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대한 대조 수사학적 연구

        진대연 ( Dae Yeon Jin ),김민애 ( Min Ae Kim ),이수미 ( Su Mi Lee ),홍은실 ( Eun Sil Hong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어 교육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me contrastive rhetorical features based on analyzing texts written by KFL-learners and to suggest a model of L2 writing from the contrastive rhetorical perspective further. Written texts of 120 advanced learners classified into 5 groups (Japanese, Chinese, Western, Russian, and South-East Asian) have been analysed and described in several respects of rhetorical feature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of contrastive rhetoric have been examined by summarizing its historical development; Second, the categories for analyzing KFL-texts have been proposed and the analysis has been performed by the categories such as the positions of topic sentences, the methods of developing main ideas, supporting skills, and paragraphing etc.; Third, the contrastive rhetorical features of KFL-texts have been described after the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tell us that some texts show different rhetorical features among cultures or languag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lso show that there are, on the other hand, some universal features KFL-texts have in common. This paper concludes with suggesting an eclectic model of L2 writing, which implies that there are certain inter-language writing steps for L2 learners. (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 문화 교육의 개선을 위한 역사 문화 교육과정 시론

        진대연 ( Dae Yeon 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4

        이 글에서는 문화가 역사적 산물이며 역사를 통해 사회와 문화를 해석할 수 있다는 관점에 입각해서 한국 문화 교육의 개선을 위한 역사 문화 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에서 역사 문화 교수가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신장에 기여할 것이며 또 그렇게 신장된 한국어 능력을 바탕으로 그들이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취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한국 역사 문화 교육의 성격과 목표를 검토하였다. 여기에서는 역사 문화를 ``역사와 문화`` 및 ``역사 속의 문화``라는 두 개의 속성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정의하였고 한국 역사 문화는 한국어 교육의 내용인 동시에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기존에 한국어 교육과 역사 교육에서 논의되었던 내용들을 검토하고 종합하여 시론적인 차원에서 한국 역사 문화 교육의 5대 목표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한국 역사 문화 교육 내용의 선정 및 조직 원리를 정리하였다. 이 중 내용 선정의 원리는 내용의 타당성, 내용의 유의미성, 내용의 유용성, 학습 가능성, 학습자 요구 등 5가지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관련 사례를 덧붙인 후에 역사 교육에서 논의된 중요성의 원리를 소개하였다. 내용 조직의 원리는 계열성의 원리, 계속성의 원리, 범위의 원리를 요약하고 한국 역사 문화 교육과 관련된 예시를 추가하였으며 역사 교육에서 연대순에 따르는 방법과 주제나 토픽을 단위로 조직하는 방법을 참조하였다. 이어서 Ⅳ장에서는 한국 역사 문화 교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운영의 실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때 학습자 집단의 특성에 따라 각각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한국학 전공자 대상, 재외동포 학습자 대상, 이주배경 학습자 대상 등 4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한국 역사 문화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역사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 문화의 다양한 층위를 체계화하고 한국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풍성히 할 수 있다는 비교적 새로운 시각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에서 기존에 부각되지 않았던 관점을 도입하여 문화 교육의 개선을 논하려다 보니 이 글이 전반적으로 시론적인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점이 한계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icula of history and culture for improvement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that cultures are the historic products and we can interpret societies and cultures through history. I took a position that teaching history and cultur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onnative speakers fosters their language skills and they can understand more Korean society and culture on the basis of the improved language skills. First, in chapter Ⅱ,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and defined the concept of ``history and culture`` and ``cultures in history``, and mentioned the educational possibility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that can be utilized not only as contents but also as instru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urthermore, I suggested five provisional goals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Next, in chapter Ⅲ, I summarized principles of selecting and organizing content for Korean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In terms of selecting content, I examined chiefly 5 principles of validity, meaningfulness, usefulness, learnability and learners` needs, and added examples to them. In regard to organizing content, I dealt with primarily 3 principles of sequence, continuity and scope, and referred to chronological organization, patch method and line of development etc. which are historical terminologies. Finally, in chapter Ⅳ, I explored the curricula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mostly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by dividing learners` group into 4 different on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learners of Korean for general purposes, leaners of Korean studies at tertiary level, learners with Korean emigrant background, and learners with foreign immigrant background. In this paper, I introduced a new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from which we can systematize various levels of Korean culture and richen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onnative speakers. However, this paper remains as a pioneer attempt at curriculum research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education, not as a full-blown discuss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교사의 수업 구성에 대한 연구

        진대연 ( Dae Yeon Jin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4 No.-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수업 구성과 관련된 몇 가지 요인을 살펴보고 그것이 한국어 교사의 수업 능력 향상으로 연결되게 하는 함의를 찾아보려고 하였다. 이 글은 예비 교사의 양성뿐만 아니라 현직 교사의 재교육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그동안 교실 안에서 독자적으로 진행되던 수업의 모습을 드러내 종합해 볼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연구의 내용은 한국어 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되었다. 설문 대상이 된 교사들은 활동 지역, 성별, 연령, 경력 등에서 매우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어 결과의 일반화를 시도할 만하였다. 그리고 이 조사에서 제시된 여러 이슈들은 한국어 교사의 수업 구성은 물론 교실 수업의 성공을 위하여 핵심적이라 할 수 있는 것들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사가 자신의 교수 과정에서 보다 효과적인 프로듀서이자 매니저가 되는 데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보고자 하였고, 좋은 한국어 교사의 바탕이 되는 자질이 무엇인지를 살피려 하였으며, 교사가 자신의 수업 경험을 돌아볼 수 있는 방법으로 지식 중심 접근법, 경험 중심 접근법, 인간 중심 접근법 등을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 언급된 아이디어와 자료들이 신참 교사에게는 자신의 교수 스타일을 개발하고 고참 교사에게는 자신의 스타일을 돌아볼 수 있는 자극이 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me factors of class construction in teaching KFL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ir implication for improving teachers` ability to carry out their classes. This paper is designed for use in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in a variety of flexible ways, as well as for use by individual teachers in self-study mode. A rich range of issues are presented through the findings from survey conducted with 160 KFL-teachers whose teaching areas, genders, ages, and experiences are quite various. The issues are central to the class construction of every teacher of KFL and to success of their language classroom, such as class preparation, implementation, interaction, and evaluation. In the paper, I have made attempts to find out what is needed for making teachers of Korean become more effective producers and managers of their own teaching processes, to describe the qualities that underlie good Korean teachers, and to suggest three approaches, i.e. knowledge-based, experience-based, human-based ones to reflect their classroom experiences. It is my hope that the ideas and resources in this paper will help less experienced teachers to develop their own distinctive teaching styles, and prompt more experienced teachers to reflect on and refine theirs.

      • KCI등재
      • KCI등재

        24~36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 기질과 어휘력의 관련성

        신애선(Shin, Ae-Sun),안경숙(Ahn, Gyoung-Suk),진대연(JIN, Dae-Ye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24~36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기질 그리고 어휘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몸짓과 기질이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와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32개소에 재원 중인 24~36개월의 영아 86명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24~36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영아의 이해어휘 및 표현어휘는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의사소통적 몸짓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시적 몸짓은 이해어휘 및 표현어휘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표상적 몸짓은 이해어휘 및 표현어휘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영아 기질의 구성차원 중 활동성과 접근-회피, 적응성, 기분은 전체 어휘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기질의 구성차원별로 살펴보면 활동성은 이해어휘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접근-회피와 적응성, 기분은 이해어휘 및 표현어휘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영아의 이해어휘 및 표현어휘에 대한 의사소통적 몸짓과 기질의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이해어휘에 대해서는 적응성, 지시적 몸짓, 반응강도, 활동성, 표상적 몸짓 순으로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표현어휘에 대해서는 표상적 몸짓, 지시적 몸짓, 적응성 순으로 영향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영아가 타인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돕고 교사나 부모가 영아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communicative gestures, temperament, and vocabulary ability of infa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24 to 36 month old infants who are attending 32 childcare centers in J city and G city, Jeollabuk-do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and both their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However, directive gestures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whereas representative gesture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econd, activeness and approach-evasion, which are included in infants’ temperament dimension,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type of vocabulary. Third, results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and temperament on their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show us that temperament factors influence most on receptive one, while gestures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expressive one.

      • KCI등재

        한국어 교재 분석의 기준 : 연구와 적용 a research and its application

        진대연 국어교육학회 1999 國語敎育學硏究 Vol.9 No.1

        The history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must have begun at the time when the Korean started to communicate with other nations. Even if we regard only the proved documents as true, the teaching KFL carried out in offi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has over 270-year-old tradition. T eaching and learning foreign languages in official facilities is usually made through specific materials, including textbooks. In teaching KFL with long history, textbooks have been used as media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and textbooks st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classes. The researches into KFL textbooks started in the early 1970s. They became active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in the 90s through the gradual increase in the 80s. But there is no research into the overall principle and frame for textbook analysis yet, which is most important to evaluate and to improve textbooks. Therefore, researching textbook doesn't have clear perspectives of the whole shape of textbook, and producing textbook also depends on partial researches. From this critical opinion, I've dealt with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 textbook analysis, and the standards for KFL textbook analysis in this article. Following the theoretical inquiry, textbooks which have been used in the official KFL institute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of Korea in the 1990s are analyzed in brief with the standards related actual clas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each textbook has its own strong points, but there is much to be improved. T o make the quality of KFL textbooks better is to heighten the level of teaching KFL. For the improvement of KFL textbooks, textbook researches that can give right directions to producing KFL textbooks must be steadily made and textbook analysis researches which make the present shape of textbooks shown must be continuously carried out.

      • KCI등재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에 대한 연구 : 텍스트 생산 능력 평가를 중심으로 Assessing Text-Producing Ability

        진대연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9 No.-

        한국어교육에서 쓰기는 그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쓰기 교육의 전(全)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쓰기 능력 평가의 중요성도 더해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에서는 현재까지 쓰기가 주로 다른 언어사용 능력의 습득을 보완해 주는 기능으로 인식되어 왔기 때문에 쓰기 평가를 포함해 쓰기 교육이 전반적으로 체계화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평가의 체계화’에 주목하였으며, 특히 쓰기 능력에서 중핵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텍스트 생산 능력의 평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텍스트 생산 능력의 개념을 파악 하기 위해 다양한 견해들을 검토해 보았다. 다음으로 텍스트 생산 능력 평가의 내용을 제시하고 방법을 정리함으로써 실제적인 응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평가의 내용과 방법은 교육적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달라지게 마련이다. 그러나 이 글에서 논의의 주(主)대상으로 삼고 있는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기관의 (소규모 교실 수업이라는) 한국어 쓰기 평가 상황을 전제로 한다면, 쓰기 능력 평가의 개선을 위해서는 1) 쓰기와 문법 평가의 혼재 양상에서 본질적인 쓰기의 평가 비중을 늘려야 한다. 2) 이러한 종류의 평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다른 방식에 비해 적용이 용이한) 분석적 척도를 교육적 요구에 맞게 개발·활용해야 한다. 또한 3) 궁극적으로 쓰기의 근본적 속성에 부합하는 과정 중심 평가, 즉 대안적 평가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활발히 논의해야 한다. Writing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KF'L) is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and so is its evaluation which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the process of teaching writing. Teaching writing including the assessmnt of writing in TKFL. however, has not yet been systematized for writing has been regarded as a subordinate skill, that supports and verifies the acquisition of other skills. This essay argues that 'the systematization of evaluation is the key method for improving the writing ability of KFL-learners. Its focus is on the assessment of text-producing ability that was investiga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contents and mthods of its assessmnt are explored and the possible application of the study is presented. It's natural that the contents and mthods of assessmnt should vary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conditions. However, the assessmnt program for writing in TKFL must be improved at least in the following: 1) The proportion of genuine writing tasks should be increased. 2) Analytic scales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diversely. 3) Alternative assessment ways should be discussed and adop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