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단 3] 「삼위일체론」안에 나타난 심리학적 삼위일체론의 유비들 : 하느님을 알게 해주는 통로로서의 인간

        정승익 인천가톨릭대학교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We can find a key word, that is the 'interiorizzation',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main theory of St. Augustine in his works: his researching method and studying object go gradually toward the inner part of the human spirit's psychological phenomenon from the analysis of the exterior world. It is the reason that the saint saw the best way in the studies on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the human soul for the analogy to understand 'Deus Trinitas'. There are three steps in the way for his analogy: ① the step of the ontological method. The studying was focused on the outer world, using the traditional concepts of the ontology and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s about Sap. 11,21. ('mensura-numeros-ordo') ② the second step that the focus moved from the ontological point to the psychological state, was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in Conf. 13,11,12 ('esse-nosse-velle'). Especially, the analysis of the memory and the time confirmed the knowledge that the transcendental truth is located at the inner part of human spirit even though it is very limited. ③ But the model of the "Confessions" is short of explaining some properties of the Trinity. Especially, it is so difficult to explain the concept of 'relatio' that three persons of Trinity possess mutually. Therefore, Augustine needed to have another analogy and continued to develope this point in "De trinitate": 'amans-amatus-amor', 'mens-notitia -amor' and 'memoria-intellegentia-voluntas'. These analogies were deepened in the process of analysis of the human soul because he understood that the limited knowledge about 'Deus Trinitas' is present in the area of the memory. Nevertheless, Augustine didn't identificate the analogy ('memoria- intellegentia-voluntas') with God who is 'Veritas ipsa' even though the human soul has the similarity to God. The human soul is presented as the simple instrument to love and to know God, because the relation between the analogy and true God remains so different, just like the gap between 'prototypus' and 'vestigium'. But it is very significant that human soul's limited 'similitude' lead us in the very secure way to understand and to love God, because only the human soul among the creatures has the very close 'vestigium' to 'Deus Trinitas'.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들에는, ‘내면화’라는 용어로 요약될 수 있는 일관된 패턴을 발견하게 된다. 즉 성인의 학문적 방법론이나 그 탐구 대상이 점진적으로 외부 사물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인간 정신현상이라는 내면(interioritas)으로 환원되는 과정을 접하게 된다. 이는 삼위일체 하느님을 이해하기 위한 유비를 찾는데, 그와 가장 유사한 인간의 의식을 연구하는 ‘심리학적’ 성찰이 무엇보다도 효율적이며 확실한 방법이라는 성찰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본다. 성인의 연구에는, 의식의 외부사물세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존재론적 방법론의 시기와, 인간의식으로 환원되는 심리학적인 단계로의 전이과정이 보인다. 첫 번째 과정에서는 주로 전통적인 형이상학을 바탕으로, 지혜서 11,21을 분석하여 얻어진 삼중구조(척도-수-질서)에 대한 해설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존재론적 관심이 「고백록」을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인간의식 내면에로 옮겨가는데, 특별히 기억과 시간에 대한 분석은, 초월적 진리의 제한적 앎이 인간의식에 존재한다는 확신을 굳건하게 해 주었다. 그 결과로, 삼위일체의 유비로서 첫 번째 모델(존재-앎-의지)이 「고백록」 13,11,12에서 도출되었다. 그러나 「고백록」의 모델은 삼위일체 하느님이 갖는 여러 특성들을 설명하기에는 다소 부족했다. 특별히 각각의 위격이 갖는 관계성을 표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기에, 「삼위일체론」에서는 다른 연구들을 지속했고, 그 결과로 ‘사랑하는 주체-사랑받는 대상-사랑자체’와 ‘정신-앎-사랑’과 ‘기억-지성-의지’의 삼중구조들을 이끌어 냈다. 이들 삼중구조들은 주로 인간 정신을 분석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심화되었는데, 그것은 인간기억 안에 하느님에 관한 제한적인 앎이 신비로운 방식으로 존속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간이 갖는 이 유사함에 있어서, 아우구스티누스는 단 한 번도 초월적 진리자체이신 하느님과 동일시하지 않는다. 성인에게는, 하느님을 이해하고 사랑하기 위해서 인간은 하나의 통로의 역할만으로서 제시될 뿐이다. 이 간극은 언제나 ‘원형과 흔적’의 관계처럼 제한적인 유사함만으로 남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갖는 제한적인 유사함은, 우리를 하느님으로 이끌고 사랑하도록 하는데 무엇보다도 확실한 도움을 준다는데 커다란 의의가 있다. 왜냐하면, 인간만이 피조물 중에 그 무엇보다 가장 근접하는 초월의 흔적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1H-Indol-3-yl)methylene Rhodanine Analogs as Potent PIM Kinase Inhibitors

        정승익,전민규,강다규,김지은,Hong, Victor Sukbong,이진호 계명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23 Quantitative Bio-Science Vol.42 No.2

        This study explored the inhibitory efficacy of (1H-indol-3-yl)methylene rhodanine derivatives against PIM kinases, in comparison with established benzylidene rhodanine analogs. The introduction of a hydroxyl group improved inhibition of PIM-1 and -3 kinases,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specific hydrogen bond interactions. This investigation shifted focus to the design of (1H-indol-3-yl)methylene analogs, aiming to introduce an extra hydrogen bond interaction with a key active-site residue. Computational modeling revealed consistent binding modes, characterized by ionic and hydrogen bonding interactions with active-site residues, supported by the crucial role of the rhodanine’s imide functionality. The orientation of the pyrazine ring was influenced by scaffold structure, impacting the positioning of the amino group relative to optimal orientation for kinase interaction. These synthesized compounds, characterized by (1H-indol-3-yl) methylene rhodanine, exhibited potent pan PIM kinase inhibitory potential, akin to benzylidene rhodanine analogs. This insight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uctural variations and inhibitory efficacy.

      • KCI등재

        창조주 하느님, 삼위일체 하느님 - 창세기 1,1-2; 1,26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해석을 중심으로-

        정승익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3 가톨릭신학 Vol.0 No.22

        아우구스티누스에 있어서 ‘하느님’은 언제나 ‘삼위일체 하느님’이다. 즉 창조주 하느님은 세 위격으로 존재하는 성부·성자·성령하느님이다. 이는 그에게 늘 무엇보다 중요하게 다가왔던 생각의 근본적인 틀이었다. 따라서 작품에 작가의 흔적이 남는 것처럼, 세상의 피조물도 역시 작가의 작품처럼 그것을 창조하신 하느님의 흔적을 갖고 있는데, 그 작가가 ‘삼위일체 하느님’이시니, 당연히 세 위격의 하느님의 흔적들이 고유하고 구별되어지는 방식으로 피조물들 안에서 드러나게 된다. 바로 그 때문에 이들 흔적들에 대한 연구는 삼위일체 하느님을 알게 해주는 확실한 길이 된다. 성인은 창세기 1,1-2과 1,26에서 사용한 용어들을 분석하면서, 이들 용어들이 세 위격의 하느님으로 고유하게 존재하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특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그의 여러 작품들 안에서 세밀히 논증하였다. 1,1-2의 ‘땅은 아직 꼴을 갖추지 못하고 비어 있었다. (terra autem erat invisibilis et incomposita)’라는 구절에서 사용된 두 형용사 ‘꼴을 갖추지 않았고 (invisiblis)’와 ‘비어 있었다 (incomposita)’는 제각각 성부·성자·성령의 흔적이 아직 명확하게 드러나 있지 못한 상태를 뜻한다. 즉 존재자체(Esse)이신 성부와, 모든 형상(forma)들의 최고의 원형(Prototypus)이며 법칙자체(Logos)이신 성자와, 만물에 고유한 질서를 부여하는 온 우주의 질서자체(Summus Ordo)이신 성령의 고유한 특성에서 말미암은 흔적들을 지니지 못한 부정적인 표현들을 의미한다. 또한 1,26에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흔적이 결정적으로 드러나는 대목인 인간창조에 관련된 부분을 보게 된다. ‘우리와 비슷하게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 (Faciamus hominem ad imaginem et similitudinem nostram)’라고 한 성경구절은 ‘모상(imago)’과 ‘유사함(similitudo)’이라는 이중적인 단계로 표현되어져 있다. 먼저 ‘모상’은 하느님의 모상자체이신 성자하느님과 관련되어진 흔적과 작용을 의미하고, ‘유사함’은 그 ‘모상’에 근접해 나가는 완성을 향한 과정과 그를 위한 갈망과 그를 향한 움직임인 사랑과 연관되어지는데, 이는 세상만 물을 완성에로 이끌어가는 성화자(Sanctificator)이며 사랑 자체이신 성령하느님의 흔적과 관련되어진 표현들이다. 이렇듯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있어서 세 위격으로 존재하시는 한분의 하느님에 관한 신학적 성찰은 어디에서나 그 이면의 배경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창조를 설명하는 모든 용어들과 그와 관련된 신학들은 삼위일체 하느님에 관한 성찰에서 비롯하여 결국에는 그분에 대한 물음과 답변들로 귀결된다. 물론 이를 설명하는 과정 중에서도 언제나 삼위일체 하느님이 열쇠가 되어, 어떻게 창조가 시작되고 진행되었는지 그리고 어떠한 모습으로 완성에 이르게 되는지를, ‘세 위격의 고유성과 피조물이 지니는 그 흔적’이라는 관계성 안에서 도출해 낸다. According to St. Augustine, God is always Trinitarian God that it seems to be simple that the Creator God exist as the three persons who are the Holy Father and the Son and the Holy Spirit, but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theory of his thought: it is logical that all the creatures have the vestigium left by the three persons in the different way, because the author of the world is Trinitarian God , as if the author left the own trace (vestigium) on the works in the process of the creation. Therefore the research of these vestigium expressed in the all the beings is the very secure way to the knowledge of Trinitarian God as the Author of the creation. The saint presented concretely that the some words of the Genesis 1,1-2 and 1,26 indicated the proprietas of the Trinitarian God as three persons in his books related to the creation: Two adjectives of invisibilis and incomposita expressed in the Genesis 1,1-2 terra autem erat invisibilis et incomposita , means the imperfection that the vestigium done by the each persons is not realized yet. That is, two terms imply the negative meanings of the trace by the three persons; the Holy Father as the Esse itself, the Holy Son as the Logos who is the Principle and Prototype of the all the creatures, the Holy Spirit as the Summus Ordo who give the order to all the beings in the universe. And we can see the creation of the human being in Genesis 1,26 that give us the climax of the expression of the vestigium left by Trinitarian God. The phrase of the Bible, Faciamus hominem ad imaginem et similitudinem nostram consist of the double dimensions constructed by the two words imago and similitudo : imago means the operations and trace of the Holy Son as the Imago Dei . And then similitudo is connected to a kind of the process towards the perfection of the beings and to the Operator who has the power of love to make all the creatures to let move towards the perfect status according to the Order itself of the universe. And so it is very natural that the meaning of the similitudo is logically related to the vestigium of the Holy Spirit as the Sanctificator and Summus Ordo . Therefore, the trinitarian theology was the fundamental base of the St. Augustine. And so the question about the creation always comes from the trinitarian theology and returns to the trinitarian theology too; the trinitarianism became the theological key through which he could approach to the answers about the process of the creation - from the beginning until the status of the perfection as escathon - by the way of the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persons and the triadic vestigium expressed in the creatures.

      • 「삼위일체론」 안에 나타난 심리학적 삼위일체론의 유비들

        정승익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들에는, '내면화'라는 용어로 요약될 수 있는 일관된 패턴을 발견하게 된다. 즉 성인의 학문적 방법론이나 그 탐구 대상이 점진적으로 외부 사물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인간 정신현상이라는 내면(interioritas)으로 환원되는 과정을 접하게 된다. 이는 삼위일체 하느님을 이해하기 위한 유비를 찾는데, 그와 가장 유사한 인간의 의식을 연구하는 '심리학적' 성찰이 무엇보다도 효율적이며 확실한 방법이라는 성찰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본다. 성인의 연구에는, 의식의 외부사물세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존재론적 방법론의 시기와, 인간의식으로 환원되는 심리학적인 단계로의 전이과정이 보인다. 첫 번째 과정에서는 주로 전통적인 형이상학을 바탕으로, 지혜서 11,21을 분석하여 얻어진 삼중구조(척도-수-질서)에 대한 해설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존재론적 관심이 「고백록」을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인간의식 내면에로 옮겨가는데, 특별히 기억과 시간에 대한 분석은, 초월적 진리의 제한적 앎이 인간의식에 존재한다는 확신을 굳건하게 해 주었다. 그 결과로, 삼위일체의 유비로서 첫 번째 모델(존재-앎-의지)이 「고백록」 13,11,12에서 도출되었다. 그러나 「고백록」의 모델은 삼위일체 하느님이 갖는 여러 특성들을 설명하기에는 다소 부족했다. 특별히 각각의 위격이 갖는 관계성을 표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기에, 「삼위일체론」에서는 다른 연구들을 지속했고, 그 결과로 '사랑하는 주체-사랑받는 대상-사랑자체'와 '정신-앎-사랑'과 '기억-지성-의지'의 삼중구조들을 이끌어 냈다. 이들 삼중구조들은 주로 인간 정신을 분석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심화되었는데, 그것은 인간기억 안에 하느님에 관한 제한적인 앎이 신비로운 방식으로 존속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간이 갖는 이 유사함에 있어서, 아우구스티누스는 단 한 번도 초월적 진리자체이신 하느님과 동일시하지 않는다. 성인에게는, 하느님을 이해하고 사랑하기 위해서 인간은 하나의 통로의 역할만으로서 제시될 뿐이다. 이 간극은 언제나 '원형과 흔적'의 관계처럼 제한적인 유사함만으로 남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갖는 제한적인 유사함은, 우리를 하느님으로 이끌고 사랑하도록 하는데 무엇보다도 확실한 도움을 준다는데 커다란 의의가 있다. 왜냐하면, 인간만이 피조물 중에 그 무엇보다 가장 근접하는 초월의 흔적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We can find a key word, that is the 'interiorizzation',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main theory of St. Augustine in his works: his researching method and studying object go gradually toward the inner part of the human spirit's psychological phenomenon from the analysis of the exterior world. It is the reason that the saint saw the best way in the studies on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of the human soul for the analogy to understand 'Deus Trinitas'. There are three steps in the way for his analogy: ① the step of the ontological method. The studying was focused on the outer world, using the traditional concepts of the ontology and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s about Sap. 11,21. ('mensura-numeros-ordo') ② the second step that the focus moved from the ontological point to the psychological state, was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in Conf. 13,11,12 ('esse-nosse-velle'). Especially, the analysis of the memory and the time confirmed the knowledge that the transcendental truth is located at the inner part of human spirit even though it is very limited. ③ But the model of the "Confessions" is short of explaining some properties of the Trinity. Especially, it is so difficult to explain the concept of 'relatio' that three persons of Trinity possess mutually. Therefore, Augustine needed to have another analogy and continued to develope this point in "De trinitate": 'amans-amatus-amor', 'mens-notitia -amor' and 'memoria-intellegentia-voluntas'. These analogies were deepened in the process of analysis of the human soul because he understood that the limited knowledge about 'Deus Trinitas' is present in the area of the memory. Nevertheless, Augustine didn't identificate the analogy ('memoria- intellegentia-voluntas') with God who is 'Veritas ipsa' even though the human soul has the similarity to God. The human soul is presented as the simple instrument to love and to know God, because the relation between the analogy and true God remains so different, just like the gap between 'prototypus' and 'vestigium'. But it is very significant that human soul's limited 'similitude' lead us in the very secure way to understand and to love God, because only the human soul among the creatures has the very close 'vestigium' to 'Deus Trinitas'.

      • KCI등재후보

        「신앙과 신조」 9,16-19 안에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의 성령론

        정승익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9 가톨릭신학 Vol.0 No.14

        In the 「De fide et symbolo」St. Augustine mentioned that the authors didn't study a lot on the nature and the property of the Holy Spirit and so he developed the synthetic pneumatology that include the traditional theories. His theology of the Holy Spirit is considered as not only synthetic thought but also unique reflection. One of his explanations about the Holy Spirit, that the Holy Spirit is the love of God (Cairtas Dei), was evolved into the eschatologic dimension that the "Voluntas Fabri (the will of Creator, that is the Holy Spirit)" make all the creatures perfect in the history of salvation (oikonomia). Especially, Augustine gave emphasis that the human being is reformed, made perfect and recreated by the love of God that is the Holy Spirit. The「De fide et symbolo」9,16-19 present the explanations of the Holy Spirit with six different themes: 1) Ambrosius' theory that the Holy Spirit is the same "Deitas (divinity)" between the Holy Father and Holy Son; 2) the thought from the three Fathers of Cappadocia that Holy Spirit is "consubstantialis (same substance)" to the Holy Father and the Holy Son; 3) Marius Victorinus' pnumatological reflection that the Holy Spirit is "connexio, communio, copula (connection, communion, bond)" between the others Holy persons; 4) Hilarius' meditation that the Holy Spirit is "Donum Dei (the gift of God)"; 5) the common meaning of "sancire" at the Augustine's ages from which he analyzed the name of the Holy Spirit ("Sanctus"); 6) the most important theme is Ambrosius' theology that the Holy Spirit is identified with "Caritas Dei". We can say that Augustine's thought is really unique and synthetic because his theological reflections was inspired by the earlier scholars (especially, Basilius Magnus, Ambrosius and Marius Victorinus) and he had original contribution to others scholars to get the more perfect and various views of the Holy Spirit. And his pneumatology is the same thing that the bees collect the honey's materials from lots of different kind of flowers and make the honey that has unique flavor and fragrance. 「신앙과 신경」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성령에 관한 연구가 너무도 미진해서 성령의 참된 본성(natura)과 고유성(proprietas)에 관하여 명백하게 언급되어지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아쉬움을 글로 남기기도 하였는데,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성인은 하나의 종합적인 성령론(pneumatologia)을 전개하였고, 이는 성령에 관한 전통사상들에 대한 종합인 동시에, 그 종합을 바탕으로 하나의 독자적인 해석을 시작하는 출발점이기도 했다. 성령에 관한 여러 설명 중에서도 특별히 성령을 ‘하느님의 사랑(Caritas Dei)’으로 이해했던 성인의 생각은, 점차 무르익게 되었고 훗날에는, 구원의 역사 안에서 인간존재와 전 우주의 완성으로 이끄시는 ‘창조주 하느님의 사랑 혹은 의지 (Voluntas Fabri)’가 성령이시라는 종말론적 차원으로까지 발전하게 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은 독창적이며 동시에 종합적이기도 하다. 즉 그의 신학적 성찰들은 그보다 앞서간 학자들의 생각들과 연속성을 갖으며 또한 그만의 고유한 발전으로 또 다른 차원의 생각들을 전해 주기도 한다. 마치 하나의 꿀벌이 색깔과 종류가 제각기 다른 다양한 꽃들로 부터 꿀이 될 재료들을 모아서 그 꿀벌만의 고유하고 종합적인 꿀을 만들어 내는 것과도 같다. 「신앙과 신경」9,16-19에서 제시되는 성령에 관한 설명은 6개의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내용들은 성령에 관한 고유성(proprietas)을 각기 다른 관점들로부터 분석해 주고 있으나, 이들을 한데 합하면 하나의 종합적인 성령에 관한 진술이 된다. 우선 성령을 성부와 성자사이의 공통되는 ‘하느님성(deitas)’으로 이해하였던 암브로시우스의 사상이 등장하고, 이어서 성령께서도 성부와 성자와 ‘동일본질(comsubstantialitas)’이심을 역설했던 까빠도키아 교부들의 사상도 보인다. 또한 성령을 성부와 성자의 ‘결합 혹은 일치 (connexio)’로 파악했던 마리우스 빅또리누스의 생각도 나타나며, 성령을 ‘하느님의 선물 (Donum Dei)’로 이해했던 힐라리우스의 신학도 보인다. 여기에 어느 특정한 학자의 사상은 아니지만 아우구스티누스 시대의 언어의 사전적 의미로부터 성령의 역할과 특성을 고찰하려 했던 모습도 찾아 볼 수 있다(‘sancire’). 특별히 아우구스티누스에게는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게 되어졌다고 생각되어지는데, 성령을 ‘사랑(caritas)’ 개념과 동일시 했던 암브로시우스의 사상도 계승되어지고 있음을 확연히 보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