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유분심, 중유, 보특가라, 아뢰야식의 성립사적 일고찰

        정경진 ( Jung Kyung-j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불멸 후 부파불교시대 이래 무아·무상이라고 하는 불교 근간에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 업과 그 과보를 받는 주체라든가 윤회전생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라는 주제는 각 부파 및 학파의 주된 관심사였다. 상좌부의 유분심, 설일체유부의 중유, 독자부 및 정량부의 보특가라, 유가행파의 아뢰야식 등과 같은 용어 역시도 이와 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도입된 사상으로 설명되어왔다. 이러한 거시적 차원의 견해는 도입 시기도 서로 다른 이들 사상의 도입 배경 및 정형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에 역부족함은 물론, 지금까지 개별적인 연구 논제로서 다루어져 왔기 때문에 아비달마의 명확한 입장 차이가 현저한 이들 사상이 어떠한 문제의식 속에서 도입되어, 어떠한 입장하에 발전·정형화되어갔는지에 관해 파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시적 및 공시적 관점으로 유분심, 중유, 보특가라, 아뢰야식과 더불어 명근에 초점을 맞춰 각 사상의 도입 배경 및 발전양상의 추이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설일체유부와 독자부가 새로운 법체계로서 심불상응행법 및 불가설법을 내세워 명근 및 보특가라를 도입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에는 삼세실유, 법체항유, 찰나멸설 등 유부의 근본교의만으로 무심 상태에서의 생명 유지나, 현세에 있어서 업의 저장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역부족이었다는 점을 추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유가행파가 아뢰야식을 심법으로써 도입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유부의 근본교의의 부정에 있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아뢰야식은 종자생현행 및 현행훈종자라는 프로세스를 갖춤으로써 유분심과 차별성을 가지게 됨은 물론 찰나멸설을 보지하면서도 생명유지, 결생심 및 현세에 있어서 업의 저장 그리고 더 나아가 수행을 통한 열반의 프로세스에 있어서 주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After the death of Buddha, in the problems related to the foundation of Buddhism, called selflessness and impermanence, the main interest of each school was to find out the subject of what received karma and fruition, and how to break away from reincarnation. Terms such as bhavaṅga, antarābhava, pudgala, and ālayavijñāna, propounded respectively by the Theravādins, the Sarvāstivādins, the Vātsīputrīya or Sammatīya, and the Yogācāras, have also been explained as ideas introduced in this awareness. This macroscopic view was insufficient to explain the background and formalization process of these ideas with different introduction periods. In addition, since it has been treated as individual research topic so far, it was difficult to grasp on what issues these ideas, which have clear differences in each position of Abhidharma, were introduced, developed, and standardiz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each idea by focusing on jīvitindriya, along with bhavaṅga, antarābhava, pudgala, and ālayavijñāna from a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s. As a result, the reason why the Sarvāstivādins and Vātsīputrīya had no choice but to introduce jīvitindriya and pudgala under citta-viprayukta-saṃskāra dharma and avācya dharma as the new systems of dharma, respectively, is probably because it was not enough to explain the maintenance of life in a state of nirodhasamāpatti or the storage process of karma in the present world only by the fundamental doctrines such as the Real Existence of the Three Time-periods, the Essence of Phenomena Always Existing, the Momentariness and so on of the Sarvāstivāda Abhidharma. Moreover, on the contrary, the background of the Yogācāra’s introduction of the ālayavijñāna into the category of citta was the denial of these fundamental doctrine. In other words, ālayavijñāna is differentiated from bhavaṅga by having a process of seeds engendering manifest activity and manifest activity perfuming seeds, and plays a major role in the process of life support, rebirth, karma storage and nirvana through meditation training, while maintaining the theory of the Momentariness.

      • KCI등재

        초기 유가행파의 아뢰야식과 유가행의 관계 - 안위동일(ekayogakṣema)의 문제를 중심으로 -

        정경진 ( Jung Kyung-j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8

        본 논문은 유가행 유식학파를 대표하는 핵심적인 사상의 하나인 아뢰야식과 유가행의 관계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안위동일(ekayogakṣema 혹은 anyonyayogakṣema, 安危同一)은 심·심소와 색과의 관계를 규정짓는 용어로, 현존 최고의 유식 문헌자료인 『해심밀경』의 아뢰야식 정의에서 아뢰야식을 규정짓는 단어로 등장한다. 하지만, 기존의 아뢰야식에 관한 대다수의 연구는 안위동일의 문제에 대해 도외시해온 면이 크다. 아뢰야식 도입기에 있어서 안위동일이 가리키는 심신의 메커니즘이라는 것은 유가행 수행을 통하여 일어나는 신체의 락이 식의 경안을 일으킨다는 신체 중심의 심신의 변화, 즉 유가행파의 초기 전의 사상을 가리킨다. 따라서, 종래의 아뢰야식 기원 및 원의와 관련된 연구들은 유가행과의 관련성이 배제되어, 아뢰야식을 아다나식의 동의어로 파악하거나 혹은 표층적인 육식에 대응하는 ‘잠재(/내재)되어 있는 식’이라는 식의 심층적인 면이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가설로는 어떻게 아뢰야식이 여러 이명 중 대표 명칭이 되었는지를 설명하지 못한다. 초기 유가행파의 구성원들은 오로지 유가행 수행에 전념하는 수행자들이며, 학파명은 물론 『유가사지론』이라는 논서명, 더욱이 안위동일이라는 용어도 유가행을 뜻하는 yoga의 합성어이다. 다시 말하여, 아뢰야식 연구에서는 유가행의 목적과 가치적인 측면이 고려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안위동일의 문제를 정확히 이해함으로서 아뢰야식의 기원과 어원적 의미가 유가행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밝혀내었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ālayavijñāna, which is one of the core ideas representing the Yogācāra(-Vijñānavāda) school, and the meditative practice (yoga). Ekayogakṣema (or anyonyayogakṣema) is a term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psychic activity (cittacaitta) and sensory form (rūpa), and appears in the definition of ālayavijñāna in the earliest existing Yogācāra literature, Saṃdhinirmocanasūtra.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ālayavijñāna have ignored the ekayogakṣema issue. The psycho-physical mechanism that ekayogakṣema points to in the first introduction of ālayavijñāna refers to a system that the pleasant sensation (sukha) that occours in the course the meditative practice increases ease (praśrabdhi) of the consciousness, the early Transmutation of the Basis (āśrayaparivṛtti) of the Yogācāra school. Therefore,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origin and the etymological meaning of ālayavijñāna have ruled out the connection with the meditative practice, emphasizing the deep side of vijñāna, which corresponds to the superficial six vijñānas, has been emphasized. However, this hypothesis does not explain whether ālayavijñāna has become a representative one among several alternate names. The members of the early Yogācāra were practitioners who devoted themselves to the meditative practice, and the school name as well as the śāstra name Yogācārabhūmi and the term ekayogakṣema are compound words of yoga, which means the meditative practice. In other words, the purpose and value of the meditative practice should be considered for in the study of ālayavijñāna. By understanding the issue of ekayogakṣema, this paper found out that the origin and etymological meaning of ālayavijñāna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ditative experiences.

      • KCI등재

        이분법의 역사를 넘어: 『헨리 6세 1부』 속 잔 라 쀠셀르와 탈봇의 분신 관계를 중심으로

        정경진(Kyung Jin Jung)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22 셰익스피어 비평 Vol.58 No.3

        Existing critiques of Henry VI Part 1 have long remained in the realm of dichotomization. The focus of the previous critiques has been on reinforcement of the hegemonic discourse in Henry VI Part 1 represented through the foil relationship of Talbot and Joan La Pucelle. In these studies, Pucelle, as a female warrior of France who has a plebian origin, is interpreted as the antipodal opposition of Talbot who is a noble male hero of England. Even a series of feminist studies on Pucelle has been made on the basis of this relationship. The dichotomization often recognizes Pucelle as “other” in terms of gender, nationality and classicism that inevitably supports the solidarity of the binarized world. This paper recognizes this limitation as the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play and characters within the rigid frame of realism and realistic reproduction of history.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shed light on fantastical and creative elements in Henry VI Part 1 that deconstructs the idea of historical play as a realistic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records, and analyze the way Pucelle is dramatized as a fictional character involving fantastical elements. Moreover, the paper aims to reinterpret Talbot-Pucelle relationship as a double so that the previous interpretation that reinforces dichotomous relationship between Talbot and Pucelle—self and other—can be disrupted. Through paying attention to creative dramatization of history in Henry VI Part 1, it would be possible to examine how “other’s history” can be significantly placed and recognized throughout history plays of Shakespeare.

      • KCI등재

        초기 유식사상에 있어서 아뢰야식의 신체적 메커니즘

        정경진(Jung, Kyung-Ji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2

        아뢰야식(阿賴耶識, ālayavijñāna)은 대승 유식사상의 핵심적인 개념으로 안식 · 이식 · 비식 · 설식 · 신식 · 의식 · 말나식 · 아뢰야식의 8식 중 최심층에 위치하는 근본적인 식, 즉 일체 존재를 성립시키는 근원적인 마음을 일컫는다. 『해심밀경(解深密經, Saṃdhinirmocana-sūtra)』이후 아뢰야식은 일체종자심(一切種子心, sarvabījakacitta), 아다나식(阿陀那識, ādānavijñāna), 이숙식(異熟識, vipākavijñāna), 심(心, citta) 등 여러 이명 가운데 대표적인 명칭으로 자리 잡았다. 람버트 슈밑하우젠(Lambert Schmithausen)은 대승 유식사상의 성립과 발전을 이해하는데 아뢰야식의 초기 성립과정을 밝히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야마베 노부요시(山部能宜)는 슈밑하우젠의 엄격한 기준을 완화하여 적어도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Yogācārabhūmi)』에서 아뢰야식의 신체적 특징이 현저한 「섭결택분」의 아뢰야식 존재 증명[八論證, 論證分, Proof Portion] 을 고려에 넣어 아뢰야식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하였다. 이에 본 논고에서는 인도 불교 초기 유식문헌인 『유가론』의 「본지분」 및 「섭사분」, 『해심밀경』, 그리고「섭결택분」중 아뢰야식 존재 증명으로 문헌층을 한정하여 아뢰야식의 신체적 메커니즘을 재고찰하였다. 다시 말하여, 해당 초기 문헌층에서 드러나는 아뢰야식의 사상적 특징 하에 『해심밀경』의 아뢰야식 정의 4가지에 초점을 맞추어 각 정의가 가지는 특징적인 신체적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일체종자심은 ‘생명체의 형성’, 아다나식은 ‘신체 유지’, 아뢰야식은 ‘전의(轉依)의 질료인’, 마지막으로 심은 ‘종자의 적집(積集) 및 증장’이라는 신체적 메커니즘을 규정한 정의이다. Ālayavijñāna is the core concept of māhāyāna vijñapti-mātra thought, referring to the fundamental consciousness of being at the basic layers of the eight consciousnesses: cakṣusvijñāna, śrotravijñāna, ghrāṇavijñāna, jihvāvijñāna, kāyavijñāna, manovijñāna, manas and ālayavijñāna. These represent the fundamental mind that establishes the all living being. Ālayavijñāna has become a leading name among others, including sarvabījakacitta, ādānavijñāna, vipākavijñāna, citta, since the Saṃdhinirmocanasūtra. Lambert Schmithausen believed that it was crucial to reveal the early formation process of ālayavijñāna in understand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āhāyāna vijñaptimātra thought. In response, Nobuyoshi Yamabe emphas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relax Schmithausens strict standards and consider the Proof Portion (the Ontological Evidence for Ālayavijñāna) at the beginning of the Viniścayasaṃgrahaṇī in whic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ālayavijñāna are remarkable in the Yogācārabhūmi. This essay, therefore, reconsidered the physical mechanism of ālayavijñāna by limiting the scope of the literature to the Maulyobhūmiḥ, the Vastusaṃgrahaṇī, the Saṃdhinirmocanasūtra, and the Proof Portion of the Viniścayasaṃgrahaṇī. In other words, under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ālayavijñāna revealed under examination, the focus was placed on the four definitions of ālayavijñāna in the Saṃdhinirmocanasūtra. This showed the characteristic physical mechanisms of each definition. In conclusion, sarvabījakacitta defines the physical mechanisms of the formation of life; ādānavijñāna, the maintainance of body; ālayavijñāna, the material of parivṛtti; and finally citta, the accumulation and extension of bījas.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차폐망 및 접지형태에 따른 고출력 전자기 펄스에 대한 차폐성능 분석

        안병진(Byeong Jin Ahn),박재현(Jae Hyun Park),정경진(Kyung Jin Jung),주문노(Mun-No Ju),우정민(Jeong Min Woo) 한국전자파학회 202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HPEM(high power electromagnetic) 펄스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야외에 설치된 건물에 HPEM을 노출시켜 건물 창문의 차폐망 격자크기 및 접지형태에 따른 차폐성능을 분석하였다. 차폐망은 미설치, 격자크기가 각각 0.215 ㎜, 1.3 ㎜인 차폐망이 설치된 경우들을 비교하였다. 접지형태에 따라 비접지, Front-end 접지, Back-end 접지, Mesh 접지로 구분하여 차폐성능을 분석하였다. 접지가 되어 있는 경우, 주파수 영역 1 ㎓ 이상에서 HPEM 저감효과를 보였고, 차폐망이 있는 경우,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차폐성능을 보였다. 또한, 차폐망 격자크기가 0.215 mm인 경우에 1.3 ㎜인 경우보다 주파수 영역 650 ㎒ 이상에서 더 효과적인 차폐 성능을 보였다. 이를 근거로 HPEM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핵심설비에 대한 보호대책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In this study, a high-power electromagnetic (HPEM) pulse generator was used to radiate the HPEM pulse to a building installed outdoors, and the shielding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shielding mesh grid size and the grounding system of the building were analyzed. The cases of the shielding mesh not installed and that of a shielding mesh with grid sizes of 0.215 ㎜ and 1.3 ㎜ installed were compared. The grounding system was divided into isolated, mesh grounded, front-end grounded, and back-end grounded according to the grounding system, and the shielding effectiveness was analyzed. In the case of grounding, the HPEM reduction effect was observed in the frequency range of 1 ㎓ or higher, and the shielding performance was excellent in all frequency ranges in the case of the shielding mesh. In addition, the shielding mesh grid size of 0.215 mm demonstrated more effective shielding performance in the frequency range of 500 ㎒ or higher than that of 1.3 ㎜. The results proved the necessity of protection measures for core facilities to be protected from HPEM pulses.

      • KCI등재후보

        $17{\beta}$-estradiol Attenuates Renal Fibrosis in Mice with Obstructive Uropathy

        조민현,장희성,정경진,박권무,Cho, Min-Hyun,Jang, Hee-Seong,Jung, Kyung-Jin,Park, Kwon-Moo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11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5 No.2

        목적: 일반적으로 남자는 여자에 비해 만성 신장병의 발병이 많고 말기 신부전으로의 진행이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생쥐에서 신섬유화에 대한 성별과 성호르몬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일측성 완전 요관 폐쇄 7일째 암컷과 수컷 생쥐의 신장에서 ${\alpha}$-smooth muscle actin (${\alpha}$-SMA)의 발현을 측정한 후, 암컷 생쥐에서 난소를 제거하거나 제거 후 다시 $17{\beta}$-estradiol을 보충하여 나타나는 신섬유화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암컷 신장의 ${\alpha}$-SMA의 발현이 수컷 신장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난소 제거와 $17{\beta}$-estradiol의 보충은 일측성 요관 폐쇄를 가진 암컷 신장의 안지오텐신 II 1형 수용체의 발현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안지오텐신 II 2형 수용체의 발현은 정상 암컷과 난소 제거 후 $17{\beta}$-estradiol를 보충한 암컷에서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역시 유사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 여성은 폐쇄성 요로병증에서 신섬유화에 대한 저항성과 연관이 있으며 이러한 성별의 차이는 $17{\beta}$-estradiol에 의한 안지오텐신 II 2형 수용체와 iNOS의 발현 증가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Men are generally more prone to chronic renal disease and progression to end stage renal disease than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 of gender and sex hormone on renal fibrosis in mice with un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UUO) and to elucidate the specific underlying mechanisms. Methods :We compared the expression of ${\alpha}$-smooth muscle actin (${\alpha}$-SMA) in female and male mice with complete UUO (day 7). After this, we estimated the changes of renal fibrosis in the female mice with oophorectomy and in the female mice with oophorectomy and replacement of $17{\beta}$-estradiol, respectively. Results : The level of ${\alpha}$-SMA in the female kidney with UUO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male kidney with UUO. oophorectomy and replacement of $17{\beta}$-estradiol did not change the expression of angiotensin II type 1 (AT1) receptor in the female kidney with UUO, whereas the expression of angiotensin II type 2 (AT2) receptor was significantly more elevated in the intact female (IF) and the oophorectomized female with estrogen (OF+E) than that in the oophorectomized female (OF). The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in the IF and OF+E mice were significantly more elevated than that in the OF mice, which was similar to the expression of AT2 receptor. Conclusion : The female gender is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renal fibrosis in obstructive uropathy and this gender difference may originate from the existence of $17{\beta}$-estradiol, which has an anti-fibrotic effect via upregulation of the AT2 receptor and iNOS.

      • 웹 필터링 시스템을 위한 URL 탐색 기법

        김창섭(Chang-Sup Kim),정경진(Kyung-Jin Jung),김성조(Sung-J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Ⅲ

        현대 생활에서 필수가 된 웹은 많은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음란물의 유혹과 업무시간의 주식 투자 등의 부작용들도 속속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웹 필터링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성능 저하와 사용자의 웹 접속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차단 여부를 신속히 판별할 수 있는 URL 탐색기법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