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고대 龍鳳意匠의 변천과정과 백제금동대향로

        최덕경 대구사학회 2006 대구사학 Vol.84 No.-

        ]This manuscript have a thorough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and processes of the Dragon and Phoenix's pattern in ancient China as a historical phase. Chinese historical tradition leave a great store of the remains and documentary records, The matter of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he Dragon and Phoenix's pattern have a good point in analogical inference. In Chapter from two to four, the research on recordation of initial stages the Dragon and Phoenix's Pattern is provided in the Ancient times[In Chapter two, till Chunqiu-Zhanguo(春秋戰國) Dynasties Periods]. Consulting the origin of the Dragon and Phoenix's totem, mythological stories and the historical remains, it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partition on different periods in Chinese ancient history. Among them, the Dragon and Phoenix's Pattern of Chu(楚) culture with significant and characteristic pictures are unique. Since Qin(秦) Dynasty, many artistic patterns, including the Dragon and Phoenix's Pattern, were created to the fine arts. in Han(漢)-Xijin(西晉) Dynasties a new Formation of the Four God's Figures appeared upon the scene of the history, too. In the period of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 native-born Taoism and the Buddhism was brought into China had been spreaded all over China. Therefore, the Dragon and Phoenix's Pattern represent by way of ornament. Among the above-mentioned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he Dragon and Phoenix's pattern in ancient China, the Dragon and Phoenix's pattern on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has an unique aspect. That is to say, the Phoenix pattern lidded incense burner and Dragon patterned prop was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sides parts in the same breath.

      • KCI등재

        東아시아 糞尿시비의 전통과 生態農業의 屈折 -糞尿의 衛生과 寄生蟲을 중심으로-

        최덕경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0 No.35

        There were a variety of causes for utilizing manure in east Asian countries like South Korean and China. The traditional idea of ‘heaven, earth and man’ and the point of view of ecological circulation, before anything else, helped to perceive manure as a utilizable natural object among others in agriculture. The method for making compost by decomposing was also derived from the familiar fermentative method in East Asia. Manure was utilized as a microorganism which promotes decomposition. Ashes daily produced from ondol of Chosun was combined to human feces to make a fertilizer peculiar to Chosun as well. After the Sung dynasty, especially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whole region of east Asia utilized excremental water as an additional fertilizer for paddy fields, which developed sericulture and fruit gardening increasing the multiple planting index of crops and further expanding the utilization of manure. It does not mean, however, that manure was welcomed as an unconditional resource in the pre-modern society. The sanitary problems related to manure were raised earlier on, and still, in the Sung dynasty, there appeared a professional occupation called environmental sanification worker. Jiangnan region in Ming-Qing dynasties also, on the other hand, actively utilized manure purchased and carried by manure ships from counties. As modernization of East Asia proceeded, however, toilet sheds were improved under the titles of health and cleanliness and manure was taken as the object of elimination in being the source of various diseases and pollution. Another cause for recognizing manure as a waste matter was that it was taken as the breeding ground for various parasites. As the result the application of manure was replaced by agricultural pesticide and chemical fertilizer, and human excreta was settled as the object to be washed up for good with water as soon as it is excreted. The problem lies in that health and life are in a greater threat by the food after the abovementioned transformation. Agricultural pesticides and toxic substances are causing various types of destructions and pollution of natural ecosystem, weakening bodily functions by affecting human hormones by genetically modified food and agrichemical poisoning, and causing a fundamental change in human body by bringing precocious puberty. People are looking for environment-friendly food and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but food has already been turned into the symbol of one's social status, letting most of us live on in toxication from the existing agricultural and farm products without sensing a serious crisis.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re important to us because food is life and agriculture is a future industry as well as an ecological industry. In that sense, agriculture should not be taken as the first industry of past, but as the sixth industry which preserves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our sustainable lives and future, anew. 동아시아에서 분뇨가 적극적으로 활용된 요인은 다양했다. 우선 전통적인 天地人사상과 생태순환관은 배설물도 농업에서 이용 가능한 자연물의 일부로 인식하게 해주었다. 퇴비를 腐熟하는 방식 역시 동아시아에서 익숙한 발효법에서 비롯되었다. 분뇨는 부속을 촉진하는 미생물로서 이용되었던 것이다. 조선의 온돌에서 매일 생산된 재는 人糞과 결합되면서 독특한 조선의 비료를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송대 이후, 특히 명청시대가 되면 동아시아 모두 水田의 追肥에 淸水糞이 많이 이용되었으며, 그 후 蠶桑業, 과수원예재배가 발달하고, 작물의 復種지수가 늘어나면서 분뇨의 이용이 더욱 확대되었던 것이다. 그렇다고 분뇨가 전근대사회에서 무조건 자원으로 환영받은 것은 아니었다. 일찍부터 분뇨를 통한 위생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송대에는 전문적으로 환경위생 처리작업자도 등장하였다. 그런가 하면 명청시대 강남지역에는 糞船을 이용하여 邑으로부터 분뇨를 구입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동아시아의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건강과 청결의 이름으로 厠間이 개량되고, 분뇨는 각종 질병과 오염의 원천이 된다는 점에서 청산의 대상이 되었다. 분뇨가 폐기물로 인식된 또 하나는 각종 기생충을 전파하는 온상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그 결과 분뇨시비가 농약과 화학비료의 역할을 대신하였으며, 분변은 배출과 동시에 영원히 물과 함께 사라져야 할 대상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문제는 이렇게 변화된 이후 먹거리로 인해 건강과 생명은 더욱 위협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농약과 독극물로 인해 각종 자연생태계의 파괴와 오염은 물론이고, 유전자조작식품과 농약중독으로 인간의 호르몬에 영향을 끼쳐 신체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性조숙성을 불러와 인간신체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친환경식품과 유기농산물을 찾고 있지만, 식품은 이미 신분의 상징물로 변화고, 모두가 기존의 농축산품에 중독되어 위기를 크게 느끼지 못한 채 생활하고 있다. 우리에게 有機農業이 중요한 것은 식품은 곧 우리의 생명체 그 자체이며, 농업은 이를 가꾸는 생태산업이다. 더 이상 농업을 과거의 1차 산업으로 인식하는 데서 나아가 환경과 공존하는 동시에 우리의 생명과 미래를 건강하게 보전하는 제6차 산업으로 다시금 인식할 필요가 있겠다. 농업사 연구도 기존의 방향에서 食物史나 生態史 위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中國古代 농작물의 害蟲觀과 蝗蟲 防除기술의 變遷

        崔德卿 한국역사민속학회 2012 역사민속학 Vol.39 No.-

        본고는 최근 농약과 화학비료 등에 의해 생태계가 교란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과거에는 곡물의 해충을 어떤 방식으로 방제했는가를 살핌으로써 향후 자연과 인간이 이 땅에서 상호 공생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연구하게 된 것이다. 『陳旉農書』에서는 唐宋시기를 전후하여 해충에 대한 인식변화가 있었음을 말해 준다. 고대에는 神에게 의탁하여 害蟲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唐代에 이르면 황충 자체에 충격을 주는 방식으로 인식이 바뀌었다. 그 후 메뚜기를 잡는 것을 현상 공모하거나 宋代에는 메뚜기 잡는 法을 제정하기도 하고, 金나라 章宗왕 때에 메뚜기 잡는 그림을 널리 유포하기도 하였다. 明淸시대가 되면 사후 대책이 아니라 황충의 발생시기와 발생지점을 추적하여 근본 치료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직접적인 방제방법과는 달리 고대사회에는 해충으로부터 미리 농작물을 건강하게 지켜낼 수 있을 것인가에 주목하였다. 각종 토지이용법과 시비법 및 제초방법 등의 개발이 그것이다. 게다가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이용하여 해충을 박멸하는 방식도 권장하였다. 최근 생물학적 방제를 가미한 종합적인 해충 방제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가 그러한 연구에 일정한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ways for future mutual symbiosis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by examining how people controlled the grain pest in the past, in the recent situation of disrupted ecosystem brought by agricultural chemicals and chemical fertilizers. "The book of praying and repaying" in Chenfunongshu, published in the Song Dynasty, attributed the constant famine and the displaced subjects due to the disasters of drought and pest to negligence in praying and repaying to God, in worship services. This explains the change in perception of pest before and after the period of Tang and Song Dynasties. The countermeasures after the pest breaks out varied according to the eras. The ancient era saw locusts as insects of God and stressed that the monarch should solve the problem with his humane affection, trying to solve the problem of pest depending on God. Coming to the Tang Dynasty, however, the perception of pest had been drastically changed, and the countermeasure was changed into that of inflicting damage to locusts themselves. People caught and buried locusts, or burned them to death, which reflects their change of perception from that of seeing locusts as divine insects brought by the heaven. Afterwards, the Houjin Dynasty made the subjects join in locust hunting, the Song Dynasty established a law for locust hunting, and the Jin Dynasty distributed the illustration of locust hunting all over the kingdom, which explains the development into the countermeasure of locust hunt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see an appearance of a comprehensive control measure against locusts as a collection of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so far, and Nongzhengquanshu in the Ming Dynasty, written by Xuguangqi, suggested an effective prevention measure against the damage by locusts, which was to eradicate locusts before they grow into adults. Referring to Wuzazu’s observation that locusts come from fish eggs, Xuguangqi saw, from the fact that shrimps and locusts resembled one another in form and quality, that they come from shrimp eggs. It is noteworthy that they paid atten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cause which could track down the time and place of the outbreak of locusts and take radical measures, which are no follow-up countermeasures at all. Those locust eradication measures include burning paddy levees, changing the soil in which the eggs might be laid, finding and eliminating the locust eggs. Other than these direct control measures, the ancient society also took note of how to keep the crops from pest in advance. It is exemplified by the development of various land usages, fertilizer application methods, and weeding methods. In premodern societies, furthermore, it was recommended, though in a limited scale, to make use of the higher and lower food chains in ecosystem like birds, green frogs and others, which had been discovered by a long experience, in eradicating pests. Recently, the researches on an integrated control which includes the biological controls like those advanced in the past history of China, and all other effective control methods are being carried out for the healthy agricultural products protected from the damage from agricultural chemicals and human health. This study hopes to be beneficial to these efforts of scientific ecology.

      • KCI등재

        古代 韓半島의 젓갈의 出現과 普及: 『齊民要術』과 관련하여

        최덕경 중국사학회 2022 中國史硏究 Vol.- No.137

        . 본고가 주목한 것은 韓中日의 젓갈을 비교할 때, 그 기원지라고 평가받고 있는 중국은 그 문화가 이미 퇴조하여 거의 사라졌으며, 일본에서는 일찍부터 중국에서 食醢가 유입되어 초밥과 같은 새로운 형태로 변형되었는데, 한반도의 경우 중국 본래의 형태와는 다른 방식으로 제조되어 지금까지 각종 식재료와 조미료로 향유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본고는 그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先秦시대에서 齊民要術 에 이르는 華北지역의 사료를 보면, 肉醬이나 魚醬은 누룩[麴末]과 쌀이 필요했고 게다가 첨가물도 가미하여 만든 魚醢와 魚鮓 중심이었다. 이는 재료 구입이 쉽지 않고 제조과정이 복잡하며 정성을 들여야 했던 것을 볼 때, 소농민의 日常식품은 아니고 제사나 儀禮의 祭物로 사용된 듯하다. 이에 반해 소금만을 이용하여 담근 鹽藏젓갈의 출현은 馬島유적에서 처음 등장했지만, 鱁鮧의 전통과 樂浪潘國의 魚자원을 보면, 그 전통은 한반도 남쪽에서 비롯되어 衛滿조선까지 소급 가능하며, 이것은 魚醢, 魚鲊의 전통이 華中지역에서 영향을 받아 줄곧 의례나 중요 제사의 祭物로 사용되어 왔던 것과는 상이하다. 이런 현상은 醢類와 염장젓갈이 한반도에서 이원화되어 南下와 北上이 교차되었음을 말해준다. 이처럼 한반도 특유의 염장젓갈이 출현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 한반도 서해안에서의 안정적인 소금생산과 풍부한 어자원이 이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런 염장젓갈은 한반도를 기점으로 해안선을 따라 東西로 확산되었으며, 朝鮮의 경우 젓갈의 수요가 더욱 확대되면서 그 용도도 다양해진 것을 朝鮮王朝實錄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다.

      • KCI등재

        원대(元代) 농서(農書)편찬과 농상집요(農桑輯要)

        최덕경 한국중국학회 2016 중국학보 Vol.77 No.-

        談到元代的農政時, 特別的部分是游牧民族建立的元王朝比起其他朝代, 編纂了更多的農書。≪農 桑輯要≫編纂的動机開始于對現實感不足的宋代官僚的不信和農業生産者農民的需要性。 大司農司主導的≪農桑輯要≫在編纂時, 農桑業的重点放在一邊, 對富農進行誘導不僅使農民土地 得到安置而且着重了商業作物生産。農桑輯要對之前的≪齊民要術≫里?多部分進行了參考, 但是差異 是對農民實際生活的部分進行補充和關注, 比起主食生産, 蠶桑、麻布和棉布之類的織物生産, 特別是 ≪桑事雜錄≫中長期經驗積累掌握的養蠶內容和突然發生的注意事項以生産者的觀点提出。還有瓜菜類 的比重也有所擴大, 菜蔬的?藏技術和南、西方的産物在北方栽培促進, 可以稱作以農民側面考慮的農 書。而且這部農書渗透了蒙古族的挑戰精神, 有代表性的是對風土論的克服。結果是土地生産量增加, 宋元代以后農桑體系的形成。各種農産物和織物的生産在國內外的流通, 交易市場得到進一步的擴大。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