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장의 세기에 따른 유방 확장기 주위의 인공물 평가

        정동일,김재석,Jung, Dong- Il,Kim, Jae-Se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9

        유방조직확장기의 Magnetic Valve는 MRI 검사 시 영상 인공물이 발생하여 MRI 검사가 제한적이다. MRI 검사가 필요한 유방조직확장기 삽입 환자에 대해 영상 인공물이 진단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자체 제작한 팬텀과 실제 임상 조건을 이용하여 영상 인공물 측정을 실시하였다. 영상 인공물은 1.5 Tesla와 3.0 Tesla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측정되었으며, C-spine, L-spine 검사 시 영상 인공물의 영향이 T-spine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유방암 전이로 인한 MRI 검사가 꼭 필요한 경우 주로 1.5 Tesla에서 Head & Neck 검사와 L-spine 아래 부위를 검사 할 수 있으나 일부 시퀀스에서는 영상 인공물로 인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유방조직확장기 삽입 환자의 MRI 검사는 안전성 측면에서는 3.0T는 피하고 1.5T에서 조건부로 가능하다. The magnetic valve of the breast tissue expander generates imaging artifacts during MRI examination, so MRI examination is limi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maging artifacts on the diagnosis area for patients with breast tissue expander who need MRI examination. Imaging artifacts were measured using self-made phantoms and actual clinical conditions. Imaging artifacts were meas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1.5 Tesla and 3.0 Tesla, and the effects of imaging artifacts were less in the C-spine and L-spine tests. If MRI due to breast cancer metastasis is absolutely necessary, head & neck examination and L-spine can be examined mainly at 1.5 Tesla, but some sequences may cause distortion due to image artifacts. In terms of safety, MRI scans of patients with breast tissue expanders can be performed conditionally at 1.5T, avoiding 3.0T.

      • KCI등재

        인적자원, 전공, 산업융합의 구조: 비대칭 이분네트워크의 활용

        정동일,오중산,Jung, Dong-Il,Oh, Joongsan 대한산업경영학회 2021 산업융합연구 Vol.19 No.5

        산업융합의 거시적 양상을 다루는 기존 연구는 주로 지식과 기술이 구체화된 특허나 재화/서비스의 산업간 네트워크에 초점을 두었다. 이 논문은 지식과 기술을 체화한 인적자원이 산업과 직업의 융합을 주도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매개체라고 본다. 최근 5개년도 GOMS 자료에 나타난 대졸자 전공 및 일자리 정보를 활용하여 산업(직업)융합의 거시적 양상과 그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분석전략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전공과 일자리 정보를 토대로 전공↔산업(직업)의 비대칭 이분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산업(직업)의 적소범위, 관련 전공의 평균 적소범위라는 두 축을 교차하여 전문주의, 종합주의, 국지적 융합, 융합 등 총 4가지 산업(직업)군을 분류하였다. 융합산업(직업)은 특정 분야에서 국지적 융합성이 높은 다수의 전공으로부터 인적자원을 폭넓게 공급받는 산업(직업)이라고 볼 수 있다. 탐색적 분석결과를 토대로 함의를 도출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Prior research regarding the macro patterns of industry convergence has focused on the inter-industry patent network and cross-industry movements of products or services. This article provides a novel approach, according to which human resources embodying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and technologies are important media driving industry convergence. Drawing on GOMS data (2015-2019) and using information of university graduates' academic majors and their occupations, this article proposes an analytic strategy by which to understand the macro patterns and structural features of industry convergence. Specifically, we build unbalanced bipartite networks of major-industry (occupation) relations, and construct the measures of the industry's niche width and the measure of the average degree of convergence of majors that each industry is linked to. By crossing the two measures, we identify four groups of industries(occupations); specialist, generalist, partial convergence, and full convergence. The convergence group is composed of industries (occupations) that acquire human resources from a number of academic majors each of which plays a role of glue connecting several local industries.

      • KCI등재

        제도적 네트워크, 중층적 배태성, 조직 관행의 확산

        정동일(Dong-Il J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4

        조직 관행의 확산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하나의 네트워크, 제도적 환경, 조직군 속에서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조직들 간에 이루어지는 확산에 관심을 집중해왔다. 하지만 조직 관행의 확산은 여러 네트워크나 조직군을 거쳐서 일어날 수도 있다. 이 논문은 특정 네트워크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조직이라도, 그 네트워크에 배태되어 있는 행위자와의 지속적 관계를 통해 그 네트워크에서 유발되는 제도적 압력에 노출되는 것을 중층적 배태성(two-fold embeddedness)으로 개념화하고, 이에 기초하여 조직 관행의 국제적 확산 과정을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1995년부터 2008년까지 116개 국가의 ISO 14001 환경경영표준 인증기업 수에 대한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각국 정부들 간에 형성된 다자간 환경 협약의 제도적 네트워크가 어떻게 서로 다른 국가에 위치한 기업들 간의 조직 관행 확산을 견인하는지 살펴본다. 분석 결과, 세계 각국의 정부들이 참여하는 다자간 국제 환경 협약 네트워크는 ISO 14001의 국제적 확산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에 대한 환경 규제의 필요성이 높은 경우, 그리고 정부가 자국 기업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ISO 14001 인증에 대한 국제 제도의 압력이 기업에 더 크게 전달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국제 제도 네트워크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정부가 자국 기업에 제도적 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했으며, 그 역할의 효과는 정부와 기업 간 관계의 속성에 따라 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국제 제도와 정부-기업 간 관계의 속성이 ISO 14001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대신, 국제 무역 및 투자 관계, 국가 간 언어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환경경영 활동에 대한 일반화된 국제 규범이 강화되면서, 기업들 간의 직접적 상호 작용 네트워크가 국제 제도 네트워크와 중층적 배태성의 역할을 대체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는 조직 관행의 확산이 조직들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배태된 조직들 간의 간접적 연결을 통해서 일어날 수도 있으며, 두 가지 기제의 상대적 중요성은 확산이 진행되면서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Much research on diffusion has paid exclusive attention to the spread of ideas and organizational practices within a single network or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highlighted the role of structural and cultural embeddedness therein. An underlying assumption in this line of research tradition is that a network or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is a rather closed system, unaffected by the influence from other networks or institutional environments: therefore, an organization interacts with organizations in a closed system, but not with organizations outside. However, this assumption is implausible. Since organizations actually participate in multiple networks and multiple environments, organizational practices can travel through multiple networks, and organizations in one institutional environment can learn about organizational practices that are legitimate in other environments. To fill this gap, this paper proposes the concept of two-fold embeddedness, referring to the state in which an organization is not a member of an institutional network, but indirectly connected to the network via connection with organizations which are directly embedded in this network. This postulates that an organization can adopt a practice as a response to institutional pressures arising from a rather remote network, insofar as it has an embedded relationship with other organizations that are embedded in that network.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the theory of two-fold embeddedness by using panel data on ISO 14001 environmental management standard certification in 116 countries from 1995 to 2008, focusing on the role of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nstitutions (specifically, inter-governmental environment agreements) in the cross-national diffusion of a organization-level practice, i.e., ISO 14001 standard. Several hypotheses are proposed. Since firms are connected to international institutional networks(specifically, inter-governmental environmental agreement networks) through an embedded relationship with their government, the adoption rate of ISO 14001 in a country will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embeddedness of its government in such institutional networks (H-1). This hypothesis suggests that inter-governmental institutions are not only a source of institutional pressures, but a conduit for the international diffusion of an organizational practice. The next two hypotheses investigate the cross-national heterogeneity in the diffusion speed. I argue that the effect of embeddedness in inter-governmental networks can be moderated by the nature of the embedded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firms. If firms depend on the government for critical resources, they are likely to adopt patterns of behavior endorsed by the government. Therefore, the government will be able to readily transmit macro institutional pressures to firms within its territory. This leads to the second hypothesis: the level of dependence of firms on the government will moderate the effect hypothesized in H-1 (H-2). Likewise, if the government is deeply embedded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nstitutions and finds the need for tight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domestic firms, it will likely encourage firms to adopt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like ISO 14001. Thus, the need for environmental regulations will moderate the effect hypothesized in H-1 (H-3). Finally, three additional hypotheses are proposed, which test temporal heterogeneity in diffusion mechanisms. Identifying two types of institutional pressures, I argue that network-specific institutional pressures are gradually replaced by diffuse ones, as transnational environmental norms emerge and a variety of institutional actors such as NGOs, consumers, and competitors take over the roles previously played by governments and environmental agreement networks.

      • KCI등재

        가교 혹은 함정? 노동시장 구조와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형태 전환에 대한 연구

        정동일(Dong Il Jung),권순원(Soon Won Kw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2

        비정규직이 제도화된 고용관행으로 정착되면서 비정규직의 성격을 규명하고 관련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 논문은 비정규직이 정규직으로 가기 위한 입직구라는 가교론과 한 번 발을 들여놓으면 헤어 나오기 힘든 함정이라는 함정론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패턴과 그 성격을 살펴본다. 가교론에 따르면, 비정규직은 선별기제와 범용적 인적자본 축적의 기제이기 때문에, 현 직장 내외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함정론에서는 비정규직을 비용절감 기제인 동시에 상흔기제로 파악하며, 따라서 동일 직장 내에서는 물론이고 다른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는 2010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고용노동부에서 수집한 「고용형태별 근로자패널조사」 1차-9차 자료를 활용하여 노동시장의 분절성을 평가하고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 패턴과 그 기제에 대한 탐색적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구와 달리 정규직 노동시장과 비정규직 노동시장 간에는 뚜렷한 단절이 존재하고, 따라서 비정규직은 가교라기보다는 함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정규직 전환 이후 단기간 내에 비정규직으로 복귀하거나 실업으로 전락하는 사례가 많아, 장기적인 정규직 안착률은 극히 낮았다. 둘째,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비정규직 노동시장 내에도 일정한 분절이 존재한다. 높은 기술 수준을 요하는 핵심 업무에서는 비정규직이 부분적으로나마 선별기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광범하게 존재하는 비핵심 업무의 비정규직은 장기적인 상흔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직장 내의 정규직 전환과 직장이동을 동반한 정규직전환의 설명 요인을 비교한 결과, 전자의 경우는 임금수준, 복지혜택 등 근로조건이, 후자의 경우는 인적자본이 정규직 전환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미 선별을 통과한 비정규직을 중심으로 한 준내부 노동시장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노동시장에서 배제된 비정규직 중 인적자본을 갖춘 일부 근로자들이 직장 이동을 동반하여 정규직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With a burgeoning interest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ontingent work, scholars have begun to tackle such issues as workforce divide and emerging form of labor relations. One critical issue to assess is the extent to which stable permanent jobs are open to contingent workers. Focusing on the debate over whether contingent jobs function as a bridge to permanent employment or a trap that keeps workers locked in ongoing contingent work or unemployment,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s of transition from contingent to permanent employment and the mechanisms involved in such transition. Using the panel data from April 2010 to October 2012, we investigate whether and how the labor market is divided and what kinds of mechanisms are involved in crossing the divide. We found that a contingent job functions as a trap, leading to persistent unstable employment along with intermittent unemployment. Furthermore, we also found that the contingent labor market is not only separated from the internal labor market, but also internally divided.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the mechanisms involved in intra-firm transition differ from those in inter-firm transition: whereas intra-firm transition is more associated with work conditions, inter-firm transition is more associated with human capital components. This suggests that firms often pre-select qualified contingent workers into the quasi-internal labor market so that they can fill vacancies for permanent jobs or new hiring positions when available. Contingent workers excluded from the quasi-internal labor market can obtain permanent jobs in other firms only if they have qualified human capital.

      • KCI등재

        사회적 기업에 관한 학문적 담론의 확산과 그 제도적 논리의 변화

        정동일(JUNG Dong Il) 지역사회학회 2015 지역사회학 Vol.16 No.3

        이 논문은 2001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사회적 기업 관련 논문 244개에 대한 담론분석을 수행하여 사회적 기업과 관련된 학문적 담론의 확산 및 진화 과정을 탐색적 차원에서 살펴본다. 사회적 기업에 관한 초기의 관심은 주로 사회복지학 및 행정학 분야에서 시작되어 사회학분야로 확산되었으며, 사회적 기업에 관한 법률적 제도화가 이루어진 이후 경영학 분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그 과정에서 사회적 기업을 떠받치는 제도적 논리도 일정한 변화를 보였다. 대안적 사회경제 시스템 구축을 통한 사회 개혁을 추구하는 개혁논리, 취약계층의 자립과 자활을 강조하는 복지ㆍ정책논리는 빠르게 쇠퇴한 반면, 개별 사회적 기업의 시장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수익창출에 방점을 둔 경제논리가 학문적 담론 내에서 크게 확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경영학 분야뿐만 아니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사회복지학, 행정학, 사회학 분야에서도 공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전체적으로 경제논리는 그 중심성이 증가하면서 복지ㆍ정책논리를 일부 흡수했으며, 개혁논리는 여타 논리들과 단절된 채 주변화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상기한 세 가지 논리를 엮어줄 수 있는 핵심 개념이 경제논리에 포섭되거나 배제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연결 개념 중 하나인 '지역사회'는 초기에는 세 가지 논리들 사이에서 핵심적인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했던 반면, 최근에는 학술담론의 주변부로 밀려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논리뿐만 아니라 개혁논리에서도 '지역사회'가 주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적 기업이 무엇이며, 왜 존재해야 하는가에 대한 선언적 정의를 넘어서는 규범적 제도화가 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법률적 제도화가 빠르게 이루어진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향후 사회적 기업과 관련된 다양한 제도적 논리들을 결합하여 일관성 있는 규범적 인식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ffusion and evolution of academic discourse concerning social enterprise in Korea, by performing discourse analysis of 244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01 to 2014. Results show that the interest in social enterprise first emerged in the disciplines of social welfare and public adminstration, then diffused to sociology, and finally to management especially after the legal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enterprise. Such inter-disciplinary diffusion was accompanied by the transformation of institutional logics embedded in the discourse of social enterprise. While the economic logic (social enterprise as an economic organization that must survive and prosper in the market) gradually infiltrated the center of the academic discourse, co-opting some part of the welfare logic (social enterprise as a welfare organization that provide employment and deliver social service to under-privileged people), the reformist logic (social enterprise as an social movement organization that seeks for an alternative socio-economic system to neoliberal capitalism) was marginalized and isolated. I then analyze how the position of the term 'local community' changed in the vocabulary network, finding that the term, once playing a bridge role among three institutional logics, became disconnected not only from the economic logic and but also from the reformist logic. I argue that legal institutionalization without normative institutionalization may be partly responsible for the increasing disappearance of local community in the academic discourse about social enterprise, suggesting that institutional work is needed to elevate social enterprise to a socially and economically sustainable institution.

      • KCI등재

        낙후지역의 벤치마킹 대상 선정과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

        정동일(JUNG Dong-Il) 지역사회학회 2014 지역사회학 Vol.15 No.2

        지방자치제도가 도입되고 상향식 지역발전 모델로의 정책적 변화가 진행되면서 낙후된 농어촌 지역사회의 벤치마킹 활동이 크게 증가했다. 성공적 지역발전의 경험이 빈약하고 내재적 발전 역량과 관련 정보가 턱없이 부족한 낙후지역들은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과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다른 지역의 경험을 분석하고 학습하고 있다. 이 논문은 22개 낙후지역 리더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낙후지역들이 어떠한 기준으로 벤치마킹의 대상을 선정하며, 그 기준이 지역발전을 위한 학습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살펴본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벤치마킹의 대상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은 크게 우월성과 유사성로 나뉜다. '최고'의 논리를 지향하는 우월성의 기준은 객관적 발전성과나 사회적 평판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다. 반면 '최적'의 논리에 바탕을 둔 유사성의 기준은 산업구조, 발전정도, 핵심 사업 등에서 유사한 지역을 우선적인 벤치마킹 대상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낙후지역은 전반적으로 유사성의 기준보다는 우월성의 기준을 더욱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발전성과를 보인 지역이나 사회적, 공식적 평가가 좋은 지역으로부터 정보와 아이디어를 얻고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벤치마킹의 효과성 면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즉 우월한 지역보다는 유사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으로부터 보다 유용한 정보를 획득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벤치마킹 대상의 선정에 있어서 상당한 편의(bias)가 개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결과를 볼 때, 맹목적으로 '최고'의 지역만을 벤치마킹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선택일 수 있으며, 오히려 지역의 역사와 맥락, 환경을 고려하여 적합한 대상을 벤치마킹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introduction of local self-governing system and the gradual expansion of the bottom-up approach to community development have sparked a diffusion of benchmarking activities by backward communities. Lacking internal resources and ideas as well as prior experiences in successful local development, backward communities have looked to others for imitation and emulation. Drawing on a survey of local leaders from 22 backward communities, this paper examines two broad questions. First, who did they attempt to emulate? Some communities benchmarked themselves against superior others, that is, the most developed and visible communities with high reputation (superiority logic), while other communities benchmarked against similar others in terms of industry structure, core project, and development level (similarity logic). We find that backward communities relied more on the superiority logic than the similarity logic. Second, which logic is conducive to more effective learning? Here we find a different story. The similarity logic was more closely related to effectiveness than the superiority logic: community leaders who benchmarked against communities with similar industry structure, core project, and development level were able to obtain more useful information than leaders who benchmarked against superior communities. This implies that the blind imitation of the 'best' might be a risky decision making. Further, to make benchmarking activities more useful, backward communities must carefully select 'suitable' benchmarks with historical, contextual, and environmental similarity.

      • KCI등재

        복수학위 네트워크와 전공융합의 구조 : 사회네트워크 분석의 적용

        정동일(Dong-Il Ju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5

        이 연구는 4년제 대학생의 복수학위전공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학과 간 융합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 2019년 『GOMS』 자료와 사회네트워크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복수학위전공 네트워크의 거시적 특징, 계열 간 융합의 구조, 네트워크에서 각 학과가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 등을 분석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학위전공 네트워크는 중심부와 주변부가 명확히 분화된 위계적 구조를 보이며, 중심부의 높은 응집성은 이행형 삼자관계의 중첩적 결합에 그 미시적 기초를 두고 있다. 둘째, 계열 내 연결에 비해 계열간 연결의 비중이 3배가량 높았으나, 계열 간 연결은 경영학 중심의 경영계열과 학문적 다양성이 높은 사회과학계열로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부 계열을 제외하면 계열 간 전공융합이 그렇게 활발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블록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총 9개 블록이 나타났는데, 이들 블록은 네트워크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자족형, 순환형, 배출형, 징검다리형, 저수지형 등 5개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결과는 전공 간 융합의 형태가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향후 개별 전공의 구조적 속성, 나아가 주전공-복수전공 쌍의 네트워크 특성이 복수학위전공자의 노동시장 성과 및 경력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도 있게 탐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purports to explore the structural features of inter-departmental convergence by examining the dual degree network emerging from a col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choices of minor fields. In so doing, the paper used GOMS data (2019) and applied social network analysis, investigating the macro-structure of the dual degree network, sub-structure of intra- and inter-college ties, and the roles and positions each department occupies in the network. The dual degree network is found to be scale-free, with the strong segregation between core and periphery, which results from overlaps of cohesive triadic relations among a few core departments and relatively sparse network among peripheral departments. In addition, the blockmodeling reveals that departments can be grouped into nine blocks with five different network roles (independent, circular, distributor, linking, and reservoir), suggesting that departments can perform at least three different roles in knowledge convergence in universities; core platform, brokering convergence, short-distance convergence.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how structural features of the department an individual student selects for minor such as centrality, ego-homophily, and major-minor distance can affect students’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career development.

      • 실물옵션 모형을 이용한 토지개발사업 옵션가치 연구

        정동일 ( Dong Il Jung ) 한국수자원공사(K-water) 2013 저널 물 정책·경제 Vol.22 No.-

        토지개발사업에서 실물옵션 기법은 기존 전통적 DCF 투자의사결정방법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한다. 즉 전통적 평가법은 프로젝트의 유입, 유출 현금흐름에 대한 예측에 기초하여 요구수익률로 현재가치화한 가치를 비교한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규모로 투자 의사결정을 한다. 하지만 유입, 유출 현금흐름의 추정 자체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NPV에 의한 의사결정 자체가 확률적 위험하에 놓이게 되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이에 반해 실물옵션 기법은 일괄투자 대신에 전체 또는 단계별 지연투자 이익을 산정해낼 수 있다. 사업 위험을 분석의 틀 안에서 고려하여 미래 상황 변화에 따른 투자 의사결정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사업 불확실성과 투자의 비가역성 문제를 회피 가능한 문제로 풀어내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초로 하천주변 토지개발사업 사례 중의 하나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블랙-숄즈모형을 이용한 옵션가치를 산정하고 전통적 현금흐름 할인법에 의한 가치와 비교분석하였다. The real option method overcomes limitations of a traditional DCF(Discounted Cash Flow) Decisionmaking on a investment in the land development business. That is, the traditional DCF method makes decision of an investment on the basis of NPV(Net Present Value) which is the result to discount cashin and cash-out flows by required rate of return. But the estimation of cashflows of a project has many uncertainties. Then the decision-making by NPV method has limits in being at probabilistic risk. On the other hand, the real option method is able to calculate a benefit of step by step delay investments instead of a bundle investment. The method makes the problem avoidable that is related to the business uncertainty and the investment non-reversibility, by showing the principle of an investment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future circumstances change and by considerating the business risks in the frame of the method. This study compares estimating the option value using the the blackscholes model with estimating the project value using the traditional DCF model on the a case of the land development projects arround a river.

      • KCI등재

        매니지먼트 패션의 사회적 구성

        정동일(Dong-Il Jung)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6

        많은 조직혁신 프로그램들이 조직성과 향상을 위한 만병통치약처럼 여겨져서 빠르게 확산되었지만 머지않아 인기를 잃고 빠르게 소멸해 왔다. 이 같은 프로그램들, 그리고 그들이 내포하고 있는 조직혁신에 대한 집단적인 신념을 매니지먼트 패션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신념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패션을 구성하는 원리나 내용은 시간과 상황에 따라 변한다. 이 논문은 최근까지 미국 경영계를 휩쓸었던 총체적 품질 경영(TQM)의 내용적 진화과정을 매니지먼트 패션의 주요 공급자인 컨설팅 회사들의 TQM 시장 퇴거라는 현상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특히 조직의 활동과 드러낸 목표가 어느 정도 통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조직 정체성과, 경쟁 관계에 있는 프로그램 혹은 이를 제공하는 컨설팅 회사들과의 경쟁이 TQM 시장 퇴거율에 어떤 효과를 갖는지 살펴본다. TQM이 패션 붐에 있을 때에는 조직의 역량이나 활동과 관계없이 많은 컨설팅 회사들이 시장의 매력 때문에 TQM 시장에 진입하지만, 일단 붐이 꺼지고 나면, 그 서비스 활동이 TQM의 핵심원리와 분리되어 있는 회사들이 그렇지 않은 회사에 비해 빠르게 시장에서 빠져 나갔다. 또한 TQM의 기술적 핵심 요소인 품질관리를 제공하는 회사보다는 조직행동적인 요소인 인사관리를 제공하는 회사의 시장 퇴거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패턴은 TQM의 경쟁자인 리엔지니어링이 빠르게 확산되는 시기에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컨설팅 회사들이 정의하는 TQM은 규범적인 측면이 점점 약화되는 대신 기술적 전문성이 중요해지는 방향으로 진화되어 갔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매니지먼트 패션 연구와 조직이론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점을 논의한다. Many management programs are initially believed to be universal quick fix solutions to existing organizational problems, but such beliefs or so-called ‘management fashions’ are soon rejected by the business community. Much of the literature on management fashion has paid attention to the lifecycles of fashionable ideas and practices, but been silent about the 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ir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examines the evolution of Total Quality Management(TQM) in the US, by focusing on management consultants’ exit from the TQM market. Such theoretical concepts as fashion identity and interfashion competition are advanced to explain the differential rates of exit from the TQM market. When TQM was in fashion, many consultants, regardless of their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r activities, entered the market. During the bust, however, A looser integration of organizational activities into TQM principles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r rate of exit from the market. It is also found that this pattern was mediated by competitive threats stemming from the rise and diffusion of the rival management fashion. As a result, the population of TQM consultants has evolved toward technical rather than behavioral expertise. The contributions this study would make to management fashion studies and organization theor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세계화와 경제적 네트워크의 사회적 배태성

        정동일(Dong-Il Jung)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1

        경제적 세계화가 진전되면서 통일된 자유 시장에 걸맞은 시장친화적 규제 시스템과 이에 기반한 표준 조직관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수렴론자들은 세계 경제 통합이 가속화되면서 표준관행이 전 지구적으로 자연스럽게 확산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세계 시장에 참여하는 조직들은 시장의 기능적 요구를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시장친화적 표준관행을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일부 연구자들은 세계화를 지탱하는 경제적 네트워크가 사회적 관계에 배태되어 있으며, 따라서 경제적 네트워크를 통한 표준관행의 확산은 경제적, 사회적 관계의 균열을 따라 발생하는 국지적인 현상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대표적인 시장친화적 관행인 ISO 14001 환경표준의 국제적 확산 과정과 그 기제를 탐구함으로써 이러한 논쟁에 기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국가 간 무역 네트워크가 ISO 14001의 국제적 확산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그 역할이 국가들 간에 형성되어 있는 사회적, 지리적, 역사적 관계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가의 ISO 14001 인증기업 수는 무역 총량뿐만 아니라, 무역 상대국의 ISO 14001 활동, 나아가 무역 관계에 있는 국가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특수한 사회적 관계의 속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무역 상대국의 ISO 14001 활동이 활발할수록 해당 국가의 ISO 14001 인증기업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가 간 무역 네트워크가 강제적, 모방적압력 등 사회적 영향력을 운반하는 통로라는 점을 확인해 준다. 또한 무역 관계가 확산에 미치는 효과는 일률적이기보다는 역사적, 사회적 관계의 속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권력이 높은 국가, 동일 언어 사용 국가, 그리고 과거 식민 지배 국가와의 무역 관계가 ISO 14001 인증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확산 통로로서의 경제적 네트워크가 국가간의 사회적 관계 속에 깊이 배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세계화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시장친화적 표준관행의 확산은 여전히 사회적 관계의 맥락에 따라 국지화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Recent discussions of economic globalization have revived the interest in market-oriented regulatory systems and standardized organizational practices that work on the free global market. Convergence advocates argue that economic integration, coupled with functionalist requirements of managing global economies, induces the worldwide diffusion of global standards. Others point to the embeddedness of global economic network, suggesting that global standards tend to spread along the social as well as economic dimensions. To contribute to the convergence-divergence debate, this paper examines the cross-national diffusion of the ISO 14001 environmental management standard - one of the most popular market-oriented and business-friendly global standards ? among 115 countries from 1995 to 2008. The paper analyzes the roles of trade networks embedded in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relations to specific trading partners. I found that the number of ISO 14001 certificates is likely to be higher in countries whose trading partners have strong ISO 14001 activity, suggesting that trade networks are channels through which social influences flow across countries. In addition, findings show that the effect of trade relations is likely to be higher, when major trading partners are OECD countries, previous colonial rulers, and countries that use the same language. This implies that global economic networks as diffusion channels are embedded in social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