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화 염불(선)의 실천 생활화 고찰

        정기옥(鄭箕玉(無如))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0 No.-

        본 논문은 염불의 이론이 아니며, 청화 생전에 그가 주장했던 염불의 실천과 생활화를 고찰하기 위함이다. 즉 어떻게 하면 염불을 좀 더 가까이 하여, 수행자는 오묘한 자기 마음을 깨달아 여실지혜(如實智慧)를 얻고, 일반 중생들은 마음속의 괴로움과 집착을 내려놓고 신심을 일으킬 수 있는지를 알아 볼 것이다. 먼저 청화 법문 속에 표현된 청화 염불 관(론)의 주요한 부분을 분야별로 발췌하여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는 청화가 주장했던 염불과 염불 선을 어떤 방법으로 실천 생활화 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것은 사찰의 수행자, 재가불자 포함 일반 중생들 이렇게 나뉘어 그 방법을 연구하였다. 근세의 선지식 중에서, 무주당 청화는 생전에 염불과 염불선 수행에 대하여 그 중요함을 끊임없이 주장하였다. 그러나 선불교 중심의 한국 불교풍토 에서는, 염불은 중생들의 타력 신앙으로 하근기(下根機) 사람들과 외도들이 하는 수행으로 폄하 되었으며, 간화선의 참선만이 유일한 최고의 상근기(上根機) 수행법이었다. 청화 열반 후, 염불의 중요성이 다시 인식됨과 더불어, 청화의 원통사상과 염불(선)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그것은 대학의 학위논문 및 학회지 주제로 그리고 청화사상연구회 주간 매년 발표하고 있는 학술세미나 등이다. 그렇기 때문에 청화 염불(선)에 대한 이론은 이미 상당부분 정립 되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실천하느냐의 문제이다. 우리가 염불 수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첫째, 염불수행은 언제 하는 것이 좋은가? 둘째, 염불 수행은 어떤 방법으로 할 것인가? 稱名念佛이 좋은가 觀相念佛이 좋은가? 셋째, 정토의 他方淨土 親見彌陀 인가, 육조단경의 唯心淨土 自性彌陀의 견해인가? 넷째, 염불을 공안과 같이 念佛禪까지 끌어 올려 참구 할 것인가? 등이다. 이런 의문 사항도 청화의 염불 론을 자세히 읽다보면, 본인의 근기에 맞는 합당한 수행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삼보를 염하는 마음은 불도를 이룰 때까지 놓지 않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염불, 염법, 염승은 불교의 시작이고 끝이다. 삼보 중에서도 염불은 불교의 근본이다. 염불로써 신심을 얻고 신심에서 안심을 얻어 어떠한 어려움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신심결정(信心決定)에 이르렀을 때 참다운 수행을 할 수 있다. 또한 염불은 수행 중에 제 장애가 발생하지 않고, 참회를 하면서 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공덕을 지을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오늘의 한국 불교가 새롭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대와 근기에 상응하는 대중적인 수행 매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 대안으로 염불이 불교의 근본임을 믿는다. This thesis is not a theory of "Buddha chanting", but it is intended to study the practice of the "Buddha chanting", which was insisted by the Master Cheonghwa when he was alive, and making it as a part of life. In other words, this thesis is going to find the way how the ‘practitioners of Buddha’s teaching and precepts’ can realize their mysterious mind and obtain the ‘wisdom of true-suchness’ through taking the Buddha chanting closer and how the general common people can put down their bitterness and attachment in their mind and become pious. At first, after taking a look at the excerpts by field on the major parts of the Master Cheonghwa’s view (theory) about Buddha chanting expressed in his dharma speech, I am going to study how to practice and make the Buddha chanting and the chanting meditation, insisted by the Master Chenghwa, into a way of life in three sectors such as by ‘practitioners of Buddha’s teaching and precepts’, lay Buddhists and general common people, and temples. Out of the enlightened ones in modern times, the Master Mujudang Cheonghwa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Buddha chanting and practice of chanting meditation without pause when he was alive. However, Buddha chanting has been deemed as the other-power of common people and denounced as a practice that is performed by the persons, who are lesserminded, and non-Buddhists in the Korean Buddhism culture which has been centered with Zen Buddhism, and the word contemplation meditation has been the best practice method of the high-minded. After the Master Cheonghwa passed away, the Buddha chanting has been newly recognized important, and studies on the Buddha chanting (chanting meditation) of the Master Cheonghwa are continuously underway. It has turned into the subjects of university dissertation, academic journal, the academic seminar held every year by the Chunghwa Thought Research Society, and so forth. Therefore, it is judged that a significant part of the theory on Buddha chanting (chanting meditation) of the Master Cheonghwa has been already established. The important problem is how to make it a practical way of life. There may occur various kinds of doubt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Buddha chanting. ‘When is it appropriate for us to practice the Buddha chanting?’ comes first. And secondly, ‘In what way should we practice the Buddha chanting?’ Chanting the name of Buddha is good or contemplating the marks of Buddha is good? Thirdly, is it ‘having the honor to personally meet Amitabha Buddha’ in ‘the pure land limited to a certain location such as the Pure Land in the West where Amitabha Buddha is preaching to deliver sentient beings’ or the view of ‘the Pure-land of Amitabha Buddha in selfnature and mind’ preached in the Sutra of Huineng, i.e.,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Fourthly, do we have to pull the "Buddha chanting" up to the "chanting meditation", and practice it with concentrating our mind? Even for these questions, if reading the Master Cheonghwa’s theory of Buddha chanting, You may find a proper way of practice suitable to your own ability. We must not let go of our wish for the three treasures of Buddhism until we attain enlightenment. On this account, chanting Buddha, chanting dharma and chanting Buddhist community is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Buddhism. Buddha chanting among the three jewels of Buddhism is the foundation of Buddhism. When obtaining the faith through Buddha chanting, achieving a peaceful mind from the faith, and attaining the immovable faith, you can perform a true practice. In addition, Buddha chanting has many merits such as no hindrance in the middle of practice, practice in repentance, and simultaneous conducting of good deed. A popular medium of practice corresponding to the time and capability is urgently required so that today’s Korean Buddhism can be newly developed. As an alternative, I believe that the Buddha chanting is the basis of Buddhism.

      • KCI등재

        불교 방생의 올바른 이해

        정기옥(鄭箕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6 No.-

        본 논문은, 불교에서 행하고 있는 방생의식이 일반인들에게 잘못 인식되고 왜곡된 부분이 많아서 그 참 뜻을 올바로 이해 하고자 함이다. 방생의 참 의미는, 살아있는 생명체들이 어려움 없이 살아갈 수 있도록 생존환경(터전)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것이 생태환경이고 불교의 생명존중사상이다. 방생은 단지 물고기나 동물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인간 생활에도 똑 같이 적용된다. 즉 살생을 금하는 것은 소극적인 선행이며, 방생 그 자체는 적극적인 선행을 실천하는 작선이다. 세상의 모든 존재들은 인연과 업에 따라서 육도 윤회한다. 모든 생물체는 불성이 있으며 모두 다 스스로 존귀하다. 본래 불교에서 행하는 방생의 의미는 자기만을 이롭게 하는 행위가 아니며, 중생구제라는 수행의 방편이다. 바로 자리이타 정신이다.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 행하며 실천하는 것이 방생이다. 고통 받는 중생에게서 고통의 여건을 제거하고 복된 삶을 살도록 돕는 것이 방생의 참 뜻이다. 그것은 인간만의 생존조건을 개선하고자 함이 아니며,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들에게 괴로움 없이 더불어 살 생존조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생명체가 없으면 나도 존재 할 수 없다. 내가 존재하기 위해서 다른 생명체도 존재해야 한다. 이것이 불교의 연기이고 자비이며 생명존중사상의 근간이다. 따라서 실천 활동인 방생의 의미는 인간 생존을 위한 존재의 당위이고 필연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ightly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the rite of "releasing living creatures" that is practiced in since there are many parts misunderstood and distorted much to the general public. The true meaning of "releasing living creatures" is to create and provide a living environment (i.e., site of living) so that living things can live without difficulty. This is the very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life-respect philosophy of Buddhism. "Releasing living creatures" is to practice good deeds releasing the life that has been caught, saving the life in danger of death, and improving the conditions for the living creatures, which are hard to live, to live without pain. This is not limited just to a fish or an animal, but the same applies to human life. It is because that "releasing living creatures" has been known to the public as if releasing caught fish is all of it, distorted and diminished as the main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nly a lot of negative aspects have been highlighted. Originally, the meaning of "releasing living creatures" performed in Buddhism is not an act of benefiting oneself alone, but a skillful means of undergoing practice called the deliverance of sentient beings. This is the very spirit that perfecting of others is perfecting of oneself. It is "releasing living creatures" to act and practice depending upon Buddha"s teaching. It is the true meaning of "releasing living creatures" to remove the conditions of pain from all suffering living beings so that they can live a blessed life. "Releasing living creatures" is not intended to improve the survival conditions only for human beings alone, but to provide the survival conditions that all living things on Earth live together without suffering. In other words, it is to create environmental conditions so that all living beings in human society and in nature can live a healthy ecological life as they are. Without other living being, I cannot exist. In order for me to exist, other life must exist. This is "arising from causation" and "releasing living creatures" in Buddhism. And, it is the root of the thought of mercy and that of respect for life. Therefore, the meaning of "releasing living creatures", which is a practical activity, is imperative and inevitable for human survival.

      • KCI등재

        도심 취약지역 불교 포교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연구

        정기옥(鄭箕玉),박재현(朴在顯)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0 No.-

        포교를 기준으로 한국 불교계의 현실을 진단할 때 타 종교계와 현격히 구별되는 점은, 신도심 지역과 도심 취약지역 포교를 소홀히 함으로써 종교로써 불교의 역할과 영향력을 급격히 상실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하여 접근성이 높은 도심 포교 사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어린이 및 청소년 포교가 실종되고 있다. 급격한 도시화로 인구의 도시 집중화도 빠르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종교와 종교 간의 편차, 같은 종교 간 그리고 사회 계층 간 빈부격차는 오히려 심화되고 있으며 불교 포교의 취약 지역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급격한 사회 변화와 종교의식 및 상황의 변화에 불교는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 도심 포교 활성화는 불교계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제기된 문제점이다. 특히 20세 이하에서 불교와 기독교 인구 격차가 계속 벌어지고 있는 현실은 신도심과 도심 변두리 소외(취약)지역에 사찰이나 포교당 숫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큰 원인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취약지역 포교 현황과 문제점, 인구 비례로 본 불교와 기독교의 편차 및 어린이와 노인 불자의 감소 원인, 포교의 지역 편중 현상, 종교택지 공급으로 본 불교 현황 그리고 취약지역 포교당 설립의 방향 등 개선책을 연구하였다.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Protestant and Korea Buddhism & large temples is neglecting the city propaganda for the new downtown area and vulnerable areas. Therefore, Buddhism rapidly loses its role and influence as religion. In addition to focusing on small pogyodang (布敎堂) which operates in a difficult places has many difficulty to operate. They don"t get a little help. Therefore Buddhism has resulted in "The more you have, the more you get, the less you have, the poorer you get" phenomenon. Due to this lack of the city missionary temples like pogyodang that you can easily reach, children and youth missionary is missing and the elderly are not looking for Buddhism any more. Residents who are eagerly looking for religion are going to have interest in other religions. I think religion should take care of the poor and difficult place to reach first. But in reality, on the contrary, there are lot of protestant missionary center in that place instead of Buddhism. Buddhism temples are being established so far in place where the rich people live or good local economy area only. To make matters worse, the rapid urbanization of the populations concentrated in cities and people are moving to city area from rural area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religion and religion, the social classes and the religious, gap between rich and poor is deepening rather. In the mean time, Buddhism did not provide a prescription and appropriate respons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Buddhism does not meet the contemporary needs of religion. It has long been raised in the Buddhist community that the importance of the urban missionary activation issues. For the Buddhist future development, we must obtain the cooperation of the community, including children and youth. The differences in Buddhist and Christian population gap continues comparing under 20 years old population. The main reason is absolutely insufficient number of temples and pogyodang in the city outskirts and new downtown marginalized (vulnerable) areas. In this paper improvement measures were studied as follows,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ropagation vulnerable areas, the Buddhist and Christian population proportion of variance analysis, the cause of decreased Buddhists population in children and the elderly. Regional bias phenomenon of propagation, Buddhist situation in view of Buddhist religion residential land supply, direction of pogyodang establishment in vulnerable areas.

      • KCI등재

        월경전증후군 환자에 있어 임상적 특징에 따른 치료효과

        정기옥,김휘,권동진,임용택,김장흡,김은중,김진흥,이진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2

        본 연구는 1994년 10월 1일부터 1995년 7월 31일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월경전증후군 클리닉에 내원한 71명의 환자중 다른 신체적 정신적 질환에 의한 18명과 만성 질환의 월경전 악화를 호소하는 9명을 제외한 수수 월경전증후군 환자인 44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에 따른 치료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경전증후군으로 내원한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은 평균연령이 38.65세였으며 발생기간은 8.29년이었다. 과거력상 임신후유증이 있었던 경우는 29.3%이었다.(Table 1). 2. 증상중 감정적 불편의 잔존율은 최초 내원시에 비해 월경일기, 기록 및 운동, 식사요법을 병행한 3개월 후에 0.63+-0.39으로 감소하였으며, 그후 대증요법(약물요법) 사용후 3개월 후인 6개월째에는 최초 3개월째에 비해 0.63+-0.49로, 그리고 최초 내원시에 비해 0.30+-0.28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2). 3. 증상중 신체적 불편의 잔존율은 최초 내원시에 비해 월경일기 기록 및 운동, 식사요법을 병행한 3개월 후 0.77+-0.50으로, 그 후 대중요법을 사용 3개월 후인 6개월째에는 3개월째에 비해서는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최초 내원시에 비해 0.47+-0.48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2). 4. 일상생활의 불편의 잔존율은 최초 내원시에 비해 월경일기 기록 및 운동, 식사요법을 병행한 3개월 후에 0.80+-0.42로, 그후 대중요법 사용후 3개월후인 6개월째에는 3개월째에 비해 0.65+-0.41로, 최초 내원시에 비해 0.47+-0.37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lt;0.05, Table 2). 5. 각 군에 따른 비교에서 증상의 이환기간은 III군이 12.35+-5.90년으로 II군의 6.42+-3.95년과 I군의 4.21+-1.84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p$lt;0.05) 임신횃수에서는 III군이 2.28+-0.48로 II군의 1.57+-0.53에 비해, 월경 통증의 정도는 II군이 1.57+-1.13으로 I군의 0.89+-0.34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lt;0.05, Table 3). 6. 전 대상 군에서는 감정적 불편의 빈도는 우울증이 16%로 가장 높았으며 신체적 불편으로는 두통이 23%로 가장 많았었다. 각 군에 따라서는 감정적 불편이 I군에서는 피로감(45%), 우울증(32%), II군에서는 불안(24%), 분노(21%), III군에서는 분노(20%), 우울증(18%)이 많았고 신체적 불편은 I군에서 두통(24%), 관절통(15%), II군에서는 두통(27%), 부종(22%), III군에서는 부종(18%), 두통(15%)을 많이 호소하였다(Table 4) 7. 각 군에서의 감정적 불편의 잔존율은 3개월째가 최초 내원시에 비해 I군과 III군에서 각각 0.47+-0.05, 0.80+-0.22로, 6개월째가 I, II군과 III군에서 3개월째에 비해 각각 0.69+-0.43, 0.51+-0.44, 0.41+-0.35로, 최초 내원시에 비해 0.32+-0.48, 0.35+-0.19, 0.34+-0.31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5) 8. 각 군에서의 신체적 불편의 잔존율 3개월째가 최초 내원시에 비해 I군에서 0.49+-0.46으로, 6개월째가 I, II군과 III군에서 3개월째에 비해 각각 0.56++0.38,0.54+-0.34, 0.63+-0.36으로, 최초 내원시에 비해 0.18+-0.19,0.32+-0.23, 0.75+-0.62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6). 9. 각 군에서의 일상생활 불편의 잔존율 3개월째가 최초 내원시에 비해 II군에서 0.59+-0.42로, 5개월째가 I, II군과 III,군에서 3개월째에 비해 각각 0.75+-0.43, 0.43+-0.41, 0.37+-0.55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lt;0.05, Table 7). 이상의 결과로 보아 월경전증후군은 주로 30대가 많았으며 이환기간은 적어도 수년동안 지속되어 왔으나 증상이 심한 경우일 수록 이환기간이 더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임신횟수가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또한 치료효과에서는 감정적 불편의 경우 6개월 후 약 70%의 개선이 있었으며 신체적 불편의 경우 53%, 일상생활 불편의 경우 53%의 개선효과가 있었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 구분한 경우 감정적 불편, 신체적 불편, 일상생활 불편이 경증인 경우 월경일기, 운동, 식사요법으로 6개월후 68%, 82%, 23% 증등도인 경우 대중요법이 첨가되어 각각 65%, 68%, 57%, 중증인 경우 각각 66%, 25%, 63% 의 개선효과를 보여 앞으로 월경증후군 환자의 치료에 있어 1차적 치료로서는 월경일기, 운동, 식사요법 그리고 중등도 및 중증 불편은 적극적인 약물 치료법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menstrual syndrome refers to physical or affective synmotoms that appear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menstural cycle, remit during menses, and affect the woman`s relationships or ability oto function. Earlier retrospective histories are considered to be unreliable. Because the criteria used to make the diagnosis varied among groups. Some treatment aim to correct the purported biologic problem underlying premenstrual syndrome, but in the absence of firm knowledge of the cause, specific corrective treatment is not possible. Therefore, much of current therapy has a symptom specific basis.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effect of treatment of 44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who visited at PMS clinic of Kang Nam St.Mery`s hospital from Oct.1, 1994 to July 31, 1995. The result were as follow: 1. The mean age of patients were 38.65+-4.58 years old and mean symptomatic period was 8.29+-5.93 years, and percentage of previous pregnancy complication was 29.3%(Table 1). 2. In residual rate of emotional discomfort, after 3 months was 0.63+-0.39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fter 6 month 0.30+-0.29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nd was 0.63+-0.49 compared with 3 month respectivey(p$lt;0.05, Table 2). 3. In residual rate of physical discomfort, after 3 was 0.77+-0.50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fter 6 month was 0.47+-0.48 compared with initial visit respectively(p$lt;0.05, Table 2). 4. In residual rate of daily behavior, afte 3 months was 0.65+-0.41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fter 6 month was 0.47+-0.37 compared with initial visit and 0.65+-0.41 compared with 3 month respectively([$lt;0.05, Table2). 5. The symptomatic period age of patients according to groups, Group III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 with Group I and II. In number of previous pregnancy, Group III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 with Group II. In dysmenorrhea, Group II increased compare with Group I(p$lt;0.05, Table 3). 6. In total patients the most common emotional discomfort was depression(16%) and most common physical discomfort was headache(23%). According to the Groups, the most common emotional discomfort was fatigue(45%) in Group I, anxiety(24%) in Group II and anger(20%) in group III. The most common physical discomfort was headache(24%) in Group I and II, edema in Group III(p$lt;0.05, Table 4). 7. Residual rate of emotional discomfort decreased at 3 months compared with initial visit in Group I & III and decreased at 6 month compared with 3 month and initial visit in Group I, II & III(p$lt;0.05, Table 5) 8. Residual rate of physical discomfort decreased at 3 months compared with initial visit in Group I & II & III(p$lt;0.05, Table 6) 9. Residual rate of behavioral discomfort decreased at 3 months compared with initial visit in Group II, and decreased at 6 month compared with 3 month and initial visit in Group I, II & III(p$lt;0.05, Table 7) These data suggest premenstrual syndrome calendar, excercise, diet control is a useful method of treatment in the mild case. But conservative medical treatment is obligatory in moderate and severe case.

      • KCI등재

        치위생과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적응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기옥 ( Gi Ok Jung ) 한국치위생학회 2012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2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of the students in dental-hygiene practice classes on their self-efficacy and on their adaptation to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dental-hygiene students in schools located in the Daegu region on October 24-31, 2011. A total of 212 accomplished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as sources of final analytical dat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19.0 program. Results : 1. The students who had good personal relationships(p=.000) and who chose their major and school based on their aptitude(p=.029) were found to have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id not have good personal relationships and who did not choose their major and school based on their aptitude. 2. Self-confidence(p=.004), self-control efficacy(p=.000), mastery approach(p=.000), and performance approach(p=.003) were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major adaptation while task difficulty preference( p=.000)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ame. 3. Self-confidence(p=.004), self-control efficacy(p=.000), mastery approach(p=.000), and performance approach(p=.045) were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ajor satisfaction while task difficulty preference( p=.000)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ame. 4. Mastery approach(p=.000) in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while mastery avoidance(p=.001)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ame. Mastery avoidance showed the greatest effect on self-confidence(p=.000) while mastery approach showed the greatest effect on self-control efficacy(p=.000)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p=.000). 5. In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mastery approach(p=.000)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ajor adaptation while mastery avoidanc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ame. Meanwhile, with regard to selfefficacy, self-control efficacy(p=.037)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p=.008)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on major adaptation. 6. In the case of major satisfaction, mastery approach(p=.000) in goal achievement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t, and in self-efficacy, self-control efficacy(p=.038)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p=.002)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it. Conclusions : Accordingly, to raise the level of the dental-hygiene students`adaptation to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e students should be given appropriate tasks so that they can raise their mastery goal, and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raise their approach goal rather than their avoidance goal. In addition, th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assistance in setting self-expectations and in developing confidence in their capabilities.(J Korean Soc Dent Hygiene 2012;12(1):167-177)

      • KCI등재후보
      • 일개 시 5~6세 아동의 카시트 장착율 및 관련요인

        정기옥(Jeong, Gi-Ok),나백주(Na, Bak-Ju),이무식(Lee, Moo-Sik),김철웅(Kim, Chul-Woung),임종민(Lim, Jong-M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연구는 일개 시 유치원에 입소한 아동 중 5~6세아 부모들을 대상으로 카시트 착용현황과 관련요인에 관한 실태를 파악하여 어린이 안전의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08년 09월22~09월29일까지 일개 시 유치원 5개소 입소한 아동 중 5~6세아 부모 18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연령이 낮고(p=0.128), 남자이며(p=0.474), 어머니의 연령이 30대 이하(p=0.294)일수록 유아 보호용 장구의 착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고등학교 이하(p=0.009), 아버지 직업(p=0.010)이 사무, 서비스직에 종사자 집단에서 유아 보호용 장구 착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 보호용 장구 무상 대여사업에 대한 인지율 조사에서 월 평균 소득 300만원 미만(p=0.009)인 자에게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유아 보호장구 장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카시트 관련교육 유무와 부 직업에 따라 유의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호스피스 프로그램으로서의 불교 임종행의 고찰

        정기옥,박재현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0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5

        This article examines the Buddhist death ceremony based on the Buddhist dormitory based on the hospice program. Hospice supports death through medical systematization, but has limitations in that it treats death from a med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Because of these limitations, the problem of death in hospice is always an imminent problem and is nothing more than a recurring event to be dealt with. The Imjonghaengui (Care for Ðeath of Buddhism) presupposes insight into how to think of death, how to explain, and how to face death when living healthy. The characteristic of the Buddhist view of life and death is that it does not unnecessarily touch the emotional line and provides a cold, logical, and rational insight into life and death. The Imjonghaengui deals with death based on these insights. Death is not the end but a natural phenomenon. Therefore, both those who leave and those who remain are encouraged to learn life through death. The Imjonghaengui applies to both the dead and the survivors. Because death is not limited to the dead. For those who are dying, death is the present, but for those who are alive, the present is suspended. Therefore, it is the essence of the Imjonghaengui to help those who are on the verge of death turn into positive thinking and realize the reason for life and death until the end of their lives. 본 논문에서는 호스피스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불교생사관에 기초하여 간호하는 사람과 간호를 받는 사람의 마음가짐과 그 대처요령인 불교적 임종행의臨終行儀를 고찰하였다. 호스피스는 임종과정을 의료적으로 체계화하여 지원하고는 있지만, 죽음의 문제를 의학적 관점과 심리적 관점에서 주로 다룬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보인다. 이러한 한계로 말미암아 호스피스에서 죽음의 문제는 늘 임박한 문제이고 반복적으로 생겨나는 처리해야 할 사건 정도에 그치고 만다. 불교의 임종행의는 건강하게 살고 있는 단계에서 죽음을 어떻게 생각해야 하고, 어떻게 설명해야 하고, 또 어떻게 맞이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찰을 전제로 한다. 불필요하게 감정선을 건드리지 않고 냉정하고 논리적이며 이성적으로 생사의 문제를 통찰하는 것이 불교적 생사관의 특징이고, 임종행의는 이러한 통찰에 기반을 두어 임종을 다루고 있다. 불교적 관점에서 볼 때, 죽음은 끝이 아니고 윤회전생輪廻轉生하는 자연 현상의 한 부분이다. 따라서 떠나는 자도, 남은 자도 죽음을 통해서 삶을 배우도록 유도한다. 임종행의는 임종자와 임종선지식 양쪽 모두에 해당된다. 죽음은 임종자에게만 국한된 일이 아닌 까닭이다. 죽어가는 사람에게는 죽음이 당면한 현재이지만, 살아있는 사람에게는 유예된 현재일 뿐이다. 따라서 죽음 대상자가 긍정적인 사고로 전환하여 삶의 마지막까지 생사의 이치를 깨달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임종행의의 핵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