는 특성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김억의 창작적 역시가 ‘원어역’임을 확인, 검토하였으며 고전시가에서 근대시로의 이행기에서 그의 창작적 역시가 지닌 문학사적 의미를 조명해 보았다. 무엇보다도 김억의 『기탄자리』는 우리나라 최초 서구근대시 원어역시집이면서 번역의 수준이 오늘날의 전문가급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김억의 『기탄자리』의 발간 이후 두 해 후에 출간된 한용운의 『님의 침묵』?역시 김억의 창작적 역시형, 시체, 시어법을 보여준다. 단적으로, 김억이 원시의 시적 대상을 절대적 존재로서 간주하여 극존칭의 ‘-습니다’체를 선택하고 ‘아아-구문’과 ‘-습니다’를 활용하여 종교적 산문시 특유의 유장한 리듬을 만들어내는 방식은 한용운 산문시의 언어구조에서도 주요한 특성으로 전개되고 있다. 한용운은 김억이 고안한 우리식 종교산문시의 일관된 ‘습니다체’를 자신의 종교적 산문시의 시형, 시체로서 수용, 그것을 발전적으로 전개시켰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Kim-eok"s poetry-translation and its historic meaning in the point of view that he is the driving force in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His poetry made the found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nonetheless his contribution to Korean poetry has not been stood out. In other words, it examines how he meets the demands of the times, the independent acceptance of Western Modern poetry and the cre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through his creative translation, Concretely, it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that he made modern poetic style and the form of religious prose poem independently then Han Young-Un developed it, by making a comparison between the poetry of Tagore"s 『GITANJALI』? and Han Young-Un"s ?『Nim-eu-chim-mook』?(his silence) and Masino Saburo"s ?『印度新詩集』?(anthology of Indian new poetry). It reviews the historic meaning of Kim-eok"s creative translation in Korean literary genealogy and examines his creative translation was not a retranslation from Japanese translated by a Japan scholar to Korean but a direct translation from English to Korean. Above all, Kim-eok"s 『GITANJALI』 is excellent even if compared with that of today‘s expert translator as the first translated book in Korean and direct translation. We can also find his poetic style in Han Young-Un"s ?『Nim-eu-chim-mook』(his silence) published two years later after Kim-eok"s?『GITANJALI』. Simply put, Kim-eok uses the most honorific title (‘seumnida’) and ‘ar-’ sentence structure to make lengthy rhythm matching to religious prose poem, and then it develops in the linguistic structure of Han Young-Un"s prose poem as a major characteristic. Han Young-Un had accepted Kim-eok"s writing style ("seumnida") and developed it as a poetic form and a writing style in his religious prose poetry.

      • KCI등재

        박인환의 시와 W.H. 오든의 󰡔불안의 연대 The Age of Anxiety󰡕의 비교문학적 연구* - ‘로제타’의 변용과 ‘불행한 신’의 의미를 중심으로 -

        최라영(Choi, Ra-Young)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8 No.-

        Park In-hwan gives much value to 󰡔the Age of Anxiety󰡕of Oden by introducing Oden group’s poetry and poetics in his poetics. He argues the stream of modern poetry focused on the ‘anxiety’ and ‘agony’ of modern people who lives before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rough indicating that the contemporary literature has tendency of the ‘system of anxiety’. There are many motives of 󰡔the Age of Anxiety󰡕 such as ‘dying women’, ‘seven ages as a meaning of time and space’, ‘dialogue in the pub’, and ‘monologue to the God’ in his poetry. Especially, conceptions related with ‘the seven ages’, and ‘the God’, main motives of 󰡔the Age of Anxiety, are important to examine his imagery of ‘consciousness of anxiety’ and ‘the God’. He uses frequently ‘anxiety’ and ‘unhappiness in his verse and prose, and makes imagery of ‘consciousness of anxiety’. he shows his constant aims to the ‘wretched God’ in those works. Especially, he deals with ‘Rosetta’ who is one of the four main characters of 󰡔the Age of Anxiety󰡕 and focuses on the love of her and her lover’s death. The feature of dealing with ‘Rosetta’ shows that it has connection with his ‘wretched God’. In addition, it can be contrasted with the imagery of Oden’s ‘Rosetta’ and ‘the God’. This essay examines ‘humanism’ of Park In-hwan’s poetry by viewing ‘Rosetta’ of 󰡔the Age of Anxiety󰡕 and the meaning of his ‘wretched God’ by comparing it with ‘the God’ of Oden. Oden describes ‘Rosetta’ as a guide to the Garden of Eden and a humane woman. Meanwhile, Park In-hwan describes ‘Rosetta’, ‘an angel who stop breathing’, as a dead object failed to be protected. ‘Rosetta’ of Oden is a guide to Eden but ‘Rosetta’ of Park In-hwan is a guide of a poet by giving his condolences. In other word, he pursues ‘the God’ by giving value to love, death, and condolences which are humanistic. Park In-hwan can be called as a realist, but Oden can be called as an idealist. Park In-hwan’s imagery is contrasted with that of Oden who pursues ceaselessly paradise made by God after assuring the ugliness of human and this world. The imagery of ‘Rosetta’s ‘God’ is not in the mind of ‘me’ and ‘people’, but in the outer world of people as a ‘powerful’ existence. This is related with the figure of God that punishes human who brought about the worst situation such as war. The ‘God’s world’ of ‘Rosetta’ is an Eden located far away and cannot be reached at in spite of constant hunting by characters including ‘Rosetta’. Consequently, characters of Oden seek only outer world where their soul can avoid agony or seek God’s world where they can be rescued. Meanwhile, it is not outer world but his inner world where is painful real self that Park In-hwan seek ‘humanism’ and ‘sanctity’. The ‘God’, to him, is an existence who exists in the poor. His ‘unhappy God’ is an existence who listens to his scream and gives condolences in the circumstance of his reporting horrors of the Korean war and witnessing the death of friends. 이 글은 󰡔불안의 연대󰡕의 ‘로제타’의 발화와 관련하여 박인환의 시에서 초점화되는 ‘인간적 가치’를 조명하고 ‘일곱단계’의 의미와 관련하여 오든이 형상화한 ‘신’과 대비하여 박인환의 ‘불행한 신’의 의미를 살펴보 았다. 오든은 ‘로제타’의 사랑을 초점에 두기보다는, 파멸되어가는 인간 세계들을 확인하고 신의 에덴을 향하지만 끝내 절망하는 모습을 초점화 하고 있다. 그런데 박인환은 오든의 인물들 중에서 ‘인간애’를 충만하게 보여주는 ‘로제타’라는 여성의 인간적인 사랑과 애도를 부각시켰다. ‘로 제타’의 변용과 대비되는 박인환의 ‘호흡이 끊긴 천사’는 시인이 지켜주 어야 하는 대상이었으나 그렇지 못하고 죽어버린 여성이다. 그는 사랑하는 이를 향한 애도를 초점화되며 애도하는 이의 ‘불행한’마음 속에 있는 ‘호흡이 끊긴’ 사랑하는 이에게서 ‘천사’ 곧 ‘신의 속성’을 발견한다. 즉그는 여인과의 사랑과 애도와 같은 ‘인간적인 가치들에’ 의미를 부여하며 그것들 속에서 ‘신적인 것’을 찾고 있다. ‘로제타’의 변용과 함께 유의성을 지닌 재제는 ‘일곱단계’를 들 수 있다. ‘일곱단계’는 “불안의 연대”의 2장과 3장의 제목이자 각 장의 구성원 리이다. ‘일곱 단계’의 의미는 1,2차 세계대전 및 6.25전쟁이라는 역사의 비극적 단계를 나타내면서 성경에서의 ‘일곱’, 즉 인간세계의 환난의 극단 혹은 신의 재림에의 희망이라는 상반되면서 양립적인 뜻을 나타낸다. 오든은 ‘일곱단계’의 구성을 경유하여 인간세계에는 어떠한 희망도 부재 하며 강력한 ‘신’의 처벌만이 있을 뿐이라는 철저한 절망을 형상화한다. 그 절망의 여정에는 유년기의 ‘엄격한 부모’의 형상이 자리잡고 있다. 유년기의 불행이 형상화된다는 점에서 오든과 박인환은 유사성을 지니지 만, 오든의 ‘엄격한 부모의 상’과 대비적으로 박인환은 ‘연민의 대상이자 분신으로서의 부모의 상’을 보여준다. 두 시인에게서 ‘신의 온정’의 세계를 향하는 길은 결핍 혹은 상처를 입은 인물들의 유년기 자아의 문제 즉 ‘일곱단계’의 여정 속에서 의식, 무의식적으로 떠올랐던 ‘부모의 형상’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즉 오든의 인물들은 시공간적 여행 속에서 심층적 이해가 결핍된 유년기 자아의 관점에서 과거의 상처만을 기억해내는 일에서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그들은 인간들의 결점과 죄, 폭력과 전쟁의 사태를 일일이 들추어내면서 ‘엄격한 훈육’과 환치되는 인류를 처벌하는 신의 자취들을 발견하면서 다만 두려움 속에 허우적거리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박인환이 전쟁의 공포 속에서도 함께한다고 의식하는 신의 형상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그는 ‘친우’와 ‘가족’을 염려하는 자리에서 자아의 내면을 응시하고 ‘신’ 을 부르며 ‘불안’으로부터 안정감을 찾는다. 즉 그의 ‘신’은 ‘불안한 신’이자 ‘불행한 신’이다(그의 작품들에서 ‘불안’과 ‘불행’이라는 말은 혼용되며 그 둘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그것은 ‘절름발이 내 어머니’와 유사하게 그 자신의 내면에 자리잡은 분신으로서 나타난다. 그의 ‘신’은 고통스런 현실에 처함에도 자아에 내재된 ‘인간적인 가치들’을 인식하고자 하는 절박함 속에서 부상한다. 오든의 ‘로제타’의 ‘신’은 ‘나’와 ‘인간들’의 마음 속에 있다기보다는, 인간들 세계의 외부에 있는 ‘강력한’ 존재로서 구체화된다. 그는 전쟁과 같은 최악의 상황을 초래한 인간들을 처벌하는 신의 흔적들을 발견하며 낙원으로부터 쫓겨나 막막한 인류의 상황을 확인한다. 한편, 박인환은 사랑과 애도와 같은 ‘인간적 가치’에 의미를 부여하며 그것에서 ‘신성한’ 의미를 찾는 ‘현세주의적 경향’을 보여준다. 이것은 인간세계의 추악한 면과 신의 처벌상을 확인하고서 자신들을 구제할 신을 부르는 오든의 ‘관념주의적 경향’과 대비된다. 박인환에게 ‘불행한’(혹은 ‘불안한’)과 ‘신’ 이 결합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불행한 나’의 ‘신’ 즉 ‘불행한 인간들의 마음에 존재하는 신’이기 때문이다. 그의 ‘불행한 신’은 ‘1950년대 사절단’ 으로서 전쟁현실을 보고하고 친우들의 비참한 주검들을 목도하면서 불렀던 절박한 토로처이기도 하였다. 이것은 ‘현대시의 의의’를 “전후적인 황무지 현상과 광신”에서 “더욱 인간의 영속적 가치를 발견하는”것 즉 ‘인간의 가치’에 대한 그의 신념과 관련된다.

      • KCI등재

        ‘암시된 저자The Implied Author’와 ‘(비)신뢰성(Un)reliability 문제’ 고찰

        최라영(Choi, Ra-young)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3

        The arguments about the implied author and (un)reliability are divided into two positions: One is the reader-oriented position and the other is the author - oriented position. Scholars such as Chatman, Nünning, Yacobi argued from the former position, and scholars such as Booth, Phelan, and Shaw argued from the later one. Chatman, first of all, considered the implied author as a related matter with communication by regarding it as a subject of the organization of the ‘Narrative Communication Diagram’. After the criticism on the substantiality, later on, Chatman defined it as the ‘intent’ and weakened characteristic of the author’s ‘personification’. Nünning, on the other hand, strongly denied the concept and the function of the implied author, emphasizing diverse reference frames of the readers as its substitute. However, changing his focus to ‘unreliability’, Nünning indirectly admitted the concept afterwards by showing ‘the authorial agent’. Yacobi also emphasized the ‘implied author’ and the author-oriented ‘genetic reading hypothesis’ while arguing that the ‘implied author’ is the essence in investing the ‘unreliable narration’. Booth revealed, before his death, that he dedicated his whole life for communication. In fact, those concepts on the implied author are valid outputs, which Booth had modified through many arguments. Phelan also supported Booth’s opinion by emphasizing ‘personification’ in his later discussion. He showed a critical opinion in understanding the implied author from the functional perspective and he defined the implied author as a continual ‘authorial agency’ with emphasis on activity and personification. Later, Shaw explained the process of reader’s comprehension by replacing the ‘implied author’ with ‘narrator"s mind’ which was approved by opponent scholars. In other words, Shaw confirmed the category of the subject of actions on the right side of the diagram while imaging the ‘mind’ on the left side showing the ‘real author’, the ‘implied author’ and the ‘narrator’. Examining arguments and conversions about the ‘implied author’ and ‘(un)reliability’, it seems clear that the concept of ‘implied author’ is not only Booth’s, but it is also a complex concept composed of diverse applications, critics, supports, and renewals of Booth’s concept. Especially, the ‘implied author’ has been revived recently in the demonstrations, with the focus on Chatman’s ‘Narrative Communication Diagram’, of the complex and deeply rooted reading process of the readers. Recently, Phelan, Yacobi, and Shaw have taken both the reader-oriented position and author-oriented position and agreed that the ‘personification’ of the ‘implied author’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readers concrete apprehensio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the ‘implied author’ has become effective to understand the narrator’s (un)reliability.

      • KCI등재

        김춘수 무의미시 연구 -“서술할 수 없는 것the unnarratable”을 중심으로

        최라영 ( Ra Young Choi ) 한국비교문학회 2012 比較文學 Vol.56 No.-

        This study examines Kim Chun-su`s nonsense poetry focused on the concept and types of “the unnarratable”. Also, based on the essence of “the unnarratable” and by examining existing theoretical studies, this study categorizes it into four types-social taboo, individual trauma, literary convention, and linguistic limits, And Being based on these categories, the examples of “the unnarratable” shown in his poetry were examined. The “linguistic limits” type of “the unnarratable” appears extensively in Kim Chun-su`s early works. Also, the theme of “the unnarratable” in his 「CheoYong -DanJang」, a reflection of his pursuit to nonsense poetry, is related to the “nonsense phrases”. Bearing in mind the “nonsense phrases” that appear repetitively in 「CheoYong-DanJang」, an examination of the origin of “the unnarratable” reveals that it is a combination of the physical and emotional scars as a result of his personal experience as a prisoner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Here, “the unnarratable” take forms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parenthesis”, He used many parentheses as a word and a mark itself in 「CheoYong-DanJang」. By examining the predicates that create nonsense phrases, we can read his awful nihilism, mentality of “the unnarratable”, which affects him every writing moment.

      • KCI등재

        김억의 창작적 역시가 근대시에 미친 영향

        최라영(Choi, Ra-young) 한국어문학회 2014 語文學 Vol.0 No.123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Kim eouk’s creative direct translation on Han Yong-Woon’s writing style. Kim-euk used a respect form, ‘seumnida’ (습니다체), coherently in the translation of Tagore’s religious poetry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physical and religious poems. He also used a word, ‘ar-ar’, before address terms and predicate verbs repeatedly to express main contents effectively and show the earnestness of a truth-seeker. This style of writing, creative translation of prose poems, can be found in the ‘Nim-Eu-Chim-Mook’ published at the next year of his publishing ‘collected translation book of Tagore’s poetry’. There are the styles of religious prose poem such as ‘seumnida’, repetition of ‘ar-ar’, uniqueness of translating and using link words, and predicative sentence. These characteristics is similar to his writing style in translating Tagore’s poetry. Considering his poetic diction, poetic imagery making and writing style in his works written before ‘Nim-Eu-Chim-Mook’, he mastered the type of religious prose poetry from Tagore’s poems and developed it as the form of the Korean modern prose poetry. He made his ingenious and practical writing style. It is significant that his writing style has the source not in Japanes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in the independent mastering of western modern poetry and in the Korean original poetry. Consequently, it is obvious that Korean modern poetry formed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autogenous and creative tradition.

      • KCI등재

        김억의 번역과 번역관 연구 : 『기탄자리』를 중심으로

        최라영(Choi Ra-young)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이 글은 타고르의 『GITANJALI』와 김억의 『기탄자리』 그리고 일본인 増野三良의 『기탄자리』 번역인 『印度新詩集』를 비교하면서 논의하였다. 김억의 『기탄자리』는 원시로부터의 '직접' 번역임을 확인하였으며 増野三良의 번역과는 차별화된 문학성을 지닌 번역임을 알 수 있다. 김억의 『기탄자리』는 '원어역'일 뿐만 아니라 생경한 표현이나 오류가 아주 적으며 원문의 내용적 깊이를 살려내는 것이다. 이 점은 김억의 『잃어진 진주』와 비교할 때 『기탄자리』역이 진일보한 부분이다. 그의 번역에서 문학적 함축성을 고려한 특성은 시 전체에서 유의성을 지니고 반복되는 '지시대명사'와 '인칭대명사'의 의역을 통해서 확인된다. 문학적 함축성을 살리는 섬세한 언어 구사 그리고 우리말로 된 자연스러운 구어체의 실현은 김억의 창의적, 주체적 번역의 주요특성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Rabindranath Tagore's Gitanjali, its Korean translation, also called Gitanjali by Kim, Eok, and the New Anthology of Indian Poetry(印度新詩集), a Japanese translation of Gitanjali by Masno Saburo(增野三良), on a comparative basis. It finds that Kim, Eok's Gitanjali is a direct translation of the original, distinguishing it from Mazno's translation in terms of literary value. Not only is Kim's Gitanjali translated directly from original text, unfamiliar expressions and errors in translation are minimal, allowing it to convey to the reader the textual richness of the original. Compared to Kim, Eok's The Lost Pearl, the translation of Gitanjali marks a major step forward. The characteristics of Kim's translation in regard to literary implications is clearly visible in the meaningful repetition of direct translations of demonstrative and personal pronouns. The finesse command of vocabulary retaining the subtle literary implications of the original, and the natural colloquial style of literature are the main traits of Kim, Eok's creative and unique style translation.

      • KCI등재

        박인환 시에 나타난 "청각적 이미지" 연구- "소리풍경soundscape"을 중심으로

        최라영 ( Ra Young Choi ) 한국비교문학회 2014 比較文學 Vol.0 No.64

        소리의 역사와 소리관련용어의 조명은 최근, 건축, 음향, 음악 등의 분야에서 현실의 실제소리와 소리환경과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이 관점에서 ‘소리풍경soundscape’은 주로 연구의 한 분야로서의 ‘소리환경sound environment’을 의미하고 있다. 그런데 문학작품에서 형상화된 ‘소리풍경’은 현실의 소리들이 인물을 자극하고 자각시키거나 혹은 그것이 인물에게 내면화되는 방식이 유의성을 지닌다. ‘소리풍경’이 “청각적 측면에서의 ‘풍경landscape’의 등가물the sonic equivalent of landscape이라고 할 때, ‘풍경’이 단일한 한 시각에서 보여질 수 있는 장면반경an scenery that can be seen in a single view을 뜻한다면, 문학작품에서의 ‘소리풍경’은 청진자들에 의해 지각되고 이해되는 의식, 무의식까지를 포괄할 수 있는 소리환경으로 확장시켜 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소리sound’와 관련한 관점에서 박인환의 시편들에서 유의성을 지니는 ‘청각적 이미지’들을 고찰해 보면서 그의 삶과 작품에서 ‘문명’과 ‘전쟁’을 중심으로 그의 시적 상상력과 사유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박인환 시에서는, 문명이 인류에게 가져올 무정형적인 힘의 향방 혹은 문명의 이기가 초래할 것에 관한 불안의식이 ‘고막을 깨뜨릴 듯이 달려오는’ ‘전파’라는 소리풍경으로 형상화되었다. 특징적인 측면은 그는 현재의 일상 속에서 과거와 미래의 모습을 끊임없이 떠올리면서 현세계가 처한 상황에 관하여 인식하려고 하는 점이다. 이와 함께 또하나의 측면은 그가 속한 당대 현실 속에 내재하는 모순과 부조리한 지점을 들추어내어보는 점이다. 이것은 시인과 같은 지식인들, 혹은 당대의 특혜받은 사람들과는 달리, ‘죽음’의 전쟁터로 향하는 ‘농부의 아들들’이 부르는 ‘군대의 합창’을 들으며 자괴감을 느끼는 장면으로 표현되고 있다. 그의 시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폭음’은 전쟁의 특성을 나타내는 ‘소리표지soundmark’이자 전쟁터의 ‘주조음keynote sound’이다. 그런데 이것은 그의 의식, 무의식상에서도 변함없이 들리는 ‘내귀의 폭풍’이라는 특징적 ‘소리풍경’으로 나타난다. 그의 시에는 전쟁의 폭음으로 인해 불면하는 속에서 ‘파멸한다는 것’과 ‘생에 한없는 애착을 갖는 것’, 즉 죽음에의 충동과 생에의 충동이라는 극한적 감정이 교차하는 자신의 모습에 대한 응시가 드러나 있다. 박인환은 언제나 과거와 현재를 통하여 미래의 세계를 비추어보며 또 현상세계와 저 너머의 것의 틈을 비추어보며 문명세계의 표면과 이면을 들추어보는, 그의 표현대로라면 ‘분열적 정신’의 상태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그의 시작방식은 ‘의식의 흐름’의 기법과 유사한데 그것은 그가 듣고 보고 느끼는 통합되지 않는 모순적 국면들에 대한 시선들을 고스란히 담아내려 하기 때문이다. 그에게 ‘목마의 방울소리’는 작가가 전쟁으로 고통받고 상처입은 동시대 사람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며 잠시의 내적 평안을 갖도록 하는 하나의 ‘소리풍경’이다. 그 소리에는 꿈을 꿀 수조차 없는 절박한 세계에 속한 사람들이 그럼에도 한 줌의 꿈과 환상을 갖도록 만드는 힘을 지닌다. 이러한 ‘공명’이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으며 그 공명을 내는 방식이란 시인 박인환에게는 바로 ‘시’를 쓰는 것이었다. This study examines Park In Hwan``s poetic imagination and thought focused on the ‘civilization’ and the ‘war’ shown in his poetry at the perspective of ‘sound’ and ‘soundscape’. In his poetry, the uneasiness about the course of amorphous power or things that civilization cause to humankind are expressed through the ‘soundscape’ as ‘coming as if to rupture the eardrum’ and ‘radio wave’. It is characteristic that he tried to appreciate the situation which he was faced thinking constantly the past and future based on his present daily life. It is another characteristic that he dug out the contradiction and irrationality of the day that he belonged. The ‘explosive sound’ shown frequently in his poetry is the ‘sound-mark’ that expresses the war but also the ‘keynote-sound’ of a battlefield. By the way, it is shown as the ‘soundscape’, ‘a windstorm in my ear’, that is heard consistently from hi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re are ‘destructions’ and ‘a showing a strong attachment to life’ suffering from sleeplessness caused by explosive sound of war in his poetry, that is to say there is expressed his contemplation of himself who is in the mood of an extreme confrontation of impulse to death and life. The way of his poetry creation is similar to the technique of ‘a stream of consciousness’. He tried to express in full the contradictory aspects seen, heard, and felt by himself. ‘The tinkling of a bell from wooden horse’ in his poetry is a ‘soundscape’ that comforts him for a moment through soothing the contemporary people suffering from the war. It has the power to enable people who are in despair and cannot have a dream to have a faint hope and a vision. He regarded this ‘resonance’ as the power that makes human beings to have human dignity.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his creation of poetry was the way of actualizing that attachment.

      • KCI등재

        "서사론"의 개념과 역사 고찰

        최라영 ( Ra Young Choi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6

        이 글은 ‘서사’와 ‘서사론’에 관한 개념범주들을 고찰하고 이와 관련한 ‘서사론’의 역사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프린스에 의하면, ‘서사론’의 개념은, ‘서사론’을 ‘내러톨로지’로서 처음 명명한 토도로프의 구조주의적 관점, ‘서술론’을 ‘소설의 분석’과 관련하여 정밀, 체계화한 주네뜨계열 이론가의 관점, 그리고 최근 서사론자들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서사연구를 확장시키는 동향에 부합한 발(Bal)적 관점에서 범주화된다. 한편 코블리의 ‘서사론’의 개념은 프린스가 정의내린 것과 비교할 때 서사론의 텍스트를 ‘소설’, ‘신화’, ‘설화’ 등에 한정짓지 않은 포괄적인 것으로서 규정하고서, 1960년대 이후 번성한 구조주의적 서사론을 서사론의 특정 범주로서 다루고 있다. 서사론의 개념범주에 관한 이같은 입장 차이들은 서사론의 역사기술에 있어서도 반영되고 있다. 즉 서사론의 역사에 관해서 구조주의적 서사론을 중심으로 정리하면서 주네뜨, 슈탄젤 등의 이후를 서사론의 쇠퇴기로 보는 입장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구조주의 중심의 서사론이 구조와 형식에 치우친 측면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서사론의 범주를 확장한 ‘서사 전환’, 즉 현재의 융복합적 접근방식의 서사론을 중심에 두는 입장이 있다. 전자의 서사론의 역사를 정리한 기술로는, 후스터레이, 허만의 것을 들 수 있으며 후자의 것으로는 코블리, 플루더닉의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기존 서사론의 역사기술에서 역사주의적 관점이 결여된 점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맥헤일의 서사론의 역사 논의를 들 수 있다. 최근, 서사론의 개념들과 서사론의 역사기술들의 전개양상을 살펴볼 때 서사론의 서사 개념은 말로 된 것과 글로 된 것을 아우르고 있으며 소설중심의 허구적 서사를 넘어서서 논픽션, 법, 정신분석, 영화, 음악, 미디어 등 출현했거나 출현 가능한 서사들을 그 대상으로 삼고 있다. 서사론의 역사는 ‘서사’가 무엇을 의미하느냐를 너머, 누구를 위한 것이며 또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와 관련하여 광범위한 영역으로까지 전개되어왔다. 즉 ‘서사론’의 분야와 연구방향도 ‘소설론’으로서의 내러톨로지(Narratology)로부터 포괄적 영역의 서사들을 아우르는 서사이론(Narrative Theory)으로 심화, 확장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narrative’, ‘narrative theory’ and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The concept of Prince`s ‘narrative theory’ can be explained by the arguments of Todorov who mentioned ‘narratology’ for the first time at the point of structural view, the arguments of Genette who systematized ‘narrative theory’ on the ‘analysis of novel’ at the point of a theorist, and Bal`s arguments, which accord with the trend of diverse and widening studies on ‘narrative theory’ by recent narrative theorists. Meanwhile, compared with Prince`s definition, Cobley defines comprehensively the text of ‘narrative theory’ as novels, myths and tales. He argued ‘narrative theory’ at the point of structuralism boomed after 1960s. These gaps of stance on the concept and category of ‘narrative theory’ can be found at the historiography of ‘narrative theory``. In other words, organizing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at the point of structuralism, the period after Stanzel is regarded as a decline phas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argument, the ‘narrative turn’, which extends the category of ‘Narrative theory’ and criticizes ‘Narrative theory’ focused on structuralism is biased to structures and forms. Arguments based on the ‘narrative turn’ is relevant to current’s ‘narrative theory’ that sets a high value on convergent and integrative approaches. Hoesterey and Herman arranged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which is argued at the point of structuralism. Cobley and Fludernik arranged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which is argued at the perspective of the ‘narrative turn’. There is also McHale`s argument that criticizes the absence of Historicism on the description of narrative theory’s history. Examining recent concepts of ‘narrative theory’ and developments of the description on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the concept of narrative on the ‘narrative theory’ encompasses all objects whether it is verbal or written. In addition, It encompasses nonfiction, law, psycho-analysis, cinema, music, media, exceeding the fictional narrative focused on novels. The history of ‘narrative theory’ has developed to extensive fields, from the concept of what is ``narrative`` to the concept that for whom it is and what influence it have. Namely, The field of ‘narrative theory’ and study of that also extends from narratology as a ``novel theory`` to ‘narrative theory’ that encompasses comprehensive fields of narratives.

      • KCI등재

        경험학습을 통한 카페 매니저의 전문성 발달과정 연구

        최라영(ra-young, Choi) 한국공공사회학회 2020 공공사회연구 Vol.10 No.4

        이 연구는 내러티브 연구기법을 활용하여 카페 매니저의 경험학습을 통한 전문성 발달과정을 분석하였다. 먼저 발달장애 바리스타 커피전문점 매니저의 경험은 우연한 기회, 상호간의 관계지각, 관찰을 통한 적응, 감각적인 역할자, 선학습을 통한 학습전이, 알아차림의 특성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매니저의 전문성 발달 과정을 살펴보면 입문기, 변화기, 확장기, 적응기 등의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각 단계에서는 문제 상황에 개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해결하는지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매니저의 경험은 카페라는 ‘환경’과 각기 다른 사회적 맥락 속의 대상들 간의 ‘관계’사이의 교호작용으로 인해 형성된 것이다. 둘째 매니저의 학습이 전문성 발달과정에서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먼저, 경험학습은 커피전문점의 매니저로서 고객과 소통의 도구이고, 발달장애 바리스타들을 사회구성원으로 살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을 지는 동인이며, 일터에서는 자신의 역량을 인식하고, 확장적 사고를 위한 성찰로 전문성을 발휘하는 특정 조건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arratively the development of coffee shop managers working with baristas who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Experiential Learning. The Experiential Learning characteristics of these managers were happenstance, interrelational perception, adaptive through observation, sensuous role, transfer of learning through pre-learning, and awarenes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it consists of four stages: beginning stage, changing stage, expansion stage, and adaptation stage. In each stage, how managers perceive problematic situations and how they solve are presented. This study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managers’ experiences are made by reciprocal reaction in the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 as a coffee shop and subjects in different social contexts. Secondly,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managers’ learning on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they, as a coffee shop manager, are a sort of communication window with customers; from a social perspective, are an agent who has social responsibility for helping barista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e as a social member; and are a unique condition of social return for rewards obtained until they perceive the exertion of their competency at work and build their professional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