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병렬말뭉치의 구축과 활용 ; 신문기사 한영 병렬 코퍼스를 통해 본 번역단위 -시장, 기업을 중심으로-

        주향아 ( Hyang A Ju ),조미희 ( Mi Hee Cho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0 언어사실과 관점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anslation units with Korean-English parallel corpus. The main assumption of this study is that translation unit is a monosemous unit and has a translation equivalent which acquires more than 50 percent in a corpora, at least. We identified the translation units of frequent nouns(market and company) in the Korean-English parallel corpus that made of newspaper in order to inform an investigation of translation unit siz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ranslation units and its translation equivalents are varied with its collocational structures. The single word market was regarded as a translation unit and the single word company also was regarded as translation units. Some attributes of translation units were revealed. The translation units did not affect singular and plural forms in translation equivalence. a/the forms are not affected as well. And we pay attention to the way that how the machine translator to be worked.

      • KCI등재

        외솔 최현배의 씨가름 체계 성립 과정 연구

        주향아 ( Hyang A Ju ),강계림 ( Kay Lim Kang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1

        본 논문은 『우리말본』 유인본 연구를 중심으로 외솔의 씨가름 체계가 어떻게 성립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밝혀진 세 종류의 유인본과 『우리말본』 온책을 주된 대상으로 삼았으며 부족한 자료는 「조선어의 품사분류론」과 『중등조선말본』을 통해 보충하였다. 본고는 각 씨의 정의 및 갈래에 주목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외솔의 씨가름 체계는 1928년 이전으로 추측되는 유인본에서부터 이미 준종합주의의 입장에서 확실한 이론적 기준을 바탕으로 한 틀이 갖추어져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씨의 뜻매김과 갈래에서 보이는 내용상의 공통점은 씨가름 체계의 성립 시기를 『우리말본』 온책보다 9년 이상 앞당겨 준다. 몇몇 씨들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외솔의 씨가름 체계가 오랜 시간에 걸쳐 완성되었음을 알려 준다. 본고는 『우리말본』 유인본 연구를 통해 씨가름 체계가 성립되어 나가는 과도기적 모습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 외솔의 씨가름 체계가 국어학사에서 가지는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established process of Choe Hyunbae`s part of speech by the medium of Urimalbon mimeograph editions. Subjects of analysis are three types of mimeograph editions and Urimalbon(1937) etc. This study analyzes definitions and parts of each word classes. As a result, Choe Hyunbae`s part of speech was already formed with theoretical criteria before 1937. Differences among several word classes indicate that Choe Hyunbae`s system of part of speech was completed at long intervals. In this paper, it is noticed that Choe Hyunbae`s system of part of speech has prestige on korean linguistics.

      • KCI등재

        지리적 적절성을 기반으로 한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 연구

        공나형(Kong Na-hyung),주향아(Ju Hyang-a,),김주성(Gim Joo-sung),손동욱(Sohn Dong-wook),손현정(Son Hyun-jung) 한국사회언어학회 2013 사회언어학 Vol.21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of Korean linguistics as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foreign migrant workers. Particularly, we look into Korean I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KIIP) to find out how foreign migrant workers can learn Korean language more effectively.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foreign migrant workers, we adopt linguistic typological method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Using GIS, we present the spread of the foreign migrant workers popula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enforcing the KIIP program. We also show some possibilities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foreign migrant workers such as the flexibility of class schedules, revision of textbooks and compensation of government. (112 words)

      • KCI등재

        북한 문법의 복수토 ‘들’과 수범주

        박효정 ( Park Hyo-jeong ),주향아 ( Ju Hyang-a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복수 표지 ‘들’이 북한 문법에서 복수토로 정립되는 과정과 문법 범주로서의 수범주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재고하는 데 있다. 북한 문법에서는 ‘들’을 ‘복수토’로 처리하고 ‘복수토’로는 ‘들’ 하나만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것이 수범주라는 문법적 범주를 나타내는 표지인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시각은 남한에서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수’를 문법적 범주로 인정하지 않는 것과 대비되는 입장이다. 그러나 남북은 ‘들’에 대한 의미 분석에 있어서는 동일하게 파악한다. 북한 문법에서 ‘들’을 하나의 품사로 설정하는 것은 남한 문법과 달리 품사 분류의 중요한 기준을 형태로 두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용법의 ‘들’을 하나의 범주로 설정하는 것은 유사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문법 형태가 어떤 것은 토로, 어떤 것은 뒤붙이로, 어떤 것은 불완전 명사로 설정되는 문법 내적 모순을 초래할 수 있다. 북한 문법에서 수범주를 문법 체계 안에 넣는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북한 문법은 조사와 어미를 구분하지 않고 토로 다루며 ‘토’를 중심으로 문법 범주가 구성되어 있다. 둘째, 북한 문법의 기저에 깔린 유물론적 관점이 영향을 미친 것이다. 남북한 통합 문법적 관점에서 볼 때 언어 체계를 통일화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언어철학에서 비롯된 문법 체계의 차이를 현명하게 조율하고 또 존중하며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plural mark ‘deul(들)’ is established as ‘bogsuto(복수토)’ in North Korean grammar and the number category as a grammar category. In North Korean grammar, ‘deul’ is treated as ‘bogsuto’ and only ‘deul’ is recognized as ‘bogsuto’, and this is regarded as a maker indicating the grammatical category of the number category. This view contrasts with the fact that most researchers in South Korea do not recognize ‘number’ as a grammatical category. However, North and South Korea recognize the same in analyzing the meaning of ‘deul’. Unlike South Korean grammar, North Korean grammar made ‘form’ an important criterion for part of speech. However, setting ‘deul’ in all usages as a category can lead to an internal contradiction in grammar, in which several grammatical forms that perform similar grammatical functions are set as ‘to(토)’, some as ‘suffixes’, and some as bound nouns. There are two reasons for setting the number category as a grammar system in North Korean grammar. First, North Korean grammar is treated as ‘to’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Particles(조사) and endings(어미), and grammar categories are organized around ‘to’. Second, materialism is the basis of North Korean grammar. For the unified grammar of the two Koreas, it is necessary to wisely adjust and respect the differences in the grammatical systems stemming from each other’s linguistic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