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조에 나타난 남성의 이상적 삶과 그 변주의 양상

        정인숙(Jeong, In-Sook) 한국시조학회 2015 시조학논총 Vol.42 No.-

        본고는 남성의 이상적인 삶을 표방한 두 편의 사설시조가 후대에 지속적으로 향유되면서 다양하게 변주된 양상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노랫말의 변주가 수용자의 다양한 반응과 요구에 기인한 것이라 할 때, 그 변주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후대에 이상적 삶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욕망과 현실 사이의 갈등 속에서 삶의 지향점이 어떻게 설정되는지 탐색할 수 있으리라 보았다. 우선 논의의 중심이 되는 두 작품은 <남아의 소년행락?>이라는 작자미상의 사설시조(<1>)와 <대장부 공성신퇴후하야?>라는 이정보의 사설시조(<2>)이다. 전자가 남성들이 욕망하는 이상적 삶을 일대기 형식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라면, 후자는 치사 이후에 물질적 풍요를 근거로 한 여유롭고 풍류적인 삶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두 작품이 후대에 변주된 양상을 보면 첫 번째로 호기롭고 유락적인 삶이 강조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는 <1>과 <2>의 노랫말을 적절히 결합하여 유락적 성격을 강조한 작품(<3>)과, <2>의 시상을 그대로 수용하면서도 ‘공성신퇴’라는 어휘를 배제한 채 유락적 삶의 모습을 강조하면서 ‘나’라는 주체를 부각시킨 작품(<4>)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부귀공명의 불가능성을 인식하고 대안적 삶에 대한 소신을 드러낸 경우이다. 이는 작품 <5>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외부 세계와의 부조화 속에 욕망과 현실 사이의 갈등이 내재되어 있는 점이 <3>, <4>와 다르다. 세 번째는 세속적 출세의 욕망에서 벗어나 행복한 노년에 대한 관심을 표출한 경우이다. 여기에는 부귀공명의 욕망을 초탈하고 자발적으로 자연에 돌아와 노년을 보내면서 깊은 내면의 성찰을 보여준 작품(<9>)이 있는가 하면, 부귀공명의 욕망에서는 벗어난 듯하면서도 여전히 여색이나 장수의 욕망을 강하게 부각시킨 작품(<10>)도 확인된다. 이러한 노랫말의 변주 양상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면, 첫 번째 변주 양상은 우선 유흥공간의 간섭의 결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즉 유흥공간의 분위기에 요구되는 노랫말이 선택 첨가되면서 자연스럽게 호기롭고 유락적인 삶이 강조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아울러 유락적 분위기의 고조와 더불어 풍요로운 물질적 조건이 갖춰진 상황에서 유흥을 만끽하는 자신을 부각시킴으로써 호기로운 삶의 주인공을 ‘남아(대장부)’에서 ‘나’로 구체화하는 변화를 보이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두 번째 변주 양상은 처음부터 부귀공명의 실현불가능성을 상정하고 있는 점에서 외부적 성공이 쉽지 않은 계층적 한계를 엿보게 한다. 그런 점에서 두 번째 경우는 그러한 계층적 한계에 공감하는 수용자가 적극 반응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한편 세 번째 변주 양상은 무엇보다 노년의 삶의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출사의 경험이 있든 그렇지 않든 노년의 행복한 일상을 구체적으로 담아낸 점은, 늙어서의 편안한 삶 혹은 쾌락적 삶을 갈구하는 통속적 욕망을 스스럼없이 표출한 것으로 추상적 이념이 아닌 구체적 삶의 일상이 중요하게 인식되는 면모를 보여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n"s ideal lives and the aspects of variation in Sijo. In this paper the focus is two texts of Saseol-Sijo. One is the Saseol-Sijo without any known author, the other is the Saseol-Sijo written by Lee Jeong-bo. These works were enjoyed by many people to posterity, and they were played a variation. The first aspect of variation is the emphasis on men"s magnanimous and amusable life. This aspect is thought to be a result of the interference of entertainment space. The second aspect of variation is to show the awareness of impossibility of riches and honors and belief in his alternative life. We can see the conflict between reality and desire. This case is thought to be enjoyed by the person who can sympathize with that situation. The third aspect of variation is to show the transcendence of desire for worldly success and the interest in a happy old age. This case is worthy of notice because it shows the interest in old age. This case expresses the desire for comfortable life or pleasure-seeking life, and it is thought to be more concerned with a concrete everyday life than an abstract idea. Sometimes we can see the works that show reflection of his(her) life and mature attitude to life. More studies on these works should be done.

      • KCI등재

        <나부가>에 나타난 게으른 여성 형상과 그 의미

        정인숙 ( In Sook Jeo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6

        <나부가>는 ‘나부’ 즉 게으른(나태한) 여성을 소재로 한 국문가사이다. 그 동안 <복선화음가>나 <용부가>의 여성 형상에 비해 <나부가>에서 나부로 지목된 ‘금세부인’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는데, 특히 <나부가>의 세 종류 이본 가운데 이정환본은 금세부인을 포함한 인물들의 개성적인 목소리가 삽입되어 있고 문제적 여성이 고정된 피사체가 아닌 생동감 있는 인물로 그려져 있어 매우 주목할 만하다. 이는 금세부인을 그저 게으르고 철없는 며느리 혹은 패악한 아내로만 치부해 버릴 수 없는 해석의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표면적으로 묘사된 금세부인은 온갖 부정적 행태를 보이는 문제적 인물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금세부인이 시집오기 전의 시점에 맞춰 보면 그녀는 분명 ‘일등 신부감’이었다. 인물도 출중하고 부모 슬하 곱게 자란 넉넉한 집안의 처자였다. 결혼 초에는 몸단장에 신경 쓰고 멋스런 옷차림을 즐겼던 여성이기도 했다. 그런데 며느리로서 봉제사, 접빈객의 의무는 물론 농사조차 힘써야 하는 상황에 접하게 되면서 금세부인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게다가 육아노동이 가중되면서 피로에 시달리게 되고 주변을 정돈할 만한 겨를도 없게 된다. 금세부인은 독백을 통해 과도한 노동에 대한 이유 있는 항변을 토로하고, 게으르다고 꾸짖는 남편에게 삶의 여유가 전혀 없는 고단한 생활의 실상을 적극적으로 알리기도 한다. 이를 통해 볼 때 금세부인은 전통 규범에 무조건 순응하지는 않는 개성적 인간형으로 인식된다. 한편 금세부인의 게으름은 과도한 배려로 게으름을 조장한 시부모에게도 책임이 있는 듯 보인다. 결혼 초 상할세라 병들세라 유난스럽게 배려하면서도 시부모는 궁극적으로 며느리가 본분에 충실하기를 기대했고 여기에 미치지 못하자 갈등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결국 <나부가>는 전통 규범에 포획되지 않는 며느리 세대와 여전히 전통 사회의 테두리 안에서 규범을 요구하는 시부모 세대와의 갈등을 노출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작품의 서술자는 철저히 시부모 세대의 입장에 서 있으나 의도와는 달리 인물들의 발언을 통해 작품은 며느리 세대의 입장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igure and meaning of lazy woman character in <Nabuga>. <Nabuga> is a Gasa written in Hangul, Korean alphabet, this text tells stories about lazy woman. There are three different versions of <Nabuga>, the version that Lee jeong-hwan had is worthy of notice among them. This version has indivisual remarks of characters. The main character of this text ``Kumsebuin`` must be a problematic figure, but before her marriage she was a prospective bride. She was a good-looking woman and grew up sheltered, and she was thought to be born with a silver spoon in her mouth. After her marriage she had to do many kinds of housework, so she felt tired and worn. Besides she was busy raising a baby, she had no time to dress up or make up or clean her room. She protested that she was so tired and busy through her remarks. The character of ``Kumsebuin`` embodies personality, she did not become prize to traditional norms. Her parents-in-law were responsible for her laziness. Early stage of her marriage they showed too much consideration to her, but ultimately they wanted her to be daughter-in-law who devoted herself to her duty. <Nabuga> shows the conflicts between generation of parents-in-law and generation of daughter-in-law.

      • Laser Scanning Unit용 FΘ 렌즈 개발

        정인숙,반민성,손광은,이병백,Jeong, In-Sook,Ban, Min-Sung,Son, Kwang-Eun,Lee, Byoung-Bag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1 No.1

        $F{\theta}$ 렌즈는 레이저 프린터의 LSU(Laser Scanning Unit)의 중요 부품으로서 $F{\theta}$ 렌즈를 통과한 주사빔의 상 위치는 주사빔의 렌즈 입사각에 비례한다. 본 논문에서는 당사에서 개발한 A4 사이즈용 $F{\theta}$ 렌즈를 설계, 제작하고 보정하는 과정을 소개하였다. 렌즈 개발에서 광학설계는 Zemax를 사용하였고 주사빔의 주주사방향 및 부주사방향의 왜곡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렌즈면은 특수한 토릭면으로 하였다. 렌즈 금형은 1nm 의 분해능을 갖는 초정밀 가공기로 제작하였다. 렌즈 사출 후 성능을 평가하고 측정값과 설계값의 차이를 바탕으로 설계보정식을 유도하여 렌즈 금형을 수정하였다. 금형 수정 후 사출렌즈의 재측정 결과 초기 설계값에 가까운 성능을 확인하였다. Ftheta Lens, whose image height is proportional to its field view angl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n Laser Scanning Unit(LSU). In this paper $f{\theta}$ lens design, mold production and modification method of lens design and mold are introduced. Lens design was carried out with Zemax and Special Toric surfaces were applied for lens surfaces to minimize distortion both in main and sub scanning directions. And a high precision machine with 1nm resolution was used to fabricate lens mold cores. After injection the lens was evaluated and the difference from design was examined. This difference was compensated by modifying lens design and new lens mold cores were made according to modified lens design to obtain the quality of original design.

      • KCI등재

        특집 : 조선후기 시가를 통해 본 서울의 장소성과 그 의미

        정인숙 ( In Sook Jeong ) 한국시가학회 2013 韓國 詩歌硏究 Vol.34 No.-

        본고는 조선후기 시가를 대상으로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시적 화자가 서울 안에서 바라보는가 서울 밖에서 바라보는가 또는 서울인으로 바라보는가 외부인으로 바라보는가 하는, 서울을 바라보는 시적 화자의 입장과 거리를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서울 안에서 바라본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서울은 왕도로서의 상징적 공간으로 의미화 된다. 이는 조선왕조가 추구하는 유교적 이념과 가치를 표방하는 것이기도 하다. 왕도로서의 위세와 자긍심을 드러내면서 이상적이고 조화로운 공간으로 재현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서울은 생활 풍속의 역동적 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도시적 활력이나 시정풍경의 생기발랄한 모습과 더불어 세시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풍속도 포착된다. 특히 이세보의 시조 가운데 서울의 세시풍속을 소재로 한 작품을 통해 생활 풍속 공간으로서의 서울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울은 관계 맺고 싶은 공간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향촌 사족인 강복중은 서울의 권력가와 교유하고자 했고 그런 소망을 <경증월사대감가>를 통해 과감히 드러내었다. 여기에는 권력 중심부를 향한 소망과 더불어 소망의 불투명한 실현 가능성으로 인한 불안감과 초조함도 함께 포착된다. 다음으로 서울 밖에서 바라본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서울은 유배객에게 있어 반드시 복귀해야 할 공간으로 의미화 된다. 이세보의 유배시조에는 서울로의 복귀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소망이 표출되어 있다. 그런가 하면 서울은 다가갈 수 없는 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서울은 이별한 님이 머물러 있는 사랑과 그리움의 원천지이지만 시적 화자는 물리적·심리적으로 단절되어 있는 상황이다. 『염요』에 수록된 공주 기녀의 시조와 가사, 잡가 <수심가>의 예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울은 인간 시비가 끊이지 않는 불안하고 위험한 공간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안전을 위해서는 그곳을 떠나와야 하고 거리를 두어야 한다. 이렇게 다양하게 형성된 서울의 의미를 서울의 장소성이라고 한다면, 이 장소성은 후대에 지속 또는 변모되는 양상을 보인다. 예를 들면 수도로서의 상징성을 나타내는 풍수 지리적 요소는 관습적 표현으로 지속되면서도, 달라진 역사적 상황 속에서 지리적 정체성은 탈색되고 왕도의 위엄과 자긍심은 더 이상 발견할 수 없는 작품도 등장하게 된다. 이처럼 서울은 시가를 통해 다양하게 포착되어 왔고 그 속에서 형성된 서울의 장소성은 면면히 지속되고 또 변모되어 왔던 것으로 확인된다. 다양한 문화적 가치가 서로 겨루며 혼재하던 시기를 거쳐 오늘날 서울의 모습에 이르게 되었다고 할 때, 서울의 장소성에 주목하고 그 지속과 변모 과정을 추적하는 과정은 서울이라는 도시의 역사와 정체성을 밝히는 중요한 밑거름이 되리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laceness and it`s meaning of Seoul in poetry of late Chosun. It is important whether poetic speaker is a insider or no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insider or outsider, the placeness of Seoul is different. It is also important whether poetic speaker is in Seoul or not. Therefore this paper is discussed by considering poetic speaker`s position and the recognition of distance from Seoul. The placeness of Seoul in a point of view from inside as follows. First of all Seoul is a symbolic space as the capital of a kingdom. It is represented as a city of confucian ideology and value. On the other hand Seoul is a dynamic space of living customs. The text shows urban vitality and seasonal customs. And Seoul is a space that is wanted to be related with. The text shows desire for a center of power. Next the placeness of Seoul in a point of view from outside as follows. First of all Seoul is a space that return to in any case. Especially poetic speaker express his self-identity through the hope of return to Seoul in exile Sijo. On the other hand Seoul is a space that cannot come closer. Poetic speaker`s lover is in Seoul, but she cannot go there. And Seoul is a dangerous and unsafe space. The strife is constant in Seoul, so poetic speaker have to leave there. In this way Seoul was represented through the poetry in late Chosun, the placeness of Seoul continued and transformed after ag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laceness of Seoul in order to find out history and identity of Seoul.

      • KCI등재

        남성작 여성화자 시가에 나타난 목소리의 의미 -‘복화술의 목소리’ 이론에 의한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정인숙 ( Jeong In-sook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1 No.-

        This thesis has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meaning of voice in female speaker poetry written by male author. Especially this is based on comparative study by the theory of Ventriloquized voice'. The problem of the choice of poetic speaker, or what kind of poetic- speaker the author chooses according to poetic situation, u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ice of each poetic speaker will b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 and poetic speaker, which establishes the voice, is crucial in the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especially like Yeongungasa as Samiingok and Sokmiingok of Jeong Cheol. In case of Samiingok, the author is a male hut only female poetic speaker appears in different gender speaker type. The meaning of this crossing of gender between author and poetic speaker is very important. Elizabeth D. Harvey looks at the transvestism at work, like Ovid's Heroides, in text which purport to he by women hut which are in fact written by men. He examined the appropriations of the feminine voice by male author, and named Ventriloquized voice’. Ventriloquism is an appropriation of he feminine voice, and that it reflects and contributes to a larger cultural silencing of women. Compared with Eastern and Western literature, there ar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m must he worthwhile for the inquiry into ‘the crossing of gender' relationship between author and poetic speaker. Future studies should expand the objects of analysis, for example the work written by Kim So-wol. And it is hoped that comparison is more detailed.

      • KCI등재

        유와(?窩) 김이익(金履翼)의 『금강영언록(金剛永言錄)』의 특징과 그 의미

        정인숙 ( Jeong In-sook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3

        이 글은 유와(?窩) 김이익(金履翼)이 유배지에서 지은 『금강영언록(金剛永言錄)』의 특징과 그 의미를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는 관직에 있는 동안 세 차례의 유배를 경험했는데, 그 가운데 세번째 금갑도 유배시기에는 가사 < 금강중용도가 >와 시조집 『금강영언록』을 남기고 있어 주목을 요한다. 이 글에서는 < 금강중용도가 >를 고려하면서 『금강영언록』의 내용적 특징을 살펴보고 금갑도 유배시가로서의 『금강영언록』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 금강중용도가 >의 내용적 특징은 첫째, 연군 의식을 표출하되 연군의 대상이 단일하지 않다는 점이다. 선왕(정조)에 대한 충정심을 강하게 표출하면서도 선왕의 아들인 지금의 임금(순조)을 향해서도 연모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여기에는 유배 상황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해배의 현실적 소망이 개입된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주역』과 『중용』의 중요성과 학문적 탐구의 필요성이 강조된 점이다. 김이익은 세상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두 책의 가르침이 절실하다고 인식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 금강중용도가 >에서 『주역』·『중용』의 중요성을 강조한 맥락을 잇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노년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성찰이 발견되는 점이다. 노년에 겪는 몸과 마음의 변화가 상세히 묘사된 점이 흥미로운데 무조건 비탄에 빠지지 않고 인생사의 이치를 깨닫고 지금의 자신을 담담하게 바라보는 태도가 포착되는 작품도 있어 주목할 만하다. 넷째, 사적인 과거 회상과 개인의 내면 고백이 드러난 점이다. 젊은 시절 미모의 여인에게 유혹되었던 순간을 회상한다든가 오래전 사별한 부인을 기억하고 그리워하는 등 지극히 개인적인 과거사를 끌어와 내면을 고백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금갑도 유배시가로서 『금강영언록』은 < 금강중용도가 >가 긴 호흡으로 선왕을 향한 노래로 일관된 모습을 보여준 것과는 달리, 소일하면서 그 때 그 때 느낀 바를 짧은 호흡으로 담아낸 것이기에 순간순간 자신의 속내가 잘 드러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저런 일상의 소소한 감정을 담아내는 과정 속에서 격한 감정도 다소 누그러지고 보다 현실적인 상황 판단도 드러날 수 있었으리라 짐작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Keumgangyengeunrok written by Kim Yi-ik. He went into exile three times, especially he wrote many korean poetry like Keumgangchongyongdoga and Keumgangyengeunrok during his third exil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Keumgangyengeunrok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mind of yearning for the king is exposed in the text. It is important that king who Kim Yi-ik loves is not one person. He misses the late king and shows the royalty to the current king. The change in perception of exile situation is exposed in the text. The second, Kim Yi-ik put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huyeuk and Chongyong. Maybe he thought that two books were needed for saving this world. The third, the recognition of old age is exposed in the text. The fact that he was old and ill has risen in prominence. But it is important that emotion in old age is not pessimistically. We can find the realization of the way of the world. The fourth, reflecting the personal past and internal confession are exposed in the text. He remembers the moment that he was tempted by a beautiful woman in his youth, or misses his first wife who was dead early. Kim Yi-ik expresses the royalty to past king through Keumgangchongyongdoga and he often expresses his feeling briefly through Keumgangyengeunrok. It seems that he could open his heart by sijo and soften his feeling. It is important that changes in perception of exile situation and the logic of the situation are expressed.

      • KCI등재

        조선후기 도시의 발달과 여성의 소비문화에 대한 담론의 성격

        정인숙 ( In Sook Jeo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4

        조선후기는 도시적 발전을 토대로 각종 물산이 풍부하게 유통되고 화려한 의복, 값비싼 장신구가 널리 소비되던 시기였다. 당시 기록을 보면 세속에 만연한 사치 풍조를 개탄하고 유행을 무분별하게 좇는 세태를 꼬집은 경우가 많은데, 특히 사치를 조장하고 소비를 일삼는 행태를 문제시하는 언술 가운데 여성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다는 점은 흥미롭다. 본고는 조선후기 도시적 성장과 소비문화의 확산 속에서 여성의 사치나 소비를 둘러싸고 형성된 담론을 살펴보고 그 성격을 논의하는 데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규범적 차원에서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맥락과는 달리 당시 일상의 삶 속에서 여성의 소비문화에 대한 시선은 어떠했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 사치 및 치장을 금지하고 현모양처의 여성상을 강조한 점을 들 수 있다. 좋은 의복, 좋은 음식에 대한 욕심을 경계하도록 하고 자신을 위해 꾸미고 치장하는 데 헛되이 낭비하지 않도록 당부하고 있다. 특히 공직에 있는 남편을 내조하기 위해 검소한 생활을 몸소 실천했던 여성과 자녀에게 검소를 가르치며 솔선수범한 여성들이 칭송된 사례가 많다. 둘째, 의복이나 몸치장에 마음을 두지 않고 평생 검소하게 살았던 여성에 대해그녀가 본래 타고난 여사(女士)의 풍모나 군자(君子)다운 성품을 칭송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여기서는 세속에 휩쓸리지 않고 초연하게 살았던 한여성을 존경하고 추앙하는 차원에서 검박한 삶이 거론된다. 셋째, 당시의 풍조를 외면할 수 없었던 사회적 분위기와 현실적인 고충을 토로한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주로 혼례를 포함한 집안의 대소사를 치르는 데있어 사치스런 풍조를 좇아가는 행태와 관련된 것으로, 규범적인 언술로 사치를 금하게 강제한다하더라도 실제의 삶은 시속(時俗)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있었던 정황이 포착된다. 넷째, 시속을 적절히 고려하면서 중도(中度)를 지킬 것을 강조한 점을 들 수 있다. 여기서는 사치와 검박 사이에서 적절히 균형을 잡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발견된다. 이처럼 여성의 소비문화에 대한 담론을 살펴본 결과, 사치를 조장하는 좋은 의복, 좋은 음식, 화려한 장신구 등에 대한 욕심은 여성에게 결코용납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으나 혼례를 비롯한 집안의 대소사는 검소함만이 능사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치 풍조를 개탄하고 일방적으로 검소를 강제한 규범적 언술 못지않게 시속을 따르지 못한 것을 한스러워하는 솔직한 고백이나 중도를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현실적인 인식도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어느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도를 지키며 균형 잡힌 감각을 유지하는 것이 실생활에서는 가장요구되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s of discourses about women`s consumption culture in late Chosun.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business and the increased circulation of currency, new consumption culture was able to be settled in this time. There are lots of reports about women who consume excessively or follow the fashion thoughtlessly. The discourses about women`s consumption however contain a wide variety of opinions. The characters of discourse about women`s consumption culture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normative discourse prohibiting extravagance and emphasizing the concept of good wives and wise mothers. In particular, the women who lived frugally for their husbands serving as a public officer and the women who taught their children to be frugal were praised. Secondly there is a discourse praising women of virtue that lived frugally and were not interested in expensive clothes or accessories. In addition, these women did not follow the fashion and kept detached attitude. Thirdly there is a discourse about custom that could not be ignored at that time. On family occasions like wedding ceremony, it was hard for people to ignore the custom. Fourthly there is a discourse considering trends yet emphasizing taking a moderate course that keeps a sense of balance between extravagance and frugality. Women in late Chosun had to control their desire for expensive clothes, accessories and good food. However it was not everything just to save money for various family occasions. Maybe keeping a sense of balance to take a moderate course was required in real life.

      • KCI등재

        가사에 나타난 여성의 내면과 종교적 믿음의 양상

        정인숙(Jeong In sook)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9

        이 글은 가사에 나타난 여성의 내면과 종교적 믿음의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규방가사를 중심으로 종교적 교리 차원이 아닌 실제 삶 속에서 형성된 여성신앙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통적으로 무속신앙이나 재래의 민간신앙은 여성들에게 중요한 믿음체계로 작동해 왔고, 조선 건국 이후 숭유억불 정책으로 인해 탄압받았던 불교 또한 여성들에게 오히려 신앙의 대상으로 존속되어 왔던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그런 점에 주목하여 여성의 삶의 경험을 통해 내면화된 종교적 믿음의 양상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먼저 무속/민간신앙의 측면을 살펴보면, 치병을 기원하는 간절한 믿음의 양상으로 드러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청상가>의 여성화자는 병든 남편을 살리기 위해 사방으로 약을 구해 치료하나 소용이 없자 급기야 점쟁이에게 점을 보고 무당을 불러 치병굿도 벌이게 된다. 이는 생사의 기로에 있는 남편을 위해 할 수 있는 최후의 방법이자 간절하고 처절한 삶의 몸부림이라 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산신 신앙의 일면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는데, <기천가>라는 작품은 자손이 만당하고 부귀공명이 가득하기를 산신에게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산신은 지역의 수호신으로 지역민들과 친밀하게 관련을 맺으며 숭상되어 온 만큼 가사에는 산신에게 소원을 비는 내용이 종종 발견된다. 다음으로 불교의 측면을 살펴보면, 전생의 인연을 확인함으로써 현세의 고통을 치유하는 양상이 확인된다. 십칠 세에 과부가 된 여성의 사연을 담은 <청춘과부가>에는 우연히 만난 노승을 통해 전생의 업보로 인해 젊은 나이에 죗값을 치르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됨으로써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던 자신의 기구한 운명을 이해하고 현세의 고통을 조금이나마 치유할 수 있게 되는 과정이 그려져 있다. 현세의 삶이 전생의 업보에 대한 인과응보로서 주어진 것이고 따라서 자신의 뜻과 관계없이 예정된 것이었다면 오히려 담담하게 자신의 불행을 받아들일 수 있었으리라 짐작된다. 그런가 하면 불도에 정진해서 극락왕생을 기원하거나 이생에서 이루지 못한 것을 내세에는 꼭 이루고자 하는 염원을 드러낸 경우도 있다. 이들 작품에는 인생의 덧없음을 깨닫거나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한 성숙한 고민이 발견되기도 한다. 여기서 무속/민간신앙의 측면과 불교의 측면을 비교해 보면, 전자는 여성들이 주도적으로 의식을 주관하고 참여함으로써 여성 중심적인 성격이 강한 데 비해 후자는 상대적으로 여성의 역할이 수동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자는 대체로 지금 당면하고 있는 현세의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데 비해 후자는 문제 해결이 현세와 내세 모두에 걸쳐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유학이 중시되는 가부장제 남성 중심적 사회에서 타자로 살아온 여성들의 문화 속에서 오히려 불교와 무속신앙, 재래의 민간신앙이 면면이 이어져 왔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앞으로 여성생활사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women's inner side and religious belief in Gyubanggasa. The Buddhism was suppressed by the policy of Joseon dynasty that revere Confucianism since the Joseon dynasty was founded, but it was survived as a religious belief to women. And shaman faith or folk belief were also suppressed, but they were also survived as an important belief system to women. At first we can find the texts that women were anxious to cure their family through the shaman faith or folk belief. The female poetic speaker made shaman perform an exorcism to cure her husband in <Cheongsangga>. It was the last resort to cure her husband. We can also find the texts that women prayed to mountain god. The female poetic speaker hoped her family would live in honor and wealth, and she prayed to mountain god for her family in <Gicheonga>. Meanwhile we can find the texts that women healed their pain by getting to know their previous life. The female poetic speaker in <Cheongchungwabuga> became a widow at the age of seventeen, so she was in terrible pain, but she healed her pain after she got to know her previous life from an old Buddhist monk. We can also find the texts that women prayed for rebirth in paradise. It is important that the frailty of life or mature thought about life and death is found in these texts. Women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shaman faith or folk belief, on the other hand women were passive in Buddhism. In the shaman faith or folk belief, women prayed for solving problem in this world, on the other hand women prayed for solving problem in this world and the next in Buddhism. More studies on women life history from the side of religion should be done.

      • KCI등재

        가사 장르를 통해 본 남성의 자전적 술회와 그 의미

        정인숙 ( In Sook Jeong ) 韓國古典文學會 2009 古典文學硏究 Vol.36 No.-

        본고는 남성이 지은 가사 가운데 자전적 술회가 나타난 작품을 대상으로 그 양상과 의미를 분석한 연구이다. 여기서는 가사가 본질적으로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자기정체성을 확인하려는 욕구를 가능하게 한 국문 시가장르라는 점을 기본 전제로 삼았다. 유배 상황에서 창작된 이광명의 <북찬가>와 안조원의 <만언사>는 유년기로부터 현재까지 생애의 중요한 기억을 환기시키며 내용을 계기적으로 전개하는 특징을 보인다. 고난으로 점철된 불우한 과거를 고백함으로써 현재의 국면을 타개하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점도 특이하다. 한편 노년기에 창작된 구강의 <기수가>와 홍원장의 <상심화전가>, 김충선의 <모하당술회가>는 인생을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지나온 삶에 대한 평가와 소회를 드러낸다. 행복한 삶, 노년의 외로움, 죽음 등의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모습을 보인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남성의 자기 고백은 내부로의 침잠보다는 외부로의 발산 또는 외부세계와의 소통을 의식한 글쓰기의 성격을 갖는다. 남성이 가사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먼저 가문 내에서 가사가 창작, 유통되면서 일종의 문학적 전통으로 기능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광명은 가문 내 창작되어 오던 유배가사(혹은 연군가사)의 영향권에, 홍원장은 가사를 통해 가문 내 여성 집단과 소통할 수 있었던 문화 환경 속에 놓여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가 하면 남달리 국문 시가장르에 친숙했던 경우도 있는데 자신의 다양한 경험을 가사로 표현한 구강, 한문 기록과 함께 국문을 통해 정서적 소회를 풀어내고자 했던 김충선, 여성 독자층과 친연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는 안조원 등을 통해 확인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expression of self-thoughts and analyze its meaning in Gasa written by the male author. Essentially the genre of Gasa in late Chosun played a role in expression of self-thoughts regardless of sex. The main texts in this paper are <Maneonsa>, <Bukchanga>, <Gisuga>, <Sangsimhwageonga>, <Mohadangsulhuiga>. The first and second texts are Exile Gasa, on the other hand, the third and fourth, fifth texts are Gasa written in old age. In case of Exile Gasa, author recalled his memories and disposed them seriately. He confessed unfortunate memories and showed his strong will for releasement.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Gasa written in old age, author retrospected his past and showed his view of life. He thought happy life and loneliness in old age, death. It was possible for them to express his life in Korean alphabet, because of the literary tradition of family. Some of the members of family wrote Gasa, the other members were influenced by them. Or in some case authors were familiar with the genre of Gasa.

      • KCI등재

        근현대 여성 가사에 나타난 역사서술의 특징과그 의미 -은촌 조애영, 소고당 고단, 소정 이휘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인숙 ( Jeong In-sook ) 한국고전문학회 2018 古典文學硏究 Vol.54 No.-

        본고는 근현대 여성 가사작자인 은촌 조애영, 소고당 고단, 소정 이휘의 작품 가운데 역사서술이 잘 드러난 가사를 대상으로 그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작자 개개인이 처했던 상황이나 세계관 등의 차이를 고려하면서 역사서술의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세심히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은촌가사 <한양비가>는 ‘한양’의 비극적 역사서술 속에 가문 내 인물 서사가 삽입된 점이 특징적인데, 작자의 이전 작품에서 서술되었던 가문 내 인물 서사가 선택 삽입된 양상을 보인다. 또한 구한말·일제강점기의 서술이 확장되고 구한말 왕실 인물이 부정적으로 서술된 점도 특이하다. 그런가 하면 소고당가사 <동학이야기>는 구전자료가 중심이 되고 전래 민요가 삽입된 양상을 보인다. 동학지도자인 전봉준, 김개남과 관련된 정보를 소상히 기록하고 향토애에 기반한 서술의식이 드러난 점도 특징적이다. 한편 소정가사 <여명가>, <일훈가>, <삼일가>는 항일사 기록을 부연·확장하면서도 인물의 발화 삽입을 통해 사건을 극적으로 전달하고 기록물로서의 객관성도 확보하고자 한 양상을 보인다. 구한말 왕실 인물에 대해 비교적 온정적인 시선으로 서술한 점은 <한양비가>와 대조되는 점이다. 이처럼 세 작자의 작품에 나타난 역사서술은 매우 개성적인 면모를 보이는데, 역사서술 속에 친정 혹은 시댁 가문의 인물 서사를 적극 배치한다거나 거주 지역의 역사적 의미에 관심을 보인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이러한 역사서술의 과정 속에서 작자 나름대로 지나간 역사를 성찰하고 평가하는 역사주체로서의 면모를 보여준 점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historical description in gasa written by Jo Ae-young, Go dan, and Lee Hwi, modern and contemporary female authors. I examined how the aspects of historical description differ according to the writer considering their position and world view. First the character narrative of the family is inserted in the tragic historical description in < Hanyang Elegy > written by Jo Ae-young. Description part of the late period of Chosun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expanded, and the royal characters are described in a negative way. Otherwise material of oral tradition is centered and folk songs are inserted in < Story of Donghak > written by Go dan. And the information of Jeon Bong-jun and Kim gae-nam, leaders of Donghak is recorded and the attitude of description based on love for her residential area is reflected. Meanwhil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s described by amplifying and expanding in < Song of Dawn >, < Song of Halo >, < Song of March 1st > written by Lee Hwi. And the royal characters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are described in a warmhearted way. The aspects of historical description in gasa written by three authors are very individual, it is very remarkable that the character narrative of the family is inserted in the Korean historical description and interest in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residential area is revealed in the work. And it is important that all three authors show the aspect of the subject of history such a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