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분변 DNA 메타-바코딩을 이용한 반달가슴곰의 먹이원 분석을 위한 사전 연구

        한상(Sang-Hyun Han),김태욱(Tae-wook Kim),김정진(Jeong-jin Kim),김낙원(Rak-Won Kim),김종백(Jong-baek Kim),김만우(Man-woo Kim),최주열(Ju-yeol Choi),박석호(Seok-ho Park),정동혁(Dong-hyuk Jeong),이사현(Sa-Hyun Lee),장정재(Jeong-Jae Jan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1

        지리산국립공원과 인근 지역의 야생에서 활동 중인 반달가슴곰의 먹이원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분변 DNA를 메타-바코딩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동물 먹이원 분석은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유전자 서열, 식물 DNA 분석은 엽록체 DNA의 tRNA e-f 영역과 핵 DNA의 ITS 영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검출된 동물성 먹이원은 무척동물 5개 OTU와 무당개구리, 노루, 고라니, 너구리, 오소리 등 5개의 척추동물 등 총 10개 OTU가 검출되었다. 식물성 먹이원은 212종의 OTU들이 검출되었다. 연도별로 검출된 최상위 10 OTU들은 분변이 수집된 시기에 따라 서로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봄철 분변 DNA에서는 초본류, 양치식물들이 많았고, 가을철 분변 DNA에서는 다래류, 뽕나무류, 참나무류가 많이 검출되었다. 연구결과, 반달가슴곰은 야생에서 매우 다양한 동물, 식물 먹이원을 이용하며, 이 중에서는 사람의 활동과 연관된 먹이원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확보된 먹이원 정보는 지리산국립공원과 인근 지역에서 야생 반달가슴곰의 섭식활동과 서식지 이용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이해하고, 개체군 보호와 서식지 관리를 위한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유용한 기초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preliminarily to identify the dietary resources using fecal DNA meta-barcoding in the Asiatic black bears inhabiting the Jirisan National Park and its surrounding areas. We used mtDNA COI gene sequences for detecting animals, and chloroplast DNA tRNA e-f and nuclear DNA ITS for pla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10 OTUs including 5 invertebrate OTUs and 5 vertebrate OTUs. A total of 212 plant OTUs were found, among those 81 OTUs in 2018, 57 OTUs in 2019, and 155 OTUs in 2020. The top 10 plant OTUs varied considerably in collection seasons. Grasses and ferns were abundantly found in spring, but wild kiwi fruits, mulberry, and acorns were mainly found in summer and autum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siatic black bears used various animals and plants for their food resources and some were related to human activities. Our findings suggested that it may be valuable basic inform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ecological features of dietary behavior and habitat use as well as for making up a conservation strategy for protecting this restoring population and planning habitat management at the Jirisan National Park and its surrounding areas, South Korea.

      • 지리산국립공원 인접지역에서곰 -인간 충돌 시공간적 분포 현황

        강병선 ( Byung Seon Kahng ),이사현 ( Sa Hyun Lee ),김정진 ( Jeong Jin,Kim ),손대삼 ( Dae Sam Son ),최주열 ( Joo Yeol Choi ),이배근 ( Bae Keu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ussuricus)은 환경부 멸종 위기야생생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범주I, 국제자연보호연맹(IUCN) 에서는 취약종(Vulnerable)으로 분류되어 있어 보전이 필요한 생물종이다. 우리나라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반달가슴곰 아종은 러시아 연해주, 중국 동북부, 한반도에 서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세기 초까지 상당수가 서식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일제 강점기 해수구제 명분을 통한 남획, 급속한 경제 발전에 의한 서식지 파괴, 잘못된 보신문화로 인한 밀렵 등으로 극소수만 존재하는 멸종위기에 처해져 있었다. 따라서 2002년 시험방사와 2004년 이후 본격적인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시행하여 현재 34개체가 지리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다. 반달가슴곰 복원은 생태계복원사업으로 1차적으로 2020년까지 50마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반달 가슴곰 복원중에는 올무에 의한 폐사, 농작물 피해 등 직접적인 충돌사례가 있었으며, 정규탐방로만 이용했을 경우 조우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비법정탐방로 등을 이용했을 경우의 조우가능성의 증가 등 곰과 인간의 충돌 사례가 예견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 서식지 관리중에 축적된 데이터, 현장경험 등을 토대로 곰-인간 충돌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 이래로 축적된 반달가슴곰 위치추적자료, 각종 피해현황 등을 통해 국립공원 경계 밖에서 이루어진 현황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국립공원 경계 내부에 비해 경계 외부는 생물종 등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부족하여 위협적인 요소가 상존하고 있어이에 대한 분석 및 자료 확보가 필요하다.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반달가슴곰 무석위치추적을 통해 얻은 위치좌표 24, 773개를 분석한 결과 반달가슴곰이 지리산국립공원 경계를 벗어난 경우는 3, 692개로서 전체의 14. 9%를 차지하였다. . 공원구역 경계로부터 1km 이내가 2, 770개(11. 2%)로 제일 많았으며, 1~2km 578개 (2. 3%), 2~3km는 219개(0. 8%), 3~4km는 79개(0. 3%), 4~5km는 24개(0. 1%) 순이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6년에 735개(29. 29%)로 제일 많이 벗어났으며, 2005년 19. 9%, 2008년 14. 6% 순으로 나타났다. 밀렵에 의한 사고는 총 16건(사망 4건, 부상 12건)이었는데, 이 중 13건(사망 4건, 부상 9건)은 공원구역 밖에서 발생한 것이었다. 따라서 밀렵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올무나 창애와 같은 밀렵도구 수거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설치 위치 또한 축적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밀렵도구가 수거된 1, 400여개, 530여지점을 분석한 결과 국립공원 경계를 벗어난 인접지역의 밤밭, 과수원, 마을 인근 야산에서 발견된 비율이 76. 6%였다. 반달곰에 의한 농작물 피해는 주로 한봉, 양봉, 농작물, 가축 등으로 2005년 이후 총 352건이 발생했는데 이 중198(56. 3%)건은 국립공원 밖에서 발생했다. 아울러 공원경계 1km 내에서 160건(80. 8%)이 발생하였다. 국립공원 경계 밖에서 이루어진 반달가슴곰 출현현황, 밀렵에 의한 사고 현황, 밀렵도구 수거 현황, 농작물 피해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국립공원 접경지역에서 생물종 보전을 위한 서식지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덕유산국립공원 광릉요강꽃 군락지의 관속식물상에 관한 연구

        서은경(Eun-Kyoung Seo),차회찬(Hoe-chan Cha),김영석(Young-Seok Kim),이사현(Sa-Hyun Lee),장정재(Jeong-Jae Jang) 국립공원연구원 2011 국립공원연구지 Vol.2 No.4

        광릉요강꽃 군락지 7개 지역을 대상으로 2008년 7월 26일부터 2011년 5월 27일까지 5차에 걸쳐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총 56과 87속 83종 1아종 22변종 7품종 등 총 113분류군으로 확인 되었다. 층위별우점종 분석결과, 교목층의 경우 고로쇠나무, 층층나무(1번 조사구), 산벚나무, 들메나무(2번 조사구), 고로쇠나무(3번·6번 조사구), 들메나무(4번·5번 조사구), 층층나무(7번 조사구)나타났다. 관목층의 우점종은 박쥐나무, 작살나무(1번 조사구), 들메나무, 함박꽃나무(2번 조사구), 들메나무(3번 조사구), 물참대(4번 조사구), 박쥐나무(5번 조사구), 고추나무(6번 조사구), 병꽃나무(7번 조사구)로 나타났다. 초본층의 우점종은 조릿대, 관중, 산수국(1번 조사구), 조릿대, 관중(2번 조사구), 관중(3번·5번 조사구), 조릿대(4번·6번·7번 조사구)로 나타났다. 7개 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종은 관중, 십자고사리, 퉁둥굴레, 백작약, 생강나무, 고로쇠나무, 다래, 박쥐나무, 들메나무로 9종임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II급 3종, II급 2종, I급 5종으로 나타났다. On the subject of seven areas of Cypripedium japonicum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to the Vascular plants in five times from the 26th of July, 2008 to 27th of May, 2011. Vascular plants of investigated regions were composed of 56 families, 87 genera, 83 species, 1 subspecies, 22 varieties, and 7 forms, totally 113 taxa. The dominant species of tree layer were Acer pictum subsp. monoi·Cornus controversa (plot 1), Prunus sargentii·Fraxinus mandshurica (plot 2), Acer pictum subsp. monoi (plot 3·6), Fraxinus mandshurica(plot 4·5), Cornus controversa(plot 7). The dominant species of shrub layer were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Callicarpa japonica(plot 1), Fraxinus mandshurica·Magnolia sieboldii(plot 2), Fraxinus mandshurica(plot 3), Deutzia glabrata(plot 4),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plot 5), Staphylea bumalda(plot 6), Weigela subsessilis(plot 7). The dominant species of herbage layer were Sasa borealis·Dryopteris crassirhizoma·Hydrangea macrophylla var. acuminata(plot 1), Sasa borealis·Dryopteris crassirhizoma(plot 2), Dryopteris crassirhizoma(plot3·5), Sasa borealis(plot 4·6·7). The common vegetation of seven area were nine species Dryopteris crassirhizoma, Polystichum tripteron, Polygonatum inflatum, Paeonia japonica, Lindera obtusiloba Blume var. obtusiloba, Acer pictum subsp. mono, Actinidia arguta,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Fraxinus mandshurica. Degree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were III degree 3 species, II degree 2 species, I degree 5 species.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반달가슴곰의 배설물을 통한 먹이원 분석

        정대호 ( Dae-ho Jung ),서문홍 ( Hong Seomun ),송동주 ( Dong-ju Song ),최은혜 ( Eun-hye Choi ),이사현 ( Sa-hyun Lee ),이용학 ( Yong-hak Lee ),조재운 ( Chea-un Cho ),송병철 ( Byeong-cheol Song ),양두하 ( Doo-ha Y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5

        지리산국립공원 반달가슴곰은 2004년부터 러시아 연해주, 북한, 중국 동북부 일대와 서식지외 보전기관인 서울대공원에서의 재도입을 통해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설물을 통해 식이물을 분석하여 반달가슴곰의 먹이습성, 지리산국립공원에서의 먹이 자원 환경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2005년부터 2013년 사이에 무선 위치 모니터링이 가능한 반달가슴곰 배설물 78점을 채집하여 먹이원을 분석한 결과 상대출현빈도는 식물이 7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곤충 12.8%, 포유류 5.6%, 기타 3.6%, 조류 0.5%, 절지동물문 0.5%의 순이었다. 또한 수집한 배설물 중 건중량을 측정한 52점 대상으로 먹이 비(ratio)를 분석한 결과 식물이 9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유류 3.6%, 곤충류1.0%, 기타 4.2%의 순이었다. 배설물을 통한 먹이원 분석 연구 결과 지리산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은 잡식성이며, 동물성 먹이보다 식물성 먹이가 주 먹이원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Since 2004, Asiatic Black Bear of the Jirisan National Park is subjected to the restoration project through the re-introduction by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in Russia, North Korea, Northeastern part of China and Seoul Grand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ets with scat to identify Asiatic Black Bear`s feeding habit and eating resources environment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78 scats of Asiatic Black Bears were observed during the field studies of radio telemetry-marked bears and by chance in the Jrisan National Park, from 2005 to 2013. The relative frequency of occurrence demonstrated that the plants comprised the highest with 77%, followed by insects with 12.8%, mammals with 5.6%, birds with 0.5%, arthropoda with 0.5%, and others with 3.6%. Also, 52 scats among the collected scats that were measured for the ratio of food were subjected to dry weight, and plants were the highest with 91.2%, followed by mammals with 3.6%, insects with 1.0% and others with 4.2% in the order mentioned. Asiatic Black Bear`s feed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Asiatic Black Bear at Jirisan is omnivorous and that the vegetable food is the main feed instead of animal feed.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