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소진 소설에 나타난 도시 주변 공간의 로컬리티 -『장석조네 사람들』을 중심으로

        조명기 ( Myung Ki Ch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3

        『장석조네 사람들』은 바깥세상과의 대조를 통해 산동네 공간의 동질성을 확립·강화한다. 바깥세상은 복면의 공간·이원적 대립구조의 공간·거대담론의 공간으로 묘사된다. 복면은 역할의 수행 혹은 폐기의 상징인데, 여기서의 역할이란 이원적 대립구조의 내면화·주체화를 뜻한다. 극단적인 이원적 대립구조에 맞서 살아남기 위해 침묵·진술의 지연이라는 방법으로 미결성 공간을 창출해내려 한다. `지금 여기`의 산동네는 신자유주의·자본제적 세계화의 대타개념으로서의 로컬이 담지하고 있는 이상적이고 낭만적인 공간이 아니다. 공간적 인접성으로 인해 산동네는 서로에게 개방적인 공간, 소문의 공간이 된다. 소문이 산동네 안에서만 일회적으로 유포된다는 점 그리고 바깥세상의 거대담론은 소문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하위의 언어인 소문은 산동네를 일종의 공동체 공간으로 재편한다. 동시에, 소문에는 로컬 구성원의 오랜 무의식적 욕망과 이데올로기적 관습이 투사되어 있다. 『장석조네 사람들』은 `지긋지긋한 산동네`라는 로컬이 주인공인 소설이다. 이는 김소진의 소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 즉 아버지가 아니라 아버지를 테제와 안티테제 중 하나로 규정하기를 종용하고 구조화한 1980년대의 이원론적 대립구조 자체에 대한 성찰과 대안 모색을 공간의 차원에서 시도하고 있다는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Chang sok-cho ne people establishes and reinforces the identity of the mountain village area contrasting the outside world. The outside world is described as a mask space, a space of a dual opposition structure, and a space for grand narrative. A mask represents the performance of a role or its termination, where the role means internalization and subjectification of the dual opposition structure. To survive an extreme dual opposition structure, this novel tries to create an openness space using the method of delay in silence and statement. The mountain village in "now here" is not an ideal, romantic space which the local as a substitution concept for new liberalism and capitalized globalization contains. The mountain village, due to its space adjacency, becomes a space open to one another and a space for a rumor. Now that the rumor spreads within the mountain village one time and the grand narrative of the outside world is not included in what the rumor says, the rumor - a sub-language - serves to reorganize the mountain village into a kind of community space. Simultaneously, the rumor represents the unconscious long desire and ideologic custom of the local members. Chang sok-cho ne people is a novel featuring a local called a "tedious mountain village". This opens an opportunity for a new interpretation of Kim So-jin`s novel, that is, an attempt is being made in terms of a space to seek self-examination of and an alternative to the dual opposition structure itself in the 1980s in which father is urged to be specified and structuralized as one of the two - These and Antithese - instead of as fathe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21세기 현대 한국사회와 기독교적 결혼관: 이쉬야웨와 이샤야웨를 지향하는 궁극적 존재의 회복으로서 결혼

        조명기 ( Myung Ki Cho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08 복음과 상담 Vol.10 No.-

        21세기 현대 한국사회를 이끌어가는 이념들을 예를 들면, 이념적으로는 주된 이념 없이 혼란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는 좌파와 우파의 갈등을 통한 실용주의, 관습적으로는 유교의 잔재아래 형성된 남성중심주의적이며 집단주의적인 가치관, 경제적으로는 서구 자본주의에 기초한 경제 성장, 문화적으로는 서구문화에 대한 동경으로 만들어진 과정적인 한류문화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치들에 기초하여 한국사회의 교육, 직업, 삶, 가치관, 세계관들이 만들어졌으며, 갑작스럽게 등장한 규모의 경제로 인한 경제제일주의 가치들이 우리의 삶의 전부를 지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 개인주의와 배금주의가 만나면서 이기적 사유와 집단적 이기주의가 사회 보편화된 현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혼란 속에서 결혼의 가치 역시 경제적 가치에 의해 평가되며 그 효용성과 실효성에 의구심을 던지며 결혼이 가진 거룩함과 인격과 신비로움을 파괴해 나아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결혼은 한 사회를 구성하고, 계승하는 사회적인 역할 외에도 개인적으로는 의존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참모습을 재발견하고 자신의 자아의 정체성을 찾고 인격을 완성시키며 이렇게 완성된 인격적인 가치아래 본질적인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근본적인 가치를 제공해주는 자기완성의 가장 중요한 삶의 과정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결혼의 가치는 타종교에서 말하고 있듯이 윤리적이며 도덕적인 결혼의 가치가 아니다. 우리가 사회가 윤리와 도덕의 부재로 이렇게 아파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 본다. 오히려 근본적인 삶의 가치와 방향의 부재, 그리고 그러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대안의 부재라고 볼 수 있다. 결혼은 자본주의 사회에 만들어지고 있는 또 다른 화려한 삶의 변화가 아니다. 두 사람이 만나서 경제적이며 문화적으로 이루어가는 현실도 아니다. 결혼은 이 사회를 지탱해주는 힘이며 사회에 생명력을 불어 넣는 강력한 심장이다. 그러기 때문에 기독교적인 가치관아래 성서적인 분석을 거쳐 제공된 참된 결혼관은 분명 이 사회의 근본적인 아픔들을 치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고의 가치는 아마도 이러한 사회적 현상들 속에 성서적인 가치관에 입각한 결혼의 의미와 가치를 재고해 줌으로서 사회를 회복하고 치유해 나아가는데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회복과 존재의 완성이라는 측면에서 참된 결혼의 모습을 제시함으로 통해서, 우리 사회가 가진 왜곡된 결혼의 모습들, 권위주의적이며, 공동체적이고, 남성중심적이고, 여성억압적인 현상들을 치유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orea culture has been based on Confucianism, Western Capitalism, Radical Economic Growth, Mammonism and Individualism is built on its ideology, ect. Especially, confucianism is an ancient Chinese way of thought that has spread through much of East Asia. This is often described as a religion in Korea. But most of korea has not a religion of Confucianism. In Korea perhaps Confucianism is a philosophy, social habits, invisible customs controlled most Korean, and perspectives. So the accurate definition of Confucianism is that it is a detailed code of interpersonal behavior. In Korean cultures where it is embraced, Confucianism is a practical political and social doctrine. During centuries in Korea, Confucianism has meant a system of education, ceremony and civil administration as first expressed by the old of his villages and his parents. Confucianism was accepted so eagerly and in so strict a form. Also, Korea Marriage Culture is built on its basis. so it has a structure like a male-centrism, a female suppression, and so on. Its teachings have, over time, reign all korean and his habit. In particular, kinship organization, ideology, ritual and associated behaviour have represented crucial, perhaps dominant, themes in Korean culture have been consist of Korean Marriage. Fundamental ideas about morality and the proper ordering of human relationship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onfucian concept of filial duty. This filial duty was extended to the father of his family, this structure was magnified to National structure that king is the father of nation, and Filial Duty in family is a Loyalty for a nation. This pervasive, highly elaborated system of lineages and branch lineages provided the basic structural principle on which most groups in traditional society were organized. Loyalties and obligations is centered in man, husband have generally taken precedence over other claims, commitments, and woman rights.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profound changes have been taking place in the marriage system, particularly in the leadership of family. So the divorce almost has been led by man. But,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ity, Marriage is instituted by God. Divorce is not part of God’s design, and is never entered into lightly. All divorces are caused by sin. The act of divorce is not a sin. But divorce with the intention to remarry a specific person is adultery. Christianity says that, the true marriage the normal ishi(□□□) and the the normal ishah(□□□) is to become a ishi YHWH(□□□□ □□□) and ishah YHWH(□□□□ □□□) in the bible. It is that the marriage is to recover Being of God’s Image and to complete the personality of the depending being. Marriage never be touched by neoconfucianism, mammonism, the pragmatic options or the easy routes. Marriage must always be led by the light of God’s command. The teaching of Scripture (OT and NT) condemns a broken marriage relationship as sinful and against God’s perfect will. Our society needs a new an alternative plan, biblical idea, values on christianity to heal the distorted marriage and the view point of marriage.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경계 재인식을 통한 탈경계의 가능성 -한창훈의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를 중심으로-

        조명기 ( Myung Ki Ch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6

        이 글은 한창훈의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를 텍스트로 삼아, 섬을 둘러싼 공간 분할과 공간 해석에 대한 헤게모니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내부자의 시선이 외부(육지)의 규정력과 갈등하고 병합함으로써 새로운 로컬리티가 다양하게 생성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텍스트는 섬을 중요한 공간적 배경으로 삼은 대부분의 한국현대소설들처럼 섬과 육지의 공간 분할을 일련의 이원적 대립으로 반복한다. 섬과 육지의 공간 대립은 고정적·절대적·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며 수정 가능한 것으로 변모한다. 이변화는 기존의 공간 대립 양상을 유발했던 공간적 헤게모니 자체를 비판하고 극복할수 있는 토대가 된다. 육지로의 탈출은 위계의 확인이 아니라 위계의 허상과 육지의 헤게모니적 전략의 확인으로 이어진다. 각성은 섬의 타자성에 대한 재성찰로 이끈다. 육지·도시의 헤게모니 전략에 맞서는 방식은, 절대적 인식으로 이데올로기화된 육지의 공간 인식을 상대적 인식으로 환원하는 것, 경계 너머의 공간에 대한 상상의 진정한 주체인 섬으로 회귀하는 것, 상상력의 개방성과 확장성이 내재되어 있는 경계·바다에 다시 주목하는 것이다. 결국,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는 섬을 육지가 규정하고 부여한 공간성과 내재적인 개방성·확장성이 갈등하고 관계맺는 장(場)으로 설명하면서, ``너머``에 대한 무한한 상상력의 역능을 지닌 실천적 주체로 환원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spects of a new locality variously created as an insider`s sight goes through a conflict and merges with the regulation force of the outside (land), by analyzing hegemonic aspects about spatial division and interpretation regarding an island, based on the text of Han Chang-woon`s 『Island, I Live at the End of the World』. The openness of the ocean and boundary is manifested into various aspects by the orientation of main agents. This text describes two different cases, and one is a way of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existing spatial recognition while sustaining it, and the other is a way of conquering the existing dualistic spatial confrontation and explaining the ocean and boundary as space of nirvana, space of conquest and Buddha-hood, and space of identification. The virtue possessed by the location of the latter one where Bachelard-like imagination permeates is to provide another Chronotope of the threshold that seeks a possibility of trans-boundary through boundaries. This text not only explains an island as ambivalent space between openness and isolation, but focuses on exploring how the space layout authorities define the openness of boundary as closed. Besides, this text attempts to create characteristics of ``beyond`` through constant new understandings about the boundary. At last, 『Island, I Live at the End of the World』 explains an island as a place where spatiality, inherent openness and extensibility, defined and granted by land, go through conflicts and build relations with each other, while reducing to a practical main agent with a competence of infinite imagination about ``beyond``.

      • KCI등재

        일제강점기 동반자작가의 지식인소설 연구

        조명기(Cho Myung-ki) 한국어문학회 2008 語文學 Vol.0 No.99

        This paper is aim to analysis the Lee hyo-suk’s, You jin-o’s, Chae man-slk’s, and Um heung-sub’s intellectual fictions. This paper compares an aspect of the intellectual’s belif and the novelist’s strategy for the justification of this change in a novelist’s fictions with another’s. The contents of this dissertation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The first, 4 novelists recognize the outside world as the world divided duality. You and Chae explain the opposition as the specialization of the upper-caste and the lower-caste, Um and Lee explain as the specialization of the intellectual’s Utopia and the outside world. The second, You, Cha’s goal is the rise in the social position, Un’s is the construction of the Utopia. Lee’s changes from the rise in the social position to the construction of the Utopia. The third, You understands the intellectual as the floating being, and the intellectual is the subject for this goal. Um express the intellectual as the absolute being acting practically for this goal. Chae understands the intellectual as the floating being, but the intellectuals in his fictions are the compensation in substitutes of the observation. The same thing about Lee. The forth, You, Chae indicate ‘the concealment-exposure strategy’ and the dismantling of the strategy for the achievement of his individual; desires. Um run out of the construction of the Utopia distorted and limited. Lee copy ‘the concealment-exposure strategy’ and dismantle the strategy, accomplish his desires. After, he make the escapism space for the Utopia. The fifth, You, Um provide the knowledge as the intellectual’s critical will. Um put trust the knowledge and serve for this. Chae recognize the knowledge as the instrument for his desires. Lee understand the knowledge as the critical will, abolish this, After, he attendance for the knowledge.

      • KCI등재후보

        에세네 종파 운동의 역사성에 대한 탐구

        조명기(Myung ki Cho)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7 선교와 신학 Vol.19 No.-

        This paper is the study of the origin of the essenes’ name, the developing of the sect, and the detachment from his companion of Essenes. Most of scholars, for instance Geza Vermes and James C. Vanderkam et al., believe that Essenes, members of a small Jewish religious order, originating from Hasidim movements in the 2nd century BCE. The point at hot issue of the etymology of essene is following. This polemic of the etymology hypothesis(proposal) about the Essene is divided into four post; (1) The etymology is (SH, “doers (of the law)”; therefore it follows that it cannot also be XShN(the proposal of Stephen Goranson). Besides, A majority of scholars have not been convinced of the XShN proposal. (2) This terminology are derived from the Hebrew verb ‘asah(do), a well-attested term in the scrolls from Qumran(Brownlee). (3) The etymology of esseue come from the term ‘osey, perhaps this is more likely for the forms Ossaioi and Ossenoi attested in Epiphanius than it is for those forms found in Josephus and Philo. (4) The last one is ‘asah with essene. But this etymology has few possibility. And The next is for the history of the Essenes. The chief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the Essenes are Pliny the Elder, Philo’s Quod omnius probus liber, Josephus’ Jewish War and Antiquities of the Jews, and most of all, the Dead Sea Scrolls is the first material. The following is the short history of Essenes from the second materials of greek literatures. The sect consisted of adult males, females, and children and celibacy was encouraged. The Essenes lived as a highly organized community that held possessions in common. Ceremonial purity entailed scrupulous cleanliness, the wearing of only white garments, and the most strict observance of the Sabbath. The Essenes believed i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eir practice, common among many Jewish groups, of purification through ritual immersion may have been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rite of baptism in the early Christian church. They condemned slavery and prohibited trading because it led to covetousness and cheating; they avoided luxury, abhorred untruthfulness and forbade oaths, with the one exception of the oath a new member took after two years of probation. In this oath, the member pledged piety toward God, justice to men, honesty with fellow Essenes, preservation of the sect’s secrets, and proper transmission of its teachings. The Essenes subsisted by pastoral and agricultural activities and handicrafts; they avoided the manufacture of weapons. There is evidence of Persian and Hellenistic influences in the sect’s thought. The Essenes’ belief in several Messiahs is thought by some to have been a major influence in the development of Christianity. The sect ceased to exist sometime in the 2nd century CE.

      • KCI등재

        야웨의 창조적 행위 안에 나타난 구약의 이상적인 가정 -첼렘 엘로힘(□□□ □□□□)과 암 야웨(□□ □□□□)의 창조적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조명기 ( Myung Ki Cho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06 복음과 상담 Vol.7 No.-

        본 논고가 가지고 탐구하려는 목표이자 방향은 구약 전편에 흐르는 두개의 중요한 주제인 첼렘 엘로힘(□□□ □□□□, 야웨의 형상)과 암 야웨(□□ □□□, 야웨의 가정)의 창조적 역동성 속에 나타난 이상적인 가정의 모습을 분석하여 오늘날 가정의 위기의 시대에 필요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독립적이며 통합적인 이러한 존재가 가정이라는 신적인 구조 속에서 어떻게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첼렘 엘로힘으로서의 독립덕인 존재가 암 야웨 속에서의 통합적인 존재로 전인격적으로 성장해 갈 수 있는가 하는 부분이다. 일반적인 가정의 의미나 기능, 혹은 수평적인 자료 나열을 통한 보편성을 들추어내기 보다는 구약이 가지고 있는 야웨 하나님과의 수직적인 보편성 속에서 가정의 의미를 존재론적으로 밝혀내어, 성서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가정의 의미를 신앙의 인격적인 측면에서 깊이 다룸으로써 21세기가 원하는 이상적인 가정의 모습을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한 마디로 야웨 하나님께 대한 신앙 위에서 세워지는 인격적인 존재의 모습과 삶의 자리가 본 논고가 풀어가고자 하는 이상적인 가정의 모습이다. 오늘날 우리의 가정 일그러지고 왜곡된 모든 모습들은 하나님의 존재가 배제된 채 이루어지는 가정의 모습에 그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논지를 구체적으로 역대상 4:9-10에서 그려지는 야베스라는 구약의 가장 이상적인 삶을 산 인물의 삶의 자리를 통해 논증하고자 한다. 야베스는 첼렘 엘로힘으로서 충분한 인격을 가진 존재였다. 그러나 그는 지극히 보편적인 가치를 가지지 못하고 출생하였으며 연약한 인간의 모습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는 구약이 말하는 이상적인 암 야웨의 모습을 이루었고 보여주고 있는 인물이 되었다. 결과론적으로 자신을 극복하고 온전한 야웨 하나님의 가정을 이룬 야베스를 통해 아직 과정론적으로 진행 중이며, 결과 역시 아직 유동적인 우리의 삶의 자리를 보완하고 회복시켜 우리가 추구해야 될 가장 이상적인 가정의 모습인 암 야웨로서의 모습을 찾아내어 보려고 한다. 왜냐하면 첼렘 엘로힘의 창조성위에 세워진 인격적인 자아는 암 야웨를 통해서 오나성되어 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구약의 가정의 자리이며 의미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온전하고 인격적인 첼렘 엘로힘이라 할지라도 암 야웨를 통해서 세워지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 없는 존재가 되고 말 것이다. 첼렘 엘로힘으로 완성되는 인간의 참된 존재의 의미는 야웨 앞에서 만들어진 온전한 자아를 기초로 가정이라는 신적인 기구를 통해서 연합된 인격을 만들어가며, 자연, 생명세계 속에서 자신의 존재의 가치가 의미를 조화와 발전이라는 구도속에서 밝히 드러내 가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구약이 말하는 참된 첼림 엘로힘의 존재로서의 가정의 의미와 가치가 존재한다. 구약이 말하는 이상적인 가정의 자리를 첼렘 엘로힘과 암 야웨의 창조적인 연합의 자리에서 분석하여 우리가 가진 현존이 필요로 하는 과정적 필요성을 도출시켜 우리의 실존을 첼렘 엘로힘으로 완성시키고, 21세기 가정 해체의 현장에 필요로 하는 가정의 모습인 암 야웨로서의 이상적인 가정의 모습을 제시하여 가정의 회복, 치유, 완성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This paper is the study of analysis and making an alternative idea for the ideal family that flows in the creative dynamics of correlation between □□□□□□□□ and □□□□ throughout the Old Testament, that is the very important two themes. The perspective of this paper spreads narrowly to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 as the independent being and □□□□ as the integrate being in the family of a divine system. This study sets the background of this paper in the vertical relationship with YHWH, and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along the text criticism and structural analysis of texts, Chr. 4:9-10. The Ideal family of old testament is to attend on YHWH, to set up the personality completely in his faith in YHWH. Therefore, the family goes through this process controls the society and the place of life all human belong after being built up on the faith in YHWH. The modern crisis of all kinds of families occurs at a vision without YHWH, a family without YHWH, and seeking for happiness except YHWH. The story of Jabez as described in Chr. 4:9-10 is the proof text of this paper. Jabez has a complete personality as □□□□□□□□ but he has not a birth in normal situation, a healthy body, and an universal value all peoples have. He is a just man of the weakness. But He completes the ideal family as □□□□ the family of YHWH. The Jabez`s family complements our family floats on the water of world and recovers a destructed family because our family and life is in processing to complete the ideal family. The ideal family in old testament is setting up o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 completing in □□□□ a family of YHWH. □□□□□□□□ in □□□□ must be a true being of Human and his society, a real family of YHWH, in balance between nature and society with the family of a divine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