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임 유아교사의 긍정적 교직 경험 탐색

        정유리(Yu-ri Jeong),권귀염(Kyee-yum Kw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첫 해의 생활 중 초임 유아교사가 스스로 긍정적으로 여기는 경험에 대해 알아보았다. G광역시의 유치원에서 첫 해 근무를 마친 5명의교사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3차례씩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초임교사들은 자신과 생활을 공유하게 되는 기관장,동료 교사, 학부모, 유아 등 주변인들에게 교육자로서 인정받는 경험을 통해 큰 힘을얻고 있으며, 자신이 담당하는 학급의 특정한 유아들과 개인적인 애착관계를 형성하고 정서적 위안을 얻고 있었다. 동료 교사들과 함께 힘든 현실을 공유하고 스트레스를 푸는 것 역시 교직 유지의 큰 힘이 되었다. 이러한 외적 요인 외에도 교사들은 초임이라는 자신의 상황이나 유아교사직 자체에 대해 긍정적으로 해석하는 내면적 논리를 되새김으로써 첫 해를 잘 견딜 수 있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초임교사들에게 주변인들로부터 받는 정서적 지지와 위안이 중요함을 보여주며, 교사들간의 학습공동체 못지않게 정서적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함을 말해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 초임기 자체의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사례의 제공이나 교직의 장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first-year-teachers which they considered positive enough to keep them engaged in teaching and how they perceive such experiences. Participants consisted of five first-year-teachers at five private kindergartens in Gwangju. Each participant underwent thre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purposes. After analysis, the following kinds of positive experiences were identified: 1) being acknowledged as an educator by their school administrators, colleagues, parents, and children, giving them a feeling of pride, and a great sense of responsibility to perform even better; 2) developing strong attachment to specific children and receiving emotional support in this way, help to soothe diverse stressful feelings; 3) building emotional bonds with their colleagues as another way of coping with the difficulties of first year teaching; and 4) making an effort to take a positive view of their circumstances and the profess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self. Thes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ppeared to help novice teachers overcome many difficult aspects of first year teaching.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important for first-year-teachers to receive emotional support and consolation from their surrounding personnels and the necessity of building an emotional supporting community among teachers as well a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pre-service teachers, it would be helpful to provide divers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irst-year-teaching and the advantages of teaching profession.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학교 및 일상생활 어려움에 관한 연구

        정유리(Jeong, Yu Ri)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8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8 No.2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교 및 일상생활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교 및 일상생활에서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외국인 유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외국인 유학생의 일반적 특성, 경제적 특성, 언어적 특성, 사회관계적 특성과 학교 및 일상생활 어려움 간의 인과적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인 유학생의 학교 및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출신국, 한국 거주기간, 거주형태, 주관적 한국어능력평가, 지원 프로그램 참여만족도, 사회적지지도로 나타났다. 주요결과를 근거로 결론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ssociated factors that affect international students’ difficulties in university and daily lives as well as to suggest policy measures that could reduce those troubles during their adaptation period. A survey of 201 international students was conducted to scrutinize the key determinants and the causal links between general, economic, linguistic, social characteristics and daily difficulties of foreign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country of origin, period of residence, living arrangements, self-evaluated language ability, satisfaction in support program and social support were identified as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university and quotidian lives. Based on these findings, appropriate policy measures to ameliorate their hardships were discussed in the paper.

      • KCI등재

        초국가적 이주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정유리(Jeong, Yu-R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1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은 특정 장소나 위치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리적 이동과 새로운 지역으로의 정착을 통해 유연적・유동적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라는 공간적 전환을 통해 구성・재구성되는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과 생활 변화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정체성을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동화와 한 국문화 정체성, 배제와 본국문화 정체성, 주변화와 주변문화 정체성으로 유형화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이주 및 정착과정 에서 나타나는 생활 변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주의 실행이라는 동일한 경험을 한 결혼이주여성이라 할지라도 개인적, 지역적 특성과 그 속에서 주어진 역할에 따라 상이한 지역정체성을 형성했다. 또한 대부분의 결혼이 주여성들은 본국문화 정체성의 유지 및 표출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이상의 결혼이주여성들이 다문화와 이중문화 정체성,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화와 한국문화 정체성 유형의 결혼이주여성이 다른 유형보다 생활만족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여전히 한국사회의 결혼이주여성에게는 동화와 순응이 적응과 동일개념으로 인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 및 다문화 가정 자녀의 이문화 역량은 문화와 문화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가능하게 하며, 한국의 다문화사회・다문화공간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서로의 문화를 상호인정하고, 공존할 수 있는 전세계적 시민성 함양이 필요함을 제언했다. The local identity of a female marriage migrant is not fixed to certain boundary or location, but rather comprised flexibly according to geographical movement or new settlement to different plac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local identity and life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s that are constituted/reconstituted according to spatial transition, or migra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raits of changes in the period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based on the following categorization: multiculturalism and bicultural identity, assimilation and host country identity, exclusion and origin country identity, marginalization and marginal ident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ile having identical experience in terms of a migration, the local identities of marriage migrant women differed according to individual/reg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ir respective roles within those traits. In addition, most of females showed passivity in maintaining and exposing their cultural identities of original states. Moreover the life satisfaction change of female marriage migrant that is type of assililation and host country identity is appeared more than others. through this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mean adaptation to female marriage migrant lived in Korea. However the intercultural competences of both marriage migrant woman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acilitate the connection among different cultures. Based on these outcomes, with the transi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space, this research proposes the necessity of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for mutual recognition of each culture, thus enabling coexistence.

      • KCI등재

        유아교육분야에서의 반편견 교육활동 연구 분석

        정유리(Yu-Ri Jeong),권귀염(Kyee-Yum K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반편견 교육활동 및 프로그램들과 관련된 국내의 실천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아기 반편견 교육활동 및 프로그램들이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편견의 주제를 살펴보고, 해당 교육활동에서 적용하고 있는 교수-학습의 매체나 접근법을 분석함으로써 반편견 교육활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기 반편견 교육 연구가 처음 시작된 1995년부터 2017년까지 수행된 반편견 교육활동이나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실천연구 125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기적으로는 2000년-2004년 사이에 절반에 가까운 53편의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단일한 편견주제를 다룬 교육활동 연구들이 64.8%로 두 가지 이상의 편견주제를 다중으로 다룬 교육활동 연구보다 많았다. 한가지의 편견에 초점을 둔 교육활동의 주제로는 장애관련 편견과 젠더관련 편견이 가장 많이 다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편견주제를 함께 다룬 다중편견주제의 경우 절반 이상이 세 가지에서 다섯 가지 사이의 편견주제들을 다루고 있었으며, 가장 빈번하게 다루어진 내용은 외모, 가족, 장애, 젠더, 인종, 계층, 문화와 관련한 편견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에 사용된 교수-학습 매체 및 방법은 동화를 활용한 것이 압도적으로 많아 60.8%로 나타났고, 통합적 환경이 그 뒤를 이어 14.4%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유아기 반편견 교육의 주제 범위 체계화, 접근 방법 다양화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ti-bias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in Korea by reviewing related research. Focusing on the themes of biases and teaching medium/methods applied in the research, it tends to enhance general understanding about anti-bias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25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1995- 2017 dealing with anti-bias activities/programs for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period of research, almost half of the studies (53 studies) were conducted from 2000- 2004. Regarding the themes of biases covered in the education activities, single bias related activities included 64.8% of the total studies reviewed, and the main themes of bias included disability and gender. In studies that included multiple bias themes, more than half investigated from three to five different bias themes, including appearance, family, disability, gender, race, and culture. The most common teaching medium/method applied in activities was children"s story, accounting for 60.8% of all activities. The following was utilizing inclusive environment, which was 14.4% of the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would help systematize the contents of anti-bias education and develop diverse teaching-learning approach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결혼이주자의 정착지원 프로그램 참여특성과 지역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정유리(Yu-Ri Jeo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4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4 No.1

        본 연구는 정부주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시민사회 주도 외국인 이주자 지원 단체에서 제공되고 있는 정착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결혼이주자의 참여 특성을 조사하고, 정착지원 프로그램 참여형과 비참여형 결혼이주자의 생활만족도를 측정함으로써 정착지원 프로그램의 참여가 참여자들의 생활만족도 향상 및 지역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구광역시 동구 및 경상북도 청도군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자로, 지역거주민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시민단체 기관을 통해 136명의 설문지가 표집되었다. 분석 결과 결혼이주자의 정착지원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변화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높은 생활만족도는 지역사회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정착지원 프로그램 참여형 결혼이주자의 경우 비참여형 결혼이주자 보다 높은 생활만족도를 보였으며, 참여형 결혼이주자 중에서도 정착지원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재 생활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높은 생활만족도는 지역사회 적응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고 결혼이주자의 생활만족도 및 지역사회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착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의 필요성에 관해 제언하였으며, 이를 위한 정책지원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marriage migrants in the settlement support programs offered by government-le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the foreign migrant support organizations run by non-governmental entities. In addition, this thesis measured the life satisfaction of participatory and non-participatory marriage migrants in the settlement support programs to determine whether the participation in settlement support programs exerted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articipants’ life satisfaction and their adaptation to communities. A total of 136 marriage migrants living in Dong-gu, Daegu and Cheongdo-gun Gyeongsangbuk-do were surveyed vi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analysis found that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rriage migrants’ participation in settlement support programs and that high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adaptation to communities. Specifically, marriage migrants participating in settlement support programs show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non-participatory marriage migrants. Among participatory marriage migrant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settlement support program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present life. Also, high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daptation to commun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needs to develop and provide a variety of settlement support programs to improve marriage migrants’ life satisfaction and adaptation to communities, and relevant directions for betterment of policy supports.

      • KCI등재

        유아들의 젠더 개념 탐색

        정유리(Jeong, Yu-Ri),권귀염(Kwon, Kyee-Yu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유아들이 생각하는 성 특징과 성 역할 등 젠더 관련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J도에 위치한 A어린이집 만 5세 학급인 누리반 유아 1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개별 유아들과 세 차례에 걸친 면담이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 유아들은 외모나 행위 등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기준으로 성별을 구분하고 있었으며, 자신과 다른 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남자와 여자에 속한 것이나 역할, 취향 등에 대해 대립적으로 개념화하고 성별 경계를 넘어서는 유아에 대해서는 놀림 행위를 통해 성 전형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성 전형성을 탈피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대체로 수긍하는 모습이었다. 특히 자신이나 주변의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먼저 성 전형성을 부정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교육적 시사점과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conception of gender. More specifically, children"s beliefs about gender, characteristics of each gender, gender-roles, gender stereotypes, and possibilities of breaking out of the stereotypes are explor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irteen 5-year-old children at A child-care center in J province. Data are collected from 3 individual interviews on each child and to help the children elaborate their thoughts and feelings, video clips of their physical movement and several pictures have been used in the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the children made the distinction of sex based on ex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outward appearances and actions, 2) the children showed the tendency to recognize other sex negatively, 3) the children strengthened gender stereotypes based on dichotomizing sex distinction and teasing their friends, 4) the children seemed to be convinced when asked additional questions about possibilities of breaking out of the stereotypes, 5) the children rejected gender stereotypes when experienced breaking gender roles directly or indirectly. The academic and practical meaning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군날개에서 생체 접착제와 최소 결막 봉합을 사용한 양막이식술과 자가결막이식술의 임상결과

        이수정(Su Jeong Lee),양홍석(Hong Seok Yang),최중혁(Joong Hyuk Choi),유재은(Jaeeun Yu),정유리(Yoo-Ri Chung)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5

        목적: 군날개 절제 후 노출된 공막을 덮어주기 위하여 결막 봉합 혹은 생체 접착제를 이용한 결막피판술, 자가결막이식술, 양막이식술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생체 접착제와 최소 결막 봉합을 사용한 양막이식술과 자가결막이식술을 이용한 군날개수술의 임상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6년 5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군날개절제술 및 양막이식술 또는 자가결막이식술을 시행받은 군날개 환자 198명, 217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임상결과를 비교하였다. 양 군에서 재발률과 합병증 발생 빈도를 조사하였고, 군날개 재발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군날개 재발은 자가결막이식술 군에서 185안 중 1안(0.5%), 양막이식술 군에서 32안 중 6명(18.8%)에서 재발하여, 자가결막이식술 군의 재발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자가결막이식술에서 양막이식술에 비하여 유의하게 군날개 재발 위험이 낮았다(odd ratio, 0.023; 95% 신뢰구간, 0.003-0.206; p=0.001). 경과 관찰 중 화농육아종, 양막 탈락, 결막편 탈락, 공막 괴사 등의 다른 안과적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군날개수술에서 생체 접착제를 사용한 자가결막이식술이 생체 접착제를 사용한 양막이식술과 비교하여 재발률이 낮아 임상적으로 보다 유용한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compared clinical outcomes including recurrence rate between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AMT) and conjunctival autograft using fibrin glue and minimal conjunctival sutures for pterygium surgery.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17 eyes of 198 patients with pterygia who underwent surgery from May 2016 to December 2019. Pterygium excision was performed with conjunctival autograft or AMT, using fibrin glue with both. Recurrence rates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Postoperative recurrences were noted in one of 185 eyes (0.5%) in the conjunctival autograft group, and in six of 32 eyes (18.8%) in the AMT group. The recurrence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njunctival autograft group (p < 0.001).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onjunctival autograft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lower risk of pterygium recurrence compared to AMT (odds ratio, 0.023; 95% confidence interval, 0.003-0.206; p = 0.001). No ocular complication was noted in both groups during follow-up. Conclusions: Pterygium excision with conjunctival autograft using fibrin glue wa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recurrence compared to AM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