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컴퓨터통합 인식, 지식과 관련변인: 컴퓨터 통합교육 효과

        진명희 ( Meong Hee 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5

        본 연구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컴퓨터 통합교육을 수행하고 컴퓨터 통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예비교사들이 교실에서 컴퓨터 통합교육을 실천하는 예측변인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예비교사의 컴퓨터 통합 교육을 위해 컴퓨터 기술,교육과정 통합, 학습자 발달과 교수원리 등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컴퓨터 교육을 12주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컴퓨터 통합교육 초기에는 테크놀로지 사용을 교수 실제와 별개로인식하거나, 유아의 테크놀로지 사용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등 컴퓨터 통합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났으나, 컴퓨터 통합교육 이후 유아중심의 테크놀로지 교육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컴퓨터 사용을 유아의 학습과 연관시키는 교수적 인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통합과 관련된 지식이 변화되어, 예비교사들은 초기에는 테크놀로지 기술 지식(TK)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나, 통합 교육 후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TPCK)에 대한 관심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CK)이 컴퓨터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컴퓨터 교사교육에서 컴퓨터 리터러시와 함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교사들이 교수실제에 컴퓨터를 통합적으로 적용하도록 가르치는 것이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knowledge, and related variables about computer integration, which is meaningful for predicting if preservice teachers will integrate technology in their classrooms in future. The coursework related to computer integration was designed to promote knowledge related to technology skills, curriculum content, and children’s learning and development, and was conducted for 12 weeks. In the early stages of the computer integration cours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computer use as separate from teaching practice and they showed a lack of pedagogical perspectives on computer integration. However, their focus on technology use was transformed from a teacher-centered to a child-centered teaching practice by the end of the coursework.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concerns regard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CK) increased during coursework for computer integration whereas their focus on Technology Knowledge(TK) decreased. Of the variables related to computer integratio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CK) was a good predictor for computer integration by preservice teachers. In conclusion, based on this result,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should provide technology skills and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ogether so that teachers can be well prepared for computer integration in their classrooms.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공간능력에 대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활용의 효과

        한명희(Myung Hee Han),진명희(Meong Hee Ji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 No.-

        본 연구는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활용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공간개념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집단과 교구를 사용한 집단의 공간능력을 비교하고 남여 유아간 공간능력의 차이를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집단의 유아가 교구를 활용한 집단의 유아보다 공간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공간능력의 하위유형에서는 형태-배경 구별능력과 시각적 기억 및 회상하기에서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집단의 공간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남ㆍ여 유아간 공간능력의 비교에서 남녀 유아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소프트웨어 활용 집단의 남아가 교구활용 집단의 남아에 비해 공간능력이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children's spatial ability between experimental group used educational software and comparative group used mathematical play material for spatial concep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five-years old children and Spatial Ability Test was administered to measure spatial ability of subjects, which was composed of five sub types of spatial ability including eye-motor coordination, figure-ground perception, inference on space, space relationship, and visual memorization and recollection. This study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Children who played with educational software scored higher in spatial ability test than comparative group who played with mathematical play material. There w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figure-ground perception and visual memorization and recollection among sub types of spatial ability. Moreo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patial ability between boys and girls but boys who played with educational software scored higher in spatial ability compared to scores of boys in comparative group.

      • KCI등재

        영아반 복수 담임 간 협력적 학급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나인주(Na, In Ju),진명희(Jin, Meo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영아반 복수 담임 간 협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을 함으로써 영아반 학급운영의 개선과 교사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0년 2월부터 8월까지 6개월간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만 1세 반 어린이집 교사 2명이다. 복수 담임 간 협력의 문제점을 진단한 결과, 두 교사 간 의사소통의 부족과 학급운영을 위한 공동의 계획이나 협의없이 분리된 공간처럼 운영되고 있었다. 복수담임 간 협력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두 교사는 학급의 공동 운영을 위해 협의회를 구성하고, 교사역할에 대한 반성적 사고과정과 전문적 지식을 함께 공유하고, 교실 환경과 자유놀이 시간의 교사역할을 개선하는 과정을 실행하였다. 영아반 복수담임 간 협력적 학급 운영의 결과, 두 교사는 공동 교육계획과 공동의 목표를 세우게 되었으며, 반성적 사고를 통해 교실의 놀이 환경을 개선하고 영아 놀이 지원을 위한 교사 역할이 변화되었다. 또한 복수 담임 간 협력과정에서 두 교사는 상호 의사소통과 역할 분담이 이루어졌으나 두 교사 간 역할의 불균형은 아직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복수 담임 간 협력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 교육과 기관 내 시스템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rocess of class management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co-teachers in the infant classroom. The researcher is one of the co-teachers and conducted action research with co-teachers to change the collaboration between two teache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six months from February to Augu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for collaboration between two teachers had diagnosed the lack of opportunity for communication and co-planning for infant class management. To solve the problem of collaboration, co-teachers held conferences regularly, twice per month, and the teachers had opportunities for reflective thinking to improve their teaching practice and play environment of the classroom for infants’ play. Second, as a result of the collaboration between co-teachers, the teachers set the common goal for their classroom management and changed the play environment for infant play. The teachers also changed their role to support infants’ autonomous play through reflective thought based on observation of play. In addition, the teachers showed autonomy in planning and conducting their teaching practice escaping from the criteria of evaluation at the level of the nation. The two teachers improved the chance to communicate with their colleagues during the conference and committed their role alternatively with their co-teachers but there was an unbalanced difference in playing a role between two teachers in the infant classroom. This study implies that the cooperative system within the daycare center is needed to support co-teachers in infant classrooms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 and infant pla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수학교수지원을 위한 컨설팅 실행연구

        백선영(Baek, Seon Young),진명희(Jin, Meong H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21 육아지원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수학교수 지원을 위한 컨설팅을 통해 유아교사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유아 수학교육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반 교사 3명이며, 연구자가 컨설턴트 역할을 수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교사 저널, 교사 면담, 질문지, 그룹협의회 자료, 놀이와 수업 관찰 자료, 컨설턴트 저널, 수업 활동안 등이 포함되었으며, 삼각측정법에 의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컨설팅을 위해 교사의 수학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한 결과, 교사들은 수 세기에 치중한 수학활동과 수학적 자료를 제공하고 교사 주도적 수학활동이 주로 나타났으며, 통합적 수학교육방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컨설팅과정에서 교사들은 유아의 놀이 속 수학 개념을 분석하고 비 구조화된 교구를 제공하여 수학교육 방법과 수학 환경을 변화시켰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유아의 놀이 속에서 다양한 수학적 개념을 확장시키고, 적절한 개입을 통해 유아의 놀이를 지원한 결과 유아 주도적 수학교수 활동으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원내 컨설팅과 같이 교실 현장에서의 실천적 맥락에서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교사 지원이 이루어질 때 수학교사의 전문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and changes in the process of consultation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er served as a consultant for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included teacher journals, teacher interviews, group meeting minutes, video recordings of free playtime, consultant journals, monthly and weekly plans, and lesson plans. The results of consult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diagnosis of the problems of teachers’ mathematics education showed that the teachers had the limitations in their teaching practice, such as focusing only on counting concepts and materials, and conducting teacher-centered mathematics activities. Also, the teachers lacked awareness of the integrative approach to mathematics education. Second, as the result of the consultation, the teachers were able to apply and expan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based on the observation of children’s play during free play time. The teachers showed the changed recognition of the mathematics environment and materials, and changed activities from teacher-centered to child-initiated math activities by providing non-structural play materials and scaffolding children’s play.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the consultation at childcare centers, which can contribute to providing instant and consistent support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on mathematical education for children in a practical context.

      • KCI등재후보

        유아의 위상학적 공간 개념의 발달적 경향 : 위상개념 이해와 위상어휘 사용, 지시듣고 이해하기 비교

        서현순,진명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3, 4, 5세 유아의 위상학적 공간개념의 발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위상학적 개념의 습득정도를 비교하고, 개념이해와 위상어휘 사용, 지시듣고 이행하기에서 위상학적 개념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제시된 그림자료와 모형자료에 따라 유아의 위상개념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위상학적 공간개념의 구성요소 비교 결과, 위상적 개념은 4세경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5세에 거의 완성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위상학적 공간개념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상학적 공간개념의 하위영역간 비교결과, 3, 4, 5세 유아 모두 지시듣고 위상개념을 사물로 나타내게 할 때 가장 높은 공간개념을 나타냈고, 위상어휘사용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릴수록 모형자료가 그림자료보다 위상공간개념 습득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of topological space concept of 3, 4 and 5 year old children by their age and sex. The differences among subgroup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topological concept, The-use of topological vocabulary, and presenting topological concept with manipulatives were also investigated, In particular, the effect between pictorial and artifact material in topological space concept was identified As the result, compared children's topological concept by age, four year old children showed rapidly increased ability in the topological concept and five year old children attained most of topological space concept except right and left. In relation to the age and sex of children in topological concep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pological concept by the age of childre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in topological concept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comparison of subgroup of topological concept, all age of children showed highest level of topological concept in the subgroup of presenting topological concept with manipulatives and revealed lower level in the use of topological vocabulary than other subgroup, In addition, the result presented that the use of artifact material was more effective than pictorial material in representing topological concept of three-and four year old children compared to five year ol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