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가들의 사회적 정체성과 친사회적 행동

        채연주(Yeon Joo Chae),윤세준(Se Joon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1

        전통적으로 전문직에 관한 연구는 전문직은 동질적 집단이라는 가정 아래, 전문직과 비전문직을 비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직업들이 새로운 전문직으로 부상하면서 전문직 간의 이질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문직 간의 이질적 특성, 특히 똑같이 전문직으로 불리더라도 사회적 정당성 측면에서 제도화된 정도가 서로 다른 직업들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보이는 태도와 행동의 차이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제도화 정도가 현격하게 다른 두 직업집단을 선정하여 이들의 사회적 정체성과 친사회적 행동을 비교 연구하였는데, 제도화 정도가 높은 집단으로는 변호사를, 제도화 정도가 낮은 집단으로는 경영컨설턴트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사회정체성 이론과 인지부조화 이론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모형의 핵심은 전문직 종사자들의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 조직 동일시(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직업동일시(professional identification), 조직시민행동 (OCB), 그리고 전문가들의 친사회적 행동(professional pro-social behavior) 사이의 관계가 제도화 정도의 차이에 의해 어떻게 조절(moderate) 되는가를 따져 보는 것이었다. 그래서 1) 전문가주의가 조직 및 직업동일시에 미치는 영향과 2) 조직동일시가 조직시민행동에, 그리고 직업동일시가 전문가의 친사회적(pro-social) 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모두 변호사보다 경영컨설턴트에서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이 설정되었다. 총 296명(변호사 : 130명, 경영컨설턴트 : 166명)의 표본에서 얻어진 자료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두 직업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다만 조직동일시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는 가설에서 제시한 것과는 달리 변호사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본 연구가 보여주는 결과는 전문가로서 기능하는 제도적 기반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경영컨설턴트에게 있어서 조직은 이들이 전문가 정체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경영컨설턴트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제도적 정당성을 더 강한 직업동일시와 전문가의 친사회적 행동으로 정당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직업사회학은 여러 직업들의 전문직화 과정에 초점을 두어 왔다. 반면, 미시 조직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전문가들의 미시적 태도와 행동을 연구의 대상으로 해왔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전문직화 과정에 있는 두 직업집단에 속한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이러한 두 흐름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최근 조직 연구에서 주목받고 있는 전문가 조직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Behavioral research regarding professionals has mostly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s are homogeneous. As a variety of occupations have been newly recognized as professional jobs, however, several scholars have recently argued for the need for research into this basic assumption, positing instead that the behaviors exhibited by professionals in various fields are likely heterogeneous. It is this heterogeneity that is the primary concern of this study, which may be determined by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a profession. This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is caused by the level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cquired through formal training systems, official licenses, professional associations, and so on, which may have an impact on professionals’ attitudes and behaviors. In particular, it affects how a professional in an organization develops his social identity and the extent to which his self-concept is based on his organizational and/or professional membership. As the professional’s self-concept develops, his organization and profession may each have a different degree of importance, leading to dissimilarities in his pro-social behavior toward them.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professionals’ social identification, we investigated two professional groups that demonstrat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essional institutionalization: the legal profession and management consultancies. The legal field can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significantly stronger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than that of management consultancies. For instance, lawyers must acquire recognized credentials through formal education, licensing, and admission to professional associations. We hypothesized that the two groups will exhibit different patter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 professionalism and social identity and b) social identity and pro-social behavior toward their organizations or professions. Specifically, we tested the following hypotheses. Hypothesis 1: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a profession will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 other words, management consultants will demonstrate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compared to lawyers. Hypothesis 2: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a profession will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fication. In other words, management consultants will demonstrate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fication compared to lawyers. Hypothesis 3: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a profession will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ther words, management consultants will demonstrate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compared to lawyers. Hypothesis 4: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a profession will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fication and professional pro-social behavior. In other words, management consultants will demonstrate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fication and professional pro-social behavior compared to lawyers. The authors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30 lawyers and 166 management consultants. The results supported hypotheses 1, 2, and 4, but did not support hypothesis 3. Consequently, the organization carried a higher significance for management consultants, because it can play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them as professionals. Management consultants tended to make a greater.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통합과 분리

        채연주(Yeon Joo Chae),윤세준(Se Joon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2

        Over the past decade,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topic of “balancing work and life” in Korea. However,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fundamental issue of how people seek the balance in reality. This is why we have employed a qualitative approach as a tool for analysis to explore people’s subtle ways of coordinating work and life. Crossing the border between work and life, people integrate or segment the two domains, and this balancing act on the continuum of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is referred to as “boundary work” (Nippert-Eng, 1996). Based on the concept of boundary work, this research examines how people find their own balancing point on the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continuum.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 selected consultants who practice relatively high autonomy within their work in terms of time and spac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an IT security solution consulting group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nsultants at seven other consulting companies.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21 cases of in-depth interviews provided us with three types of data sources: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aily schedules. The grounded theory coding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data which resulted in dividing people’s of integrating and segmenting domains methods of work and life into two dimensions: (1)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behavior within each domain and (2)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behavior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between the two domains. Furthermore, the former dimens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dimensions: workplace, relationship, and routine behavior. The latter dimension was categorized into two sub-dimensions: habitual preparation behavior for transition between the domains and commute as a transitioning act. The summary of our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Most participants showed a tendency to achieve balance in work and life by moving toward the segmentation point on the continuum of integration and segmentation. Even those who were inclined to integrate the domains of work and life suffered from work encroaching on life as the boundary of life remained ambiguous yet the boundary of work relatively was found to be clear. The tendency to segment the two domains can be interpreted as a struggle to keep what is left of life from being swallowed by work which has continuously intruded on life through various means. That is to say, people’s inclination to segment the domains of life and work is not an innate predisposition but a result of a conscious choice which is to protect life from the overly intrusive domain of work in modern society and to recover balance in work and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in depth how people coordinate work and life in reality and our findings indicate that an integrative approach that treats matters of work and life as objects of management has considerable limitations. 한국에서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화두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실제 사람들이 어떻게 일과 삶의 균형을 찾아가는가라는 본질적 질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일과 삶을 조율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사람들은 일과 삶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두 영역을 통합하거나 분리하는 행동을 하게 되는데, 통합과 분리의 연속선 위를 오가면서 두 영역을 조율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경계활동(boundary work)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경계활동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자신의 일과 삶의 균형점을 어떻게 찾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업무수행 시 작업시간과 공간의 활용이 비교적 자유로운 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는데, 한 보안 솔루션 업체의 컨설팅 부서에서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그 외 7개 컨설팅 회사의 컨설턴트들과는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총 21명의 심층면담과 현장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3개의 자료원천(면담, 참여관찰, 일과기록표)을 확보하였으며,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일과 삶을 통합 혹은 분리하는 양식을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그것은 (1) 일과 삶, 각각의 영역 내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와 (2) 이들 두 영역을 오가는 전환과정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로 나누는 것이었다. 또한 각각의 영역에서 통합 혹은 분리하는 행동은 다시 세 개의 하위차원(일하는 공간, 관계 맺기, 습관적 행동)으로, 그리고 전환과정에서 보여주는 통합 혹은 분리의 행동은 두 개의 하위차원(전환을 준비하는 반복행동과 전환이 이루어지는 출•퇴근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개념적 틀을 활용해 도출된 자료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통합-분리의 연속선에서 분리의 방향으로 경계활동을 함으로써 일과 삶의 균형점을 확보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비록 일과 삶을 통합하는 경향을 보이더라도 삶 영역의 경계는 모호하지만 일 영역의 경계는 상대적으로 명확해 일이 삶을 잠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기제를 통해 끊임없이 삶의 영역에 침투해 들어오는 일로부터 최소한의 삶의 영역을 지키려는 일종의 자구책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즉, 일과 삶을 분리하는 경향은 인간의 내재적 경향인 아니라 삶의 영역에 지나치게 개입해 들어오는 현대사회의 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의식적 선택의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람들이 어떻게 일과 삶의 경계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과 삶의 양립문제를 경영관리의 대상으로 인식하여 통합의 관점에서만 논의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보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조직-전문가 갈등

        채연주(Yeon Joo Chae),윤세준(Se Joon Yoon)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6 연세경영연구 Vol.53 No.2

        개념적으로 전문직과 조직이 추구하는 가치는 상충적이지만, 실제 연구들은 조직-전문가 갈등의 상존 여부에 대한 명확한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는 전문가를 동질적으로 규정하고 하나의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그 결과를 일반화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가로서 사회적 정당성을 획득한 정도가 다른 두 전문가 집단(변호사와 경영컨설턴트)을 대상으로 전문가주의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와 전문가들이 조직 혹은 직업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전문가주의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경영컨설턴트와 달리 변호사는 음의 관계를 가설화 했지만, 연구 결과는 두 집단 모두 양의 관계를 보였다. 다만 관계의 강도에 있어, 경영컨설턴트가 변호사보다 전문가주의와 조직몰입에서 더 강한 관계를 나타냈다. 한편, 전문가주의와 조직몰입에서 변호사는 조직동일시보다 직업동일시의 매개효과가 더 크다고 가설화했지만, 두 집단 모두 직업동일시보다는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전문가로서 사회적 정당성을 획득한 변호사는 조직보다 직업 세계의 가치에 더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았지만, 결과는 예상과 반대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전과 다르게 전문가들이 조직이라는 울타리에서 직업적 활동을 영위하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에게 조직과 직업의 가치는 더 이상 상충적인 것이 아님을 보여주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Although the norms and values of profession and organization are inherently incompatible, results of research about the organizational-professional conflict (OPC) were mixed. To resolve the mixed results, this study selected two professional groups (management consultants and lawyers), and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them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C), and i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identities (professionals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I)).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fessionalism positively related to OC in both management consultants and lawyers. However, management consultants rather than lawyers had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OC. On the other hand, as to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ident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ng role of OI was more important to both management consultants and lawyers. Lawyers as established professionals might be expected to more identify with their profession rather than with their organizations. But,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showed that, for lawyers as well as management consultants, the world of organization was an important foundation to work as professionals.

      • KCI등재

        직무 빚어내기를 통한 혐오노동의 정상화 : 청소노동자의 정체성 형성

        채연주(Yeon Joo Cha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3

        This study explored how workers of dirty work, who engaged in stigmatized work, maintained, redefined, and formed their positive identity coping with the negative social prejudice. Following the argument of the social identity theory, people who are affiliated with groups that have a negative image find it difficult to think of themselves positively. Thus, workers with dirty work seem to have difficulties developing a positive identity due to the negative images associated with their work. However, many people carry on work known as dirty work. How could they maintain and develop their positive identities, while keeping their dirty work?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answer to that question which could not be easily explained by the social identity theory. This study posited that the job crafting facilitated the normalization of stigma-tized works, and investigated how workers with dirty jobs interpreted, under-stood, and carried on their work, and how they could normalize the stigma associated with their work via job crafting. To do this,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of university janitor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job crafting tactics had impact on over-coming, neutralizing, or accepting the stigma associated with their job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conceptual model about normalization of dirty work via job crafting was suggested. This exploratory study is the first study to focus on dirty workers' identities in Korea, and presents implications on how stigmatized work influences the identities of the workers. 혐오노동에 대한 사회적 편견은 그 직업의 종사자에 대한 사회적 폄하로 이어진다. 그럼에도 혐오노동자들이 어떻게 그 일을 지속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 형성해가는가? 본 연구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모색함으로써, 사회적으로 폄하되는 직무(stigmatized work)인 혐오노동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정체성 형성에 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혐오노동자들이 어떻게 자신의 일을 이해하고 해석하며 수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직무 빚어내기(job crafting) 개념을 바탕으로 혐오노동자들이 사회적 낙인(stigma)을 어떻게 정상화(nomalization) 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대학에 근무 중인 청소노동자를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에 기반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크게직무 빚어내기의 세 차원인 인지, 과업, 관계 속에서 일에 새로운 이해를 시도하려는모습을 볼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차원은 가치의 재구성, 평가요소 재조정, 초점이동, 사회적 비교, 인정하기의 5가지 기법으로 구분되었고, 과업 차원은 자원탐색, 도전탐색, 요구감소, 방어적 과업수행의 4가지 기법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관계는 설득하기, 무시하기, 회피의 3가지 기법으로 구분되었다. 이런 기법들은 사회적 낙인을 극복, 중화, 혹은 수용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데에는 낙인의 극복과 중화하는 기법들이 영향을 미치며, 정체성을 보호하는 데에는 낙인의 중화와 수용하는 기법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무 빚어내기 기법과 그것이 사회적 낙인과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경영학계에서 관심이 적었던 혐오노동자들이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해가는 모습을 고찰함으로써, 사회적으로 폄하된 직무의 수행이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과정에 대한 연구를 최초로 시도해보았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남극 크릴(Euphausia superba) 연육의 물성에 대한 첨가제의 영향

        채연주 ( Yeon Joo Chae ),최은혜 ( Eun Hye Choi ),이양봉 ( Yang Bong Lee ),전병수 ( Byung Soo Chun ),김선봉 ( Seon Bong Kim ) 한국수산과학회 201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7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urimi made from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 Krill surimi was prepared from krill meat with an added cryoprotectant (sugar 6%, polyphosphate 0.2%). Krill surimi without additives does not form a gel. In order to enhance the gelling of krill surimi, additives such as soy protein isolate (SPI), guar gum, carrageenan, and wheat starch were examined. Of these, SPI had the highest gel- forming activity, while guar gum, carrageenan, and wheat starch had decreasing gel-forming activity and negative effects on other physical properties as their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In addition, SPI enhanced the gel strength and physical properties of krill surimi. The fluoride and astaxanthin contents of krill surimi with added SPI were 55.0 mg/kg and 0.8 mg/kg, respectively.

      • 내면연기와 표면연기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연구

        채연주(Yeon Joo Chae),양경욱(Kyunguk Ya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감정노동전략인 표면연기와 내면연기가 작업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이라 보고 감정노동전략의 단기효과(short-term effects)와 장기효과(long-term effects)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내면연기와 표면연기는 감정을 활용하는 노동이기 때문에 감정소진을 불러일으키는데, 운동선수가 근육활용으로 인해 느끼는 근육의 피로도가 단기적 현상인 것과 마찬가지로 감정소진 역시 일시적으로 나타날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정노동 전략이 감정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만 나타날 것이라고 보았다. 한편 혹실드가 감정노동이라는 개념을 제기하면서 강조했던 소외문제는 감정노동을 행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경험되기도 하지만 개인이 자신의 경험을 재인하고 반추하면서 어느 정도 시간을 두고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외를 대변하는 자아 비진정성(self-inauthenticity)에 대해 내면연기와 표면연기가 장ㆍ단기적으로 모두 효과를 보일 것으로 보았다. 판매직 종사자 201명으로부터 한 달의 시차를 두고 반복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단기효과의 검증을 위해서 위계적 회귀모형을, 장기효과의 검증을 위해서는 시차효과모형 및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감정소진은 단기적인 현상이었고 표면 및 내면연기 모두 감정소진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자아비진정성은 단기적으로는 표면연기에 의해, 장기적으로는 내면연기에 의해 촉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감정노동연구에서 시간차를 비교한 연구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시간차에 따라 감정노동전략이 서로 다른 종속변수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논의가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갖는다. 특히 시간차를 적극적으로 고려한 본 연구는 감정노동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시도로 평가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o explore the time-dependent effects of surface and deep acting on employee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short-term with long-term effects of surface and deep acting. Emotional exhaustion, the state of depletion of emotional resources, would be a short-term phenomenon like a muscle in fatigue after exertion. Thu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effects of surface and deep acting on emotional exhaustion will be shown only in short-term. Meanwhile, considering the issue of alienation which Hocshchild (1983) emphasized in her seminar work, employees may experience the alienation not only in the process of immediate interactions with customers, but also in their reflections upon their past experiences on the long-term basis. Thus, this study expected that the significant effects of deep and surface acting on the self-inauthenticity which seems to represent the concept of alienation will be shown in the short-term as well as long-term. We tested our hypotheses in a two-wave longitudinal panel study using a sample of 201 service representatives in retail stores. While short-term effects were test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lagged-effects were analyzed using Lagged Effect Model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exhaustion was related with surface and deep acting positively in the short term. Inauthenticity was related positively with surface acting in the short term and deep acting in the long term respectively.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literature in that we suggested the model that surface and deep acting show differential relationship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time-frame.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the time-frame when approaching to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 KCI등재

        커뮤니티유니온의 다양성: 청년유니온과 아르바이트노동조합의 비교연구

        양경욱 ( Yang Kyunguk ),채연주 ( Chae Yeon Joo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8 산업노동연구 Vol.24 No.2

        전세계적으로 불안정 노동자들이 증가하면서 이들의 열악한 노동권 및 노동조건이 이슈가 되고 있지만 이들의 이익을 어떻게 대변할 것인가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노동자들의 노동권 보장 및 향상을 위한 제도적 장치는 노동조합이지만, 특정 작업장 또는 기업 중심의 노동조합은 고용안정성을 결여한 노동자들의 노동권익을 온전히 대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최근 불안정 노동자들을 대표하는 독자적인 기구로서 커뮤니티유니온이 미국, 영국, 일본 등지에서 등장하고 있다. 이는 기업이나 작업장이 아닌 지역을 기반으로 노동자 개인이 직접 가입하는 방식을 취하는 조직형태로, 실업자와 구직자, 소규모 작업장에 일하거나 단기계약 혹은 간접고용 노동자들을 포괄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1997년 금융위기 이후 비정규직, 단기 계약직 등 불안정 노동자들이 급증하면서 이들의 노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청년유니온, 아르바이트노동조합, 예술인소셜유니온, 뮤지션유니온 등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티유니온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은 불안정노동자들의 노동권익 보장을 위해 여러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최근 학계에서도 이러한 새로운 노동조합형태를 규명하려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안적 노동조합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국에서 자생한 여러 대안 노동조합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대표적 대안조직인 청년유니온과 아르바이트노동조합의 조직간 동질성과 이질성을 규명함으로써 한국의 대안노동조합조직의 방향성 논의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커뮤니티유니온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서 시작하여, 커뮤니티유니온의 5가지 특성(멤버십 구조 및 조직구조, 인정투쟁, 관심 범위, 다른 조직과의 연대, 저항 및 활동 방식)을 중심으로 두 조직을 비교 및 평가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커뮤니티유니온이 한국사회에서 앞으로 어떻게 발전하게 될지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As the number of precariats grows, their poor labor rights and working conditions are becoming issues of major concern all over the world but how to represent their interests is still controversial. Basically, the union is the institutional mechanism for representing the labor right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workplaceand enterprise-based unions to fully represent the labor rights of precarious workers. Recently, so-called community unions have emerged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as independent organizations representing the rights of non-standard workers. Community unions refer to labor unions which organize precarious workers across firms at the regional level. They are known to be suitable for covering the unemployed, job seekers, indirect employment workers, short-term contract workers, and small-firm workers. In South Korea,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a drama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precariats leads to emergence of new types of trade unions such as the Youth Community Union, the Arbeit Workers’ Union, the Artist Social Union and the Korea Musician’s Union. They have engaged in various activities to guarantee the labor rights of precariats. Recently, researchers have also tried to identify defining characteristics of these new forms of unionism. To expand research on trade unionism in South Korea, this study compares two different types of community unions: the Youth Community Union and the Arbeit Workers’ Union. We believe that this attempt can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the alternative labor mov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tarts with theoretical discussions on community unions, and compares the Youth Community Union with the Arbeit Workers’ Union based on the fiv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unionism: membership and organization structure, the recognition struggle, the type or scope of interest, solidarity with other civic organizations, and the repertoire of resistance strategies.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this study seeks to foresee the possibility of how community unionism will develop in South Korean in the future.

      • KCI등재

        남극 크릴(Euphausia superba)을 이용한 패티의 제조 및 품질 특성

        김민아 ( Min A Kim ),채연주 ( Yeon Joo Chae ),이양봉 ( Yang Bong Lee ),전병수 ( Byung Soo Chun ),김선봉 ( Seon Bong Kim ) 한국수산과학회 201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6 No.5

        This study developed patties using the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and investigated the food quality of the patties. Three different types of krill patty were produced: krill patties with added 1) corn oil (CKP), 2) AA grade surimi (AKP), and FA grade surimi (FKP). Their proximate composition, Hunter color value, texture, sensory evaluation,and levels of astaxanthin, cholesterol, calories, total amino acids, fatty acids, and fluoride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highest in FKP. The calorie and astaxanthin contents were highest in CKP and lowest in AKP. The cholesterol content was highest in CKP and lowest in AKP. Measuring the Hunter color value of cross-sections of the patties, the L values were highest for FKP, and the a and b values highest for AKP. The total amino acids were highest in FKP and lowest in CKP. The major fatty acids were highest in FKP. The hardness and chewiness were highest in FKP and lowest in CKP. The fluoride content was highest in AKP and lowest in FKP. The sensory evaluation had the highest scores for FKP and lowest for CKP. Accordingly, FKP appears to have better food quality than the other two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