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교육이론과 실천 : 초등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정서조절능력과 유머감각의 조절효과-

        김은진 ( Eun Jin Kim ),조옥귀 ( Ok Kwi Cho )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理論과 實踐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social adaptation where emotional regulation and a sense of humor would be a protective factor. Data was collected from 462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의 관계: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박미란(Park, Mi-Ran),조옥귀(Cho, Ok-Kwi) 한국현실치료상담학회 2019 현실치료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학생 289명(남학생 154명, 여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지각한 부모 회복탄력성, 행복, 자기수용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회복탄력성, 행복, 자기수용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회복탄력성은 자녀의 행복과 정적 상관이 있고, 자기수용과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낙관성, 원인분석력, 공감능력, 자기 효능감, 적극적 도전성도 행복 및 자기수용과 모두 정적 상관이 있었다. 행복은 자기수용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초등학생에게 지각된 부모의 회복탄력성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부모의 회복탄력성은 자녀의 행복을 높이기도 하고, 자녀의 자기수용을 높여 높아진 자기수용이 행복을 다시 높이게 되는 효과를 함께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objective of knowing if self-acceptance can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 s perception of parental resilience and happiness. A sample of 289 elementary school students (154 boys and 135 girls) in the 5th and 6th grade completed parental resilience scale, happiness scale and self-acceptance scale that they perceiv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resili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happiness and their self-acceptance, respectively. Second, self-accept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resilience perceived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hildren’s happiness. It suggests that parental resilience enhances children’s happiness and also their self-acceptance. In turn, the improved self-acceptance enhances their happines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성격강점과 학습몰입의 관계: 행복의 매개 효과

        김은희 ( Eun Hui Kim ),조옥귀 ( Ok Kwi Ch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학습몰입, 그리고 행복의 관계를 확인하고, 성격강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행복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00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 6학년 남녀 학생 342명(남학생 168명, 여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행복감, 학습몰입을 측정하였다. 성격강점, 행복감, 학습몰입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격강점과 학습몰입과의 관계에서 행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and Kenny(1986)의 3단계 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강점은 학습몰입 및 행복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 고 있어 성격강점이 높은 학생이 학습몰입과 행복이 높았다. 24개의 성격강점 모두에서 학습 몰입 및 행복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행복은 성격강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성격강점 전체와 학습몰입과의 관계에서 행복이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고, 24개의 성격강점 각각에서도 학습몰입과의 관계에서 행복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다. 즉, 성격강점이 학습몰입을 높이는 직접적인 효과와 행복을 높여 학습몰입을 높이는 간접적 효과를 함께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이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후천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성격강점을 강화시키고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learning flow, and happiness and to examine whether happiness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learning flow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342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0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aracter strength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and learning flow. Students with higher character strength also had a higher happiness and learning flow. Second, happiness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 strength and learning flow. That is, character strengths had both a direct effect of increasing learning flow which, in turn caused increased sense of happiness, leading to even an indirect effect of again increasing learning flow.

      •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몰입경험과 또래애착의 역할

        정혜원 ( Hye Weon Jung ),조옥귀 ( Ok Kwi Cho )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理論과 實踐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children`s family strength, flow experience and peer attachment on their happin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aking a correlation analysis of family strength, subjective happiness, flow experience and peer attachment, family streng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all the variables involving subjective happiness, flow experience and peer attachment.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mediating effects of flow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family strength exerted a firsthand influence on happiness, and flow experie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at the same tim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happiness, peer attach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 KCI등재

        부정적 피드백의 구체성 수준이 시간왜곡 및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

        심환욱(Shim, Hwan-Wook),조옥귀(Cho, Ok-Kwi)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58 No.2

        본 연구는 부정적 피드백의 구체성 수준이 시간왜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총 80명의 대학생을 모집 후, 피드백의 정서가(긍정, 부정)와 구체성 수준(추상, 구체)에 따라 4개의 집단에 무선할당 하였다. 피드백은 스트룹 과제를 수행하여 결과에 관계없이 각 집단 조건에 따라 설정한 피드백을 제시하였다(추상-긍정, 추상-부정, 구체-긍정, 구체-부정). 피드백 제시 전후의 시간왜곡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참가자들은 시간양분 분할과제를 수행하였으며, 피드백에 의한 정서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PANAS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실험 결과, 피드백의 정서가와 구체성 수준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정적 조건에서는 추상적 피드백이 구체적 피드백에 비해 더 긴 시간왜곡을 유발하였지만, 긍정적 조건에서는 추상적 피드백과 구체적 피드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정서변화는 정서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정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이 긍정적 피드백을 받은 집단에 비해 더 부정적 정서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특정 집단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여 적응적인 대인관계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negative feedback on time distortion by specific levels. Participants were 80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randomized for 4 feedback condition groups by valence (positive, negative) and specific level (abstract, concrete). We used the temporal bisection task to test a variation of pre-post time perception. Results indicated a group of negative feedback was increased negative emotion and was overestimated relative to a group of positive feedback. In addition to, a group of abstract-negative feedback perceived to last longer than other groups. In emotional change, a group of negative feedback was changed more negative, but not other group. Findings are demonstrated that time distortion was induced by specific levels of negative feedback. Characteristics of feedback play an important role in social context such as communication. therefore, they can consider interesting factors for application of time distortion studies in different situations.

      • KCI등재후보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조현병 회원의 심리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보미(Kim Bo Mi),조옥귀(Cho Ok Kwi)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조현병 회원이 가진 비합리적 사고를 합리적 사고로 전환시킴으로써 심리사회적 기능 즉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행복감 향상에 목적을 둔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조현병 회원의 심리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SM-5 기준에 따라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회원으로서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주간재활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26명이다. 이들은 각각 실험집단 13명, 비교집단 13명으로 무선배정 되었다. 실험집단은 주간재활 프로그램과 더불어 인지행동 프로그램에 추가적으로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주간재활 프로그램만 참여하였다. 인지행동 프로그램 실험기간은 2017년 5월 8일부터 동년 6월 7일까지이고, 주 3회기 50분씩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시작 전 후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19.0 사회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조현병 회원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켰다. 둘째, 인지행동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조현병 회원의 대인관계를 증진시켰다. 셋째, 인지행동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조현병 회원의 행복감 증진에는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조현병 회원의 심리사회적 기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기관에서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social function of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happiness by transforming the irrational thoughts of schizophrenia member s into rational thoughts. The study subjects were 26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horus disease according to the DSM-5 standard and participated in the rehabilitation program at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They were randomizationed to 13 experimental groups and 13 comparison group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in addition to the rehabilitation program, an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only in the rehabilita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period of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as from May 8, 2017 to June 7 of the same yea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19.0 Social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promoted self-efficacy of schizophrenia s. Second,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promote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schizophrenia s. Third,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as not effective in enhancing the happiness of schizophrenia s. Therefore, we think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program can be fully utilized to improve the psychosocial function of schizophrenia 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continuously studied and utilized in community organizations.

      • 중,고등학생의 인생목적, 자기효능감 및 내,외통제성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조미현 ( Mi Hyun Cho ),조옥귀 ( Ok Kwi Cho )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敎育理論과 實踐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factors could make a prediction of the career decision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 had to make a crucial decision about their future and in which route the factors affected it. It`s ultimately attempted to help provide better career guidance and assist adolescents to make a discreet decis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econdary school boy and girl students in Masa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n lifetime goal, the middle school students aimed highe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did. Among the boys,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d their sight set highe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did. But in the case of the girls, there was little gap betwee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s for the self-efficacy of the boys, the middle school students excelled the high school students, but among the girls, there was little gap betwee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internal/external control, the middle school students outperformed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regarding career decision level, the middle school students outdid the high school students, too. Second, in regard to inter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nd what affected career decision leve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al relationship among all the lifetime goal, self-efficacy,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every group.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under the effect of lifetime goal and self-efficacy, and the two variabl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at. Third, after a research model was selected,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how their lifetime goal, self-efficacy and internal/ external control affected their career decision level, and it`s found that lifetime goal exercise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that it had a significant firsthand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but internal/external control exert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at. In conclusion, lifetime goal has a significant firsthand and secondhand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as it contributed to improving career decision level directly or indirectly. Besides, self-effica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