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기주의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 고찰

        주현희 ( Ju Hyeon-hee ) 영주어문학회 2022 영주어문 Vol.51 No.-

        본 연구에서는 근대 시기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에 나타나는 한국어 문법과 일본어 문법간의 영향 관계를 고찰하는 한편 어문정책에 따른 언문철자법의 기술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노기주(魯璣柱)가 저술한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의 문법 기술 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저자의 생애와 이력을 살펴 이 책이 간행된 계기를 고찰하였고 음운 및 발음의 기술 양상과 품사 항목 설정, 교육 내용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저자 노기주는 경찰관강습소 교관으로 근무한 경험을 살려 경찰관의 한국어 강습 및 한국어 시험 대비 목적으로 이 책을 저술하였다. 또한 이 책은 음운 및 품사 분류 등의 문법 내용을 체계적으로 수록하여 문법 설명에 충실한 학습서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음운 및 발음의 기술에서는 조선총독부에서 1921년 3월에 개정, 공포한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대요」를 반영하였으며 영어 알파벳으로 발음을 표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토(吐), 수사 등의 품사 설정에서 한국인 문법가의 문법 체계에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조동사의 설정은 일본어 문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자의 천자음과 단어집을 수록하였으며 화문선역(和文鮮譯)의 주의 사항을 제시하여 조동사 및 토(吐)의 용법을 주의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조선어장려시험에 대비하기 위한 학습 내용 구성으로 여겨진다. 조선어장려시험의 화문선역(和文鮮譯)의 문항은 문어체로, 국어선역(和語鮮譯)의 문항은 구어체로 답안을 작성해야 하는데 노기주(魯璣柱)의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에서는 이러한 한국어의 문어체와 구어체를 모두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을 구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descriptional aspects of phonology and grammar of Noh Ki-ju’s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 a Korean language study book for Japanese during the modern period. The author Noh Ki-ju worked as a police officer’s instructor, and since this book was published around the time of the < Joseon Language Encouragement Regulations > and < Joseon Language Tests >, this book examined the composition of Korean language classes and Korean language tests for police officers at that time. Meanwhile, in March 1921, the Chosun Governor-General revised and promulgated < Ordinary school Spelling system >, and a large number of learning books reflecting this in the learning contents were published. While many Korean language books around this time were written for various learning purposes for beginners, this book is characterized by setting public officials of a certain status as learners and for special educational purposes of preparing for the Korean language test. In addition, Noh Ki-ju’s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 is characterized by being faithful to grammar explanations by systematically recording grammar contents. In addition, unlike other Korean language books written for police officers, it seems that the grammar system of Korean grammarians was introduced in the composition of grammar contents to describe the classification and content of parts. In terms of phonology and pronunciation, the < Ordinary school Spelling system Summary > revised and promulgated by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in March 1921 was reflected, and the pronunciation was written in English alphabets. In addition, it was influenced by Korean grammarians in the setting of parts such as ‘postposition’ and ‘numeral’, and the setting of ‘auxiliary verb’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Japanese grammar. On the other hand, a collec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a vocabulary book, and precautions for <和文鮮譯> are presented to pay attention to the use of ‘auxiliary verbs’ and ‘postposition’, which is in preparation for the < Joseon Language Recommend Test >. The questions of <和文鮮譯> should be written in written form, and the questions of <和語鮮譯> should be written in spoken form, Noh Ki-joo’s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 found that the learning contents were composed so that both the written and spoken Korean could be learned.

      • KCI등재

        중국 원양어업의 성립과 발전 양상에 관한 고찰

        주현희(Hyunhee J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1

        중국은 원양어업 대국으로 원양어업 생산량과 소비량에 있어 세계 1위를 점한다. 뿐만 아니라, 어선 전체 규모도 전 세계 1위이며, 작업 해역 또한 광범위하다. 그러나 중국의 원양어업 발전사는 다른 국가에 비해 다소 늦은 1985년에 시작하고 있다. 이 시기는 전 세계적으로 원양어업 환경이 위축된 상황을 맞은 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원양어업 성립을 위해 전 방위적 노력을 기울였고, 마침내 서아프리카로의 첫 출항의 깃을 올렸다. 중국의 원양어업 진출에 대한 적극적인 탐구와 추진 배경에는 국내의 필연적 환경과 대내외적 환경 변화의 요인이 강하게 작용했다. 1980년대의 급격한 산업발전에 따른 해양환경 오염과 남획으로 인해 황폐화된 수산자원, 국민의 수산물 먹거리 수급 문제 등 현실의 난제를 타개해야 하는 절박함은 중국이 원양어업에 적극적으로 뛰어 들 수 밖에 없었던 요인이다. 이와 함께 1970년대 말, 국가의 개혁개방 정책과 전 세계적인 원양어업의 붐은 중국이 점진적으로 원양어업을 고려하게 만든 외부적 요인이 되었다. 또한 기술과 자본이 부족한 제3세계 국가와의 어업협력을 통한 해양외교와 자국의 세력 확장에 대한 의지는 중국을 늦은 시기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원양어업에 뛰어들게 한 요인이다. 한편, 중앙정부의 노력과 적절한 조치, 관련 부처와 기업 등의 일사불란한 협조체계는 중국 원양어업 성립의 성공 요인이다. 이러한 성공적인 원양어업 성립은 중국 원양어업사적 관점에서나 기타 국가 현안 해결의 측면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즉, 원양어업의 성립을 통해 중국 내에서 심각하게 제기되었던 ‘생선 먹는 문제’를 해결했고, 현재 중국인의 수산물 소비 습관으로 이어졌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원양어업 발전과정에서 이루어진 어업장비와 기술개발은 어업기술 수준을 크게 끌어 올리는 역할을 했다. 오늘날 중국에 있어 원양어업은 어업의 대외개방, 국가 해양권익 수호, 국내 수산물 수요 충족, 외교의 창구, 어업구조의 합리화를 이끄는 핵심 전략산업이다. 원양어업 성립을 위한 적극적인 준비와 초창기의 노력은 오늘날 원양산업을 국가의 핵심전략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게 해 주었다. As a major country in the pelagic fishery, China ranks first in the world in term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pelagic fisheries. In addition, it ranks first in the world in terms of the total size of fishing boats and also ranks first in the world in terms of the total size of fishing boats, and the working area is also extensive. The history of China's pelagic fisheries began relatively late in 1985. However, at that time, the environment of pelagic fisheries was shrinking worldwide. Nevertheless, China made all-out efforts to establish the pelagic fishery, and finally raised its flag for the first departure to West Africa. China's active exploration and promotion of pelagic fishing has been strongly influenced by the inevitable domestic environment and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1980s, the urgency to overcome difficulties such as marin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vastation of fishery resources caused by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over-fishing. These aspects eventually led to the problem of insufficient supply of marine products to the people. These domestic circumstances were the inevitable background for China to start pelagic fishery. At the same time, in the late 1970s, the reform and opening-up policy of China and the boom in pelagic fisheries around the world became external factors that gradually made China consider starting pelagic fisheries. In addition, China's strategy to expand its maritime diplomacy and its own power through fisheries cooperation is a factor that made China actively start pelagic fisheries.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government's efforts and appropriate measures, as well as the coordinated cooperative system of related ministries and companies, have successfully established China's pelagic fisheries. The establishment of China's pelagic fishery has great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pelagic fishery and the perspective of resolving other national issues. It is meaningful that China has solved the ‘fish eating problem’ that has been seriously raised in China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pelagic fisheries, and has led to the current consumption habits of China.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equipment and technology during the development of pelagic fisheries played a role in greatly raising the level of fishing technology. In current China, the pelagic fishery is a key strategic industry leading to the opening of the fishery to the outside world, the protection of national rights and interests, the satisfaction of domestic demand for aquatic products, the bridge of diplomacy, and the rationalization of the fishery structure. The preparation period before and after 1985 and the early aspects of China's pelagic fishery have important meaning in pelagic fishery history in China.

      • KCI등재

        중국 해양자원개발의 해양강국 전략에 대한 함의

        주현희(Hyun-Hee Ju)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14 해양비즈니스 Vol.- No.27

        After “Reforming and Opening”, Chinese marine power strategy has been focusing on exploitation of marine resource. The goal of Chinese marine power strategy is to achieve domestic economic growth by developing ocean-based infrastructure including marine economy and promoting related industries. It is important for China to exploit and develop marine infrastructures which provide various strategic resources including foods, energy, minerals, water, and economic spaces in that the country lacks resources required for economic development. Success of Chinese marine power strategy may depend on how effectively they exploit and manage marine resources, as the share of Chinese marine industry has been consistently escalating. This study reviews the strategy of marine resources development strategy and provides implication and status of marine resources development to the marine power strategy in China.

      • KCI등재

        한국전쟁기 부산의 중등학교 여학생 교육 고찰 - 피란학교의 과외활동을 중심으로 -

        주현희 ( Ju Hyeon-h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3

        본 연구에서는 전시 상황에서 여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정규 교과를 대체하여 운영된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살펴보고 이러한 여학생 전시교육이 전후 국가 기반 조성과 국가 재건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아울러 살펴보았다.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에는 많은 피란민들이 유입되어 이들을 수용할 학교나 교실이 부족하였고 교육 자료의 수급도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1951년 2월 문교부에서 「전시하 교육특별 조치요강」을 공포하였고 피란수도 부산의 교육제도 및 교육과정은 이에 맞춰 긴급하게 전개되었다. 한국전쟁으로 많은 남학생들이 국가를 지키기 위해 학도병으로 징집되었고 이로 인해 피란학교에는 남학생이 줄고 여학생의 수가 더 늘어났다. 이 시기를 전후로 여자 중학교, 여자 고등학교의 운영이 활발해졌으며 여학생의 진학을 위해 여자고등학교도 신설되었다. 이처럼 전시 하에서 군 징용으로 남성들이 부재한 상황에서 여성들은 생계를 꾸려나가기 위해서 한글을 배우고 기술을 익혀야 했다. 그리고 국가 차원에서는 전후 재건에 필요한 인적 자원의 육성을 위해 여성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전쟁 중에는 정규 교과를 운영할 수 없었기 때문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전시 교육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루어졌다. 한국전쟁기의 피란수도 부산의 여학생 교육은 근대 시기에 태동한 여성 교육이 전시하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성숙, 발전하였던 시기였다. 전근대적인 여성 교육에서 탈피하여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여성의 역할에 대한 인식 전환이 근대 여성교육으로 이어졌다. 여학생들은 중등교육을 위해 고등학교, 대학교로 진학한 이후 고급 인력으로 성장하여 전후 국가 재건의 인적 자원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피란수도 부산의 여학생 교육을 되살피고 발굴하는 작업은 교육사적인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artime education for female students conducted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was examined through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Refugee School. After the war broke out, schools for refugees began to open in September 1950. In this situation, in February 1951,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mulgated the "Special measures for education during the war," and the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in Busan, the capital of refugees, were urgently developed accordingly. From the second half of 1951, the situation stabilized to some extent, and the curriculum began to operate systematically. Due to the Korean War, many male students applied as student soldiers to protect the state, which reduced the number of male students and increased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in schools. Around this period, the operation of girls' middle and high schools became active, and girls' high schools were also established to allow high school girls to enter the school. In this way, in the absence of men due to military conscription during wartime, women had to learn Hangul and learn skills to make a living. And at the national level, the need for women's education emerged to secure insufficient human resources for post-war reconstruction. The education of Busan, the capital of refuge during the Korean War, was the beginning of Korean wartime education, and as Busan became the capital of refuge, the educational foundation that was completely destroyed b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uld be develop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the work of reviving, restoring, and discovering education in Busan, the capital of refuge, is meaningful in terms of educational history.

      • 근대 시기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음운현상 기술에 대한 연구

        주현희(Ju hyeonhee),김희섭(Kim heeseob)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6 No.7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are written in Japanese in the usage of educating Japanese learners. It is written from the viewpoint of ‘Phonological Phenomena description’ in the modern Korea. This study shows the history of transition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over the period from 1880 and 1945. The early Korean Language Textbooks show very simple form of grammar description of modern Korean language. However, they adapted more sophisticated and diverse grammar description, including phonological phenomena, for Korean language. To fulfill the need of people who need to learn grammar for Korean language, 호세코 시케카츠 wrote 한어입문 and it’s the first book that described the grammatical phenomenon apart from the past language textbooks. To be specific, the majorit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displayed extremely simple grammar description. In this sense, there were no description of the rules for Korean grammar; there were only simple and basic form of sentences which are useful for trading with Korean. After wars, there were increasing demand for the accurate use of Korean as there were more Japanese immigrating into Korea and more situation arose where they had to use daily life. In conclusion, the books showed how the phonological phenomena has changed; in more sophisticated and diverse form.

      • KCI등재

        시데하라『朝鮮教育論』(1919)에 나타나는 식민교육정책 고찰 - 동화교육을 중심으로

        주현희(Ju Hyeon-Hee),이상원(Lee Sang-Won) 대한일어일문학회 2021 일어일문학 Vol.92 No.-

        일제가 통감부시기부터 한국인에게 강요한 제국주의의 식민교육정책은 일제에 대한 충성심과 애국심을 이식하여 일제에 동화하도록 교육하는 것이자 지배의 수단으로 이용되기 시작했으며 일제강점기에 접어들어서는 궁극적으로 식민지 조선인의 정체성을 삭제하여 일제의 황국신민으로 기르기 위함이었다. 통감부시기 일제의 문부성의 명령으로 외국인 교사의 신분으로 도한(渡韓), 외국인 교사로서의 활동을 시작으로 한국 학부의 ‘학정참여관’으로 활동한 인물이 있었는데, 바로 일제의 식민지교육정책의 기반을 만든 시데하라 다이라(幣原坦,1870-1953)이다. 학정참여관으로 근무하며 작성한 「한국교육개량안」은 ‘모범교육’으로 구현되며그의 퇴임 후, 1911년 제1차 ‘조선교육령‘의 기초가 되며, 그가 저술한 한국사 및 식민지 조선에 대한 교육정책에 관련 된 다수의 편찬서는 일제가 강요한 식민교육정책에 적지 않게 영향을 미쳤음을 부정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제의 식민교육정책의 기반을 만든 시데하라의 행적과 동향을 분석하고, 그가 일본으로 귀국 후 식민지 교육의 이론가로 활동하면서 저술한 『조선교육론』(1919)를 중심으로 그가 가진 조선인 동화교육에 관한 견해와 방법, 그리고 신념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일제가 식민지 조선에 이식하고 창출하고자 했던 내용과 양상, 아울러 조선인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of imperialism imposed on Koreans since the Residency-General period was to instill loyalty and patriotism towards Japan into Koreans, thus assimilating them as part of the imperial Japan. Later, it came to be used as a tool for governance and was ultimately used as a means to remove the Korean identity and instead raise them as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By the decre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sidency-General, one Japanese teacher came to Korea and served as an adviser on education policy. He was Shidehara Taira(幣原坦,1870-1953), who laid the foundation for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of the Japanese Empire. The 「Korean Education Improvement Plan」he drew up while working as adviser was put to practice as a ‘model education.’ After his retirement, it became the basis of the first ‘Chosun Education Ordinance’ in 1911, and it cannot be denied that a compilation he wrote on Korean history and educational policy for colonial Chosun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actually enforced by the Japanese Empire. This paper analyzes the records and history of Shidehara, who formed the basis of the Japanese colonial education policy, and critically examines the 『Theory on Chosun Education』(1919), which he wrote while working as a theorist on colonial education after returning to Japan, particularly focusing on his view, methodology, and belief in terms of assimilation education for the Korean population. This will show what and how much impact, both in theory and in practice, the imperial Japan and its education policy had on the Korean popul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