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 규준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 중학교 영재학생들의 리더십 기술 수준

        진석언(Jin Suk-Un),차주환(Cha Ju-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4 比較敎育硏究 Vol.14 No.3

        영재교육이 극소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가적 재원을 투여하는 일임에도 대다수 국민들이 큰 저항을 느끼지 않는 것은 영재학생들을 교육함으로써 이 나라의 미래 지도자를 양성하고 있다는 것에 공감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재학생들이 미래 사회의 리더가 될 수 있도록 그들이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들을 키워주는 적절한 리더십 교육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에서 영재학생들을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개발된 리더십 기술 검사는 학생들의 리더십 관련 기술의 장단점을 진단해 주는 유용한 도구로서 우리나라 영재학생들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 검사도구를 한글로 번안한 후 우리나라 중학생들에게 실시한 결과, 본 도구가 매우 신뢰로운 진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검사도구를 미국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제작된 규준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영재 중학생 및 일반 중학생의 리더십 기술 수준을 살펴 본 결과, 우리나라의 일반 중학생들은 미국의 학생들에 비하여 모든 영역에서 낮은 수준의 리더십 수준을 보여주었고, 우리나라의 영재학생들의 경우에는 미국의 일반학생들과 비교하여 결코 리더십에 있어서 우위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미국 규준과 비교해 본 결과에 근거할 때 우리나라 학생들의 리더십 계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ecently, Korean society started to spend a lot of national resources on educating gifted students. Korean society seems to expect that, by educating gifted students, it is bringing up tomorrows' national leaders. However, many researchers in the areas of gifted education and leadership education claims that gifted education programs include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to foster genuine leaders. This study found that Leadership Skills Inventory(LSI) is a very promising diagnostic tool which can be easily linked with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In order to utilize LSI as a leadership diagnostic tool for Korean students. LSI was translated into Korean. Koreanversion LSI also showed it is a reliable measurement in evaluating leadership skills of Korean students. When Korean students were compated to the American norms, which was developed by applying original LSI to American student samples.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leadership skills than American samples. On the other hand, gifted student samples, who were classified as gifted in Korea, did not show higher levels of leadership skills than American samples, who were not just general students. Results imply that Korean education, as well as Korean gifted education, should develop and apply leadership programs for its young students if Korean society intends to bring up its youngsters to the international leader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SW영재교육 시행을 위한 플랫폼 선호도 조사연구

        이재호(Jaeho Lee),전우천(Woochun Jun),예홍(Hongjin Yeh),전미란(Miran Chun),진석언(Suk-Un Jin),김유(Yujin Kim),장준형(Junhyung Jang)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1

        코로나-19 사태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온라인 일반 교육은 2020년 하반기 들어 비교적 안정화되는 추세이나 SW 코딩 실습과 과정 중심의 산출물 지도 등을 시행해야 하는 SW영재교육 분야는 온라인 교육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렵다. 이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에 따른 SW영재교육 분야 역시 온라인 교육으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게 되었다. 따라서, SW영재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SW영재학급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라인 SW영재교육 플랫폼은 무엇인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온라인 SW영재교육 플랫폼 선호도 조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온라인 SW영재교육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플랫폼에서 지원해야 하는 주요 기능을 플랫폼 선호도 조사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온라인 SW영재교육 플랫폼의 주요 이용자는 교사와 학생이기에 이들에게 친숙한 플랫폼을 온라인 SW영재학급 플랫폼 선호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선호도 조사 실시용 온라인 조사지를 개발하고, 101명의 교육 분야 전문가들에게 온라인 조사용 사이트 주소를 발송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선호도 기준별로 분석하여 온라인 SW영재교육에 적합한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latforms implement online SW gifted education at a time whe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SW gifted education. Online education, which began due to the outbreak, is stabilizing now owever, it is difficult to actively accept online education in areas where SW coding practice and process-oriented output guidance are required. Despite the situation, the SW gifted education sector has also actively considered the transition to online education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crisi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which online platform was best suited for use in class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 department that specializes in SW gifted education. The online platform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 Firs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online SW gifted education, the main functions the platform preference survey criteria. As a result, five preference criteria were established: teaching and learning management, educational content, community, accessibility, and performance. Second, the main users, familiar platform selected as subject of the platform preference survey EBS eSop, SW-centered society, Google Classroom, Naver EDWITH, e-learning site, band, and Kakao Channel. Third, we developed an online survey site conduct preference surveys and sent the site address to 101 experts in education. Finally, we analyzed the opinions of experts by preference criteria and propose a platform suitable for online SW gifted education.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 분석

        이종연 ( Jong Yeon Lee ),구양미 ( Yang Mi Koo ),남민우 ( M. Nam ),박상훈 ( S. Park ),김병수 ( B. Kim ),박도인 ( D. Park ),서정희 ( J. Seo ),고범석 ( B. Go ),진석언 ( Suk Un J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 사회과 영역지식, 메타인지, 학습동기, ICT활용능력 수준이 사회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최종적인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개선 및 효과적인 운영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마포구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5개 학급이었다. 5학년 3개 반에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온·오프 연계 버전이 적용되었고, 2개 반에는 오프라인 버전이 적용되었다. 학기 시작 전,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 모두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와 사회과 영역지식 검사를 받았다. 온·오프 연계 그룹 학생들은 메타인지, 학습동기, ICT활용능력 수준을 조사하는 설문지에 응답했고, 오프라인 그룹 학생들은 메타인지, 학습동기 수준을 조사하는 설문지에 응답했다. 조사가 끝난 후,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 5학년 2학기 사회과 수업을 진행하였고 모든 수업을 완료한 후,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와 학업성취도 검사를 받았다. 처치그룹별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오프 연계 버전을 운영하였을 경우, 학습자들의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영역지식이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에 공통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과 기초지식이 많을수록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높았고 학업성취도도 높았다. 오프라인 버전을 운영하였을 경우, 학습자들의 영역지식 수준은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에 공통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메타인지 수준은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준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선 사회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수업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버전에 관계없이 학습자의 영역지식 수준을 증진시키는 방안에 주력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온·오프 연계 버전 적용 시 학습자의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영역지식 수준을 고려하는 운영방안 또는 교과과정 차별화 방안과, 오프라인 버전 적용 시 학습자의 영역지식과 메타인지 수준을 고려하는 운영방안 또는 교과과정 차별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arners variables such as entry-leve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domain-knowledge,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the level of ICT use on learners` fina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learning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after running Creative Thinker Program. Creative Thinker Program was composed of 9 units reorganized by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 unique online support system was developed to assist teacher`s and students` six step activities in each unit. Five 5th grade classes from a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treatment groups, on- & off-line blended treatment group and off-line treatment group. On- & off-line blended treatment meant that the online support system was fully utilized. Off-line treatment meant that most options of the system were substituted by printed material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oth students` entry-leve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domain knowledg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fina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when running on- & off-line blended version of Creative Thinker Program. In case of off-line version, students` domain knowledg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fina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Also students` level of meta-cognition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final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 KCI등재후보

        Sternberg의 사고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비교 : Based on Sternberg's thinking styles classification

        진석언,고혜 국립특수교육원 2004 특수교육연구 Vol.11 No.2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Sternberg와 Wagner(1991)의 사고유형 검사도구를 참고하여 초등학생용 사고유형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신뢰도계수 .83), C대학과 A대학 과학영재교육센터의 초등 5, 6학년 수학 과학영재 102명과 C도시 초등학교 5-6학년 일반 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사고유형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영재학생은 사고유형간의 점수차이가 크며(2.71-3.86점), 사고유형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주로 입법형, 사법형, 지엽형, 내향형, 자유형의 사고 유형을 지니는 학생이 많았다. 일반 학생은 사고유형간의 점수 차이가 작으며(2.9-3.49점), 사고유형이 뚜렷하지 않았다. 영재학생은 일반학생보다 입법형, 사법형, 군주형, 위계형, 무정부형, 전체형, 지엽형, 내향형, 자유형의 9가지 사고유형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p<.01). 일반학생은 영재학생보다 행정형과 보수형의 사고유형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p<.01). 여학생은 전체형과 지엽형의 사고유형을 더 많이 가지지만 영재성과 성별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는 있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 유형의 차이에 대한 원인과 일반학교에서 영재학생의 부적응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n terms of thinking styles, which is based on Sternberg(2000)'s self-government theory and Sternberg & Wagner(1991)'s Thinking Style Questionnaire. Results showed that gifted students have more apparent thinking styles than nongifted students.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legislative, judicial, local, internal, and liberal styles. On the other hand, Non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executive and conservative styles. Based on the results, the causes of the group differences and the possibilities of maladaption of gifted students, which is caused by their unique thinking sty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