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차유림,Cha, Yu Rim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3

        목적 : 본 연구는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사별 가족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이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방법 : 국내에서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사별 가족을 대상으로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총 97편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시기별, 대상별, 목적별로 구분한 후 주요 특징을 제시하였다. 결과 : 첫째, 이전 시기에 비해 2010년 이후부터 사별 가족 연구의 증가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둘째,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남편과 사별한 중년 여성 배우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셋째, 관련 변인간 관계를 검증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후속 연구를 통해서 사별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체계적 검토방법을 활용한 개입 효과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고, 배우자를 사별한 중년 남성, 자녀를 사별한 부모, 부모를 사별한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는 질적 연구가 시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tudies of bereaved families in Korea. Methods: We reviewed 97 studies of bereaved families, which were published between 1994 and 2013 in Korea. The studies were classified in three groups according to time, subjects, and topic. Results: First, the number of bereaved family-related studies has increased since 2010. Second, most studies focused on the whole family, and middle-age widows were also popular subjects. Third, the most popular topic was a relationship between certain variables. Conclusion: First, variables and their relations among themselves should be approached through an integrated study. Second, a systematic review is needed to assess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on the bereaved. Thir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needed to broaden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about the middle-age widowers, parents who lost their children and children who lost their parents.

      • KCI등재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심리적·행동적·학업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혼가족과 사별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차유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1 학교사회복지 Vol.- No.2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adjustment of single-parent family especially focusing the differences between divorced family and bereaved family.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wave 3(2005) of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This study analyzed data of 296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out of 3,12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Y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of divorced family had lower score than adolescents of bereaved family at school adjustment. Second, self-esteem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d impact on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parental regulation had important impact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bereaved family. Based on this research, the author presented needed approaches in the conclusion.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심리적·행동적·학업적 적응수준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혼가족과 사별가족 두 가지로 구분하여 비교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중2패널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조사에 응답한 총 3,125명 중 부모이혼가족 청소년 194명, 부모사별가족 청소년 102명 총 296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심리적 적응과 행동적 적응 수준에서는 이혼가족 청소년과 사별가족 청소년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업적 적응에서는 이혼가족 청소년이 사별가족 청소년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는 자아존중감과 교사관계가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특히 사별가족 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지도감독이 학업적 적응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적응을 돕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죽음과 상실’ 교과 개발 사례 연구

        차유림 서울장신대학교 2019 서울長神論壇 Vol.27 No.-

        죽음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게 되는 삶의 한 부분이므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죽음과 관련된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사회복지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죽음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대학에서 관련 지식과 가치, 기술, 태도를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죽음준비교육을 정규 교과목으로 편성하여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 관련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규 교과목으로 죽음준비교육을 개설하는 과정을 기술함으로써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죽음에 대해 개인적, 전문적 차원에서 준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It is natural to face death-related situations at a social work field, as death is a part of life that any human being experienc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social work students to acquire related knowledge, values, skills and attitudes in universities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cope with death. Nevertheless, no rela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ork by organizi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as a regular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ended to help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ork prepare for death on a personal and professional level by describing the course of providi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social work students.

      • KCI등재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살펴본 의료사고 및 의료분쟁의 현황에 관한 분석

        차유림,권정승,최종훈,김종열,Cha, Yu-Rim,Kwon, Jeong-Seung,Choi, Jong-Hoon,Kim, Chong-Youl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06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1 No.4

        The increasing tendency of medical disputes is one of the remarkable social phenomena. Especially we must not overlook the phenomenon that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medical accidents is increasing rapidly through the internet. In this research, we evaluated the web sites which provide the information related to medical accidents using the keyword "medical accidents" in March 2006, and classified the 28 web sites according to the kinds of establishers. We also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ites, and checked and compared the current status of the web sites and problems that have to be improved. Finally, we suggested the possible solutions to prevent medical accidents. The detailed results were listed below. 1. Medical practitioners, general public, and lawyers were all familiar with and prefer the term "medical accidents" mainly. 2. In the number of sites searched by the keyword "medical accidents", lawyer had the most sites and medical practitioners had the least ones. 3. Many sites by general public and lawyers had their own medical record analysts but there was little professional analysts for dentistry. 4. General public were more interested in the prevention of medical accidents but the lawyer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process after medical accidents. The sites by medical practitioners dealt with the least remedies of medical accidents, compared with other sites. 5. General public wanted the third party such as government intervention into the disputes including the medical dispute arbitration law or/and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medical dispute judgment institution. 6. In the comparison among the establishers of web sites, medical practitioners dealt with the least examples of medical accidents. 7. The suggestion of cases in counseling articles related to dental accidents were considered less importantly than the reality. 8. Whereas there were many articles about domestic cases related to the bloody dental treatment, in the open counseling articles the number of dental treatment regarding to non insurance treatment was large. 9. In comparing offered information of medical accidents based on the establishers, general public offered vocabularies, lawyers offered related laws and medical practitioners offered medical knowledge relatively. 10. They all cited the news pressed by the media to offer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medical accidents. Especially among the web sites by general public, NGOs provided the plentiful statistical data related to medical accidents. 11. The web sites that collect the medical accidents were only two. As a result of our research, we found out that, in the flood of information, medical disputes can be occurred by the wrong information from third party, and the medical practitioners have the most passive attitudes on the medical accidents. Thus, it is crucial to have the mutual interchange and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lawyer, patients and medical practitioners, so that based on clear mutual comprehension we can solve the accidents and disputes more positively and actively.

      • 사회복지관 죽음교육 실시 현황에 관한 연구

        차유림 서울장신대학교 출판부 2022 서울長神論壇 Vol.- No.30

        현대 사회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죽음을 경험하며 살아간다. 죽음에 대한 바른 이해와 태도를 형성하는 것은 죽음에 대해 준비하고 삶을 의미있게 살아가도록 돕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이는 죽음교육을 통해 가능해지는데, 지역사회에서 종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관이 죽음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이에 현재 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죽음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발전방향을 제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죽음교육의 목적은 죽음을 준비하는 것, 죽음을 준비하면서 현재의 삶을 의미있고 가치있게 살도록 돕는 것 두 가지로 구분된다. 사회복지관은 교육 참여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활동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 있고, 교육은 최소 3회기에서 최대 15회기에 걸친 집단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면과 비대면 방식이 모두 활용되고 있으며, 기관 내부 사회복지사와 외부 전문가가 교육을 실행하고 있다. 죽음교육 참여자들은 사별로 인한 어려움 다루기, 죽음 불안 감소, 죽음 준비도 향상, 현재 삶에 대한 감사, 사회적 관계망 형성 등의 효과를 경험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사회복지관 죽음교육 실시 방향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n modern society, many people live through various deaths. Forming a right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 death is a very important task to prepare for death and help them live life meaningfully. This is made possible through death education, and it will be very effective for social welfare centers that provide comprehensive welfare services in the community to provide death education. According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death education conducted by social welfare centers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death education conducted by social welfare center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reparing for death and helping to live the life meaningfully and worthwhile while preparing for death. Social welfare centers achieve this goal by providing information to participants or having them participate in activities, and education consists of at least three to a maximum of 15 group sessions.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methods are used, and social workers and external experts are conducting education. Participants in death education experienced effects such as dealing with difficulties caused by bereavement, reducing death anxiety, improving preparation for death, auditing current life, and forming a social network.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uture direction of death education in social welfare centers was suggested.

      • KCI등재

        자립준비청년의 자립경험

        차유림,민소영,장혜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위탁가정에서 보호종료된 자립준비청년의 자립 준비와 자립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립준비청년 7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초점집단면접과 개별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4가지 주제와 15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핵심 주제는 ‘유사한 경험-자립은 혼자서, 스스로 해내야 하는 과정’, ‘유사한 경험-권리보장에 대한 기대’, ‘다른 경험-보호형태에 따라 다른 출발’, ‘다른 경험-자립 이후에도 다른 네트워크’였다. 보호시설의 형태에 따라 자립준비청년의 자립 준비와 자립경험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죽음을 경험한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교회의 역할

        차유림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1 신학과 사회 Vol.35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death on children and adolescents, examine the factors that can affect the adaptation of bereaved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see what role the church can play for bereaved children and adolescents. Death has a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spiritual well-be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affect adaptation after death. For bereaved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church can run programs for bereaved children and adolescents, take care of families of bereaved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utilize external resources of the church. 본 연구는 죽음이 아동과 청소년에서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죽음을 경험한 아동과 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검토하며, 죽음을 경험한 아동과 청소년을 위해 교회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둔다. 죽음은 아동과 청소년에게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영적안녕감, 부모 자녀 관계, 사회적 지지 등이 죽음 이후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죽음을 경험한 아동과 청소년을 위해 교회가 감당할 수 있는 역할로는 죽음을 경험한 아동과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 운영하기, 죽음을 경험한 아동과 청소년의 가족 돌보기, 교회의 외부자원 활용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별을 경험한 이들을 위한 목회상담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차유림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6 신학과 사회 Vol.30 No.2

        본 연구는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사별을 경험한 이들을 위한 목회상담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이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국내에서1992년부터 2015년까지 사별을 경험한 이들을 위한 목회상담을 주제로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총 33편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시기별, 목적별로 구분한 후 주요 특징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1992년부터 2015년까지 사별을 경험한 사람들을 위한목회상담에 관한 연구들은 꾸준하게 발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관점과 이론 이해, 모델 및 기법 소개를 목적으로 하는 문헌연구가 총 31편으로 전체 연구의 94%를 차지하였고, 이론 및 모델의 검증, 관련 변인간 관계 검증을 목적으로 하는 경험연구가총 2편으로 전체 연구의 6%를 차지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별을 경험한 이들이 처한 다양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화된 모델이나 기법을 발견하고 적용하려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질적연구 수행을 통해 한국 현실에 적합한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목회현장에서 적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고 연계하는 방안이 포함되어야 하고목회상담을 담당할 인력을 교육하고 훈련하는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n studies of pastoral counseling for the bereaved in Korea. 33 studies of pastoral counseling for the bereaved were reviewed. The studies were classified in two groups according to time and topic.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mbers of studies of pastoral counseling for the bereaved has been increasing since 1992. Most studies focu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31 studies) rather than empirical research(2 studies).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ed intervention strategies, qualitative research, utilizing community resources and staff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