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퍼지제어에의한 로보트 매니퓰레이터의 궤도추종에 관한 연구

        조민현,선양래 慶熙大學校 1994 論文集 Vol.23 No.-

        Robotic system as one of the major part of dynamic system is often subject to disturbance and parameter variation causing deteriorated performance or unstable response. In this study, two input variables as error and error change rate has been adopted along with Lukasiwicz logic and nonlinear defuzzification algorithem. This algorithm has been applied to pragmatics 6-DOF robot and tracking simulation has been conducted. The fuzzy controller developed showed better performance and stability compared to PD controller despite of their similarity.

      • KCI등재후보

        미세변화신증후군 환아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의 혈중 및 요중 변화와 알부민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민현,이환석,오현희,정기영,구자훈,고철우,Cho Min-Hyun,Lee Hwan-Seok,Oh Hyun-Hee,Chung Ki-Young,Koo Ja-Hoon,Ko Cheol-W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03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7 No.1

        목적 : 미세변화신증후군은 소아 원발성 신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최근 $TNF-{\alpha}$가 미세변화신증후군의 병인기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미세변화신증후군 환아에서의 $TNF-{\alpha}$의 변화를 살펴보고 $TNF-{\alpha}$가 사구체 기저막의 투과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대상 환아는 신생검으로 미세변화신증후군이 확진된 만 2-15세 사이의 소아로서 이들에게서 혈액과 요를 채취하여 ELISA 방법으로 $TNF-{\alpha}$를 측정하였고, Millicell system을 사용하여 알부민에 대한 투과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 재발시에 요중 $TNF-{\alpha}$는 대조군과 관해시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P<0.01), 혈중 $TNF-{\alpha}$는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다. Millicell system을 이용한 알부민 투과성에 대한 실험결과 생리적인 농도 이상의 $TNF-{\alpha}$에서 알부민에 대한 투과성에 특이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TNF-{\alpha}$는 미세변화신증후군의 발병기전에서 일차적인 역할을 한다기 보다는 아마도 질환자체에 의한 이차적인 현상에 의하여 요중에서 증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Minimal Change Disease(MCD) is the most common primary nephrotic syndrome in children. Some suggested that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MCD. This study was done to see the changes of plasma and urinary $TNF-{\alpha}$, and their effects on the permeability of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Methods : Study patients consisted of 19 biopsy-proven MCD children aged 2-15 years old. Both plasma and urinary $TNF-{\alpha}$ were measured. Employing the Millicell system, $TNF-{\alpha}$ were screened for the permeability factors. Results : Urinary $TNF-{\alpha}$ during relap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1). No significant change was seen in the plasma $TNF-{\alpha}$ during relapse when compared to those in remission and the healthy controls. Furthermore, in the in vitro Millicell system, $TNF-{\alpha}$ did not produce a significant change in albumin permeability. Conclusion : Therefore, it seems that $TNF-{\alpha}$ may not play a disease-specific role in the pathogenesis of MCD.

      • KCI등재

        『침묵의 시간』에 나타난 서사적 장치로서의 질병

        조민현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20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31 No.2

        Time of Silence is a work which presents a new novelistic aesthetics through verbal experiments and segmented narrative techniques, breaking away from the dominant realist tradition of novels in the 1950s. Nevertheless, this work does not merely focus on introducing aesthetics changes, but it also offers a deep reflection of human beings and their society at a broader level. Although this novel is different from the social novels of previous times, it still contains similar social critical elements, and the figure of the main character is built up under an eminently existentialist perspective.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demythologizing elements contributing to the deconstruction of the Spanish national narrative established during the Francoist era is also remarkable. In this context, Time of Silence has been understood in various ways apart from its experimental dimens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usage of disease as the narrative device which enables multi-layered interpretations. In this novel, disease encompasses not only physical disturbances, but also social and existentialist phenomena related to human existence which are implied metaphorically. In fact, various diseases appear in this work and carry a great weight in the narrative. A good example of this is the employment of cancer research as a basic driving force in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as it is useful to show the particular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s deeply frustrated with his study on the effect of cancerous cells, which leads him to the “disease of reason” and “Spain’s disease”, metaphorical expressions for social phenomena and also for the portrayal of the main character in a state of lethargy. All this reminds us of the despair that Kierkegaard expressed in “Sickness Unto Death”. In this wa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athological factors presented in Time of Silence function as narrative devices and how they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problematic perceptions of individuals and society which this work tries to present. 『침묵의 시간』은 1950년대의 사실주의 소설 전통에서 벗어나 언어적 실험과 분절적 방식의 서술 기법으로 새로운 소설 미학을 보여준 작품이다. 그런데도, 이 작품은 형식적인 개혁에만 머물지 않고 보다 광의의 차원에서 인간과 사회에 관해 심도 있게 성찰한다. 이 소설은 이전 시대의 사회 소설과는 다르지만, 여전히 사회 비판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며, 주인공의 모습이 실존주의적 전망 아래 해석된다. 또한, 프랑코 시대에 세워놓은 스페인적 신화를 해체하려는 탈신화적 성격 역시 두드러진다. 이렇게 『침묵의 시간』은 실험적인 성격 이외에도 다양한 측면에서 그 의미가 논의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렇게 다층적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이 소설의 서사적 장치로서 질병이 갖는 의미에 주목하였다. 여기서 질병은 단지 의학적 질병뿐만이 아니라 그것의 은유로 암시된 사회적 현상과 인간 실존과의 관련성을 포괄한다. 구체적으로 작품에는 여러 질병에 관한 언급이 나오는데, 그중에서도 인간과 사회의 상호관계를 토대로 한 암 연구가 이야기 전개의 기본적인 동력으로 작용한다. 주인공은 이 연구에서 좌절하는데, 그것은 사회적 현상을 가리키는 비유적 표현으로서 ‘이성의 병’과 ‘스페인의 병’으로 연결되며, 무기력 상태에 빠진 주인공의 모습은 키르케고르가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고 이름한 절망을 떠올리게 한다. 이렇게 본 연구는 『침묵의 시간』에 제시된 병적인 요소가 중요한 소재일 뿐만 아니라 작품이 표방하는 개인과 사회에 대한 문제적 인식과 긴밀히 연결되는 서사적 장치로 기능함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경이로운 도시』에 나타난 바르셀로나의 공간적 의미: 역사적 공간에서 문학적 공간으로

        조민현 고려대학교 스페인 라틴아메리카 연구소 2019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2 No.2

        문학과 현실의 상관성에 의문을 제시하는 전망은 실제 공간을 객관적으로 재현해내는 것에 관한 회의로 이어진다. 이는 무엇보다 문학 작품 속의 공간이 실제 세계와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체의 인식에 따라 새롭게 재구성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문학 속의 공간은 등장인물의 관점에 근거하기에 객관적 실체로서의 장소 개념을 벗어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에두아르도 멘도사의 『경이로운 도시』에 나타난 바르셀로나의 공간적 의미를 분석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바르셀로나가 어떠한 모습으로 작품 속에 나타나는 지를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해 볼 것이다. 첫째, 이미 알려진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둔 바르셀로나이다. 둘째, 주인공 오노프레 부빌라와 관련을 맺으며 바르셀로나가 주체의 실존 공간으로 형상화되는 면이다. 마지막으로 주체의 인식 공간에서 비롯되는 바르셀로나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보통 바르셀로나에 관한 소설로 알려진 이 작품의 공간적 의미는 도시의 객관적 실체가 얼마나 재현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등장인물과 관련을 맺으면서 재구성되어 새롭게 창출되는 것으로서의 의미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것은 문학과 현실의 관계를 다루는 것만큼 문학의 본질과 관련해서 의미가 있다. The prospect of questioning the cor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leads to a doubt about the objective representation of the real space. This is because, above all, the space in a literary work is newly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acting in it, not in response to the real world. In other words, the space in literature is out of the concept of place as an objective entity because it is based on the characters’ perspectiv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patial meaning of Barcelona in Eduardo Mendoza’s The City of Marvels. To that end, we will have analyzed three dimensions of how Barcelona looks in this work. First, a Barcelona which is based on already known historical facts. Second, a Barcelona deeply related to the main character, Onofre Bouvila, and Barcelona shaped as an existential space. Finally, we will look at another Barcelona, which comes from the subject’s space perception. Through this analysis, the spatial meaning in this work, which is usually known as a novel about Barcelona, is not meant to represent the objective reality of the city, but rather a city to be reconstructed and newly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s. It is as relevant to the nature of literature as it is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 KCI등재
      • KCI등재

        문학적 인물 피카로의 회화적 형상화 양상

        조민현 세계문학비교학회 2023 世界文學比較硏究 Vol.84 No.-

        피카로는 신적인 세계관이 인간적인 세계관으로 변화하는 시기에 나타난 문학적 인물로서 중세 시대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인간의 일상을 문학의 전면으로 드러나게 한 인물이다. 본 연구는 문학에서 만들어진 이러한 인물이 이후 화가들에게 어떠한 영감으로 작용하여 그들의 작품 속에 시각적으로 형상화되었는지를 탐색해보았다. 먼저 문학과 회화가 일상 현실을 소 재로 하게 된 측면을 탐색하고, 이어서 『라사리요 데 토르메스』, 『구스만 데 알파라체』, 『사기꾼』에서 추출한 피카로의 모습이 17세기의 화가들인 리베라, 벨라스케스, 무리요의 회화에 어떠한 양상으로 흔적을 남겼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피카로의 회화적 형상화 양상을 원천 텍스트와 회화적 상상력, ‘배고픔 서사’의 시각적 재현, 피카로의 반규범성과 근 대 개인주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렇게 본 연구는 문학적 인물이 시각적으로 재현되는 모습을 살펴보면서 한편으로는 시 대적 현실을 좀 더 넓은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문학과 회화 비교의 의미를 탐색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한계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e pícaro is a literary archetype which appeared at a time when the medieval theocentric vision was giving way to anthropocentrism, which brought man’s daily life, usually absent from medieval works, into the center of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this literary archetype played also a important role as inspiration for painters and how they portrayed it in their paintings. First, we examine those aspects used in literature and painting to capture everyday’s reality as subject matter, and then explore certain features of the pícaro extracted from the novels Lazarillo de Tormes, Guzmán de Alfarache and El Buscón, along with some of the traces that literary pícaros seem to have left in the paintings of the 17th century Spanish painters Rivera, Velázquez and Murillo. To this end, the portrayal of the pícaro is analyzed by contrasting its characterization in the novels and its pictorial depictio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so-called ‘hunger narratives’ and the pícaro’s anti-normative nature and modern individualism. Additionally,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relation existing between literature and painting as tools to portray the reality of the times from a broader perspective while examining the visual depiction of literary archetypes and its limitations.

      • KCI등재

        피카레스크적 전망에서 본 <기생충>: 『사기꾼 El Buscón』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민현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3 비교문화연구 Vol.70 No.-

        At first glance, Parasite seems to be a film based on typical Korean subjects and situations, such as living conditions in semi-underground housing among many others, but it draws universal sympathy since it deals with the typical problem that constitute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which can be found anywhere in the world. In addition, this film succeeded in creatively fusing various existing genres, such as black comedy, thriller, grotesque, and horror, genres with which audiences around the world are familia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Parasite, which is a mixture of various genres, by connecting it with the picaresque genre, which originated in Spain in the 16th century. In particular, we explore the similarities between this film and Quevedo's picaresque novel El Buscón. To this end, we first examine the historical realities of Spain in the 17th century and Korea in the 21st century, their respective historical backgrounds, and we explore the epistemological similarities related to the conflict between individuals and within the society. Subsequently, the similarities between both works are analyzed through their respective portrayals of deception and forgery as means of survival, various symbols of class distinction, and ‘line’ as a boundary of status. In addition, the ideological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concerning ‘family’ between these works emerging from their comparison are also discussed. In this way, this study is able to expand the scope of Parasite by examining this film through its comparison with the picaresque novel El Buscón and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film.

      • KCI등재
      • KCI등재

        시대의 위기와 예술적 상상력 : 세르반테스와 벨라스케스의 인식론적 상관성을 중심으로

        조민현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04 스페인어문학 Vol.0 No.33

        En li´neas generales, la novela y la pintura son dos formas de arte distintas por eso no es fa´cil descifrar el sentido que yace entre las dos. Sin embargo, podemos encontrar lo comu´n de ambas artes, entre otras cosas, en la indagacio´n y captacio´n de lo este´tico. Esto significa que tanto a Cervantes como a Vela´zquez les une la misma actitud respecto a su propia obra y a su presunto lector o espectador. Por tanto, a traves de estos creadores, encontramos una misma preocupacio´n frente a sus propias obras. Ante todo, el arte nace formalmente en exilio dentro de lo que constituye la experiencia y el pensamiento formal de la cultura occidental. Ya Plato´n en su Repu´blica legislaba en contra de todo arte que no estuviera al servicio de la Verdad. El arte como ficcio´n se vuelve una actividad actividad no so´lo problema´tica sino tambie´n peligrosa y subversiva. Admitir tal poder arti´stico seri´a una admisio´n de que el arte puede, en cierto modo, crear y no so´le imitar. En cambio, a partir del siglo ⅩⅤⅡ se inicia la nueva manera de entender la realidad. Entonces se piensa que el mundo fi´sico es algo muy diferente de lo que crei´a el hombre de la cultura cla´sica. Ya la naturaleza no es una perfeccio´n ideal, sino un mero campo de experiencia. Esto es precisamente la e´poca en que la nueva ciencia ha comenzado, e´poca de Bacon, Galileo y Descartes. Sin embargo, Espan~a se vio´ obligada a adoptar una actitud dogma´tica con el ideal de la unidad religiosa. Asi´ que rechaza todo el pensamiento cienti´fico del mundo moderno. Ante esta crisis, la capacidad creadora del hombre, que era sospechosa para Plato´n, puede rehacer con efcacia la nueva realidad humana. De este modo, Cervantes y Vela´quez abren el mundo moderno con su imaginacio´n arti´stica. Es decir, sus obras coinciden en darnos testimonio del cambio epistemolo´ogico a trave´s de la revolucio´n cienti´fi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