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톨릭 사회복지 윤리강령 연구

        김미숙(Kim Mee Sook)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4 생명연구 Vol.31 No.-

        본 논문은 미국 가톨릭 채리티스 윤리강령과 미국 사회복지사협회 윤리강령을 비교 연구하고 가톨릭 사회복지의 고유한 가치와 정체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가톨릭 사회복지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의 풍부한 지혜와 지식 전수, 둘째, 법인 이사회, 관련 기관, 자원봉사자, 등 다양한 대상에게 강령의 확대 적용, 셋째, 종교적 신념과 세속적 가치를 겸비한 이중 정체성의 실천, 넷째, 긴급한 요구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성과 무조건적 증여, 다섯째, 조직의 투명성과 헌신성 강조, 여섯째, 전문성, 열성, 도덕적 책임성, 영성 및 심성을 통한 역량강화, 일곱째, 보조성에 의거한 국가의 지원과 자율성 요구이다. 미국 사회복지사협회 윤리강령으로 대표되는 일반 사회복지가 가톨릭 사회복지에게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갈등에 대비한 윤리 기준의 정교화, 둘째,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전향적 인식, 셋째, 전문성 향상을 위한 서비스 평가와 연구조사의 필요성이다. 본 연구 결과 논의들이 한국 가톨릭 사회복지 윤리강령 제정시에 참고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Catholic identity by comparing code of ethics between Catholic Charities USA and that of NASW USA. The study of Catholic social welfar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social welfare in general: first, passing on the rich wisdom and knowledge of Catholic church; second, applying the code of ethics to various group including boards, volunteers, etc.; third, balancing a double identity of holding religious beliefs and secular values; fourth, active responsiveness and unconditional giving for dire needs; fifth, transparency and dedication of the organization; sixth, empowerment through professionalism, enthusiasm, moral responsibility, spirituality and mindfulness; and seventh, a right to ask for government support and autonomy in accordance with subsidiarity. General social welfare represented by NASW USA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regarding Catholic social welfare: first, a need for more detailed ethical standards against possible ethical conflicts; second, proactive understanding on client self- determination; and third, a need for evaluation and research. These study results are hoped to be used as reference when making Caritas Korea code of ethics.

      • KCI등재

        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녀의 행복, 게임 과몰입, 인터넷 문제행동에 이르는 경로 분석

        김미숙 ( Kim Mee Sook ),박상규 ( Park Sang-gyu ),김성우 ( Kim Sung-woo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녀의 행복, 게임 과몰입, 인터넷 문제행동에 이르는 경로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이용자패널 조사 9차년도 (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IBM SPSS Statistic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다음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자녀-부모 의사소통)은 자녀의 행복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부모가 지각한 자녀와의 의사소통(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자녀의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자녀의 행복은 게임 과몰입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게임 과몰입은 인터넷 문제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로써,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은 자녀의 행복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녀의 행복은 게임 과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게임 과몰입은 인터넷 문제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경로가 유의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경로 분석 결과, 각 변인 간의 직접 효과만 확인되었고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경로에 대하여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녀의 성별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별로는 집단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대학생 이상 집단에서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녀 행복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자녀 행복이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게임 과몰입이 인터넷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중고등학생 집단에서보다 작았다. 본 연구결과는 자녀의 게임 과몰입과 인터넷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녀가 부모와의 소통이 잘 되어 행복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부모가 자기 자녀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주시하면서 자녀의 입장에서 말하고 소통하는 방법을 익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자녀가 저학년일 때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ath analysi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children’s happiness, game over-engagement, and problematic online behavior.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Amos 21.0 using the 9th year of the Game User Panel Survey of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2018).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hildren’s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However, parent communic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Children’s happi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game over-engagement. Game over-engag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oblematic online behavior. We confirm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following path: communication with parents as perceived by their children led to children’s happiness, then to game over-engagement, and finally, problematic online behavior. The results show that only a direct effect was confirmed, and that an indirect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o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were found on this pathway,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school grade. In the group of college students and above, parent-child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Compared to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group, the effect of children’s happiness on game over-engag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game over-engagement had less effect on problematic onlin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important for children to communicate well with their parents to maintain a sense of happiness in order to prevent over-engagement in games and problematic online behavior. It shows that it is effective to conduct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learn how to communicate when the child is in the lower grades.

      • KCI등재

        자립을 준비하는 한부모가족 여성의 삶의 양식에 관한 탐색적 사례 연구: 모자가족복지시설 입,퇴소자를 중심으로

        김미숙 ( Mee Sook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2 No.-

        이 연구는 복지시설에서 자립을 준비하는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들의 삶의 양식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자가족복지시설 입소자와 퇴소자 15명을 주요 연구참여자로, 시설 종사자 2명을 보조 연구참여자로 섭외하여 사례연구로 접근했다. 자료수집은 2014년 8월부터 2015년 2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시설에서 자립을 준비하는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들의 공통된 삶의 양식들은 ‘ 모성책임 ’ , ‘ 국가 지원과 본인 수고의 황금분할 ’ , ‘ 자녀 양육을 통한 다음 세대의 준비 ’ , ‘ 평범한 가족의 삶을 추구 ’ , ‘ 경제적 안정과 심리적 안정감 간의 균형 ’ , ‘ 사보험으로 미래의 불안에 대비함 ’ 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여섯 가지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삶의 양식은 ‘ 국가와 본인의 공동 책임 속에서 미래 세대를 양육하며 평범하고 안정된 삶을 추구함 ’ 으로 이해되었다. 끝으로, 연구결과에 의거한 논의가 이어졌다. This study tries to comprehend the ways of life of single mothers who are preparing for self-sufficient living upon retiring from the welfare facility. During the time period of August, 2014 through February, 2015, I conducted a case study, implementing in-depth interviews with 15 current and former welfare facility residents and 2 social workers involved. As for the research findings, 6 common life styles were extracted. They are ‘responsibilities of motherhood’, ‘a reasonable division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self-effort’, ‘preparations for a next generation through child rearing’, ‘pursuing an ordinary family life’, ‘a balance of financi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reparing for an anxious future through private insurance’. To sum up, single mothers who are living in the welfare facility were understood as ‘pursuing an ordinary and steady life by preparing for future generation under joint responsibilities of government and themselves’. Finally, implications of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COVID-19 대유행이 청년세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미숙(Kim, Mee Sook),강선경(Kang, Sun Kyu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1 생명연구 Vol.60 No.-

        본 연구는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COVID-19 팬데믹 상황이 한국의 20~30대 청년세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총 762부의 자료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관적 신체건강이 좋으면 주관적 정신건강이 좋을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음주빈도가 월 2~4회 수준이면 주관적 정신건강이 좋을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의 경제적 수준이 높으면 주관적 정신건강이 좋을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COVID-19 이후 경험된 청년세대의 일상생활 변화와 관련해서는, 가족과의 시간이 증가하면 주관적 정신건강이 좋을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고, 고독감이 있거나 미래에 대한 불안이 증가하면 주관적 정신건강이 나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COVID-19 이후 20~30대 청년세대의 일상생활은 혼자만의 시간 증가보다는 가족과의 시간 증가가 주관적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COVID-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보다는 가족의 경제적 수준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건강 불안보다는 미래불안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고립감보다는 고독감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which hit the world in 2020, on the mental health of young people. To this e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a total of 762 copies of data using the IBM SPSS 21.0 progra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Subjective physical heal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The frequency of drinking 2-4 times a mon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Study subjects’ family economic lev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With respect to the changes in daily life experienced since COVID-19, an increase in family tim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an increase in loneliness and future-related anxie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increased time with family, rather than an increase in alone time, had more impa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future-related anxiety, rather than health-related anxiety, had more impa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Additionally, personal loneliness, rather than social isolation, had more impa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re described,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y were provided.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의 민간자원 동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후원을 중심으로

        김미숙(Kim Mee-Sook),김은정(Kim Eun-Je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2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은 자원의 결핍으로 클라이언트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재정적인 한계에 직면한 상황이다. 그 근본적인 이유는 정부지원금의 부족에도 기인하지만 시설이 지역사회의 풍부한 민간자원을 개발하는 기술이 부족한 탓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후원에 초점을 두어 시설의 자원동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시설들이 효과적으로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br/> 본 연구를 위해서 사회복지시설의 후원업무를 담당하거나 관여를 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시설은 이용시설 3유형(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시설과 생활시설 6유형(아동시설, 노인시설, 장애인시설, 여성시설, 정신요양시설, 부랑인시설)시설이었다. 총 1,510개소의 대상 중 조사에 응한 시설은 이용시설 293개소, 생활시설 632개소로 설문응답률은 62%에 이른다. <br/>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자원동원실태로써 후원자수(결연후원자와 시설후원자의 합), 후원액(결연후원액과 시설후원액의 합), 후원물품 현금환가액을 설정하였고, 이용시설과 생활시설에서 각각 세 모델을 구성하였다. 독립변수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참고로 하여 자원동원에 영향을 주는 세 유형인 지역환경요인, 조직요인, 후원개발요인을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br/>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보았던 후원개발요인은 많은 모델에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후원자수, 후원액, 후원물품(이용시설 제외) 모델에서 모두 6변수로 구성된 자원개발요인은 최소한 1개의 변수는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후원개발을 위해 후원을 위한 전담부서나 직원을 두며, 후원자 관리를 위한 전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시설, 그리고 후원자 모집 및 관리를 하는 시설이 그렇지 않은 시설보다 자원동원결과가 더 긍정적이었다. 특히 후원자관리를 위한 전산 프로그램 사용은 생활시설 모델에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생활시설의 후원자수 모델에서는 소재지(대도시)가 유의하였고, 후원액 모델에서는 생활시설의 경우 시설유형(여성시설), 운영기간, 직원 수가 유의하였다. 후원물품 모델에서는 이용시설의 경우 지역 생활환경(중상층), 생활시설의 경우 시설유형(노인, 아동, 정신요양시설), 운영기간이 유의하였다. <br/>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시설이 자원을 활발하게 동원하기 위해서는 후원개발을 위한 조직이나 인력을 배치해야 하고, 후원자 관리를 위한 전산 프로그램 및 후원자 모집 및 관리 프로그램을 활용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Social welfare centers and residential care facilities where provide the socially disadvantaged with proper social services, face financial difficulties. This is because not only of the lack of governmental support, but also of social welfare centers and residential care facilities' lack of skills in developing abundant resources from the private sect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tried to find factors affecting resource mobil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devise policies in resource development.<br/> Mail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Employees in charge of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study population were welfare centers and residential care facilities. A total of 293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632 residential care facilitie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ponse rate was about 62%. <br/>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were the amount of resource mobilization in the year 2001 which was measured as the number of donors, the total amount of donation, and estimated amount of gift-in-kind. Three types models were constructed per each welfare institution.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community environment factor, structural factor, and resource development factor. Multiple regression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br/> The resource development factor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 in various models. In the models of donors, the amount of donation, and the amount of gift-in-kind (except for the welfare center model), at least one out of six variables of the resource development factors was significant welfare center. Welfare centers which establish the resource development department or hire employees to take care of resource development, utilize computer softwares to file donors, and utilize donor management programs, have more donors and/or donations than their counterparts.<br/> In additio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located in urban area have more donors and donations, and among residential facilities those for the disables, those with longer history and more employees, receive more donations than their counterparts. As for the gift-in-kind model, the welfare centers located in high income area and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children and mentally retarded receive less gift-in-kind than their counterparts<b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mobilize resources the welfare centers as well residential care facilities need to have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department or resource development staffs, adopt computer software to systematically organize donors, and utilize donor mobilizing and maintaining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화상경륜 참여자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경륜도박행동의 관계에서 도박동기의 매개효과

        김미숙(Mee Sook Kim),윤지연(Ji Yeon Yun),강상준(Sang Jun Ka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9 생명연구 Vol.52 No.-

        본 연구는 화상경륜 참여자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경륜도박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교동기, 금전동기, 회피동기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함으로써 화상경륜 참여자의 스포츠도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화상경륜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비확률표본추출 방법 중 편의추출법을 사용하여 서울시내 경륜·경정 장외지점 이용자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에 무응답 자료를 제외한 총 389부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상적 스트레스는 사교동기, 금전동기, 회피동기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일상적 스트레스는 경륜도박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일상적 스트레스와 경륜도박행동 간에 사교동기, 금전동기, 회피동기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끝으로 연구함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on sports betting of video bicycle race gamblers b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gambling motives (socialization, monetary, and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video bicycle race gambling. Using the non-probabilit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visitors of the video bicycle race gambling arena in Seoul area. A total of 389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excluding the non-response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Daily str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ization motive, monetary motive, and avoidance motive. Each of socialization motive, monetary motive, and avoidance motiv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video bicycle gambling. Daily str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video bicycle gambling. It was found that socialization motive, monetary motive, and avoidance motive play a role of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video bicycle gambling.

      •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김미숙(Mee Sook Kim),최중진(Jung Jin Choi) 해결중심치료학회 2019 해결중심치료학회지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해결중심치료의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미술치료의 기법을 도입하여 재구성한 것으로, 해결중심치료와 미술치료 분야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그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연구질문은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연구모형은 사전사후비교설계였다. 실험에 사용한 검사 도구는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와 김봉환 등(2007)이 개발한 청소년용 진로성숙도 검사이다. 통계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 α를, 변인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를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사전․사후검사에서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를 높이는데 효적임을 입증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해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a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a program reconfigured by introducing an are therapy technique based on the solution-focused theory developed by Steve de Shazer, Insoo Kim Berg and others. The program’s reliability and validity have been proven through advice from the experts in solution-focused therapy and are therapy.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developed: First, the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would improve adolescents’ self-esteem. Second, the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would improve adolescents’ career maturity. In terms of a research model, pre-post test comparison group design was appli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SPSS 18.0 was used. For a reliability test, Cronbach α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s among groups on variables, t-test was conducted. In sum, the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y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participants’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The career maturity and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he comparison group showed no improvements on the two measures. This proved that the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useful for enhancing the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