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산양(Naemorhedus caudatus) 암컷의 출산시기 행동 특성에 따른 분석 및 관리 방안

        조재운 ( Chea-un Cho ),김규철 ( Kyu-cheol Kim ),김기윤 ( Ki-yoon Kim ),이용학 ( Yong-hak Lee ),손장익 ( Jang-ick Son ),정승준 ( Sung-jun Jung ),송동주 ( Dong-ju Song ),정대호 ( Dae-ho J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5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산양 암컷(n=6)의 출산시기 행동권 분석을 위해 2007년 3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설악산국립공원, 월악산국립공원 2지역에서 GPS collar 발신기를 이용하여 연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출산시기에 따라 행동권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MCP 95%에서 봄 1.00±1.00㎢ > 가을 0.66±0.30㎢ > 여름 0.61±0.40㎢ > 겨울 0.50±0.10㎢(F=4.240, p<0.05)로 분석되었으며, 월별분석은 5, 6, 7월에 급격이 행동권이 작아지는 특징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F=24.261, p<0.01). 이렇듯 행동권의 급격한 변화를 보인개체들은 새끼를 출산한 개체로 확인 되었고, 행동권이 급격히 작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평균 이용고도는 615.77±173.508m이며 출산개체와 비출산 개체 모두 큰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출산 시기 등을 고려한 개체관리 및 복원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o analyz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Korea endangered species female gorals (n=6) during the period of birth, using GPS collar attached on their necks, we carried out this study in two areas (Seoraksan and Woraksan National park) from March 2007 to May 2014. According to our analysis there was a change in their home range during the period of birth. The home range of females (n=6) in MCP 95% was Spring (1.00±1.00㎢) > Autumn (0.66±0.30㎢) > Summer (0.61±0.40㎢) > Winter (0.50±0.10㎢) (F=4.198, p<0.05). In the monthly analysis, their home ranges were dramatically reduced in May, June and July.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24.261, p<0.01). These gorals showing a drastic change in home ranges were identified as gorals having offspring individual and their home ranges were decreased. The average altitude was 615.77±173.508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jor change between parous and nonparous female gorals. Through this analysis, we expect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goral management and restoration project considering the time of birth.

      • KCI등재

        월악산국립공원 도입 방사된 암컷 산양(Naemorhedus caudatus)의 행동 특성

        조재운 ( Chea Un Cho ),김규철 ( Kyu Chul Kim ),권구희 ( Gu Hee Gyun ),양정진 ( Jung Jin Yang ),이배근 ( Bae Keun Lee ),권철환 ( Chul Hwan Gy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본 연구는 2008년 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월악산국립공원에 도입 방사된 암컷 산양 4개체의 행동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연간 행동권, 계절별 행동권, 고도별 이용 특징을 연구하였다. 도입 방사된 암컷 산양의 연간 행동권은 MCP 95% 1.13±0.32㎢, FK 95% 0.37±0.18㎢, FK 50% 0.07±0.03㎢로 분석 되었고(t=0.607, p>0.05), 계절별 행동권 및 고도 이용특성은 MCP 95%에서 여름(0.77±0.06㎢), 가을(0.73±0.26㎢)로 행동권이 크며, 봄(0.58±0.38㎢), 겨울(0.47±0.25㎢)에 행동권이 감소하여 여름과 겨울 행동권의 차이를 보였고(F=3.868, P<0.05), 계절별 고도 이용 특성은 봄 435m(28.4%), 여름 464m(26.7%), 가을 414m(28.8%), 겨울 393m(21.2%)로 여름에 높은 고도로 이동하며 겨울철고도가 낮은 지역을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F=0.783, P>0.05). 본 연구에서 도입 방사된 암컷 산양 개체만 연구되어 전체적인 행동특성이라고 단정 할 수 없지만, 행동권, 계절별 행동권, 고도 분석 등으로 서식지 이용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This study was executed in Woraksan National Park from Febuary, 2008 to December, 2013 in order to study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troduced four female gorals using annual home range, seasonal home range, and elevation use characteristics. Annual home range of reintroduced female gorals were 1.13±0.32㎢of MCP 95%, 0.37±0.18㎢of MCP 95% and 0.07±0.03㎢(t=0.607, p>0.05) of FK 50% respectively. In seasonal home range and elevation use characteristics of MCP 95%, autumn(0.73±0.26㎢) and summer(0.77±0.06㎢) were the largest home range and spring(0.58±0.38㎢) and winter(0.47±0.25㎢) had a smaller home range and it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ummer and winter home ranges(F=3.868, P<0.05). As a result of seasonal elevation analysis, elevation use was 435m(28.4%) in spring, 464m(26.7%) in summer, 414m(28.8%) in autumn, and 393m(21.2%) in winter, respectively. It showed that these gorals used higher elevation in summer(F=0.783, P>0.05). We could not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troduced gorals, because only introduced female gorals were used for this study. However, we could understand that habitat use characteristics wer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n introduced gorals from the analyses of their home range, seasonal home range and elevation use.

      • KCI등재

        설악산국립공원 멸종위기 산양(Naemorhedus caudatus) 개체군 크기와 서식지 이용 현황

        조재운 ( Chea Un Cho ),김규철 ( Kyu Cheol Kim ),권구희 ( Gu Hui Kwon ),김기윤 ( Ki Yoon Kim ),이배근 ( Bae Keun Lee ),송병철 ( Bung Cheol Song ),박종길 ( Jong Gil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5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산양과 서식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산양의 분변 및 카메라 트랩을 이용한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분석을 2010~2014년 동안 수행하였으며 생태학적 조사 방법(흔적조사, 카메라트 랩조사)을 사용하였다. 분변 조사와 카메라트랩핑 분석 결과 각각 166개체 및 251개체의 산양이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적조사(분변)를 통한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에서 산양은 경사도 35°~60°, 고도 600~700m, 향 북동, 수계와의 거리 0~50m, 도로와의 거리 300~600m, 활엽수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메라트랩 조사를 통한 산양 개체군 구성, 주간(07-18시)이 56.5%, 야간(18-07시)이 43.5%로 산양의 활동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산양의 개체수와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은 향후 그들이 살아가는 서식지의 보전과 서식지의 관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vestigate population size and habitat use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ndangered long-tailed goral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using feces and camera trap during 2010 to 2014 (track survey, camera trap). As a result of feces tracking and camera trap, its population size was estimated as 160 (camera trap)~251 (feces) individuals in the Seoraksan National Park. The goral prefer 35°~60° (slope), 600~700m (elevation), NE (aspect), 0~50m (distance to stream), 300~600m (distance to road) and bread-leaved forest (forest type) according to field tracking of fecal. Based on field camera trap, we estimated the age classes of goral populations and activity of gorals during day-time (07-18 time, 56.5%) and night-time (18-07 time, 43.5%). Such analyses of population size and habitat use of the goral could be applied as important fundamental data for conservation of gorals and management of their habitats.

      • KCI등재

        경북북부지역(울진) 산양(Naemorhedus caudatus)암,수 한 쌍의 행동권 및 고도변화에 따른 행동권 분석

        조재운 ( Chea Un Cho ),김기윤 ( Ki Yoon Kim ),김규철 ( Kyu Cheol Kim ),김현민 ( Hyun Min Kim ),안재용 ( Jae Yong An ),이배근 ( Bae Keun Lee ),박종길 ( Jong Gil Park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5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8 No.1

        경북북부지역 산양 암·수 한 쌍(n=2)의 연구를 통해 한국 산양의 복원 및 보전을 위한 생태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산양 한 쌍의 행동권, 계절별 행동권, 서식지 이용특성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3년 6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울진 지역에서 GPS collar 발신기를 이용하여 1년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산양 한 쌍의 행동권은 MCP 95% 1.38±0.24㎢, FK 95% 0.81±0.09㎢, FK 50% 0.15±0.16㎢로 분석되었다(t=8.118, p>0.05). 계절별 행동권은 MCP 95%에서 겨울 0.74±0.31㎢ > 봄 0.71±0.27㎢ > 가을 0.61±0.06㎢ > 여름 0.27±0.04㎢ (F=2.135 p>0.05)로 분석되어, 겨울의 행동권이 가장 크고, 여름이 가장 작았다. 서식지 이용특성 중 계절별 이용 평균고도는 수컷은 여름(440.18±71.32m), 암컷은 봄(727.25±99.98m), 가장 낮은 고도는 수컷은 봄(372.72±70.79), 암컷은 가을(664.60±139.71m)로 분석되어 계절별 차이를 나타내어, 암·수 모두 고도변화에 따른 연간 및 계절별 행동특성의 상관성의 차이를 알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서식지 내 먹이와의 상관관계, 서식지 교란의 변화 양상 등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경북북부지역 산양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 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oral such as home range, seasonal home range and habitat use and used for Korean goral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through a pair of gorals in the north Gyeongbuk province of Korea. With data from GPS collars, we analyze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Korean gorals(n=2) in Uljin area from June 2013 to July 2014. As a result, their home range was 1.38±0.24㎢ in MCP 95%, 0.81±0.09㎢ in FK 95% and 0.15±0.16 ㎢ in FK 50% (t=8.118, p>0.05). Seasonal home range for MCP 95% was 0.74±0.31㎢ (winter) > 0.71±0.27㎢ (spring) > 0.61±0.06㎢ (autumn) > 0.27±0.04㎢ (summer) (F=2.135 p>0.05). It showed that home range in winter was the largest and that in summer was the smallest. Mean elevation of male for seasonal habitat use was 440.18±71.32m in summer and that of female was 727.25±99.98m in spring. The lowest altitude for male was 372.72±70.79 and female was 664.60±139.71m. It meant that there were seasonal change and thus annual and seasonal behavior characteristics for both sexes had different correlation according to elevation change. Although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with prey in habitat and the changes of habitat disturbance were not clearly investigated, We could understand goral home range and habitat use through research data.

      • KCI등재

        GPS Collar를 이용한 멸종위기 한국 산양(Naemorhedus caudatus)의 행동 특성

        조재운 ( Chea Un Cho ),권구희 ( Gu Hee Gyun ),양정진 ( Jung Jin Yang ),임상진 ( Sang Jin Lim ),이안나 ( An Na Lee ),박희복 ( Hee Bok Park ),이배근 ( Bae Keu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인 한국산 산양(n=3)의 생태 및 행동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2010년 5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설악산국립공원에서 이루어졌다. 구조된 산양은 GPS Collar 발신기를 부착하여 구조된 원서식지에 재 방사 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수집된 4,752개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연간 행동권, 계절별 행동권, 월별 이용 고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설악산 산양의 연간 행동권은 MCP 95% 0.88㎢, MCP 50% 0.27㎢, FK 95% 0.43㎢, FK 50% 0.09㎢로 계절별 행동권은 MCP 95%에서 봄 0.47㎢, 여름 0.45㎢, 가을 0.63㎢, 겨울 0.50㎢로, 가을 행동권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K 95% 분석을 통해서도 봄 0.23㎢, 여름 0.19㎢, 가을 0.33㎢, 겨울 0.22㎢로 가을철 행동권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암·수 연간행동권은 MCP 95% 수준에서 암컷 1.03㎢, 수컷은 0.58㎢로 분석되었다. 월별 이용 고도는 6, 7, 8월이 가장 높았으며 12, 1, 2월에 가장 낮은 고도를 이용했다. 본 연구는 산양의 서식지 관리 정책 및 복원과 보전을 위한 객관적 자료 확보 및 국내에서 수행 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는 야생동물의 성공적인 복원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oral through the study on gor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o be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behavioral data such as annual home range, seasonal home range and monthly used altitude with 4,752 locations obtained during the study period through home range analysis of three long-tailed gorals (Naemorhedus caudatus) in Soeraksan. For this study, gorals who were rescued from heavy snow in Seoraksan were used. The gorals were equipped with GPS Collar, released at their natural habitats, and then monitored from May, 2010 to September, 2011. According to our results, annual home ranges of the gorals (n=3) have 0.88㎢ of MCP 95%, 0.27㎢ of MCP 50%, 0.43 ㎢of FK 95%, and 0.09㎢ of FK 50% respectively. Seasonal home range of MCP 95% was 0.47㎢ in spring, 0.45㎢ in summer, 0.63㎢ in fall and 0.50㎢ in winter respectively and home ranges of fall was the largest. In the case of FK 95% analysis, home ranges were 0.23㎢ in spring, 0.19㎢ in summer, 0.33㎢ in fall, and 0.22㎢ in winter respectively and the largest seasonal home range was fall. Female and male annual home ranges of the gorals were 1.03㎢ for female and 0.58㎢ for male. In analysis of the monthly used altitudes which were used Jun, July, and August were higher than in the other months and the altitudes which were used in Dec, Jan, and Feb were lower than in the other months. This study was to secure basic data for the habitat management policy,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Korea gorals and to be conducted to contribute to the success in doing or planning stage of the wild animal restoration.

      • 한국 산양의 두개골과 하악골의 해부학적 연구

        오정우 ( Jung-woo Oh ),이성경 ( Sung-kyung Lee ),조재운 ( Chea-un Cho ),최영재 ( Yeong-jae Choe ),현보라 ( Bo-ra Hyun ),정은영 ( Eun-young Jeong ),강정훈 ( Jung-hoon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산양(Naemorhedus caudatus)은 동북아시아, 러시아, 중국, 한국의 고산지대에 분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종 1급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 목록(IUCN Redlist)에 취약등급(VU)으로 지정되어 있다. 머리의 형태를 이루는 두개골(Skull)은 외관상 하나의 뼈처럼 보이지만 많은 뼈들이 서로 밀접하게 결합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두개골은 대뇌, 소뇌, 연수 등 뇌 조직을 싸고 있는 뇌두개와 코와 입을 구성하는 안면으로 구분된다. 하악골(Mandibulae)의 형태는 동물의 섭식습성이나 저작운동의 형태와 강도에 따라 근육의 발달정도에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근육의 부착점인 하악골의 발달정도의 차이를 나타내며, 이빨의 개수 및 배열상태, 치아궁의 형태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산양의 두개골 및 하악골에 대한 계측학적 연구는 생후 1령의 산양을 계측한 이홍식(1993)과 이성준(1994)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였으며, 1령의 경우 골격 및 신체가 완전한 성장이 이루어진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산양의 성체만을 대상으로 두개골과 하악골의 측정 데이터를 계측학적 측면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본산양(Capricornis crispus)의 경우 주요 계측치가 통계적으로 암수차가 없다는 점을 근거하여, 연령 및 이력이 있는 (사)한국산양보호협회의 개체 14마리를 암수 구분 없이 선정하였다. 후두골과 환추골 사이를 절단하여 두개부를 분리하고 증류수에 중불로 6시간 끊인 후 연조직을 제거하여 골격표본을 제작하였다. 10~15령 미만은 6마리, 15령 이상은 8마리로 분류하였고, 두개골은 Driesch(1976), 하악골은 Nishida and Hayashi (1983)가 제시한 계측점 측정법을 참고하여 두개골은 25개, 하악골은 14개의 계측점을 버니어캘리퍼스(Mitutoyo, CD-15 PSX, JP)로 0.01㎜단위까지 측정하였다. 연령별로 계측부위에 차이가 있는지 맨-휴트니검정(Mann-Whitney U test, p<0.05)하였고, 각 측정부위별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두개골과 하악골 모두 연령별로 유의성은 없었으며, 10령 이상의 산양은 두개학적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같은 성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성체집단으로 보고 두개골과 하악골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두개골은 두개골길이와 두개바닥길이, 두개골길이와 구개길이, 두개바닥길이와 구개길이, 안와사이폭과 안면높이, 오른쪽뿔과 왼쪽뿔길이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하악골은 하악골길이와 턱끝부터 관절돌기까지 길이, 하악골길이와 하악패임부터 안면혈관패임_____까지의 길이, 턱끝부터 관절돌기까지의 길이와 하악패임부터 안면혈관패임까지의 높이, 관절돌기부터 안면혈관패임까지의 길이와 하악패임부터 안면혈관패임까지의 높이, 하악골길이와 이빨틀 사이모서리 길이, 턱끝부터 관절 돌기까지 길이와 이틀사이모서리 길이, 양쪽 하악골사이 최대 폭과 양쪽 마지막큰어금니사이 폭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두개골길이는 두개바닥길이, 구개길이와 밀접하게 영향을 주는 부위인 것을 알 수 있었고, 하악골길이는 턱끝부터 관절돌기까지의 길이, 하악패임부터 안면혈관패임까지의 높이, 이빨틀 사이모서리의 길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계측부위는 성장하며 골격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성장기준이 되는 계측점으로써의 역할과 골격의 형태를 결정짓는 부위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충분한 샘플을 확보하여 연령별 계측학적 분석을 통해 성장요소의 부위별 차이를 규명하는 연구를 추가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반달가슴곰의 배설물을 통한 먹이원 분석

        정대호 ( Dae-ho Jung ),서문홍 ( Hong Seomun ),송동주 ( Dong-ju Song ),최은혜 ( Eun-hye Choi ),이사현 ( Sa-hyun Lee ),이용학 ( Yong-hak Lee ),조재운 ( Chea-un Cho ),송병철 ( Byeong-cheol Song ),양두하 ( Doo-ha Y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5

        지리산국립공원 반달가슴곰은 2004년부터 러시아 연해주, 북한, 중국 동북부 일대와 서식지외 보전기관인 서울대공원에서의 재도입을 통해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설물을 통해 식이물을 분석하여 반달가슴곰의 먹이습성, 지리산국립공원에서의 먹이 자원 환경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2005년부터 2013년 사이에 무선 위치 모니터링이 가능한 반달가슴곰 배설물 78점을 채집하여 먹이원을 분석한 결과 상대출현빈도는 식물이 7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곤충 12.8%, 포유류 5.6%, 기타 3.6%, 조류 0.5%, 절지동물문 0.5%의 순이었다. 또한 수집한 배설물 중 건중량을 측정한 52점 대상으로 먹이 비(ratio)를 분석한 결과 식물이 9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유류 3.6%, 곤충류1.0%, 기타 4.2%의 순이었다. 배설물을 통한 먹이원 분석 연구 결과 지리산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은 잡식성이며, 동물성 먹이보다 식물성 먹이가 주 먹이원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Since 2004, Asiatic Black Bear of the Jirisan National Park is subjected to the restoration project through the re-introduction by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in Russia, North Korea, Northeastern part of China and Seoul Grand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ets with scat to identify Asiatic Black Bear`s feeding habit and eating resources environment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78 scats of Asiatic Black Bears were observed during the field studies of radio telemetry-marked bears and by chance in the Jrisan National Park, from 2005 to 2013. The relative frequency of occurrence demonstrated that the plants comprised the highest with 77%, followed by insects with 12.8%, mammals with 5.6%, birds with 0.5%, arthropoda with 0.5%, and others with 3.6%. Also, 52 scats among the collected scats that were measured for the ratio of food were subjected to dry weight, and plants were the highest with 91.2%, followed by mammals with 3.6%, insects with 1.0% and others with 4.2% in the order mentioned. Asiatic Black Bear`s feed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Asiatic Black Bear at Jirisan is omnivorous and that the vegetable food is the main feed instead of animal f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