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덕과 교육과정과 덕교육의 위상

        차우규 ( Woo Kyu Cha ) 한국도덕교육학연구회 2006 도덕교육학연구 Vol.7 No.1

        본 논문에서는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자료를 기초 분석 자료로 삼아 그 속에서의 덕 교육적 접근의 위상을 살펴보고, 덕 교육적 접근의 특징과 한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도덕과 교육의 바람직한 이론적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초, 중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그동안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쳐 온 서양의 덕 교육적 접근과 최근 우리의 전통적인 덕(목) 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이것이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는 초, 중등학교 도덕과에서 현행 제7차 교육과정 기에 덕 교육적 접근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 이후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에서는 덕 교육적 접근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덕 교육적 접근은 전통과 공동체를 중시하는 과정에서 보편적인 윤리ㆍ도덕 보다는 특정한 시대와 사회의 상황 논리에 얽매이게 될 가능성이 크며, 그에 따라 특정 가치ㆍ덕목의 주입이 이루어지기 쉽다는 점에서 그 한계를 분명히 인식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다른 접근들에 대해서도 수용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즉,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개인의 자율적 도덕성의 함양에 있으므로, 피터스의 "습관의 뜰을 지난 이성의 궁전으로 들어간다."라는 말과 같이, 덕 교육적 접근은 자율적이고 합리적인 도덕성 함양을 위한 선행적인 과정으로 보아야 하며 그 자체가 완결된 단계로 인식해서는 곤란하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I analysed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in Moral Education for grasping the phase of virtue approach in it. Through this, I sought for theoretically right directions by looking out for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virtue approach in Moral Education. For this, I analysed virtue approaches in Western and our tradition society that have exercised great influence o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hrough this, I sought for the implications in Moral Education. Next, I analysed how virtue approach reflect in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a tentative plan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ast, through virtue approach I looked for the great possibilities binded oneself by the particular period and situation. And because the terminal goals of Moral Education consist in autonomous morality, we can regard virtue approach as preceding process for the rational morality.

      • 윌슨의 "도덕성 캠프" 프로그램 개발 방안

        설재종 ( Jai Jong Seol ) 한국도덕교육학연구회 2006 도덕교육학연구 Vol.7 No.1

        윌슨의 15가지 도덕성 요소를 이용한 윌슨의 도덕성 캠프는 흐름이 매우 논리적이며 일관성 있는 프로그램이다. 그 이유는 윌슨의 도덕성 요소가 진행적이며 누적적이고, 동시적이기 때문이다. 진행적이라는 것은 PHIL부터 하나의 요소씩 순서대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진행적이기에 1박 2일 또는, 2박 3일의 도덕성 캠프가 가능한 것이며, 방학을 이용해서는 5박 6일 등의 더 긴 기간도 가능하다. 누적적이기 때문에 이전 과정에서 학습한 도덕성 요소들을 상기할 수 있다. 한편, 동시적이기 때문에 도덕성 캠프가 끝나는 시점에 토의를 통한 자기 평가, 교사에 의한 평가 등이 가능하다. 캠프 프로그램에는 취사, 캠프 파이어, 모둠별 협동 활동, 도덕사태 관련 역할극 장기자랑, 리코나의 학급 모형, 콜버그의 공동체 등의 외적인 요소가 함께 들어가 윌슨의 도덕성 캠프를 더욱 지원해 줄 수 있다. 윌슨의 도덕성 캠프는 도덕적 문제 사태에 대한 ``도덕적 사고하기``를 진지하고 여유있게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토요휴업일이 시행되고 있는 요즘, 더욱 실용성 있고 의욕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J. Wilson`s Moral Camp using his moral components is pretty logic and consistancy program. This is because J. Wilson`s Moral components are progressive and accumulative. Being progressive means studing PHIL`s theory step by step. It can be possible that Moral Camp is able to continue more than one or two night. In vocation it can be able to continue more than five or six night. Being accumulate can call the previous studed moral elements to mind. In addition, because of the simultaneous, the camp can be able to oneself appraisal and teacher appraisal. The moral camp can support many things externally : cook oneself, campfire, team cooperation activity, palying example concerned with the moral situation, Lickona`s class model and Kolburg`s Community. Wilson`s moral camp has a great advantage which get realized ``the moral thinking`` concerned with the moral situation seriously, comfortly and concentrately. Nowadays, holiday on saturday will make Wilson`s moral camp be more practical motivateical.

      • 국제결혼 가정 자녀를 위한 다문화 도덕 교육

        조응태 ( Eung Tae Cho ) 한국도덕교육학연구회 2006 도덕교육학연구 Vol.7 No.1

        세계화 조류와 함께 점증하는 국제결혼 가정 자녀들이 본격적으로 청소년으로서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논문은 이들을 위한 다문화 도덕 교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서 교사들이 바라 본 국제결혼 가정 자녀의 도덕 교육의 실태를 설문 형식으로 조사, 분석, 연구하였다. 늦은 결혼 및 출생 자녀 숫자가 급감하여 심각한 한국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에서 국제결혼 가정은 이런 위기 극복에 도움을 주고 있다. 많은 국제결혼 가정 자녀들이 유치원, 초등, 중등,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이는 곧 장래 주요 사회 구성원이 될 이들에 대한 도덕 교육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교사들의 응답에 의하면, 국제결혼 가정 자녀 중에서 개인생활, 가정 이웃 학교생활, 사회생활, 국가민족 생활 영역에 있어서 한국인 부부 가정의 학생에 비하여 떨어지는 경향이 높았고, 특히 국가민족 생활 영역에서는 훨씬 떨어졌다. 이 부분에 대하여 정부와 지방자치 단체와 교사 등 모두가 일체가 되어서 저들을 위한 도덕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또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는데 교사들이 공감을 하였다. 그러므로 다문화를 갖는 국가로서 세계 속의 한국, 한국 속의 세계가 되는 미래로 향하여 도약하는데 기여하는 다문화 도덕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기성세대가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들을 다문화 가치관에 근거한 도덕으로 잘 교육할 때 미래의 한국과 세계는 평화로운 지구촌으로 다가가게 될 것이다. This paper is written to survey the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through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This will be able to help us to find out a new solution to educate multicultural morality for them. Modern society is in the midst of diverse rapid changes. Among them, marriage types are especially being changed from domestic marriage to international marriage. Now most of Korean who have been kept the concept of racially homogeneous nation can start to change their concept. And international marriage can devote to resolve a low birth-rate. The children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multicultural family) became students of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they might have a key role in the future society. Many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children had a lack of ability in the sphere of the moral education of private-neighbor-society-national dimension. They also emphasized that government should be interested in a new moral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Therefore we should create a new moral education, a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Through the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we should establish a new image of Korea, from ``Korea among the world`` to ``the world among Korea`` as a multicultural nation. After the visit of Hines Ward, Korean government started to support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under the name of multicultural family. Although such a decision was so late comparing to Japan and Taiwan, it can help them quiet a few. We should develope and establish a new Korea with a new concept - multicultural family, multicultural moral, multiculturalism.

      • Wilson과 Cowell의「대화의 도덕교육」에 나타난 도덕성, 신법, 덕목과 도덕교육방법에 관한 고찰

        남궁달화 ( Dal Wha Namkung ) 한국도덕교육학연구회 2006 도덕교육학연구 Vol.7 No.1

        도덕교육을 종교교육으로 보는 사람들은 신법이, 덕목교육으로 보는 사람들은 전통적인 성현의 말씀으로 구성된 덕목이, 도덕적 문제 해결능력으로 보는 사람들은 도덕적 추론하기가, 도덕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신법과 덕목은 구체적인 내용인데 비해 추론하기는 형식이다. 신법과 덕목의 도덕교육은 권위의 수용과 전달하기에 의존하는데 비해 추론하기는 절차 및 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도덕적 이유에 의존한다. 문학작품 등의 ``이야기``는 선ㆍ악의 개념 이해와 사람들의 정서ㆍ감정의 인식을 계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상처를 주는 엄연한 사실적 지식과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정서ㆍ감정의 인식 하에, 사람의 개념에 기초한 타인의 이익고려 원리를 준거로 도덕적 문제를 인식ㆍ사고ㆍ판단하여 행동하기에 이르는 일련의 도덕성 요소들로 구성된 문제해결의 과정은 도덕적 추론하기를 위한 절차와 방법으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 그러나 도덕교육은, 도덕성이 인지ㆍ정서ㆍ행동 영역으로 구성되는 통합체이듯이 각각의 영역에 따른 적절한 방법들이 상호참조 하에 활용될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Those who think moral education is religious education claim that it should be based on divine law, those who think moral education is to internalize traditional virtues what are said by saints from olden times claim that it should be based on virtues, and those who think moral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capacity of moral problem solving claim that it should be based on moral reasoning. While divine law and virtues are concrete ``content``, moral reasoning is ``form``. Moral education based on divine law and virtues depends on transmitting them to children and accepting authorities, but moral education based on moral reasoning depends on moral justification produced from a set of procedures and methods. Those stories supplied by writers are proper materials to use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good and the evil and recognizing people`s emotions and feelings, while the process of moral problem solving consisted of a set of moral components is proper procedures and methods to use for moral reasoning and ``form`` approach. (The moral components are : concern for other people as equals, awareness of feelings and emotions in other people, knowledge of the hard facts relevant to moral situations, and knowing non-propositional skills in dealing with people, noticing, thinking and deciding moral problems, and translating the decisions into action.) However, moral education will be more effective when different methods are, under cross-reference, properly used according to different aspect of morality, because morality is an integrative whole consisted of different aspects, that i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