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의 돌 신화와 여신 서사의 변형 - 모석(母石)·기자석(祈子石)·망부석(望夫石)을 중심으로 -

        조현설 한국구비문학회 2013 口碑文學硏究 Vol.0 No.36

        Mircea Eliade discovered the archetypical image that expresses absolute being, life and sacredness in the stone. But a stone myth is one form of the ideological language that expresses a certain social form through various mythical narratives. The stone in east asian myth became accepted as sacred mother stone. This is the product of a matrilineal society. Original myth of human being or acertain tribe was originated from the stone expresses that kind of understanding. At that time, the goddess appeared in a stone form which identified with ‘a mother stone’ in some cases, but in other cases the goddess appear in ‘a stone & goddess’ form discretely. However, the stone which transformed into the phallus stone was worshipped as ancestral god in a patrilineal society. And This stone transformed into kija-stone, that is a stone praying son in conjunction with male dominance. At the same time this stone transformed into mangbu-stone, that is the stone on which a faithful wife stood waiting for her husband until she perished. 엘리아데는 돌에서 생명을 표현하는 원형적 이미지를 발견했다. 그러나 돌 신화는 원형을 넘어 다양한 변형체를 통해 특정한 사회 형태를 표현하고 고착화하려고 하는 이데올로기적 언어의 한 형태이다. 동아시아 돌 신화에서 돌은 모석으로 인식되어 왔는데, 이는 모계사회의 소산이다. 이 인식은 돌에서 인류나 특정 종족이 비롯되었다는 기원신화를 통해 표현된다. 이때 여신은 모석과 동일시되어 돌의 형태로만 등장하기도 하고, 분리되어 여신-돌이라는 이원적 형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부계사회에서 돌은 남성적 원리를 상징하는 남근석으로 변형되어 조상신으로 숭배되기도 한다. 이런 돌 신화와 사회의 관계에서 보면 부여계 건국신화의 신화소인 돌 위에 앉은 유화나 곤연의 바위 아래에서 출현한 금와의 형상, 그리고 제주도의 당신화인 와산리 불돗당의 돌 위에 내려온 여신 불또삼승또의 형상은 모석 신화가 제의의 조건이나 신화의 형태에 따라 변이되어 표현된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유화와 불또삼승또의 신화가 여신-돌(모석)의 형식이라면 금와 신화는 돌(모석)의 형식이다. 그런데 모석은 남성지배의 강화와 더불어 기자석으로 변형된다. 동시에 아이를 업고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돌, 망부석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모석의 서사에는 생명의 근원이라는 원형적 이미지만이 아니라 창세신화와 여신 서사의 역사적 변모의 정황이 동시에 새겨져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6세기 일기문학에 나타난 사대부들의 신이담론과 소설사의 관계

        한국어문학연구학회(구 동악어문학회) 2008 동악어문학 Vol.51 No.-

        <P>이 논문은 16세기 소설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사대부들의 일상생활과 일상에 나타난 그들의 의식세계에 주목하여 사대부들의 신이기호적 일상이 소설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해명한 것이다. 그간 사대부들의 정신세계에 대한 우리의 관습적 이해는 경직된 주자주의자의 면모 정도였다. 특히 사화를 겪으며 정치와 문화의 주도권을 잡은 16세기 이래 사림의 이미지가 그러하다. 그러나 16세기의 사대부들의 일기는 그들 역시 자신들이 내세운 이념과는 달리 신이문화에 여전히 한 발을 담그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16세기 사림들은 유가적 이념을 내세워 헤게모니를 잡았지만 이념의 전선에서 물러난 일상의 현장에서는 하층 민중들과 마찬가지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점을 치고, 굿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문건의 『묵재일기』와 유희춘의 『미암일기』는 그것을 증언해주는 좋은 자료이다. 이런 일상적 신이문화는 16세기 초 채수의 「설공찬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설 창작의 자료로 원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창작과 유통을 추동하는 유력한 문화적 토양이 된다. 이 같은 문화적 조건과 소설의 상관관계를 좀 더 확장해 나가면 『묵재일기』나 『미암일기』에 나타난 신이기호적 일상은 당대의 다른 작가들에 의해 창작된 전기나 몽유록의 문화적 토양으로 작용했으리라는 추론에 이를 수 있다. 이들 일기에 보이는 점복담ㆍ치병굿과 전기, 또는 해몽담과 몽유록의 서술형식이 대단히 유사하고, 서술형식의 배후에 드리워져 있는 탈유가적 인식론이 동질적이기 때문이다. 이런 유사성과 동질성이야말로 당대의 소설부 정론을 넘어 소설이 확산될 수 있었던 문화적 조건이었다.</P>

      • KCI등재

        여신의 서사와 주체의 생산

        조현설 민족문학사학회 2001 민족문학사연구 Vol.18 No.-

        What a series of the shamanistic myths having the woman as the protagonist are showing characteristically is the strained relationship between the inability, irresponsible god taking woman on trial and the able goddess enduring and overcoming the trial. Where is the origin of this particularity? The origin of the woman figure that is enduring the suffering shown in CHUNGJUNGGAKSI & DORANGSUNBI(청정각시·도랑선비) is the Masculine Domination. This domination makes the body through not only the symbolic violence but the physical violence. The violence forms the convention and the violence itself becomes one of the conventions. This process of making the subjectivity by the violence is strengthened and reproduced through the educational acts of GUT, a kind of consonance box. By the way, it matters whether that kind of social product is absolute or not. Isn't there a way to build the feministic subjectivity? The answer to that question can be found in the immanent ability of the heroine. What we can find out from CHUNGJUNGGAKSI & DORANGSUNBI is the ability of paradox reversing the praise and the blame of gods. Through this paradoxical ability, the human act gets to transform the passivity into the activity. This transforming ability is always, already, the immanent ability in the heroine of shaman's epic. The feministic subjectivity which resists the various `the education act' intended for a long stay of the Masculine Domination is made up by the active transformation through this paradox.

      • KCI등재
      • KCI등재

        동물 설화에 나타난 인간적인 것을 넘어선 애니미즘 연구

        조현설 한국구비문학회 2022 口碑文學硏究 Vol.- No.65

        The classification and structuralization of animals based on their benefits and uselessness are products of human intelligence. Doing so was essential to ensure the survival of humankind in relation to non-humans. Therefore, Getz, the heavenly god of Méigĕ, blessed benefits upon animals after they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attitude toward humans. Bear being prohibited from reclaiming land is also a product of human intelligence, as keeping taboos alive benefits the continuation of the community. The deer mentioned a taboo saying, "Don't give out clothes until you have three children," because it was an important condition for achieving a male-dominant family structure. However, it is inevitable that humankind will go beyond structure and violate taboos when human intelligence reaches a critical point. The imagination of this inevitability allows us to hear the voices of animals that cannot be heard, such as the youngest of Méigĕ, the Mokdoryeong of the flood myth, and the woodcutter of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and communicate with the entire universe, such as the Today of Woncheongang myth. This is the cosmology of animism that considers both humans and non-humans as persons. However, even if non-human–human communication occurs, animism disappears if the non-human is recognized as a person. The voice of Getz, the heavenly god of Méigĕ, is like that of a human, and the case of the Tree god of the flood myth is no different. Animism deteriorates when the protagonist's ability to understand the language of animals is directed toward only human’s benefits. As long as the animals in the story of repaying animals are considered as "better than humans" or "like humans," what is expressed in the story is the cosmology of anti-animism. Human coexistence with non-human beings is a contentious topic in this century.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triggered by disharmony with non-humans, raises serious questions about this mutual relationship. Modern civilizations originating from Western Europe often otherize non-humans and suppress others’ voices. The climate crisis has been caused by this desire for oppression, and the recent outbreak of the virus seems to reflect the screams of others. If we do not respond with haste to the cries of these non-humans, the great flood myth could see us reliving our “ancient futures.” 유무익에 따른 동물의 분류와 구조화는 인간 지성의 산물이다. 그렇게 하는 것이 비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인류의 존속에 긴요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므이꺼>의 천신 거쯔는 인간에 대한 태도에 따라 동(식)물을 분류한 뒤 무익은 저주하고 유익은 축복했다. 땅을 개간하지 말라는 우무러와의 금기도 인류 지성의 산물이다. 금기를 언어화하여 전승하는 행위가 공동체의 지속에 유익하기 때문이다. 사슴이 ‘아이 셋을 낳을 때까지는 옷을 내어주지 말라’는 금기를 발부했던 것은 그것이 남성 중심의 가족구성체를 이룩하는 데 긴요한 조건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터부를 통해 공동체의 정체성을 보호하고, 분류와 구조화를 통해 인간을 비인간으로부터 분리하는 인간의 지성이 임계점에 이르면 구조를 재구조화하고 금기를 위반하는 일도 인류의 존속을 위해 불가피한 일이다. 이 불가피함에 대한 상상력이 <므이꺼>의 막내나 <목도령과 대홍수>의 목도령, <선녀와 나무꾼>의 나무꾼으로 하여금 들을 수 없는 동물의 목소리를 듣게 하고, <원천강본풀이>의 오늘이를 온 우주와 소통하게 한다. 이것이 인간-비인간이 물질성에서는 다르나 내면성은 공유하고 있다고 보는, 다시 말해 비인간-인간을 모두 ‘사람’으로 여기는 애니미즘의 우주론이다. 그런데 비인간-인간 사이에 소통이 이뤄지더라도 비인간을 ‘사람’으로 여기지 않고 인간중심적으로 인식하면 애니미즘은 실종된다. <므이꺼>의 천신 거쯔의 목소리는 인간적이고, <목도령과 대홍수>의 목신의 경우도 다르지 않다. 동물의 언어를 알아듣는 민담의 주인공의 능력이 상호성을 잃고 인간의 발복을 향할 때 애니미즘은 미끄러진다. 주인공과 친밀감을 형성하고 있는 동물보은담의 동물은 인간의 시각으로 포획된 오이디푸스적 동물이다. 동물보은담이 은혜 갚은 개나 소와 같은 동물만 ‘사람보다 낫다’거나 ‘사람 같다’고 여기는 한 거기서 드러나는 것은 안티애니미즘의 우주론이다. 금세기 인류의 공안은 비인간과의 공존이다. 비인간과의 불화에서 촉발된 작금의 코로나 바이러스는 비인간-인간의 관계, 그 동일 지평에 있는 인류의 존속에 대해 심각한 물음을 던지고 있다. 서구 발 근대 문명은 비인간 혹은 자연을 타자화했고, 타자의 목소리를 억압했다. 이 억압에의 욕망에서 초래된 기후위기, 그리고 바이러스의 창궐은 저 근대문명이 도구화한 타자들의 절규로 보인다. 저 비인간들의 절규에 화답하지 않는다면 홍수신화는 우리의 ‘오래된 미래’일 수 있다.

      • KCI등재

        신이 서사와 영이 서사의 대립과 견제

        조현설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3 한국불교사연구 Vol.24 No.-

        Three dimensions of myths appear in “Samgukyusa”. There is a myth of the third dimension crea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the first dimension of sacred narrative, and the second dimension of marvelous narrative. Until now, the history of Korean mythology has interpreted only the sacred narrative in Samgukyusa as a myth. This is the result of narrow mythology accepted through Japanese translation. Now,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yth not only to a story about gods, but also to a story about "difference" events that are difficult to happen in reality. The mainstream of sacred narrative in Samgukyusa is the myth of founding and kingship. As can be seen from the records of the origins of the ancestors of the 6 tribes of Silla, the progenitor myth is placed in relation to the founding myth. This is because “Samgukyusa” records the sacred narrative of three kingdoms. The second half of “Samgukyusa”, which begins with "Heungbeop chapter," consists of a Buddhist spiritual story, which was conceptualized to as the marvelous narrative corresponding to the sacred narrative. The marvelous narrative is a myth in that it reproduces events created during the introduce and settlement of Buddhism as unusual and spiritual stories that cannot be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This is because myths are sacred stories and ideologies in the form of stories. However, as can be seen in the case of "Kim Hyun-gam-ho", the marvelous narrative continues the worldview of Jatabulyi[自他不二] in the progenitor myth, but reconstructs it into a view of time of three lives. In the world view of the progenitor myth, the killing of animals is possible only when animals give themselves as gifts. On the other hand, Buddhism, which occurred after the state, says that even if animals are killed, they can be rewarded in the life after death from the end by building good deed. Through this discourse strategy, “Samgukyusa” forms a compilation so that the worldview sacred narrative and marvelous narrative can be balanced with each other by checking the sacred narrative as a mandate from Heaven. This discourse is a myth that works in the third dimension of “Samgukyusa”.

      • KCI등재

        바리데기와 巫의 윤리

        조현설 국문학회 2018 국문학연구 Vol.0 No.37

        Baridegi, which is a representative Korean shamanist myth, is a text focused on the ethics of Shamanism. The ethics of shamanism underlie the Hamheung version of Baridegi. Other versions of Baridegi appear to discuss Confucian ethics on the surface, but carry a subtext of Buddhist ethics. The Hamheung version appears to discuss Confucian ethics on the surface, but carries a subtext of the ethics of shamanism. Baridegi’s journey is a way of achieving harmony with the universe, which is the aim of shamanism. The ethics of shamanism are magnified in the ending part of the Hamheung version. The reborn mother fights with six of her seven daughters.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final part of the youngest daughter’s journey, the conflict between the mother and the youngest daughter is resolved. However, in the end, both cases conclude with the death of all the characters. Death is presented as the essence of every being. Mangmook-gut is the art or ritual of creating harmony between death, or ‘ogital’ (the sickness of death), and life. These ethics of shamanism in the Hamheung version of Baridegi result in the creation of an anti-Buddhist and anti-Confucian attitude. The Hamheung version shows an anti-Buddhist attitude through the character of the bad Buddhist monk and displays an anti-Confucian attitude through the paradoxical speech which declares that virtuous women and loyalists are not good for the family. This i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 Hamheung. This characteristic makes me believe that the Hamheung version is one of the early versions of the Baridegi myth. 한국 무속신화를 대표하는 <바리데기>는 무의 윤리를 화두로 삼고 있는 텍스트이다. 함흥본에는 무불유(巫佛儒)의 윤리가 혼효되어 있지만 그 심층에 놓여 있는 것은 무의 윤리이다. 다른 지역의 <바리데기>가 겉으로는 유교 윤리를 말하면서 속으로는 불교 윤리를 말하고 있다면 함흥본은 표층에서는 유교 윤리를 드러내지만 심층에서는 무교의 윤리를 강조한다. 함흥본의 바리데기 수왕이의 구약여행을 추동하는 주동인은 무의 점괘이고, 점괘는 신의 명령이므로 이를 따르는 것이 무교가 추구하는 우주와의 조화를 이룩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이런 조화의 윤리는 함흥본의 결말 부분에서 다시 부각된다. 모친 덕주아 부인의 회생 이후 어머니와 여섯 딸의 대립은 서로를 부정하는 파국에 도달한다. 그러나 기아에서 비롯된 어머니와 막내딸의 최초의 대립은 바리데기의 구약여정을 통해 화해에 도달한다. 그러나 파국이든 화해든, 결과적으로는 모든 등장인물들이 죽음에 이름으로써, 죽음이야말로 피할 수 없는 존재의 본질임을 드러낸다. 함흥본 <바리데기>에는 ‘오기탈을 받고 오기탈을 거두어 달라’, 곧 ‘죽음이라는 탈’을 해결해 달라고 청하는 망묵굿을 통해 무속이 추구하는 삶과 죽음의 조화가 회복된다는 윤리의식이 내재되어 있다. 함흥본 <바리데기>의 심층에서 작동하고 있는 무의 윤리는 반불교적, 반유교적 태도를 조성한다. 그 결과 함흥본은 부정적인 서인대사의 형상을 통해 중생을 호도하는 불교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고, 열녀충신이 나는 것이 오히려 집안에는 좋지 않다는 역설적 언술을 통해 유교 윤리에 대한 반론을 제기한다. 이런 함흥본의 유불에 대한 태도는 불교 윤리를 내면화하고, 유교 윤리를 앞세우는 서울경기본을 비롯한 다른 지역본과 크게 다르다. 이 차이는 함흥본의 윤리가 유불의 윤리와 대립 내지 경쟁관계를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동시에 함흥본이 유불의 윤리와 화해하고 있는 다른 지역본에 비해 더 오래된 유형임을 뜻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