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원의 종류가독재자 게임의 자원 분배에 미치는 영향

        천영운,김혜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8 No.1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 patterns of resource allocation behaviors based on the types of resources in the dictator game. Specifically, we tested whether children distributed more resources that were gained free of charge compared to those gained via effort. Additionally, we looked at whether the amount of distributed resources in the dictator game had correlations with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in everyday life. A total of 88 Korean children in the 2nd and 5th grades participated.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free-of-charge resource or the effort resource condition; in the free-of-charge resource condition, resources were given to the children without any effort, but in the effort resource condition, the children received resources as a reward for winning a card gam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in everyday life were measured by teachers using the Modified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Doscher, 1985).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children distributed more resources in the free-of-charge resource condition compared to those in the effort resource condition with marginal significance. 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distributed resources differed according to sex and age. That is, girls and 5th graders distributed more resources compared to boys and 2nd graders. Second, the Modified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score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resources distributed to other children in the dictator games. This suggests that the resource allocation in the dictator game may not reflect children’s everyday prosocial behaviors. 본 연구는 독재자 게임에서 자원 분배 행동이 자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지 연구하였다. 즉 노력하여 얻은 자원에 비해 아무 노력 없이 무상으로 받은 자원을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이 나누어 주는지 알아보았다. 또 독재자 게임에서의 자원 분배 행동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되는지 연구하였다. 초등학교 2학년과 5학년 아동 88명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참가 아동은 자원을 아무 노력 없이 무상으로 받는 ‘무상 자원’ 조건과 게임에 이긴 상으로 받는 ‘노력 자원’ 조건에 무선 배정되었다.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은 Doescher(1985)의 척도를 사용하여 교사가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상 자원’ 조건에서의 분배 양이 ‘노력 자원’에서의 분배 양보다 컸으나, 그 차이는 유의한 수준에 근접하는데 그쳤다. 분배의 양은 연령과 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5학년 아동이 2학년 아동보다, 여아가 남아보다 더 많은 양을 나누어 주었다. 둘째, 독재자 게임에서 나누어 준 자원의 양과 교사가 평가한 아동의 친사회성 점수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독재자 게임에서 나타난 자원 분배 행동이 아동의 일상 생활의 친사회적 행동을 정확하게 대표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품행문제 청소년의 공감손상: 인지공감의 손상인가 정서공감의 손상인가?

        문은옥,김혜리,천영운,김태화,최현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7 No.3

        Many studies have reported lower empathic abi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onduct problems, including aggression, than children with normal behavior patterns. However, as empathy has been defined differently among researchers, it is unclear which empathic ability is impaired in those with conduct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dolescents with conduct problems showed impairment in affective or cognitive empathy. Affective empathy was measured using emotional contagion, a facial mimicry reaction that occurs in response to the facial expression of a target individual. Cognitive empathy was measured using an emotional reading task. Fourteen adolescents with conduct problems and 23 adolescents without such proble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facial mimicry but not in the emotional reading task. Adolescents with conduct problems showed a smaller magnitude of facial mimicry to dynamic happy and sad expressions. In particular, when viewing sad expressions, the zygomaticus muscle activity in those with conduct problems was relatively high; this is the muscle reaction that typically occurs when expressing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s with conduct problems have a normal ability to recognize other people’s feelings, but are impaired in affective empathy, i.e., the ability to feel other's emotions in a congruent way. 공격적이거나 품행장애를 가진 아동청소년의 공감 능력 손상은 많은 연구에서 보고된다. 그러나 연구마다 공감을 다르게 정의하고 있어서, 어떤 측면의 공감능력이 손상된 것인지에 대해서 분명한 결론을 내리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품행문제 청소년의 공감 손상이 인지공감의 문제인지 정서공감의 문제인지 알아보았다. 인지공감은 상대방의 생각이나 관점, 정서를 이해하는 능력이므로 얼굴표정에서 정서를 읽는 능력으로 측정하였다. 정서공감의 초기단계는 상대방의 표정을 자동적으로 모방함으로써 동일한 정서를 경험하게 되는 정서전염이므로, 얼굴표정에 대한 안면모방 반응으로 정서공감을 측정하였다. 품행문제 청소년 14명과 일반 청소년 23명을 대상으로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을 측정한 결과 인지공감에서는 품행문제 청소년들과 일반청소년의 차이가 없었으나, 정서공감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품행문제 청소년은 일반 청소년보다 기쁨/슬픔 표정을 짓고 있는 동영상에 대한 안면모방이 적었으며, 특히 슬픔 표정에 대해서는 웃을 때 움직이는 대협골근 수축반응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품행문제를 가진 청소년들이 상대방의 정서를 인식하는 인지공감에는 손상이 없으나 상대방의 정서를 공유하는 정서공감에 손상이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아동의 인지적·정서적 공감 능력과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김혜리,엄진섭,문은옥,천영운,최현숙,이수미,정명숙,손정우,박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with social behaviors, in a sample of 53 10–12–year-old Korean children. Cognitive empathy was measured by a battery of theory of mind tasks. Emotional empathy was measured by facial mimicry respons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motional contagion by facial mimicry is a key factor in emotional empathy. Facial mimicry scores were calculated using the facial EMG activity in the zygomaticus major and corrugator supercilii muscle during exposure to dynamic happy and sad expressions. In addition, children’s empathy and social behaviors were assess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such as the IRI, BEI, and EQ-C. The mind-reading score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cognitive empathy subscale scores. In contrast, the facial mimicry scores, which were the differences in mean muscle activity at the zygomaticus major between exposure to happy and sad express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motional empathy subscale scores. Facial mimicry scores and mind-reading scores predicted different aspects of pro-social behaviors.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d the dissociation between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이 각각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행동과 어떤 형태로 관련되는지를 초등학교 4∼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인지공감은 상대방의 생각이나 관점, 정서를 이해하는 능력이므로 상대방의 행동과 말에서 생각을 추론하는 생각읽기 과제와 표정에서 정서를 읽는 정서읽기 과제로 측정하였다. 정서공감의 초기단계는 상대방의 표정을 자동적으로 모방함으로써 동일한 정서를 경험하게 되는 정서전염이므로, 얼굴표정에 대한 안면모방 반응으로 정서공감을 측정하였다. 기쁜 표정과 슬픈 표정을 짓는 동영상을 볼 때의 추미근과 대협골근의 근전도(EMG)를 측정하여, 근전도 패턴이 제시된 표정과 일치하는 정도를 안면모방 점수로 사용하였다. IRI, EQ-C 및 Bryant 척도로 공감능력을, 친사회적 행동 척도와 공격성 척도로 사회적 행동을 평가하였다. 생각읽기와 정서읽기는 공감척도의 인지공감 요인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으나, 웃을 때 수축하는 대협골근 반응이 슬픈 표정보다 기쁜 표정 자극에서 더 큰 정도(대협골근 모방)는 공감척도의 정서공감 요인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안면모방과 생각읽기가 공격성을 예언하지는 못하였으나 친사회성의 서로 다른 측면을 예언하였다. 이는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이 사회적 행동에 서로 다르게 관련됨을 보여준다.

      • KCI등재

        얼굴표정 자극에 대한 아동의 안면모방과 정서공감간의 관계

        김혜리,손정우,엄진섭,정명숙,박민,박영옥,천영운,문은옥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4 No.4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motional contagion by facial mimicry is a key factor in emotional empath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acial mimicry was related to emotional contagion and emotional empathy. Twenty-five 4th to 6th graders were participated. Facial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in the zygomaticus major and corrugator supercilii muscle regions and heart rate activity were studied during exposure to dynamic happy and sad expressions. Emotional contagion was measured by asking children to report their emotional states while they were looking at the dynamic expressions. Emotional empathy was assessed by the emotional empathy subscal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children; IRI, BEI and EQ-C. The zygomaticus muscle activity was increased to happy expressions, but the corrugator muscle activity was not increased above the significance level to sad expressions. Differences in mean muscle activity at the zygomaticus major between exposure to happy and sad expressions correlated positively with emotional contagion and the emotional empathy subscale scores. In contras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differences in mean muscle activity at the corrugator and the emotional empathy subscale scores were not consistent.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facial mimicry is a key component in the process of emotional empathy 공감의 정서적 측면인 정서공감은 상대방의 표정을 모방함으로써 동일한 정서를 경험하게 되는 정서전염이라는 정의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얼굴표정을 보고 있는 관찰자의 안면근육반응이 정서전염 정도 및 공감척도 점수와 관련되는지 연구하였다.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25명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기쁜 표정을 짓는 동영상과 슬픈 표정을 짓는 동영상을 볼 때의 추미근과 대협골근의 근전도(EMG)와 심박을 측정하였으며, 동영상을 볼 때 어떤 정서를 경험했는지 질문하였다. 또 IRI척도, 한국어판 자기보고형 EQ-C 척도 및 Bryant척도를 사용하여 공감능력을 평가하였다. 기쁜 표정 동영상에서는 웃을 때 수축하는 대협골근 반응이 증가하였으나 슬플 때 수축하는 추미근 반응은 슬픈 표정 동영상에서 증가하지 않았다. 대협골근 반응이 슬픈 표정보다 기쁜 표정 동영상에서 더 큰 정도와 추미근 반응이 기쁜 표정보다 슬픈 표정 동영상에서 더 큰 정도인 안면모방 정도는 정서전염과 정적 상관의 경향을 보였다. 또 대협골근 반응이 슬픈 표정보다 기쁜 표정 동영상에서 더 큰 정도는 세 가지 공감척도의 정서공감 하위요인 점수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추미근 반응은 정서공감과 일관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대방의 표정을 모방하는 안면모방이 정서전염과 정서공감의 기제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조현병 환자의 공감 능력 및 얼굴 정서 인식 능력의 차이

        김기창,손정우,김혜리,이상익,신철진,김시경,주가원,엄진섭,정명숙,박민,문은옥,천영운,Kim, Ki-Chang,Son, Jung-Woo,Ghim, Hei-Rhee,Lee, Sang-Ick,Shin, Chul-Gin,Kim, Sie-Kyeong,Ju, Gawon,Eom, Jin-Sup,Jung, Myung-Sook,Park, Min,Moon, Eunok,Che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4 생물정신의학 Vol.21 No.1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 in empathic ability and recognition of facial emotion expression i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Twenty-two schizophrenic outpatients (11 men and 11 women) and controls (10 men and 12 women) performed both the scale of Empathic Quotient (EQ)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test. We compared the scores of EQ and the facial emotion recognition test among each group according to diagnosis and gender. Results We found a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the scores of EQ and the facial emotion recognition test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the facial emotion recognition test and the scores of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Scale (PANSS) in female schizophrenic patients. However, in male schizophrenic pati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 of each test and the scores of PANS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x difference in empathic ability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would be very important in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Investigation of sex effects in empathic ability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in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would present an important solution for constructing optimal rehabilit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