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마서의 수사학적 구조

        정성미 ( Sung Mi Jeo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5 생명과 말씀 Vol.13 No.-

        이 논문의 목적은 사도가 로마서를 쓸 때 어떤 수사학적 구조를 생각하고 썼는지, 그리고 그 수사학적 구조가 로마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논지는 로마서의 수사학적 구조에 있어서 명제(중심주제, 1:16-17)에 나타나는 복음이 로마서의 처음(1:1-15) 과 나중(15:14-16:23)을 제외한 나머지 몸통부분을 이끌고 있는 논증적 부담으로서 작용한다는 것이다. 로마서의 명제의 복음은 ‘두 측면’(하나 님과 인간의 관점)에서 두 주제인 인간의 구원과 성도의 삶의 문제를 동시에 말하고 있다. 이것은 이후 이어지는 논증부분(1:18-8:39)이나 적용부분(9:1-15:13)에서도 동일하게 다루어진다. 이런 사실은 사도가 로마서의 명제에서 복음에 대한 두 개의 틀을 세우고, 이 틀에 근거하여 복음을 풀어 논증하고, 그 복음을 로마교회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로마서는 변증적, 명시적, 권면적인 수사학의 성질을 지니고 있음이 드러났고, 그리고 명제에서 선포된 구원과 삶의 복음이 논증부분에서도, 적용부분에서도 동일하게 펼쳐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This article’ Goal is that to find out what rhetorical structure the Apostle Paul had in mind when he was writing Romans and how the rhetorical structure he used influenced Romans. Thesis is that in the rhetorical structure of Romans, the gospel in the proposition(core thesis, 1:16-17) assumes an argumentative burden that leads the entire body of the work excluding the first(1:1-15) and the last(15:14-16:23) part. The gospel in the proposition of Romans(1:16-17) is discussing ‘two themes’ about the salvation of man and the life of Christians from ‘two perspectives’(God’s perspective and man’s perspective). The same treatment applies to the argument parts(1:18-8:39) and the application parts(9:1-15:13). Such facts suggest that the Apostle Paul developed two frameworks for the gospel of the proposition in Romans, which he used to explain and argue for the gospel and applied the result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hristians church in Rome. As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Epistle to the Roman is rhetorical of apologetic, explicitic and deliberative(encouraging) in characteristics. Moreover, the gospel of salvation and life revealed in the proposition is similarly applied in the argument and application parts.

      • KCI등재

        강화되는 지역정체성이 향제줄풍류에 미치는 영향

        정성미(Jeong, Seong-Mi)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6 No.-

        본 연구가 주목한 것은 경제(京制)와 향제(鄕制)와의 긴장관계가 발생하면서 나타난 변화이다. 주요 음악기관과 교육계로 안정적으로 편승한 경제줄풍류(京制줄風流)는 향제줄풍류(鄕制줄風流)의 전승에 매우 위협적인 존재가 되었다. 이로 인한 경·향간의 긴장은 새로운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이 된다. 즉 새로운 풍류단체가 생성되면서 지역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특히 강한 추진력을 가진 리더가 있는 풍류집단에서는 일종의 문화운동으로도 확장되어 대중적인 실천 활동을 모색한다. 지역정체성의 강화는 분명 새로운 풍류단체가 생겨날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점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풍류모임의 구성원들이 요즘 들어 더욱 열의를 보이고 있는 악보화 작업은 일회적이고 자국이 남지 않으며 끊임없이 생동하는 실체인 음악을 고정화·정형화 시키는 부정적인 역할도 한다. 본래 네트워크 교류 확장적이었던 풍류집단의 성격이 폐쇄적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문화재 종목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점차로 다른 지역에서도 강화되는 지역 정체성으로 인하여 특정 단체에 소속된 사람만이 그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폐쇄적 집단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풍류단체의 경우, 전통의 보존이라는 표제어를 전면에 내세우더라도, 이때의 보전이나 전승은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행해져야 할 것이다. 무형문화재 제도 아래서 정형화된 해당 지역만의 풍류음악이 아니라, 오히려 제도와 국가적 이데올로기에 맞설 수 있는 대응논리를 지속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렇게 활발한 재생산 과정을 통해 세대와 세대 간의 소통을 통한 전승이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전통시대 전승되어 온 것과는 다른 방법으로 새로운 경험세계를 구성해 가야 할 것이다. 향제줄풍류는 “나눔과 어울림의 문화여서 자랑스럽다”는 명제가 과거 선배 풍류인들에게 매우 중요했듯이 앞으로 집단 안에서 생산해서 유포하고, 대중들이 향유할 수 있는 가치 있는 명제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이 유산이 지속가능하게 될 것이다. Wha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is the change which happened by the tension between gyeongje and hyangje. Gyeongje julpungryu which settled safely in major musical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has become very threatening to hyangje julpungryu. The tension between the two has become a momentum driving a new change. Namely, as new pungryu groups are organized, solidifying the local communities those groups belong to. Especially, pungryu groups containing leaders with strong driving forces, grow as a kind of cultural campaigns, seeking popular activities. Strengthening of local identity plays a positive role in the sense that it serves as a motive for a new pungryu group can come into being. However, recent efforts by members of pungryu groups to make orally inherited pungryu songs into scores play a negative role of making music which is one-time, not-leaving-trace, incessantly moving being into something fixed and stereotypical. We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pungryu groups which were originally expansive in network exchanges become closed ones. It is partly because of the fact that they are cultural assets. But, it is also because of strengthening local identities where only the members of a specific group can play the music. Even if pungryu groups advertize preservation of tradition, the preservation or transmission should be made in a new paradigm. They should not be stereotypical pungryu music in specific regions protected by the institu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Rather, the groups should continue to invent logic to counter institutional and state ideology. Through such an energetic regeneration process, transmission of pungryu music over generations naturally takes place. a new experiential world must be constructed in a wa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ld times. As the thesis that “We are proud of hyangje julpungryu, because it is culture of sharing and onjoying together” was important to the pungryu men in the past, current pungryu men need to create thesis which is generated and within groups, and distributed to the people, and enjoyed by people. The, this heritage can become sustainable.

      • KCI등재

        강 문화의 무형문화유산적 특징과 의미 -만경강과 동진강을 중심으로-

        정성미 ( Jeong Seongmi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1 한국문화연구 Vol.40 No.-

        강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강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접근방법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각종 개발 사업과 강 문화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강 근처에 사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한 자료가 강과 관련하여 시간, 공간, 주제의 다면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해 줄 수 있을까? 이 연구는 강과 인간과의 관계를 무형문화유산적 관점에서 해석해보았다. 강 가까이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면담조사를 토대로 그들이 강을 기억하고 인식하는 관념을 무형문화유산 속성에 비추어 분석하고 핵심적인 가치를 찾아보았다. 특정 지역을 관통하며 흐르는 강은 친환경적 개발의 대상만이 아니라 해당 지역의 삶과 문화가 가치 있게 조사되고 기록되어야 한다. 강 문화는 고유의 생태계와 통시적으로 인간의 행위가 다양하게 반영되는 과정에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강 문화라고 해서 강과 바다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합수 지점과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 감조하천 구간의 사례를 통해서 확인했다.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내고 있는 중요한 자원으로 바라보고, 학문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자연과의 상호조화를 이루며, 사람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지속해온 사회문화적 속성에 주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river culture. What are some approaches to understanding river culture?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and river culture? Can the data surveyed on people living near the river enable a multi-faceted approach to time, space, and themes related to the river?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ivers and humans and their influence on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ased on interviews with people living near the river, the idea of remembering and recognizing the river was analyzed in the light of the attribut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ts core values were searched. Rivers flowing through a specific area should be investigated and documented in value, as well as eco-friendly development, and the life and culture of the area. This is because river culture can be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variously reflecting human behavior with its own ecosyste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case of the Tidal River section that is affected by seawater that the river culture should not be divided into a dichotomy between the river and the sea. Academic research that can contribute to realizing a rich and prosperous culture should be conducted, seeing it as an important value resource that contain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In other words, research is needed to pursue mutual harmony with nature and pay attention to the socio-cultural attributes that have been shared and sustained among people.

      • KCI등재

        풍류모임 사례를 통해 본 무형문화유산의 재생산 과정

        정성미 ( Seong Mi Jeong ) 세계음악학회 2015 음악과 문화 Vol.33 No.-

        It is believed that a cultural-anthropological approach to “Hyangje J oolpungnyu” can provide a new paradigm to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data analysi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help better understand traditional music including “Hyangje J oolpungnyu”. To understand “Hyangje Joolpungnyu,”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behaviors and consciousness of those who play the music. And then it is also needed to learn the skills to play it directly or study the scores of the music. Many musicologists understand music, recording it by ear and analyzing the scores However, it is hardly true that the subjects of transmission of “Hyangje J oolpungnyu” only play music, no matter who they are, amateurs or professionals. They emphasize that it is the spirit of Pungnyu and the culture of Pungnyubang that are of importance. Therefore, what integrates with ‘intangible’ and ‘cultural values’ are externalized into the operating principles, purpose, and esthetic diversity of Pungnyu groups. The present study started with paying attention to the point. Restoring the culture of Pungnyubang where music and spirit are united is to symboli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inuance of Pungnyu and becomes the base for the reproduction of it through practice. The author would like to stress that this change is one of the original distinctions of Pungnyu. In other words, Pungnyu is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preserving its characteristics, while changing.

      • KCI등재
      • ‘동진강’ 전시를 위한 문화유산 원천소스 개발 및 가치창출

        정성미(Jeong Seongmi),이민석(Lee Minsuk) 무형유산학회 2019 무형유산학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강이 갖는 자연, 사람, 문화라는 세 자원의 범주를 통해 원천소스의 개발과 가치창출을 다룬다. 하나의 전시 소재에 내재된 다양한 원천소스를 찾아내고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문화유산의 활용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박물관은 인문, 사회, 문화예술 등을 포괄하는 인간 및 사회에 관한 전반적인 사유와 지식인 인문적 가치를 주로 다룬다. 박물관 전시에 사용할 원천소스는 일반적으로 문화콘텐츠를 기획․제작할 때 사용되는 본래의 성질이나 바탕 그대로의 자료를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 자체에 내포되어 있는 속성으로 말미암아 문화콘텐츠로서의 원천소스는 그 무한한 범위와 가능성만을 드러낼 뿐 어떤 의미도 설명할 수 없다. 이제 시각을 바꾸고 확장하여 문화융합의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도 중요시 여겨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강을 중심으로 한 문화공간에 내재된 원천소스의 창의적인 가치창출 및 활용, 그리고 가치 확산을 위한 실천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primary source and value creation through three categories such as nature, human, and culture, which are inherent sources of the river. The purpose of this is to seek a way to maximize the utility value of cultural heritage by finding out various primary sources and creating values which are inherent in a single material. Museums mainly cover humanistic values that are overall thinking and knowledge about human and society including humanities, society, arts and culture. In general, primary source to be used in museum exhibitions means the raw material with original nature or basis itself which can be used in planning and producing cultural contents. However, because of the properties inherent in this term itself, primary source as cultural contents can only show endless range and possibilities without explaining any meanings. Now it is required that importance should be attached to the process of culture convergence as well as to the result by changing and extending the perspective. For these, this paper proposes implementation measures for value creation, use, and value proliferation of primary source which is inherent in cultural spaces such as the river.

      • 한복과 인스타그램: 전통과 소셜 미디어의 만남

        정성미(Seongmi Jeong),박세영(Seyoung Park),신동희(Dong-Hee Shin)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최근 젊은층을 중심으로 한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한복을 입고 찍은 사진을 SNS 에 올리는 이른바 ‘한복 인증샷’ 문화는 이를 잘 반영하는 현상이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문화가 디지털 플랫폼을 만나 변용되는 지점에서, 사용자들이 한복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다양한 양상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복 열풍이나 인증샷 문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토대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므로,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하여 경험적 자료(사진과 해시태그)로부터 의미를 발견하고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복"이라는 키워드로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검색한 뒤, 개방 코딩과 축 코딩 단계를 거쳐 자료를 분석하였다. 한복 관련 게시물의 범주는 사진의 중심테마에 따라 크게 한복, 개인 셀피, 단체 셀피, 전통 경관, 자연 및 공원, 스튜디오 촬영 등 22 개의 하위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이는 다시 물품, 의복, 유람, 사건, 문화적 생산의 5 가지의 범주로 통합되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서 한복과 관련된 논의들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봄으로써 한복과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Nowaday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on ‘Hanbok’ (Korean traditional costume)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in Korea. It is well reflected in the phenomenon that people upload photographs of Hanbok on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traditional culture is being transformed in digital platform and how people express their perception through photos and hashtags on Instagram. According to the constructiv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e analyzed the ‘pics of Hanbok’ phenomenon based on the empirical data (photos and hashtags). Postings related Hanbok were sorted as 22 sub-categories (such as Hanbok, Individual selfie, Group selfie, Traditional scenes, Nature or park, Studio, etc.) according to their main theme. And the sub-categories were integrated into 5 categories, which consist of Commodity, Clothing, Sightseeing, Event, and Cultural products. In this study, we explored how cultural heritage is expressed and transformed in social media. This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revival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digital media.

      • KCI등재후보

        줄다리기 당산제 중 진쌓기의 기억과 의미

        정성미(Jeong, Seongmi) 무형유산학회 2018 무형유산학 Vol.3 No.2

        이 연구는 농촌 마을에서 비교적 활발히 전승되고 있는 줄다리기 당산제 과정 중 진쌓기에 대한 마을주민들의 기억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찾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을 집단이 전승해 오고 있는 무형문화유산에 주목하면서 그 전승성과 창조성의 역동적 상호작용이 특히 어떠한 측면에서 유지․강화되고 있는지 살핀다. 원정마을 주민들이 진쌓기를 기억하고 마을전통으로 중요하게 간주하고 있는 주요 특징은 크게 놀이적, 제의적, 경관적, 주민단합을 위한 기능적, 마을 정체성 측면으로 정리할 수 있다. 전 과정에서 놀이적 요소가 가장 강한 진쌓기는 연령과 성별 그리고 원주민과 이주민의 차이를 넘어서 높은 강도로 각인되며 다양한 주체들의 추억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금까지 관련 연구자들이 줄다리기를 연행하고 있는 마을사람들의 기억과 행위를 기반으로 한 인식조사와 문화적 해석에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진쌓기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줄다리기 연구주제의 폭을 넓히고, 구술과 기억의 의미를 동시에 주목해야 특정 무형문화유산을 온전히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mories of town people about jinssatgi, one of the components of tug-of-war that has been rather actively transmitted in farm villages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it. Focusing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at have been transmitted by a town community, this author intends to examine in what aspects particularly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and creativity has been maintained and strengthen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how people in Wonjeong Village remember jinssatgi and regard it to be important as their town tradition can be largely summarized as functional, dynamic, and town identity-related aspects for the sake of playing, rituals, landscape, and community union. In the entire process, jinssatgi equipped with highly playful elements is recognized strongly by the original villagers and also immigrants regardless of their age or sex and positioned as memories in different agents performing it. Up until now, researchers have hardly paid attention to conducting a survey on the memories or behaviors of town people performing tug-of-war or cultural interpretation on it. This study, however,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jinssatgi intensively to widen the range of research topics about tug-of-war and found that a particula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n be understood holistically only when the meaning of oral transmission and memories is figured out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지속가능한 풍류방문화와 풍류객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정성미(Jeong, Seong-Mi) 역사문화학회 2014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7 No.1

        전통사회에서는 적지 않은 지역에서 줄풍류가 전승되어 왔지만 지금은 익산, 정읍, 전주, 부안, 구례, 대전 등지에서 활동하고 있는 풍류 집단에 의해서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 음악분야 이기는 하지만 경향(京鄕)간의 이분법적 선율 분석 연구는 서울을 근거로 발달한 음악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하는 이상으로 이해의 차원을 높이지 못한다. 풍류 집단 구성원 중에서도 전통적인 가치를 중요하게 강조하는 몇몇 회원들은 풍류를 “멋있게 놀면서 주위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고, 나눔의 정신으로 전환시켜낼 수 있는 문화”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즉 진정한 의미에서 풍류음악과 풍류방 문화의 전승은 지역주민들과의 관계에서 이루어낼 수 있는 것이다. 작품의 음악적 수준을 떠나서 왜 풍류방 문화가 보전되어야 하는지 시대적 소명과 명분이 필요하며, 풍류 집단의 지속은 어떤 문화적 의미를 갖고 있는지 살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앞서 밝힌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 활동하고 있는 풍류집단들의 사례를 비교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집단 유지의 작동원리가 무엇인지 어떠한 경험을 통해 현대적인 의미의 새로운 ‘풍류방 문화’를 창조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적인 배경을 둔 전통음악이 전승되는 과정에서 음악적 변이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발현되는 문화적 특성을 밝히는 학술작업이다.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방법론 더불어 전통의 지속가능한 계승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요즈음 기?예능적인 측면만을 강조한 연구만으로는 그 소임을 다할 수 없다. 지식의 본질이나 내용을 온전히 살피기 위해서는 현재 ‘풍류음악’이라는 문화적 표현물 보다는 ‘풍류방 문화’에 내포되어 있는 상징성과 그것이 현대에 와서도 매우 유효한 것으로 살아남아 전승되는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 Although Julpungnyu has been handed down each town in traditional society, now its exitence has been maintained by Pungnyu groups acting in Iksan, Jeongeup, Jeonju, Buan, Gurye, Daejeon, etc. Even though it is the field of music, the analysis of dichotomous melody between Seoul and the provinces doesn’t raise aspect of understanding beyond making the fact the developed music based on Seoul has expanded to all over the country known. Some members of Pungnyu groups emphasizing traditional values importantly said "Pungnyu is culture of being recognized from surroundings, playing great, and of transferring it to the spirit of sharing". In other words, the transmission of Pungnyu music and Pungnyu room culture in the true sense will be done in relation with residents. Calling and justification for the times are needed about why Pungnyu room culture should be preserved, apart from the musical level of the work, and we can examine which cultural meaning continuation of Pungnyu group has. To solve research purposes as noted, this study’s aim is to do a comparative study of cases of Pungnyu groups acting currently. On the other hand, its orientation is to analyse how the maintenance of the group works, which experience makes new ‘Pungnyu room culture’ being created in the modern meaning. This study is an academic work of revealing cultural characteristics expressed variously as well as musical variations in the process traditional music based on regional background is being handed down. With a new interpretation and methodology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recognition on the need for sustainable succession of tradition has been higher nowadays, we can’t fill the role of the duty with studies emphasizing only technical? artistic aspects. To fully investigate the nature or contents of knowledge, the context symbolism implied in ‘Pungnyu room culture’ rather than cultural expression of ‘Pungnyu music’ and it survives as a very effective things in modern and is handed down should be underst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