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배제를 보는 또 다른 시각: 도움받기를 원하지 않는 사람들

        정세정 ( Cheong Sejeong ),김기태 ( Kim Ki-t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보건복지포럼 Vol.306 No.-

        지금까지 사회배제와 관계된 연구 또는 정책은 도움이나 지원이 필요한 집단이 누구인가에 초점이 맞춰 전개됐다. 이 글에서는 배제의 주체를 입체적으로 고려하여 사회배제 집단을 도움받을 곳이 있고 도움받을 의사가 있는 ‘비배제 집단’(집단 I), 도움받을 곳이 있으나 도움받기를 원하지 않는 ‘자발적 배제 집단’(집단 II), 도움받을 곳은 없지만 도움받기를 원하는 ‘비자발적 배제 집단’(집단 III), 도움받을 곳도 없고 도움받기를 원하지도 않는 ‘고립 집단’(집단 IV)으로 구분했다. ‘사회 참여, 자본, 인식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도움을 희망하는 집단은 사회복지 확대를 위한 증세와 소득 격차 감소가 정부 책임이라는 데 대한 동의 수준이 도움을 희망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도움을 희망하는 집단은 도움을 원치 않는 집단에 비해 사회 참여 의사가 있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 글에서는 도움을 희망하지 않는 집단을 포착함으로써 사회배제를 더욱 입체적으로 이해할 여지를 열었다. 이들 집단은 사회와 국가가 지원 체계를 갖추고 있다 하더라도 사각지대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이들에 대한 추가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Studies or policies related to social exclusion have conventionally focused on the groups needing help or support. We approach the subject of social exclusion in alternative way, by identifying groups of people who don’t want to get help or support from others. We categorized survey respondents into four groups:the 'non-excluded group' who have someone to turn to and who are willing to seek help (Group I), the 'voluntarily excluded group' who have someone to whom they can turn but who are not willing to seek help (Group II), the 'involuntary excluded group' who do not have someone to whom to turn but who are willing to seek help (Group III) and the 'self-withdrawn group' (Group IV) who neither have someone to turn to for help nor are willing to seek help. The data from the 「Social Participation, Capital, Awareness」 survey showed that tthere was a higher percentage in Groups I and III (those who were willing to seek help) who agreed to the government’s role in reducing income inequality and expanding social welfare. In addition,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society was higher in those willing to seek help (Groups I, and III) than in those not willing to seek help (Groups II and IV).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taking the first step towar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cial exclusion by capturing groups who are not willing to seek help.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these groups are highly likely to remain in a blind spot even if the society and the state have a support system. Further and in-depth studies of these populations will be needed.

      • KCI등재

        불리(disadvantage)의 경험과 취약 청년의 삶

        정세정(Sejeong Cheong),최권호(Kwonho Choi),최보라(Bora Choi)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0

        이 연구는 취약 청년의 삶을 생애과정 관점을 통해 조명한다. 취약 청년들의 아동 · 청소년기 경험을 살펴, 취약 청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제적 취약 상황에 놓인 만 19세부터 30세 사이의 청년 16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 현재의 취약성을 설명할 수 있는 아동 · 청소년기의 경험으로써, 가구 빈곤, 가정폭력 · 아동학대, 학교 및 교육환경에서의 불리(disadvantage)경험 등이 확인되었다. 불리 경험 속에서 개인들은 공식적 · 비공식적 지지체계를 활용하기도 했으나 홀로 분투하거나, 지지체계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상황이 더 악화되는 경우도 있었다. 분석 결과는 공적 지원체계의 의미와 역할 점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ives of vulnerable youths,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disadvantag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pplying a life course perspective. It also focuses on the relevance of their past and present and draws policy implications. To this e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young people aged 19 to 30 who were in a vulnerable situation. From the analysis, the interviewees’ childhood and adolescence experience of disadvantage that could explain their current economic vulnerability was identified as household poverty, domestic violence and child abuse, and disadvantage in school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We also found that faced by unfavourable conditions they tended to endure the difficulties solely by themselves or struggle to exploit formal and informal support system, sometimes happened to be left in even worse situations when the support system failed to work appropriately. As a result of coping with various experiences of disadvantage, their present lives were found to be floating.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m made paradoxical growth overcoming the past adversity. Based on the results, we recommend that the role of public support system for the youth needs need to be rearranged to enhance accountability, elaboration, and specification, with consumer-centered and lifetime approache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childhood and adolescence.

      • KCI우수등재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최근 10년간 연구경향 특성

        최재성(Choi, Jae-Sung),정세정(Cheong, Sejeong),조자영(Cho, Ja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 Vol.6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연구가 어떠한 경향적 특성을 보여왔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관련 연구논문들에 대한 연구경향성분석을 사용하였다. 특히 대표적인 연구경향성분석 방법으로 알려진 내용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분석방법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모두 취하고 반대로 약점은 상호보완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분석사례는 한국사회복지행정학 학술지에 게 재된 최근 10년간의 논문 221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분석 및 내용분석 결과 사회복지행정학 연구는 크게 ‘사회(복지)서비스’와 ‘사회복지조직’의 클러스터로 구분 되며, 그 가운데에서도 인적자원과 관련된 연구에 편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천현장 중심의 새로운 주제들도 등장하나, 전통적인 주제들과는 독립적으로 연구가 수행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양적연구의 비중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질적연구, 근거 기반 개입 연구, 혼합연구방법, 담론적 논의 등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사회복지의 사각지 대인 농어촌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나 정보관리, 재무관리, 마케팅, 조직혁신 등의 전통적 복지행정 영역의 주제들도 중요성에 대한 논의에 비해 희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 of the studies on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over a recent 10 year period. Employing both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hich are representative statistical strategie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we analyzed 221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from 2005 to 2014.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wo clusters –“social (welfare) service”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the studies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In addition, more than 80% of articles are mainly related with human resource management, includi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o forth. Second, the newly emerging academic subjects such as social enterprise and community network appeared to be done independently of traditional subjects. Third,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studies being focused on human resources was overwhelmingly high compared to the other types of studies; therefore, there are a few studies using qualitative or mixed method, evidence based practice, and discourse studies. In addition, the studies of the rural areas, which are a blind spot of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he studies about information management, financial management, marketing, organization innovation rarely appeared, despite their significa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