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 클러스터링 분석을 통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클러스터 발전 방향 연구

        정혜진(Hye-Jin Jung),옥주영(Joo-Young Og),김병근(Byung-Keun Kim),지일용(Il-Yong J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우리나라는 중이온 가속기 건설을 중심으로 과학지식이 사업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지리적 공간으로서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 관한 계획을 2009년에 확정하였다. 과학기반 클러스터의 형성 단계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각 클러스터의 우선 유치업종의 선택은 클러스터의 성격과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정부에서 제시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과학기반 혁신클러스터의 조성을 위해 유치해야 할 핵심 업종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산업별로 클러스터 형성과정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산업 내 특정 업종이 클러스터의 성장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기 때문에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앵커 섹터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내 4개 클러스터의 형성 및 성장을 위한 기업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Swann & Prevezer의 산업 클러스터링(industrial clustering)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관련 자료의 경우 2014년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대상 한국기업혁신조사(ICT 클러스터), 2014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바이오헬스케어 클러스터), 2015 국내 나노융합산업 실태조사(첨단산업 클러스터)에 관한 최신자료를 이용하였다. ICT, 바이오헬스케어, 나노 등 3개 산업군에 대한 클러스터링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각 산업군에는 다른 여러 섹터에 속하는 기업들의 지역 내 진입을 유발하는 중심적 역할을 하는 섹터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ICT산업의 경우 정보통신서비스 섹터,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의 경우 바이오공정/기기 섹터, 나노 산업군의 경우 나노전자 섹터가 각각 중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클러스터를 육성하기 위한 기업 유치 전략과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plans for the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Belt as a spatial area for promoting the linkage between scientific knowledge and commercialization in 2009. R&D and entrepreneurial activities are essential for the success of the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Belt. In particular, prioritizing the types of businesses is critical at the cluster establishment stage in that this largely affects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of clusters comprising the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Belt. This research aims to predict the entry and growth of firms that specialize in four industrial clusters, including Big Science Cluster, Frontier Cluster, ICT Cluster, and Bio-Healthcare Cluster. For this purpose, we employ the Swann & Prevezer`s industrial clustering model to identify sectors that affect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industrial clusters in the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Belt, focusing on ICT, Bio-Healthcare and Frontier cluster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2014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and University Alimi for the ICT cluster, 2014 National Bio Industry Survey and University Alimi for the Bio-Healthcare Cluster, and the 2015 National Nano Convergent Industry Survey and Annual Report of Nano Technology for the Frontier cluste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ICT service sector, bio process/equipment sector, and Nano electronic sector promote clustering in other secto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discus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nd strategies that can attract relevant firms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lusters.

      • KCI등재

        무형자산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규진(Lee Gyu-jin),옥주영(Og Joo-you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5 국제회계연구 Vol.0 No.62

        Griliches(1981)는 특허건수보다는 연구개발투자가 기업의 시장가치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Hall et al.(2005)은 연구개발투자가 특허건수나 특허인용보다 기업가치와 더 높은 관계를 가지나, 특허인용이 특허건수보다 기업가치에 더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여러 선행연구에서 특허패밀리가 특허의 질적 변수로 중요하다고 지적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특허패밀리와 기업의 시장가치의 관계를 다룬 문헌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연구개발비, 특허건수, 특허패밀리, 광고선전비, 교육훈련비 등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정을 시도하였다. 우리는 코스닥에 상장된 147개의 제조업 기업들의 자료(1997-2011)를 가지고 토빈Q 모형과 비선형 최소자승 추정 기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의 무형자산 요소를 무형자산 전체의 대용변수로 하는 모형의 추정 결과 연구개발스톡이 기업의 시장가치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나 다른 변수들과의 차이가 작았다. 이는 1980년대 특허권 강화 이후에 미국에서 나타난 현상과 유사하다(Hall et al. 2005). 둘째, 여러 무형자산 요소로 구성된 다변수 모형의 추정 결과, 기업의 시장가치에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구개발과 교육훈련이고, 3극(미국, 유럽, 일본) 특허패밀리와 광고는 이보다 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스톡은 가장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Hall et al.(2005)에서 사용된 반 탄력성 분석을 통하여 각 무형자산 요소의 변화가 기업가치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물자산 대비 각 요소스톡의 비율이 1% 증가할 때 기업의 시장가치는 0.76-0.87%(연구개발), 0.09-0.63%(광고), 37.5-39.7%(교육훈련), 3-3.5%(3극 특허패밀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riliches(1981) shows that R&D is more correlated with the firm’s market value than patent counts. Hall et al.(2005) shows that even though R&D is related to firm value more than either patent counts or patent citation, patent citation is linked to firm value more than patent counts. However, while the previous literature has put a great deal of emphasis on importance and value of patent family, there has been few research on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irm’s market value and patent family. Thus, this study tried to estimate the amount of variation on firm’s market value that can be accounted for by R&D spending, patent counts, patent family, advertising expense and education & training expense. We used Tobin"s q and nonlinear least squares with the data(1997-2011) of 147 firm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listed on the KOSDAQ. Main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ingle proxy variable models using only one component of invisible assets as an independent variable, R&D stock is found to be most highly correlated with the firm’s market value, while differences with other models with different proxies are small. These small differences among models are similar to findings for the U.S. data since strengthening of patent rights during the 1980s(Hall et al. 2005). Second, in the multi-variables model analysis, the R&D stock and education and training are mo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irm’s market value. The triadic patent family (USA, Europe, Japan) and advertising are less significantly correlated, while the patent stock is least significantly correlated. Third, using the semi-elasticity analysis according to Hall et al.(2005), we compared the effects of each component of invisible assets on the firm’s market value. When each component stock per unit of physical asset value increases 1%, the firm’s market value increases 0.76-0.87%(R&D), 0.09-0.63%(advertising), 37.5-39.7%(education and training), and 3-3.5%(triadic patent family).

      • KCI등재

        한국 중소기업의 협력역량, 흡수역량과 협력성과

        김병근(Byung-Keun Kim),옥주영(Joo-Young Og)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7 연세경영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최근 수년 동안 대학, 공공 및 민간 연구소, 국내외 기업 등과의 기술협력 경험이 있는 국내 중소기업들의 협력역량, 흡수역량, 협력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Kale and Singh(2007)의 기업 협력역량 발전 모형에 흡수역량을 추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기업의 기술협력활동에서 흡수역량의 역할에 분석의 초점을 두었다. 2014년 7월에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212개 기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흡수역량은 기술협력경험과 협력학습 프로세스를 매개하고 협력학습 프로세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기술협력성과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적으로 기술협력성과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중소기업은 기술협력 전담기능을 두거나 흡수역량의 증가를 통하여 협력성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혁신의 시대에 가용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에게는 관계특화적인 전담기능의 설치보다는 흡수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전략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과정 측면을 중심으로 협력역량의 진화를 분석하였으며 흡수역량의 선행요인으로 기업의 협력경험만을 고려하였다. 여러 흡수역량의 선행요인들의 분석과 다차원적인 구성개념으로서의 협력역량 대한 이론 및 실증 연구는 향후의 연구과제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alliance capability, absorptive capacity, and alliance performance of the korean small firms that recently have experienced research collaborations with universities, pubic or private research institutes, and domestic or foreign companies. We extended the analytical model proposed by Kale and Singh (2007) in that we added absorptive capacity variable in their structural equation model. Data were obtained from survey results collected from 212 Korean SMEs. We found that absorptive capacity mediated between alliance experience and alliance learning process. It seems that absorptive capacity indirectly promotes alliance performance through alliance learning process, but does not directly improve alliance performance. A small firm may improve alliance performance by establishing the alliance function or by enhancing its own absorptive capacity. In open innovation era, the latter seems to be the more effective strategy for the SMEs that are short of resources available. This paper examined the evolution of the alliance capability mainly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and considered only firm’s alliance experience as an antecedent of the absorptive capacity. Future researches should include an analysis of diverse antecedents of absorptive capacity and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on the alliance capability as multidimensional construct.

      • KCI등재

        21세기 현대자동차의 공급사슬 구축 사례 연구

        강경수(Kyoung-Soo Kang),옥주영(Joo-Young Og) 한국생산관리학회 2015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6 No.3

        한국은 관련 산업기반이 전무하던 1960년대에 자동차산업을 본격적으로 발전시키기 시작하였고,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국으로 발돋움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대표적인 완성차 기업인 현대자동차의 기술추격 및 탈추격 과정에서의 혁신활동을 중심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어떻게 한국 자동차산업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2000년대 들어 현대자동차의 성공 요인으로는 강력한 리더십과 빠른 의사결정, 1990년대 말 기아자동차와의 합병을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 혁신적 품질경영, 신흥시장에서 성공적인 현지화 전략, 모듈화를 앞세운 수직계열화를 특징으로 하는 ‘현대자동차 생산방식’ 등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폐쇄형 모듈화’ 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 현대자동차 공급사슬의 구축 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현대자동차의 독특한 공급사슬이 어떻게 최근 현대자동차의 성장을 이끌어 왔는지 자동차 산업현장의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Starting from scratch in the 1960s, Korean automotive industry has grown to the fifth largest manufacturer of the world in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This case study examines how Korean automotive industry could gain the competitive advantage quickly, mainly focusing on the technology catching up and post-catching up process of Hyundai Motor Group. The key success factors of Hyundai Motor include strong leadership and fast decision makings of the top management, scale economies owing to the merger with Kia Motor in the late 1990s, innovative quality management, effective glocalization strategy in emerging markets, and the ‘Hyundai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by modular-vertical integration. From an industry insider’s point of view, we focus on formation of the supply chain of Hyundai Motor which now has the‘closed modular structure’ and examine how this structure has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Hyundai Motor.

      • KCI등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와 성과분석

        김병근(Byung-Keun Kim),조현정(Hyun-Jung Cho),옥주영(Joo-Young O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 연구기관들의 기술이전과 사업화 과정에 관련된 주요 활동 및 기술이전 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국내 공공 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모형은 투입-중간산출역량-산출(성과)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이론을 바탕으로 투입 요인으로는 R&D 투입, 기술사업화 전략/지원, 기술사업화협력, 사회적 자본 등을 포함하고, 중간산출역량요인으로 R&D역량을, 산출요인으로 기술사업화 성과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술사업화 프로세스 모형을 국내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한 88부와 관련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R&D 투입은 R&D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R&D역량은 기술사업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술사업화 협력과 사회적 지본도 기술사업화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술사업화 전략 및 지원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We have analyzed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cess and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A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cess model was presented as an input, intermediate outcomes/ capabilities, output (outcome) structure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put variables include R&D inpu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y/support, collaboration, social capital. The model also includes R&D capabilities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as intermediate variable and output variable respectively.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was measured as the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 and spin-off We conducted survey and 88 institutes responded. Empirical results show that R&D input influence R&D capabilities and R&D capabilities influence the output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Collaboration activities and social capital also appea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utput. However, the effect of strategy and support on the output appear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