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적적 위험요인과 이혼가정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련성 연구

        주소희(So Hee Ju) 한국아동복지학회 200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6

        본연구의 목적은 이혼가정자녀들의 문제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누적적 위험모델의 효과성과 누적적 위험요인1)의 수와 그 누적적 영향력이 이혼가정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누적적위험 요인은 생태체계적인 측면에서 12개로 구성하였으며 위험요인의 원점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0-12점의 점수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이혼가정자녀들이 부모이혼후 경험한 위험요인의 수가 많은 아동일수록 문제행동의 가능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위험요인의 누적적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이혼가정자녀의 문제행동에 누적적위험요인의 영향력과 다중위험요인의 영향력이 일관성있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이혼가정자녀들의 행동문제를 위한 예방과 전략이 모색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Risk and Behavioral Problem of children`s in divorced family. The cumulative risk was Summed for each children to creative an cumulative scores. Scores on the index ranged from 0 to 12. Cumulative Risk was associated with Behavioral Problem. Moreover the analyses revealed positive, linear associated between Cumulative Risk and Behavioral Problem. Cumulative Risk predicted Problem Behavioral of Divorced Family`s Children. Finding indicate that the amount of risk in Divorced Family`s childrens lives was useful for determining the extent to which cumulative risk exposure plays an etiological role in Behavioral Problem.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article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promoting of children welfare.

      • KCI등재

        이혼 후 양육형태에 따른 아동의 심리행동 적응문제에 관한 연구 - 부모보호와 시설보호아동을 중심으로 -

        주소희(So-Hee Ju),이경은(Keung-Eun Lee) 한국가족학회 2005 가족과 문화 Vol.17 No.3

        부모이혼 후 자녀들은 다양한 양육환경에서 적응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이혼 후 한 부모와 함께 사는 아동(부모보호)과 시설로 보내지는 아동(시설보호)의 심리 행동적응문제의 차이정도와 심리행동적응문제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해 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부모가 이혼한 가정의 자녀 중에서 한부모와 사는 아동과 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 66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이혼 후 한부모와 사는 아동의 경우, 심리적응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형제유무, 현재의 연령, 분리불안, 자기비난, 자기효능감, 공식적지지 그리고 일상생활의 변화가 나타났다. 한편 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의 경우는 성별, 이혼설명의 여부, 분리불안, 자기비난, 보육교사와의 관계, 보육교사의 거부적 양육, 친척의 지지, 경제의 변화로 나타났다. 행동적응문제 영항을 미치는 요인을 보면, 한부모와 사는 아동의 경우 분리불안, 부모와의 관계, 교사의 지지, 공식적 지지, 일상생활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의 경우, 이혼당시의 연령, 자기비난, 재결합환상, 계획성, 내적통제, 거부적 양육 태도가 영항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파악된 현상을 근거로 이혼 후 양육형태에 따라 아동의 심리행동적응문제의 예방과 개입에 대한 상이한 접근방법이 모색되었다. Children are exposed to a variety of environmental changes when parents get divorced.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how these children adapt to their environment in post-divorce stage. Study subjects (n=666) were either children who still live with one of their parents (single-parent family) or children who live in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separated from parents. They were survey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o stud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ir adjustment to the environment in post-divorce stage. First, regarding psychic adaptation. For children living with single-parent, several factor could determine their psychic adaptation, e.g., anxiety of separation, self blame,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environmental change. For children living separate from their parents, these factor could determine their adaptation: sex, child's beliefs on parental divorce, anxiety of separation, self blame, relationship with institutional teachers, teachers' negative support, and reduced economic support by the relatives. Second, regarding behavior and social adaptation. For children living with single parent, anxiety of separation, relationship to their parents, support by their teachers, social support, and changes in the ordinary life style could be the factors for influencing. Moreover, for children living separate from their parents, the age of children when parents got divorced, self blame, desire for family reunion, planning quality, internal control, and negative attitude to the children support could influence the behavior and social adap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different approaches were made to intervene their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in post-divorce stage.

      •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사고 관련 요인연구

        주소희(Ju, So-Hee) 한국복지행정학회 2013 복지행정논총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사고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대전, 광주, 그리고 대구지역의 저소득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1:1면접형식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연령과 경제적인 문제 그리고 불안과 신체화증상이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는 불안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신체화 증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사고와 관련된 실천적인 대안과 여성독거노인의 정신건강의 예방차원에서 여성독거노인의 불안과 신체화증상 그리고 자살사고에 대한 정책과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uicidal Ideation and it s related factors. Especially, it focused to fine out anxiety and somatization effect on female elder s Suicidal Ideation and other factors found in the previous studies which were important in determining Elderly Living Alone s Ideation of Suicide : their sexs, ages, separate period, subjective financial status were considered. The present study conducted 1:1 interviews with 430 elders selected through sampling among female aged 65. Among the subjects, 356 were included in finial analysis. The study 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mographical factor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elder Suicidal thought were aged and subjective financial status. Second, anxiety and Somatization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Elderly Living Alone s Ideation of Suicide. factors affecting suicidal thoughts were anxiety and somatization that is, elders who seemed to be an anxiety and somatization had sucidial thought more. From these results, anxiety and somatization are other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among Female Single Aged.

      • KCI등재

        아동·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생존자에 대한 질적연구

        주소희(So Hee Ju) 한국아동복지학회 2010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기에 성폭력으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사람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아동·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을 직접 만나서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전략을 선택하였다. 즉, 현상을 경험한 사람들의 주관적인 의미구조를 탐구하였으며, 이를 위해 질적연구 접근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동·청소년기에 성폭력 경험이 있는 6명의 여성과 심층면접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범주화분석과 재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발견된 주제들은 `일상에서 벗어난 그날, 말할 수 없는 공포감: 어느 날 갑자기 왜 하필 이런 일이`, `의식하지 않으려고 발버둥침: 말 못할 고통, 말할수 없어서, 나는 왜 이럴까? 난 내가 싫어`, `잊었다고 끝이 아니었어: 말하면 괜찮을까?, 의식하게 됨, 더 심해진 혼란들`, `내 잘못이 아니라는 것은 알지만: 내면화된 사회통념들, 여성성에 대한 부정, 혼란과 회복` 등이 있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아동·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한 여성들을 돕기 위한 실천지침을 제시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Qualitative methodology, which allows us to directly meet individuals who experienced sexual violence, see their experience, and qualitatively analyze their experience was employed. More specifically,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6 woman who experienced sex abuse in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analyzed their experience using categorization and theme analysis methods. The key themes that were derived from the qualitative data include, `On the day out of the ordinary; Unspeakable terror`, `Why did this kind of thing happen to me`, `Trying not to loss my senses; Unspeakable suffering, unable to speak`, `I hate myself`, `Forgetting wasn`t the end; Would it be okay if I speak out` `Becoming conscious creates more confusion`, `I know that it is not my fault`, `Internalized social norms`, `Denial of feminity`, `Confusion and recovery`. Based on these findings, I propose a practice guideline to help woman who experienced sexual abuse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대인외상경험과 우울, 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주소희 ( Sohee J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아동청소년기의 외상경험은 발달특성상 부정적 영향의 가능성이 높다. 이에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사회적지지의 영향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의 대인외상경험과 사회적지지가 우울과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아동·청소년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인외상경험이 많을수록 우울과 행동문제가 증가하였고,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우울과 행동문제수준은 낮아졌다. 또한 우울, 행동문제와 대인외상경험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아동·청소년의 우울과 행동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대인외상경험에 대한 상처회복프로그램과 사회적 지지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이 제언되었다. Traumatic experienc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is highly likely to be adversely affected b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ild’s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nd problem behavior on this purpose, 165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re experience of interpersonal trauma, the more depressive and behavioral problems,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depression and behavioral problems. In addition, social support was prov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 to depression, behavioral problems and interpersonal traum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program to promote wound restoration and social support for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was suggested to prevent depression and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성과 성취동기와의 관계연구: 사회적위축의 매개효과

        주소희 ( Sohee Ju ),오인근 ( Inkeun Oh ),안세진 ( Sejin A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청소년을 대상으로 이중문화수용성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이 매개효과의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중 8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과 Sobel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중문화수용태도가 증가할수록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위축의 매개효과검증결과 이중문화수용성은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하여 성취동기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를 향상하기 위해 이중문화수용을 위한 방안과 사회적위축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개입전략을 제언하였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accepta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achieve this, the participants of the 8th year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In order to explore the social withdrawal’s mediating effect,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multicultural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decreased as their bicultural acceptance increased. Second, multicultural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increased as their bicultural acceptance increased. Lastly, social withdrawal had a parti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accepta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and the necessity of more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to increase bicultural acceptance and to decrease social withdrawal for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 KCI등재

        조손가정 아동의 생활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주소희(So Hee Ju),이경은(Keung Eun Lee),권지성(Ji Sung Kwon) 한국아동복지학회 2009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0

        이 연구의 목적은 조손가정 아동의 생활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조손가정 아동들과 직접 만나서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전략을 선택하였다. 즉, 현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주관적인 의미 구조를 탐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질적 연구접근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조손가정에서 생활하는 11명의 아동과 심층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범주화 분석과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발견된 주제들은 `돈이라는 괴물`, `버려지거나 맡겨지거나`, `몸이 떠나면 마음도 떠난다`, `허술한 울타리`, `마음을 보이면 안돼`, `그래도 괜찮아`, `익숙해진다는 것의 슬픔` 등이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조손가정, 특히 아동들을 돕기 위한 실천 지침들을 제시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s of children who were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We have chosen a methodology that allows us to meet them directly, see their experiences, and qualitatively analyze their experiences. More specificall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children who were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and analyzed their experiences using categorization and theme analysis methods. The key subjects that were found from their experiences were "money is like a monster", "being abandoned", "out of sight, out of mind", "flimsy fence", "don`t want to open my mind", "never mind", and "the sorrow of getting used to the changes." Based on these finding, we propose a practice guideline to help children who are raised by their grandparents.

      • KCI등재

        독거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소희(Ju So-Hee) 한국가족학회 2010 가족과 문화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가 우울과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항을 미치는지 검증해보고, 독거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가 우울을 매개로 하여 독거노인의 자실생각에 영항을 미치는지 경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대전 광주 그리고 대구지역의 저소득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1: 1 면접형식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독거노인의 일상생활활동 정도는 독거노인의 자살생각과 우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일상생활활동은 우울을 매개로 하여 노인의 자살생각에 간접적으로 영항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실천적인 대안과 독거노인의 정신건강의 예방차원에 서 독거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대한 정책과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ctivity of daily living(ADL) state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other factors found in the previous studies which were important in determining Elderly Living Alone's Ideation of Suicide: their sexs, ages, separate period, subjective financial status were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out of 411 Elderly Living Alone surveyed. The study'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Ideation of Suicide affected on the negative. Second, Depression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Elderly living Alone's Ideation of Suicide. Third, Depression have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Elderly Living Alone's Ideation of Suicide in an indirect or direct manner through the mediator of Activity of daily living, that is, Depression have been verified to be a partial mediator in Elderly Living Alone's Ideation of Suicide.

      • KCI등재후보

        외상경험 아동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요인연구

        주소희(Ju So H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경험 아동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지역아동센타와 방과후 공부방에 다니는 아동 청소년 165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인외상을 경험한 아동청소년이 대인외상을 경험하지 않은 아동청소년보다 우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종교, 자아탄력성, 친구의 지지로 나타났다. 즉, 종교가 있는 아동청소년일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친구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외상 후 성장이 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외상경험 아동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을 지지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rowth of post-traumatic children and youth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or non-interpersonal trauma.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Children and Youth 165 people attending the local children"s centers and after-school study room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Results First, the child was higher youth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is not experienced depression than young children. Second, the impact off 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appeared to be religious, ego resilience, friends. In other words, the more children and youth with religion, the higher the self-resilience, as the perception that have the support of your friends could confirm that growth is increasing more after injury.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social work practice to support the growth of children and youth experience trau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