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효 문화 증진을 위한 가족 치료 접근 연구

        채경선(Chae, Kyoung 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With the transition to modern society, the ethical meaning and value of HYO have been neglected due to individualism, changes in the nuclear family, and mechanization, while the need for HYO as the concept of interrelationship and resilience in a practical sense has been emphasized. It is the task of modern HYO culture to solve the integration and identity of family relationships and generational relationships that remain the same even in the face of various changes and ethical consciousness crisis of moder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the nature of HYO and the necessity of practical HYO, and examines the modern and practical meaning of HYO. In addition, based on the concept of HYO as a system of family interrelationship, the family therapy theory and the concept of family resilience have been applied to the crisis and difficulties of deconstruction in the family to find resilient factors of mutual HYO and ways to implement them. The search for the interrelationship and resilience concept of family bring the integrity and identity concept of HYO, and it is meaningful in the practical aspect of HYO. The restoration of family values, healthy cohesion, and adaptation, as well as the restoration of communication, will affect the realization of the HYO culture in the meaning of integrity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s through activating family functions, despite the outside crises. 현대사회로 넘어오면서 개인주의, 핵가족화, 기계화로 인해 효의 윤리적인 의미와 가치가 등한시 됨에 따라 효 문화 증진을 위해 상호 관계적, 회복적 개념으로서의 효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변화와 윤리의식의 위기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족관계와 세대관계의 통합성과 정체성을 풀어나가야 하는 것이 현 시대에서 효의 문화 증진을 위한 과업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의 본질, 효 개념과 효 문화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가족 상호관계의 체계로서의 효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가족이 가지는 해체의 위기와 어려움에 대해 가족치료 이론과 가족 탄력성 개념을 적용하여 상호 관계적 효의 회복적 요인으로 가족의 가치 회복, 가족 통합성 회복, 소통의 회복을 찾아보고 효문화 증진을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였다. 가족이라는 상호 관계적 개념과 치료적 탐색은 효의 통합성과 정체성의 개념을 가져다주고 효의 실천적인 면에서 의미가 있다. 가족의 가치 회복, 가족 통합성 회복, 소통의 회복은 현대 가정의 위기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가족 기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이를 통해 세대 간의 통합, 상호 관계적 의미의 효 문화 구현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사회 성숙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채경선 ( Kyoung Sun Chae ),정윤주 ( Yoon Ju Jou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21 No.2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life incident stress and psychosocial maturity in a conceptual and empirical way in order to examine theirsignificant effect on midlife crisis, an important phenomenon affecting individuals and society.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social maturity on midlife crisis.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fference in midlife crisis based on demographics and variables was confirmed. Second, it was revealed that midlife crisis, life incident stress, and psychosocial maturity influenced each other.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life incident stress was, the greater the midlife crisis became. Fourth, the higher that the level of psychosocial maturity was, the less the severity of the midlife crisis was. Finally, although the life incident stress was high, psychosocial maturity played a moderating role to reduce the severity of the midlife crisis.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psychosocial maturity played a moderating role on the effect that life incident stress had on mid-life crisis.

      • 긍정심리학을 기반한 노년기 행복 프로그램 연구

        채경선 ( Kyoung Sun Chae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7 사회복지경영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삶의 통합과 마무리를 해야 하는 중요한 때인 노년기에 대한 연구이다. 노년기에 어떻게 삶에 대한 태도와 가치로 통합하는가는 전반적 삶에 대한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노년기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행복을 향상하는 요인을 기반하여 노년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제로는 행복한 삶으로의 초대, 나를 찾아 떠나기, 과거를 돌아보기, 아름다움 누리기, 사랑 나누기(giving love), 관계망을 넓히기, 가슴으로 공감하기, 함께 하기, 기쁨 찾아가기, 행복으로 삶을 세우기 주제로 이루어 졌으며, 집단 프로그램 형식으로 총 10회기를 구성하였다. 노년의 행복 프로그램은 인생 전반에 대해 정리하고 돌아보며, 일상에서 주는 삶의 기쁨과 긍정성이 자신과의 관계 그리고 주변 관계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깨닫고, 노년기 자신의 삶에 대한 즐거움, 의미, 적극적 삶을 통해 삶에 대한 통합을 이룰 수 있음을 기대 할 수 있다. As elderly is very important period i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life, the stage is a transition period to achieve their reassessment of their values and beliefs, adaptation of body transformation and self-evaluation. As it reflects such a circumstance, recently researches on elderly’s happiness and satisfaction of their life have been conducted and positive psychology has especially exercised much influence upon the study. The beginning of positive psychology, from a point of view in which happiness can be learnt and achieved through self-realization, indicates that in order to live a meaningful life, it is more important to find the purpose and goal of life rather than to follow social standards and expectations. Therefore,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is to strengthen human traits and develop the strength and helps to find out undiscovered source of positive chang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evelop programme which can enhance the elder’s happiness, the meaning and maturity of their life and is to present the contents and aims of the research from each session. The beginning of positive psychology, from a point of view in which happiness can be learnt and achieved through self-realization, indicates that in order to live a meaningful life. The study is significant through the happiness program, as the program provides the opportunity to turn physical and psychological crisis in the later life and a transition period into a challenge and form of integration. It can also be academically meaningful as consultation theory of growth and maturity and a base of positive psychology are integrated in the happiness program as a theoretical background.

      • KCI등재
      • KCI등재

        대상관계 이론 측면에서 효 문화 증진을 위한 방안 연구

        채경선(Chae, Kyoung 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우리 민족은 전통적으로 효 사상이 깊이 깃들어 있다. 하지만 오늘날 물질 만능주의와 개인주의로 인하여 가정의 기능 약화, 인간 소외 등 여러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오늘날 전통적인개념과 새로운 문화의 충돌 속에서 효 문화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효를 상호 관계의 효, 부모 중심의 효, 세대전수를 통한 사회문화로서의효로 개념화하였다. 또한 이러한 현대적인 효의 개념을 전제로 시대의 요구에 맞는 효 문화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관계’에 대한 중요 이론인 대상관계 이론을 고찰하였다. 대상관계의 주요 개념과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건강한 발달과 적응에 있어서 ‘관계’의 중요성을고찰하고 좋은 대상으로서의 부모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현대 사회에 필요한 효 문화 확산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부모정체성의 회복이다. 무엇보다 가장 좋은 부모는 좋은 역할을 하는 부모에 앞서 부모 자신이 건강한 부모이다. 이를 위해 부모 자신의 내적 회복을 통한 자기 수용과 자기이해가 필요하다. 두번째로는 효 문화 확산을 위한 정서적 부모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부모 자녀간의 분리개별화는 현대적 효의 관점에서 부모가 가져야 할 근원적 목표이다. 그런 의미에서 분리 개별화를위한 부모 역할로 안아주기와 담아내기를 제안하였다.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부모의 안아주기, 담아내기 역할은 정서적, 순환적 관계성을 지속하게 되어 세대의 전수로 효 문화가 전승되리라기대한다. Korean people traditionally have a deep HYO, Today, however,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are cau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weakening of the function of the family and alienation of humans. Accordingly, a paradigm shift for HYO is required in the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concepts and new cultures. Therefore, this study first conceptualized HYO as mutual relations, parent-centered HYO, and HYO as a social culture through generational transmission. In addition, on the premise of this modern concept of HYO, to find a way to promote HYO culture that meets the demands of the times, the theory of object relations, an important theory about relations, was examined. Based on the main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object rel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in healthy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humans, and the influence of parents as good objects. Through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 plan to spread HYO culture necessary for the modern society was suggested. The first aspect is the restoration of parental identity. Above all, the best parents are parents who are healthy before parents who play a good role. For this, parents need self-acceptance and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ir own internal recovery. Second aspect is the emotional parental role parental role of spreading filial piety. Above all,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a fundamental goal that parents should have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HYO. In that sense, it was suggested ‘holding’ and ‘containing’ as a parent for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HYO culture will be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by continuing the emotional and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 학교밖 청소년을 위한 자기조절력 향상 프로그램 : 긍정적 자아개념을 기반으로

        채경선 ( Park Mi Jeoung ),박미정 ( Chae Kyoung Su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9 사회복지경영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대한 연구이다. 자기조절능력은 대체로 연령에 따라 일정한 단계를 거쳐 발달이 되지만 어린시절 자기조절능력이 결여되어 있다 하더라도 정체감이 형성되는 청소년기에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긍정적 자아개념을 반영하고 자기조절 하위요인으로는 인지적·동기적·정서적·행동적 자기조절능력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로 긍정적 자아개념의 형성, 동기적,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자기조절을 향상할 수 있도록 10회기를 구성하였다. 자기조절능력이 유아기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지만 혹여 유아기시절 자기조절능력을 향상할 여건이 되지 못했다하더라도 2차 성장이 되는 청소년때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 자기조절능력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improving self-regulation of adolescents. Self-regulatory ability generally develops through certain stages according to age, but even if it is lacking in childhood, it aims to improve the self-regulation ability in adolescents with a sense of identity. Developed. Reflecting the positive self-concept and subdividing self-regulation into cognitive, motivational, emotional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ability, the formation of positive self-concept as a component of the program, motiv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self Ten sessions were configured to improve control. Although self-regulation may be more effective in infancy, even if it is not a condition to improve self-regulation in infancy, it can be expected to form a positive self-concept and improve self-regulation in adolescents with secondary growth.

      • KCI등재

        ‘의미있는 타자’ 경험을 통한 청소년기의 위기에서 성인기 의미있는 삶으로의 변화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장선숙(Jang Sun-suk),채경선(Chae Kyoung-sun)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4

        본 연구에서는 삶의 과정에 있어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하여 위기에 노출된 청소년기를 보내고 정체감의 혼돈을 경험했음에도 그러한 위기의 경험들을 성장의 동기로 활용한 참여자의 삶을 탐구해 보았다. 본 연구는 참여자의 삶의 맥락 속에서 청소년기에 위기 경험이 있지만 이 시기를 지나 의미있는 타자 경험을 통해 삶의 전환과 성인기의 삶의 가치와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에 대해 탐구하고자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의미 있는 타자를 경험한 연구 참여자의 삶의 이야기 속에서 발견한 의미는 <홀로 걷는 아이 >, <수용과 안정의 의미있는 만남>, <버텨줌을 받은 경험이 버텨주는 타자로>를 도출하였다. 청소년의 위기 시기를 지나고 의미있는 타자 경험과 함께 의미있는 성인기의 삶에 대한 이 내러티브 탐구가 청소년기의 자아 정체감 형성과정에 일어났던 생의 경험들의 의미를 이해하고 의미있는 타자의 관계 경험들을 해석해 봄으로써 삶의 방향에 대한 재점검과 재구성의 기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더불어 우리가 일반적인 사회적 문제라고 치부 해버렸던 위기청소년의 문제행동을 바라보는 편향된 시각의 변화와 지지 체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돌아볼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plored the lives of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rough times, being exposed to crisis for various reasons and experiencing identity confusion in their adolescence but used it as a motivation for growth.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on the ‘significant others’ experience of those who has been seeking values and meaning of life despite the experiences of crisis in adolescence in the context of participants’ lives. The life of individual cannot be defined as success or failure, rather it is the result of a series of choices and actions in each crisis and change in life. He was a “significant others” or “surrogate parent” who held a hand at the moment of crisis in the participant’s life, helped him find his identity in the contact with the “role model,” and examined the role and influence of the “significant others” who helped find a turning point to live a life of hope. With the significant others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the change in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following concepts were defined: <a child walking alone>, <A meaningful encounter of acceptance and stability.> and<From the experience of being held out to becoming someone who helps others hang in .>. By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meaning of life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creating self-identification in adolescence, the researchers hope that it can offer an opportunity to re-examine and reconstruct the direction of life directions, and to reflect on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our support system.

      • 청소년의 긍정 정서 증진 프로그램 개발

        이경자 ( Lee Kyoung Ja ),채경선 ( Chae Kyoung Su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9 사회복지경영연구 Vol.6 No.2

        청소년기는 성장과 발달에 있어서 아동에서 성인이 되기 위해 준비를 하는 시기이며 자아정체성 형성에 결정적시기로서 신체사회, 심리적 변화에 대한 부담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과 자신에 대한 기대의 정교한 망을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 청소년들이 새로운 경향에 대한 적응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불안, 긴장감에 휩싸이고 우울증 등의 심리적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불안을 호소하는 청소년들의 감각을 깨우고 동기를 유발하여 긍정에너지가 생성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될 수 있도록 음악, 미술, 동작, 도서, 색채 등 다양한 도구를 활용한 감각활용을 매개로 하여 불안 감소를 목표로 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Adolescence is a period of preparation for growth from child to adult in growth and development, and it is a crucial time for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Thus, it forms a sophisticated network of circumstances and expectations of itself. However, when adolescents do not know how to adapt to new trends, they may be disturbed by anxiety, nervousness and depression. Therefore, this program is based on the use of senses utilizing various tools such as music, art, movements, books and colors to awaken the senses of youths who complain of anxiety and to induce motivation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positive energy to be generated. The program aims to reduce anxiety

      •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사회성 발달과 자기표현력 증진 프로그램 연구

        공은미 ( Kong Eun Mi ),채경선 ( Chae Kyoung Su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8 사회복지경영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에 대한 연구이다. 지적장애 아동들은 통합교육으로 학교에서 생활하지만 사회성 발달과 자기표현력의 부족으로 인해 사회적 상황에서 원만한 대인관계를 맺고 의사소통을 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아동의 특징을 살펴보고 사회성 발달과 자기표현력을 증진 시키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제들은 ‘내가 누구게?’, ‘우리 같이 놀아 볼까’, ‘나의 감정은?’, ‘내가 좋아하는 것은?’, ‘차례를 지키는 것이 필요해’, ‘재미있게 놀아보자’, ‘친구야 파티하자’이다. 프로그램은 집단 프로그램 형식으로 총 8회기를 구성하였다.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이 프로그램은 동료와의 상호작용, 자기표현, 내적통제, 학교에서의 안정감을 통해 사회성 발달과 자기표현력이 증진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stud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living in school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but they have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because of social development and lack of self - express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onstructed programs to promote social development and self - expression. The program consisted of 8 sessions in total. The themes of the program are: 'Who am I?', 'Let's play together', 'What are my feelings?, 'What do I like?', 'I need to keep my turn', ‘I need a boundary between body and mind’. 'Let's have fun‘, ’Friend, let's party‘. This program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be expected to promote social development and self-expression through interaction with peers, self-expression, internal control, and a sense of security i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