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차우규(Cha Woo Ky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6

        우리나라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은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독립 교과로 설정(1973년)된 이후 지금까지 만 30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인간의 나이로 치면 한 세대가 흘러간 세월이다. 그 동안 도덕과 교육은 크고 작은 어려움과 도전 속에서도 꾸준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도덕과 교육은 그동안 수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을 거치면서 덕목(德目)주의에서 인지주의적 접근으로, 그리고 지금은 덕윤리 교육 혹은 인격주의적 접근 등으로 변천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은 맹목적인 도덕 가치의 주입이나, 도덕적 판단 및 추론 능력의 향상과 같은 합리적인 도덕성만을 가지고는 학생들의 실천적이고 지속적인 도덕적 행동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과거 도덕과 교육에 대한 비판은 한편으론 그만큼 도덕과 교육에 대해 국민적 기대가 큰 반면 그 효과가 크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 한편으로는 사회 변화에 따라 도덕과 교육이 적절하면서도 실효성 있게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 도덕과 교육과정과 덕교육의 위상

        차우규 ( Woo Kyu Cha ) 한국도덕교육학연구회 2006 도덕교육학연구 Vol.7 No.1

        본 논문에서는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자료를 기초 분석 자료로 삼아 그 속에서의 덕 교육적 접근의 위상을 살펴보고, 덕 교육적 접근의 특징과 한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도덕과 교육의 바람직한 이론적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초, 중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그동안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쳐 온 서양의 덕 교육적 접근과 최근 우리의 전통적인 덕(목) 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이것이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는 초, 중등학교 도덕과에서 현행 제7차 교육과정 기에 덕 교육적 접근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 이후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에서는 덕 교육적 접근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덕 교육적 접근은 전통과 공동체를 중시하는 과정에서 보편적인 윤리ㆍ도덕 보다는 특정한 시대와 사회의 상황 논리에 얽매이게 될 가능성이 크며, 그에 따라 특정 가치ㆍ덕목의 주입이 이루어지기 쉽다는 점에서 그 한계를 분명히 인식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다른 접근들에 대해서도 수용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즉,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개인의 자율적 도덕성의 함양에 있으므로, 피터스의 "습관의 뜰을 지난 이성의 궁전으로 들어간다."라는 말과 같이, 덕 교육적 접근은 자율적이고 합리적인 도덕성 함양을 위한 선행적인 과정으로 보아야 하며 그 자체가 완결된 단계로 인식해서는 곤란하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I analysed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in Moral Education for grasping the phase of virtue approach in it. Through this, I sought for theoretically right directions by looking out for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virtue approach in Moral Education. For this, I analysed virtue approaches in Western and our tradition society that have exercised great influence o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hrough this, I sought for the implications in Moral Education. Next, I analysed how virtue approach reflect in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a tentative plan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ast, through virtue approach I looked for the great possibilities binded oneself by the particular period and situation. And because the terminal goals of Moral Education consist in autonomous morality, we can regard virtue approach as preceding process for the rational morality.

      •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의 인구 문제 및 가치 인식 연구

        차우규 ( Cha Woo-kyu ) 인구교육센터 2016 인구교육 Vol.9 No.1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심각한 초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미래 세대인 초, 중등학교 학생들부터 그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가족 친화적 가치관 형성을 통한 결혼 및 출산자녀관을 올바르게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의 인구 가치관 교육과 이를 주도해 나갈 예비교사 교육의 토대인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인구교육 체계화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교사들은 아동 및 청소년들의 가치관 형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매체들(agents)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경상대학교, 공주대학교, 전남대학교, 전주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등 5개 교원양성대학교에서 운영된 대학인구교육 강좌운영 결과에서 나타난 수강생들의 인구 가치관 및 인식 변화 등을 설문분석 방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교원양성기관에서의 한 학기 대학강좌운영 결과 수강생들의 인구 관련 인식 및 가치관의 변화가 매우 긍정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모든 교원양성대학에서는 인구교육 강좌가 필수로 반드시 개설되어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졸업하기 전 최소한 한 강좌 이상 인구교육 강좌를 이수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것이 정책적으로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is willing to help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make the right perspectives on a wedding and childbirth through acknowlegdement of population problem's severity and formation of family-friendly perspectives. For it, this study attaches importance to systematization of population education underlying school's population education in teacher pre-service training. Because teachers are agents influencing to the perspective formualtion of children and teenagers importantly. In this Study we are willing to go over the changes learner's perspectives and acknowledgement through the method of survey analysis on operating results of five universities(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eonju University,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15.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ositive changes were made in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values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university population education course during one semester at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at least all the lectures of population education one class before graduation in all teacher education universities in the future, and population education lecture should be opened for preliminary teachers essential.

      •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바른생활 교과용도서의 개발 방향

        차우규 ( Woo Kyu Cha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2 No.1

        이 연구에서는 현행 「바른생활」 교과서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2007년개정교육과정`에 따른 「바른생활」 교과서의 개발원칙, 특징과 내용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7년개정교육과정`에서 바른생활 교과는 현행의 간학문적 접근과 심리사회적 접근과의 `절충형`을 취하고 있다. 즉, 이는 「바른생활」 교과가 통합 교과이기 때문에 학생 생활중심의 심리사회적 접근을 기본으로 해야 하지만, 「바른생활」 교과의 성격과 내용이 「도덕」 교과와 관련이 깊기 때문에 모교과로서 매우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번 바른생활 교과용도서 개발 시 주요 특징으로는 세 통합교과 간의 통합과 연계, 공통단원의 설정, 모든 차시에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의 포함, 교수-학습 과정개요(학습문제 인지하기→바른 행동 알아보기→바른 행동 실천해보기→실천동기 부여) 제시, 제재를 단원으로 수정, 단원 교수에 도움이 될 인터넷 사이트(Internet Sites) 소개, 단원의 학습경험 목록 제시 등을 들 수 있다. 「바른생활(Right Life)」 in `2007 Reformed National Curriculum` makes a compromise between interdisciplinary and psychological-social approach. 「바른생활」 is regarded as the mother of 「도덕(Moral Education)」 primally, but it is pursuit to the emphasis of psychological-social approach with because of integrated subject. The main features in developing 「바른생활」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integration and connection among three integrated subjects, the establishment of hour common units, inclusion of the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elementary, presenting the outline of teaching-learning process(cognition of learning problems→knowing the right behavior→knowing the merits of right behavior→endowing practice motivation), introducing the internet site helped to ones in teaching, and list of quality learning experiences.

      • KCI등재

        도덕교육에 있어서의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차우규(Cha Woo Ky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1

        이 논문의 주된 주제는 도덕교육에 있어서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이다. 특히 본 논문은 도덕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기서의 핵심은 도덕적 담론이 민주주의에 생명력을 제시하는 기본적 요인이라는 점이다. 현대 시민은 나와 타자의 자유로운 삶을 가능하게 만들어줄 수 있 는 공동체를 전제로 한다. 또한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요구되는 공동체 의식과 상호 책임감 은 권리와 의무에 대한 원초적 관계에 대한 도덕적 탐구가 전제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맥락에 서 도덕과 정치학은 상호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민주시민교육은 국가의 구성원인 시민들에게 요구되는 지식, 가치 그리고 태도와 같은 기질 과 성향을 배양하는 교육이다. 여기서 시민에게 요구되어지는 역량과 성향은 참여와 책임감, 의사소통, 갈등 조절, 문제해결능력 등과 같은 것들이다. 도덕교육방법론의 발전에 중요한 역 할을 하는 토론교육의 활성화는 사고와 표현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고 자기 스스로 문제의식을 찾고 그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대안을 자기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열린 교육을 이끌어 갈 수 있다. 민주시민들에게 토론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초 과정-중급 과정-심화 과 정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할 필요가 있다. 도덕적 담론에 대한 토론교육은 좋은 사고, 좋은 읽 기, 좋은 말하기, 좋은 쓰기와 같은 좋은 습관을 발전시킨다. 또한 토론교육은 모든 인간이 바 라는 행복한 삶에 이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The main thema of this paper is a direc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Especially this paper is focused on moral education. The main basis of this argument is that moral discourse is basic element giving life force in democracy. Contemporary civic presupposes a commune that can be made possible free life of I and the others. Also commune consciousness and mutual responsibility requiring in contemporary democratic society should be presupposed moral investigation on the primitive relation of right and duty. In this context moral and politics have a detachable connection to each other. Democratic civic education is an education cultivating disposition and acquirement such as knowledge, value and attitude being demanded to civics. Here competency and disposition being demanded to civic are things such as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conflict regul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etc. In this paper my main argument is an activation of debate education that plays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moral education methodology. An activation of debate education contributes to open education that realizes the importance of thought and expression and can be lead a self motivated learning that find by oneself critical mind and critical analysis and alternatives on related issues. In order to activate debate education to democratic civics, it needs to organize systematically elementary, middle and deepen course. Debate education on moral discourse develops good habit such as good thinking, good reading, good speech, good writing. Also it has to raise an opportunity to reach happy life that all human desires.

      • 저출산·고령사회에서의 가치관 교육의 새로운 방향

        차우규 ( Woo Kyu Cha ) 인구교육센터 2008 인구교육 Vol.1 No.1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초, 중, 고등학교 시기부터 학생들에게 친가족적 가치관과 올바른 인구관을 가르쳐야 한다. 왜냐하면 가치관 형성은 대체로 초, 중, 고등학교 등 어린시기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인구교육의 효과성을 고려해 본다면 당연히 인구 가치관 교육은 초, 중, 고등학교 시기부터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초, 중, 고등학교 학생 대상의 인구 가치관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인구 교육 실태를 분석해보고, 그들의 인구 가치관 실태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인구 가치관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러한 인구 가치관 형성의 주된 배경은 무엇인지, 그리고 학생들의 바람직한 인구 가치관 형성을 위해 필요한 바람직한 학교 인구 가치관 교육의 방향은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첫째, 각 교과에서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교육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둘째, ‘한국인구교육연구회’의 활동과 ‘보건복지가족부’의 지원이 일회성 행사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결혼?출산 관련 가치관 정립을 위한 교육적 노력은 특정 교과만으로는 어려우며, 여러 교과들이 연계되어 통합적으로 지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인지적 측면만을 편파적으로 다룰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정서와 행동적 변화도 동시에 일으킬 수 있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가치관 정립은 아는 것으로만 그쳐서는 곤란하며, 이를 토대로 올바로 느끼고 공감하며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의지가 동시에 병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이상적인 도덕과 수업을 위한 교사의 역할

        차우규 ( Woo Kyu Cha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11

        도덕교육의 새로운 대안적 방법들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로 오늘날 지식 기반 사회,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도덕적 인재 양성이라는 측면에서 구성주의 이론과 자기 주도적 학습이론,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발달론-전기의 딜레마 토의 수업과 후기의 정의 공동체 수업, 윌슨(J. Wilson)의 도덕적 사고하기, 길리건(C. Gilligan)과 나딩스(N. Noddings)의 배려윤리, 리코나(T. Lickona)의 인격교육론 등을 간략히 살펴보고, 각각의 이론에 기초해 볼 때, 도덕교사는 이상적인 도덕수업을 실행하기 위해 어떤 역할들을 수행해 나가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우리의 도덕교육은 전통적으로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 덕목론적 접근이 주를 이루어왔다. 교육과정 문서상에서는 새로운 도덕교육 이론들이 언급되어 있지만, 실제 도덕수업 현장에서는 이런 이론에 근거한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명목상으로만 존재하는 박제(剝製)와도 같은 존재였다. 이런 문제들은 근본적으로 교사의 도덕과 교육과정 실행(curriculum implementation) 능력의 미흡과 관련이 깊다. 이제 도덕교사가 명목상으로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이상적인 도덕과 수업을 진행해 가기 위해서는 앞서 제시한 여러 새로운 대안적 방법들을 현실적 기반 위에서 창조적으로 결합해 나가야 한다. 교육이론은 현실을 반영해서 체계적으로 만들어지지만, 교육 현실은 끊임없이 변화해가기 때문에 교육이론 또한 교육 현장의 새로운 변화들을 수용하면서 다른 모습을 지닐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교사가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어느 한 교육이론에 편파적으로 치우쳐 도덕교육을 실시할 경우 적지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아동 및 교육 상황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여러 가지 새로운 대안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거쳐 도덕교육의 새로운 대안적 방법들을 창조적으로 접목해 나갈 때, 우리는 도덕교육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핀란드 · 프랑스 사례를 통한 인구교육 방향 탐색

        차우규 ( Cha Woo-kyu ) 인구교육센터 2017 인구교육 Vol.10 No.1

        우리나라는 2001년부터 초저출산 시대에 돌입했다. 이에 정부는 막대한 예산을 국가 정책에 들였고 2006년에는 연간 약 10조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그러나 2016년 출산율은 1.17명으로 바닥을 쳤다. 우리사회는 왜 저출산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더 깊은 수렁에 빠져들고 있을까? 본 연구는 그 해답을 핀란드·프랑스 사례 속에서 방법을 찾아보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핀란드·프랑스의 공통점은 가족을 중시하는 사회·문화적 토대가 마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들 나라도 100여 년 전까지만 해도 가부장적, 남성 중심의 사회였다. 그러나 끈기 있는 중장기적 가족 정책 및 교육을 통해 오랜 시간에 걸쳐 지금의 사회·문화적 풍토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인구교육’은 인구에 대한 교육이 아니다. 단순 출산 장려 홍보나 정부 정책을 위한 구색 맞추기용도 아니다. 그것은 생명, 평등, 가족 가치, 미래 세대 영속성을 추구하며 개인 행복과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향해 가는 중장기적인 교육적 노력인 것이다. 우리 사회는 현재 위기에 봉착했다. 우리는 인구교육으로써 우리 사회에 단단하게 자리 잡은 편견, 그리고 허울뿐인 가족 정책을 깨부수는 탈아스팔트 사회로의 도입이 시급하다. Our country entered an era of very low fertility in 2001. The government spent a huge amount of money on national policies about 10 trillion won per year in 2006. However, the birth rate in 2016 was 1.17. Why is our society mired in a low fertility crisis falling apart? The study focuses on finding the solution in the case of Finland and France. What is common with Finland and France is that they have a social and cultural base on which they value their family. These countries were also patriarchal and male-dominated societies until more than 100 years ago. However, through patient mid - to long-term family policies and education, it was possible to form the current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ver a long time. Population education is not what education is about. It is not intended to promote simple childbirth or to fit the assortment for government policies. It is a medium - to long-term educational effort toward individual happines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pursuing life, equality, family values, and sustainability of future generations. Our society is in crisis now. We need to move into a population-education, a population-setting, anti-familial society that undermines our society's ostensible family policies.

      • KCI등재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

        차우규 ( Woo Kyu Cha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10

        도덕과의 수업평가 기준은, 일반 교과와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있겠지만, 도덕과 수업만이 지닌 독특한 특성을 잘 반영한 기준(standards) 내지 지침들(guidelines)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도덕과의 경우에는 도덕적 가치와 이념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수업평가 기준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으면 큰 혼란과 갈등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은 현장 교사들이 매우 어려워하는 도덕과 수업의 질 관리 제고 뿐만 아니라 교사의 도덕 수업 전문성을 제고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서 이 연구는 바람직한 도덕과 수업의 조건을 살펴봄으로써 도덕과 수업평가 요소를 추출하여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 및 기준 활용 방안을 탐색하고, 더 나아가 도덕과 수업을 장학하는 전문가나 교사들이 도덕과 수업평가 운영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중 도덕 수업평가 영역(요소)으로는 (1)지식과 능력(성격, 목표, 내용 및 내용방법 관련지식,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방법, 교과서, 학습자의 발달과 흥미에 대한 이해), (2)수업설계(수업절차 계획 및 연계 방안 계획, 수업 준비 및 사전 계획), (3)수업실행(교수학습방법의 활용,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 적절한 수업환경의 유지, 평가방법의 활용), (4)전문성 제고(수업에 대한 자기반성, 수업에 대한 동료장학) 등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에 대한 활용 방안에서는 도덕과 수업평가 기준의 검증과 상세화 과정, 자기 평가 및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의 적용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