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면교배(二面交配)에 의한 수도량적(水稻量的) 형질(形質)의 유전분석(遺傳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조재성,Jo, Jae-seong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7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4 No.2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inheritance of the quantitative characters related with the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of rice, the $F_1$ seeds were obtained in 1974 from th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diallel crosses among five leading rice varieties : Nongbaek, Tongil, Palgueng, Mangyeong and Gimmaze. The $F_1$'s including reciprocals and parents were grown under the standard cultivation method at Chungnam Provincial Office of Rural Development in 1975. The arrangement of experimental plots was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3 replications and 12 charact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alytical procedure for genetic components was followed the Griffing's and Hayman's methods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all $F_1$'s of Tongil crosses, the longer duration to heading was due to dominant effect of Tongil and each $F_1$ showed high heterosis in delaying the heading time. It was assumed that non-allelic gene action besides dominant gene effect might be involed in days to heading character. However, in all $F_1$'s from the crosses among parents excluding Tongil the shorter duration was due to dominant gene action and the degree of dominance was partial, since dominance effects were not greater than the additive effect. The non-allelic gene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Considering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was regarded that there were two kinds of Significantly different genetic systems in the days to heading. 2. The rate of heterosi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parents used in the crosses. For instance, the $F_1$'s from Togil cross showed high rate of heterosis in longer culm. Compared to short culm, longer culm was due to recesive gene action and short culm was due to recesive gene action. The dominant gene effect was greater than the additive gene effect in culm length. The narrow sense of heretability was very low and the maternal effects as well as reciprocal effects were significantly recognized. 3. The lenght of the of the uppermost internode of each $F_1$ plant was a little lorger than these of respective parental means or same as those of parents having long internodes, indicating partial dominance in the direction of lengthening the uppermost internodes. The additive gene effects on the uppermost internode was greater than the dominance gene effect. The narrow as well as broad sense of heritabilities for the character of the uppermost internode were very high. There were significant maternal and reciprocal effect in the uppermost internode. 4. The gene action for the flag leaf angle was rather dominance in a way of getting narrower angle. However, in the Palgueng combinations, heterosis of $F_1$ was observed in both narrow and wide angles of the flag leaf. The dominant effects were greater than the additive effects on the flag leaf angle. There were observed also a great deal of non-allelic gene interacticn on the inheritance of the flag leaf angle. 5. Even though the dominant gene action on the length and width of flag leaf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length or width of the flag leaf, there were found various degrees of hetercsis depending upon the cross combination. Over-dominant gene effect were observed in the inheritance of length of the flag leaf, while additive gene effects was found in the inheritance of the width of the flag leaf. High degree of heretabilities, either narrow or broad sense, were found in both length and width of the flag leaf. No maternal and reciprocal effect were found in both characters. 6. When Tongil was used as one parent in the cross, the length of panicle of $F_1$'s was remarkedly longer than that of parents. In other cross comination, the length of panicle of $F_1$'s was close to the parental mean values. Rather greater dominent gene effect than additive gene effect was observed in the inheritance of panicle l 벼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관(關)한 주요양적형질(主要量的形質)의 유전(遺傳)에 관(關)한 정보(情報)를 얻고져 1974년(年) 농백(農白), 통일(統一), 팔굉(八紘), 만경(萬頃), 금남풍(金南風)을 교배친(交配親)으로 전조합(全組合) 이면교배(二面交配)를 실시(實施)하여 $F_1$종자(種子)를 얻었으며 1975년(年) 이들 $F_1$ 및 교배친(交配親) 품종(品種)을 재배(栽培)하여 여러 형질(形質)을 조사(調査)하고 그 결과(結果)를 Griffing 및 Hayman의 방법(方法)에 따라 유전분석(遺傳分析)을 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통일(統一)을 교배친(交配親)으로 한 조합(組合)에서는 출수기(出穗期)가 늦어지는 쪽이 우성(優性)이었고 출수기(出穗期)가 늦어지는 방향(方向)으로 각(各) 조합(組合)에서 모두 높은 Heterosis를 나타내었던 바 높은 우성효과(優性效果)와 비대립유전자간(非對立遺傳子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인정(認定)되었는데 통일(統一)을 제외(除外)한 품종(品種)을 양친(兩親)으로 한 조합(組合)에서는 출수기(出穗期)가 빠른 쪽이 우성(優性)이었고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가 우성효과(優性效果)에 비(比)해 현저(顯著)히 큰 부분우성(部分優性)을 나타내었으며 비대립유전자간(非對立遺傳子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통일(統一)을 교배친(交配親)으로 한 조합(組合)에서는 장간(長稈)쪽으로 높은 Heterosis율(率)을 나타내었으며 간장(稈長)이 긴 것이 짧은 것에 비(比)해 우성(優性)이었고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에 비(比)해 우성효과(優性效果)가 매우 커서 초월우성(超越優性)을 나타내었으며 협의(狹意)의 유전력(遺傳力)은 아주 낮았다. 그리고 교배조합(交配組合)에 따라 모본효과(母本效果)와 정역효과(正逆效果)가 현저(顯著)하였다. 3. 이삭의 추출도(抽出度)는 모든 조합(組合)에서 양친(兩親)의 평균(平均)보다 약간 길었으며 추출도(抽出度)가 길어지는 방향(方向)으로 부분우성(部分優性)을 나타내고 있었다. 우성효과(優性效果)에 비(比)해 상가적작용(相加的作用)이 현저(顯著)히 컷고 광의(廣意) 및 협의(狹意)의 유전력(遺傳力)도 모두 높았다. 추출도(抽出度)에서도 간장(稈長)에서와 같이 모본효과(母本效果)와 정역효과(正逆效果)가 유의(有意)하였다. 4. 지엽각(止葉角)은 대체로 예각(銳角)의 방향(方向)이 우성(優性)이었으나 팔굉(八紘)에서만은 교배조합(交配組合)에 따라 예각(銳角)과 둔각(鈍角)의 두 가지 상반(相反)되는 방향(方向)으로 Heterosis를 보였다. 우성효과(優性效果)가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보다 약간 높았는데 지엽각(止葉角)의 유전(遺傳)에는 교배조합(交配組合)에 따라 비대립유전자간(非對立遺傳子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상당히 크게 작용(作用)한 것으로 보여진다. 5. 지엽장(止葉長)과 지엽폭(止葉幅)에서는 모두 이들이 증가(增加)되는 방향(方向)이 우성(優性)이었으나 Heterosis의 정도(程度)는 교배조합(交配組合)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지엽장(止葉長)의 유전(遺傳)에서는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에 비(比)해 아주 높은 우성효과(優性效果)를 보여 초월우성(超越優性)이 인정(認定)되었던 반면(反面) 지엽폭(止葉幅)에서는 우성효과(優性效果)는 적었고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가 매우 크게 나타나 부분우성(部分優性)을 보였으며 광의(廣意) 및 협의(狹意)의 유전력(遺傳力)이 모두 높았다. 그리고 지

      • KCI등재

        이면교배분석(二面交配分析)에 의(依)한 단일하(短日下)에서의 수도출수기(手稻出穗期) 유전(遺傳)에 관(關)한 연구(硏究)

        조재성,이인섭,Jo, Jae-Seong,Lee, In-Seop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8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5 No.2

        단일조건하(短日條件下)에서의 수도출수기(水稻出穗期)의 유전(遺傳)에 관(關)한 정보(情報)를 얻고자 농백(農白)을 위시한 5개(個)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전조합(全組合) 이면교배(二面交配)를 실시(實施)하여 얻은 $F_2$를 자연일장(自然日長)과 단일하(短日下)에 각각 재배(栽培)한 후 출수(出穗)까지 일수(日數)를 조사(調査)하여 유전분석(遺傳分析)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연일장하(自然日長下)에서는 농백(農白)${\times}$팔굉(八紘) 및 농백(農白)${\times}$만경조합(萬頃組合)을 제외(除外)한 나머지 조합(組合)은 모두 양친(兩親)의 평균출수기(平均出穗期)보다 출수기(出穗期)가 지연(遲延)되었으나 단일하(短日下)에서는 만경(萬頃)${\times}$금남풍조합(金南風組合)의 출수기(出穗期)만 양친(兩親)의 평균출수기(平均出穗期)와 같았고 그 외조합(外組合)의 출수기(出穗期)는 모두 양친(兩親)의 평균출수기(平均出穗期)보다 현저(顯著)히 단축(短縮)되었다. 2. 자연일장하(自然日長下)에서는 비대립유전자(非對立遺傳子) 상호간(相互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으나 단일하(短日下)에서의 출수기유전(出穗期遺傳)에서는 비대립유전자(非對立遺傳子) 상호간(相互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며 상가적(相加的) 효과(效果)가 우성효과(優性效果)보다 큰 부분우성(部分優性)을 나타내었다. 3. 자연일장하(自然日長下)에서는 통일(統一), 금남풍(金南風)이 우성대(優性帶)에 농백(農白)이 열성대(劣性帶)에 위치(位置)하고 있었으나 단일조건하(短日條件下)에서는 농백(農白), 만경(萬頃)이 우성대(優性帶)에 통일(統一)은 열성대(劣性帶)에 위치(位置)하였다. 4. 자연일장하(自然日長下)에서는 우성효과(優性效果)가 상가적(相加的) 효과(效果)에 비(比)해 크게 나타났고 광의(廣義) 및 협의(俠義)의 유전력(遺傳力)은 아주 낮았으나 단일하(短日下)에서는 우성효과(優性效果)에 비9比)해 상가적(相加的) 효과(效果)가 현저(顯著)히 컸으며 광의(廣義) 및 협의(俠義)의 유전력(遺傳力)이 모두 높았다. To information on the inheriance of heading date of rice under the short-day condition, the $F_2$ seeds obtained from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the diallel crosses between five leading rice varieties: Nongbaek, Tongil, Palgueng, Mangyeong and Gimmaze were grown under the short-day condition and natural condition. The days to heading were investigated and analysed for genetic component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Under the natural condition, the durations to heading of all combinations excluding Nong-baek x Palgueng and Nongbaek x Mangyeong were longer than those of their parents. mean. Whereas, under the short-day condition, the duration to heading of Mangyeong x Gimmaze combination was equal to that of their parents mean, and those of all other combinations were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ose of their parents mean. 2. Under the natural condition, the non-allelic gene interactions were significant in days to heading, but under the short-day condition, the non-allelic gene interactions were not significant, and inheritance of days to heading revealed partial dominace in which additive effects were greater than dominant effects. 3. Tongil and Gimmaze were located on dominant zone under the natural day-length, and Nongbaek and Mangyeong were under the short-day condition. 4. Under the natual condition, dominant effects were greater than additive effects, and both heritabilities of the broad and the narrow senses were significantly low. Under the short-day condition, additive effe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dominant effects, and both heritabilities of the broad and the narrow senses were high.

      • KCI등재

        고려인삼의 조기배양에 관한 연구(II) -2, 4-D 및 Benzyladenine이 인삼 Callus의 유기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조재성,Jae-Seong Jo 한국작물학회 1979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24 No.4

        고려인삼의 배 및 식물조직편의 탈분화와 Callus의 유기 및 생장에 미치는 2,4-D 및 Bengyladenine의 효과를 구명하고 Callus와 유기 및 생장에 필요한 2,4-D의 최저 및 최적농도를 밝히고져 본연구를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4-D를 0.1mg/l 첨가한 배지상에서는 인나의 배나 식물편에서 Callus가 전혀 유기되지 않았으나 0.5mg/l 처리한 배지상에서는 전체배의 \frac{1}{3} 에서 Callus가 유기되었으며 식물편에서는 모두 약간의 Callus가 유기되었다. 2. Callus의 유기는 2,4-D를 5.0mg/l처리한 배지에서 가장 빨랐으나 Callus의 생장량은 1.0~2.0mg/l의 2,4-D를 첨가한 배지에서 현저히 않은 경향이었다. 3. 2,4-D를 0.5mg/l첨가한 배지에 이식한 배에서는 자엽이 Callus화되어 Callus가 어느 정도 성장한 후 상배축의 기부에서 5~6개이상의 구슬모양의 신아가 형성되었다. 4. Benzyladenine은 근, 경 및 엽의 생장을 억제하고 자엽의 신장비대를 조장하였으며 고농도의 BenByladenine은 Callus의 유기를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하였다. 5. 2,4-D 0.1mg/l 및 Benzyladenine 1.0mg/l를 조합처리한 배지상에 이식된 배의 상배축 기부에서도 5개이상의 구슬모양의 신아가 형성되었다. These studies were designed to define the effects of Benzyladenine and 2, 4-D on the induction and growth of callus tissue from embryos and plant segments of Korean ginseng. 0.5PPM was the minimum concentration of 2, 4-D for the induction of callus tissue from embryos and plant segments of ginseng. Best callus induction occurred at a 2, 4-D concentration of 5 mg/liter but growth of this callus was best at a 2, 4-D concentration of about 1.0 to 2.0 mg/liter and benzyladenine was ineffective as callus inducer. When the embryos were grown on the media containing 0.5 mg/liter of 2, 4-D, 5 to 6 axillary buds were formed at the basal part of epicotyle.

      • KCI등재

        개간지(開墾地) 피복작물(被覆作物)로서의 "칡"증산(增産)을 위(爲)한 기초연구(基礎硏究)

        조재성,김영래,김충수,Jo, Jae Seong,Kim, Young Rae,Kim, Choong Soo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5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2 No.1

        칡의 육종(育種)을 위(爲)한 기초청보(基礎情報)를 얻고져 충남(忠南)을 위주(爲主)로 4개지역(個地域)에서 42개(個)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을 달리하는 개체를 선발(選拔)하여 그 특성(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고 형질상호간(形質相互間)의 관계(關係)를 구(求)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칡의 잎은 형태별(形態別)로 편원형(扁圓形), 마름모형(形), 천열각형(淺裂刻形) 및 심열각형(深裂刻形)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엽면적(葉面積)은 30cm에서 220cm까지 분포(分布)되었고 분포(分布)의 형태(形態)로 보아 5계단(階段)로 분류(分類)된다. (2) 엽병장(葉柄長)은 5~45cm 사이에 분포(分布)되어 있었는데 잎의 열각(裂刻)과는 관계(關係)가 없었고 절간장(節間長)과는 오히려 -0.1759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엽면적(葉面積)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나타내었다. (3) 절간장(節間長)은 13cm에서 37cm사이의 분포(分布)를 보이고 있었던 바 절간장(節間長)은 잎의 열각(裂刻)이나 엽면적(葉面積)과는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보이지 않았으며 경태(莖太)와는 보통정도(普通程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4) 경태(莖太)는 3.0~3.5mm가 가장 높은 출현빈도(出顯頻度)를 보였는데 경태(莖太)는 잎의 열각(裂刻)과는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엽면적(葉面積)과는 5% 수준(水準)에서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보이고 있다. To obtain some basic informations on the breeding of Kudzu, 42 individuals were selected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shape of leaves was classified as 4 types and area of leaves into 5 steps. Internode length was distributed between 13 cm and 37 cm.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recognized between petiole and leaf area, between internode length and internode diameter and between internods diameter and leaf area.

      • KCI등재

        소규모 초등학교에서의 간학년 통합 단원 설계 및 운영

        조재성(Jo, Jae-seo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1

        본 연구는 소규모 초등학교에서의 통합교육과정의 실천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재로는 수학 교과의 도형 단원을 선택하였으며, 연구방법적 측면에서는 교사들의 숙의와 실행연구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였다. 연구의 결과, 숙의를 통해 국가 수준 성취기준을 재구성하였고 통합 주제로 학교 놀이터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고학년이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는 12차시의 수업을 계획, 운영하였다. 학생 평가 결과 학생 대부분이 통합 단원의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 흥미, 교사들의 참여와 역할, 그리고 통합의 수준에서의 쟁점이 드러났다. 앞으로 간학년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의 장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actice of an integrated curriculum in a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The study selected the Figures unit in math as research material and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teachers deliberations and actions as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s through deliberation, and the selection of school playgrounds were an integrated topic. A 12-lesson instructional plan was designed and managed to enable the joint participation of higher-grade students. The student evaluation results reveal that most students achieved the goals of an integrated unit, however, there were issues regarding the students interest in lessons, teachers participation and roles, and the level of integr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ded venue of discussions on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different grades in the future.

      • KCI등재

        깊은 충격(Deep Impact) :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에 드리운 그림자교육/사교육의 어두운 그림자들

        조재성(Jae-seong Jo),김영천(Young-chu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그림자교육이 공교육의 영토를 조금씩, 하지만 깊숙이 침범하고 있는 문화 현상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적 현상을 가장 잘 드러내는 용어로 교육과정의 재개념화를 촉진한 ‘빈사(moribund)’ 개념을 선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습 문화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분명 우수한 학습자이며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킬 정도로 높은 성취를 보여주고 있지만, 실제 그들은 학교와 교실이 아니라 그림자교육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에 초, 중, 고등학교 6개 학교에서 40명의 연구 참여자를 목적 표집하였고, 우리나라 학생들이 얼마나 학교 바깥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그것이 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사의 수업에 실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탐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습에서 교과서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점점 줄어들고 있었다. 학생들은 교과서를 대체하는 문제집과 학습 자료들을 충분히 활용하여 학습을 진행하고 있었다. 둘째, 교실 수업이 점점 학생들의 선택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많은 학급당 인원수, 선행학습의 여부, 학교 교사의 지위 저하 등의 요인에 따라 학교에서의 수업은 경쟁력을 잃고 있었다. 셋째, 교사의 교육적 책임감이 낮아지고 있었다. 교사는 학생들을 끝까지 가르치기보다는 그림자교육에 학습의 책임을 넘기고 다른 역할을 찾기 시작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에서 그림자교육이라는 새로운 연구 영역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학습 문화에 관한 사례를 통해 동북아시아,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학술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그림자교육에 관한 이해를 높여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discuss the cultural phenomenon of shadow education encroaching on the territory of public education gradually but going deeper and deeper in South Korea. For its discussion, the study chose the concept of “moribund,” which facilitated the reconceptualization of curriculums, as a term reflecting the educational phenomenon best and analyzed the study culture of students in the nation based on it. There is no doubt that South Korean students are superior learners and make so remarkable achievements that they draw global attention. The reality is, however, that they spend more time on shadow education than at schools or classrooms. Thirty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t six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how much South Korean students studied outside the school and what kind of effect it had on the school curriculums and teachers’ lessons.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textbooks was gradually dropping in the study of students, who achieved a satisfying level in their study by making full use of workbooks and learning materials replacing textbooks; secondly, fewer and fewer students selected classroom lessons. Lessons provided at school were losing their competitive edge due to the larg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prior learning, and lower status of school teachers; and lastly, teachers’ sense of educational responsibility is diminishing. They began to explore other roles, rather than teaching students to the end, passing the buck of student education to shadow education.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a new area of research called shadow education in the studies on thecurriculums in the nation. The cases of South Korea’s learning cultu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s and education culture of Korea, drawing a growing academic attention in Northeast Asia and across the world.

      • 교육 현장을 위한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 개발

        조재성(Jae-seong Jo)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여러 실행연구의 내용을 종합·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현장의 맥락과 상황에 알맞은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에 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서구를 중심으로 한 기존 실행연구 모델의 단계와 구체적인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행연구에서 공유되는 핵심적인 절차와 내용을 규명하고,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에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실제 수행된 실행연구 사례들을 토대로 핵심적인 4가지 요소에 따라 진행되는 실행연구의 절차를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적합한 실행연구 모델을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 확인과 구체화 단계에서는 실행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문제를 확인하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한다. 둘째, 실행 계획 단계에서는 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잠정적인 방안을 구상하고 준비한다. 셋째, 실행 단계에서는 준비한 해결 방안을 직접 실천하고 그 결과에 관한 증거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한다. 넷째, 성찰 단계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실행 과정과 결과를 심층적으로 검토하여 연구의 의미와 가치를 규명하고, 연구를 종결할지, 재실행할지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을 토대로 연구자의 역량과 현장의 맥락에 적합한 다채롭고 심도 있는 실행연구 사례들이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ut together and analyze the content of many action researches developed so far and propose a Korean-style action research model proper for the context and situation of the education field. The study analyzed the stages and specific content of the old action research models mainly from the West to generate findings before identifying the core procedure and content shared among action researches and extracting the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a Korean-style action research model. Finally, the study proposed an action research procedure according to four core elements based on real action research cases. The study developed an action research model fit for the education field of South Kore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ge of checking and specifying a problem checks out the most important initial problem in action research and sets the research direction; second, the stage of planning an implementation designs and prepares a tentative plan to solve the initial problem; third, the stage of implementation practices the prepared solution firsthand and collects evidence about its outcomes in various ways; and finally, the stage of reflection investigates the research significance and value by review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outcomes in-depth and determines whether to end or rerun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colorful and profound action research cases will be accumulated fit for the competence of a researcher and the context of the field based on the model proposed in the study.

      • 초등학교에서의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조재성(Jae-seong Jo)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실천가인 교사가 직접 연구를 설계하고 실행한 협력적 실행연구로서 그 목적은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 모델을 교실 현장에 적용하여 수업과 평가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 과학 교과를 선택하였고,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하여 A 초등학교의 상황에 적합한 전자 포트폴리오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후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를 협력적 실행연구 절차에 의하여 직접 실행하고 교육적 시사점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A 초등학교의 맥락과 학습 상황에 적절한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 모델 및 3단원 36차시에 이르는 수업과 개별적인 루브릭을 제작하였다. 둘째,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행한 결과 교사들은 수업 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다음 수업 시간에 다시 반영하는 순환적 교수·학습 과정을 통해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를 구현했다. 셋째, 연구자로서 교사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처음에는 실행연구에 대하여 상당한 불안감을 보였으나 실행연구의 여러 연구 과정에 몰입하게 되면서 보람과 희열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가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평가의 맥락화, 탈중심화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designed and conducted directly b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s to deduce implications for class and assessment aspects by applying an electronic portfolio assessment model in the classroom. Also,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on improving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consciousness by analyzing participating teachers’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designed an appropriate electronic portfolio assessment model for an elementary school’s context and learning environment.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ecuting an electronic portfolio assessment model, the teachers implemented electronic portfolio evaluation through a cyclical teaching·learning process of re-searching the instruction process and reflecting on the next class.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eachers’ experiences as a researcher, teachers initially had considerable anxieties and doubts about the action research. However, they became immersed in various research processes of action research. As a result, they could solve real problems around them and develop their ability and feel worthwhile and great joy. This change worked as the power that helped to search for another action research topic. The researcher intends to contribute to contextualizing and de-centering educational assessment that will be more accelerated in the future. Various assessment models that applied action research are expected to b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