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Landschaft und Natur in Jean Pauls Roman「Titan」

        전창배 한국괴테학회 2017 괴테연구 Vol.- No.30

        . 장 파울은 그의 창작미학이 담긴 『미학입문』에서 문학의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문학예술은 유한한 현실 너머에 영원한 제국을 꽃피운다. 마치 화재에 휩싸인 듯 현실이 혼돈과 무질서로 가득하지만, 그 위로는 한 성스러운 영이 군림하고 있음을 문학은 상기시킨다.” 장 파울은 마치 제한된 현실세계에서 무한하고 영원한 것을 찾아 나선 구도자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유한한 세계 속에서 무한한 세계를 문학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전력했던 장 파울의 창작적 특징은 독일 교양소설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알려진 그의 소설 『거인』을 관통하고 있다. 주인공 알바노는 자연 속에 영원하며 신성한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는 확신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그런데 이 확신은 오로지 정신과 영혼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이다. 즉 영원과 무한을 향한 열망과 동경과 감정에 의해서만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주관적 확신을 객관화된 자연과 현실에서 발견하려 노력하며, 나아가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간극을 초월하려는 열망과 동경이 충족될 가능성에 대해 모색하는 것, 바로 여기에 장 파울의 문학이 깊이 뿌리하고 있다. 그리고 이 뿌리에 자양분을 공급하는 것이 바로 자연과 자연 풍경이다. 소설 『거인』 전체를 통해 나타난 자연은 초월적 세계의 영원성과 신성한 의미를 담고 있는 알레고리로 묘사되고 있다. 특히 주인공 알바노가 받는 교육을 규칙과 절제로 상징되던 당시의 프랑스식 정원예술에 비유하며 인간의 자연적 본성을 억압하는 것으로 비판하고 있다. 이에 비해 알바노가 여행을 통해 경험하는 자연은 광대하고 무한하며 심지어 신비함까지 숨겨져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리하여 영원과 자유를 동경하던 그의 내면의 영혼이 원대하고 태초적인 자연풍경을 만나는 순간, 알바노는 자신이 그토록 염원하던 무한하고 영원한 세계를 유한한 자연이라는 현실 속에서 경험하고 있음을 확신하며 감격한다. 이처럼 장 파울에게 있어서 자연은 유한성과 한계성을 극복하는 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한편으로는 개인의 주관적 감정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객관적 현실성이 결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장 파울은 주인공 알바노가 자연과 교감의 장면에서 끊임없이 인간의 ‘내면성Innerlichkeit’을 언급하고 있다. 외부의 자연으로부터 주인공 알바노는 자신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무한과 영원에 대한 갈망과 동경을 확신한다. 그러나 이러한 내면의 염원이 외부의 현실세계에 객관적으로 실현될 가능성에 대해서 장 파울은 침묵하고 있다. 아마도 장 파울은 현실은 이상을 따라잡을 수 없다는 인식하에 이상에 안주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장 파울은 이상이라는 거울에 비춰 현실을 예리한 관찰과 번뜩이는 기지로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이처럼 현실보다 이상에 뿌리하고 있는 그의 문학세계를 현실성이 결여된 것으로 비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소설의 결미에서 보이는 이상으로보터 우러나온, 세상과 자연에 대한 그의 따뜻한 시선은 그가 인간에게 줄 수 있는 유일하게 확실한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Goethes Kritik zur Rezeption des Romans Wilhelm Meisters Lehrjahre

        전창배 한국괴테학회 2006 괴테연구 Vol.0 No.19

        괴테는 그의 소설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에 대한 일련의 비평을 접할 때마다 작품에 대한 근본적 이해가 부족하다고 일축함으로써 작품의 다양한 수용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소설의 주인공 빌헬름을 나귀를 찾아 나섰다가 왕국을 획득한 구약성서의 사울 왕에 비유함으로써 작품에 내재된 의도적 우연성을 강하게 암시하고 있다. 그런데 괴테는 이러한 우연성을 통해 한편으로는 독자의 독서경험을 다양하게 할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창작적 측면에서 작가의 열린 창작태도를 엿볼 수 있게 한다. 즉, 주인공 빌헬름의 “나귀를 찾으려는 노력”과 “한 왕국을 얻는 노력” 사이에 독자의 창의적 글 읽기와 작가 괴테의 창작적 글쓰기가 함께 놓여 있다고 하겠다. 실제로 괴테는 주인공 빌헬름의 교양을 위한 오디세이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보다는 빌헬름의 긍정적이며 발전적인 내재적 소양을 중심으로 독자에게 수용의 폭을 가능한 한 최대로 넓히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괴테는 빌헬름 마이스터를 창작하면서 실러와 쾨르너 그리고 훔볼트가 피력하는 의견을 다양하게 반영함으로써 열린 글쓰기에 노력하였다. 특히 실러, 쾨르너, 훔볼트의 조언을 통해 괴테는 작품의 사실성과 이상성을 조화롭게 보완하였다. 바로 이러한 점으로 인해 소설 빌헬름 마이스터는 그 장르적 규명에 있어서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전통적인 교양소설은 물론, 교육소설, 발전소설, 사회소설 그리고 심지어 파괴소설 Zerstörungsroman에 이르는 실로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괴테는 소설 빌헬름 마이스터를 창작하면서 실러와 훔볼트 등이 거론한 교양소설이라는 범주에서 교양의 개념을 자아의 계발과 연관된 이상향의 심화로 이해하였다. 즉, 내재적 자아의 계발에 상응한 목표의 설정과 이의 점진적 성취를 추구하는 빌헬름의 모습은 여러 단계를 거쳐 조화로운 존재에 이르는 것이 가능한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연극의 세계와 탑사회는 빌헬름의 이러한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동인으로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괴테의 동시대 비평가들이 대부분 빌헬름 마이스터를 교양소설 내지 교육소설로 해석한 것도 바로 여기에 근거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괴테는 그의 소설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은 물론 비판적인 수용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유보하면서 보다 더 나은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데 더욱 노력하였다. 여기서 우리는 괴테가 소설 빌헬름 마이스터를 통해 주인공 빌헬름의 내면의 발전적 자질과 교양을 바탕으로 독자가 현실세계에 대한 끊임없는 교감과 성찰을 통해 소설 빌헬름 마이스터의 의미를 새로이 읽어내기를 바랬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Johann Carl Wezel 의 소설미학

        전창배 한국괴테학회 1996 괴테연구 Vol.8 No.-

        현대소설의 특징 인 심리분석적 서술경향은 18세기 후반기의 독일 소설에도 심도 깊게 다루어지고 있다. 독일문학사에서 18세기는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문학 장르 가운데 특히 당시 소설이 현대소설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그러나 미학적 면에서 소설은 별다른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다. 본 논문은 18세기 후반에 발표된 독일 소설 가운데, 심리묘사를 통해 자아의식의 형성을 주제로 하고 있는 Johann Carl Wezel의 두 소설 "토비아스 크나우트 Tobias Knaut"와 "벨페고어 Belphegor"를 중심으로 이 소설이 지닌 주제와 서술면에 있어서의 소설미학적 현대성에 관해 분석하였다. Wezel은 자아형성의 첫 환경인 가정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인식시키기 위해 주인공 Knaut를 출생에서부터 서술하고 있다. Knaut의 가정환경은 부모간의 불화와 어머니의 위압적 태도로 특징지워진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Knaut의 자아동일성을 위한 노력은 그 결과가 부정적일 수밖에 없음을 미리 예견케 한다. 유년기에 자아동일성의 형성에 실패한 Knaut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하며, 후일 성장하여 사회적 자아를 실현하는데에도 실패한다. 현대 심리학자 에릭슨에 의하면 자아동일성의 형성은 유아기에서 부터 시작하여 각 성장단계마다 그 깊이와 차원을 더욱 심화시켜 나간다고 한다. Wezel은 Knaut를 통해 유아기에 있어서 자아동일성의 형성이 실패하게 되는 원인과 그 결과를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Wezel은 환경과 유전적 요인을 들고 있다. 훗날 Knaut가 겪게되는 고난은 유아기에 형성된 불안한 심리구조로 말미암아 피할 수 없는 결과로 서술하고 있다. 빈약한 자아의식을 가진 Knaut에 비해 Belphegor는 격정에 가깝도록 자아를 강력하게 주장하는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소설의 시작과 함께 Belphegor는 이미 강한 자아동일성을 갖춘 인물로 등장하고 있다. 소설의 전개와 함께 Belphegor의 이러한 자아는 외부세계와 필연적으로 대립과 갈등에 빠지게 되며, 종래에는 동질성의 위기를 맞게 된다. 이러한 위기는 바로 현실세계에 대한 주인공의 고뇌로 나타나고 있다. 자아동일성의 위기 극복은 바로 그 회복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그의 노력은 그를 둘러싼 현실세계가 그의 내면의 자아와 얼마만큼 괴리되어 있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Wezel은 이러 한 내면과 외면세계의 싸움을 전장의 전투에 비유하고 있다. 이 전투에서 주인공이 입게되는 신체적 부상은 바로 그의 내면적 자아의 손상을 의미한다. 여기서 Wezel은 외부세계와의 험난한 투쟁에서 Belphegor가 자신의 동일성을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으로 소설 공간의 이동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Wezel은 주인공이 격정에 휩싸여 미국 독립전쟁으로 향해 출발하는 것으로 소설을 종결짓고 있다. 이로써 Wezel은 주인공의 자아동일성 회복을 위한 노력의 결과를 소설 구성상 개방적 형식을 취함으로써 열린 상태로 두고 있다. 이러한 소설 구성 형식의 개방적 성격과 주인공의 심리분석 묘사로 인해 Wezel의 이 두 소설에는 18세기에 씌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소설미학의 현대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

      • KCI등재

        " Anton Reiser " 에 나타난 자아동일성의 문제

        전창배 한국괴테학회 1995 괴테연구 Vol.7 No.-

        "Anton Reiser" von Karl Philipp Moritz begu¨ndet im deutschen Sprachraum die Gattung des psychologischen Romans. Zwischen 1785 und 1790 in vier Folgen erschienen, dokumentiert das Werk nicht zuletzt den Kenntnisstand der zeitgeno¨ssischen Seelenkunde. Deren analytisches Verfahren wendet der Autor auf seine eigene Biographie an. Man ko¨nnte daher das Werk als sozialpsychologische Fallstudie bezeichnen. Im Gegensatz zum klassischen Bildungsroman stellt der psychologische Roman "Anion Reiser' keine Harmonie her zwischen dem Helden und den gesellschaftlichen Verha¨ltnissen, die er vorfindet. Moritz zeigt seinen Helden als einen Menschen in seiner Desorientiertheit und Unfreiheit Das Individuum wird im "Anton Reiser" u¨berwiegend milieutheoretisch gedacht. Die Ernanzipation von quietistischen Empfindungszwa¨ngen, unter denen Reiser wa¨hrend seiner Kindheit stand, gelingt ihm nicht. Die quietistische Erziehung im "Anton Reiser" wird von Moritz kritisch analysiert. In diesem Quietismus wurde Aktivita¨t mit Ver-ichung, Passivita¨t mit Ent-ichung verwechselt. Als Folge dieser Erziehung a¨ufßert sich bei Reiser der Selbsthaß, der wiederum den Romanhelden zu Wiedergeburts- und Ausdehnungsphantasien veranla¨Bt. Die zerru¨ttete Ehe der Eltern bewirkt beim Kind Reiser jene fu¨r sein ganzes Leben charakteristische Zerrissenheit. Diese Zerrissenheit zeigt sich als melancholische Identita¨tsktise. In ihr spiegelt sich psychisch die fru¨hkindliche Sto¨rung der Identita¨tsbildung. Seine kindheitliche Liebe schwankt zwischen Mutter und Vater, zwischen Zutrauen und Furcht hin und her. Diese psychische Tatsache verhindert Reisers Ich-Identita¨t. Die kleinbu¨rgerlichen Verha¨ltnisse, schlechte Kleidung, demu¨tigende Freitische, Ausbeutung und Ungerechtigkeit fu¨hren ihn in Verzweiflung und Melancholie. Seine Existenz wird zu einer Abfolge von Katastrophen. Der Grund dieser psychischen Disposition liegt in seiner quiestistisch-melancholischen Wahrnehmung und gesto¨rten Deutung sozialer und innerer Wirklichkeit. Reisers Identita¨tsproblem ist wesentlich von der Melancholie begru¨ndet. Diese Melancholie au¨ßert sich als sa¨kularisiertes quietistisches Lebensgefu¨hl von Einschra¨nkung und Ausdehnung. Als Einschra¨nkung stellt sich bei Reiser Inferiorita¨tsgefu¨hl und Selbsthaßein. Ausdehnung ist als sa¨kularisierter Wiedergeburtswunsch zu verstehen. Zwischen den beiden extremen Erlebnisweisen der Selbst-Verachtung und des Selbst-Schwelgens wird Reiser hin- und hergerissen, woraus stets eine schwere Identita¨tsktise und Melancholie ausgelo¨st wird. Reisers Inferiorita¨tsgefu¨hl verursacht periodisch wiederkehrende Depressionen, die in quiestistischen Termini als 'Vernichtung' und 'Seelenla¨hmung' zum Ausdruck kommen und eine realita¨tsbezogene reflexive Auseinandersetzung mit den Identita¨tsproblemen und damit eine gelingende Identita¨tsbildung vereiteln. Die Unfa¨higkeit zur Selbstreflexion, Selbsthaß und archaischer Angst vor dem Erfolg werden psychisch reproduziert als Resultat der quietistisch-rigiden Lebensfeindschaft. Die Krisen der Identita¨tsbildung bleiben dadurch unbewa¨ltigt.

      • KCI등재

        Jung - Stilling 의 " Henrich Stilling " 에 나타난 정체성의 문제

        전창배 한국괴테학회 1998 괴테연구 Vol.10 No.-

        18세기 중반이후 독일에서는 자서전과 자전소설들이 많이 창작되기 시작하여 한 개인의 인생전체에 대한 회고와 생의 의미를 찾으려는 노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자전소설들은 사회심리학적 성찰의 경향을 띄거나, 혹은 기독교적 가치관에 입각하여 자신의 인생을 서술하거나, 또는 루소의 『고백론』 을 표본으로 하여 자신의 삶의 체험에 관해 가식 없이 진솔하게 토로하였다. 이러한 자전소설들은 일반적으로 끊임없는 자기관찰과 함께 자신의 삶의 주요 사건들을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자 하는 내면의 강력한 욕구에 의해 탄생된다. 그런데 융 슈틸링의 자전소설은 자신의 내면으로부터의 욕구에 의해서가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권유에 의해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바로 괴테의 권고에 의해 융 슈틸링은 자전소설을 창작하게 된다. 괴테는 슈트라스부륵 대학 시절에 의학을 공부하던 융 슈틸링을 알게되었다. 모든 것이 오로지 신의 가호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믿으며, 자신의 삶 또한 오로지 신의 인도에 맡기고, 또 신의 확고한 존재에 대해 열정적으로 역설하는 융 슈틸링을 접한 괴테는 그의 이 신비한 믿음에 깊은 관심을 갖게되었고 급기야는 슈틸링에게 자서전을 써볼 것을 권하였다. 이렇게 창작된 융 슈틸링의 자전소설은 강한 믿음의 증거로 점철되어 있다. 생의 처음부터 슈틸링은 하나님의 가호에 맡기고, 모든 일상생활의 일들이 단지 신의 뜻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믿는다. 소설 전체에 걸쳐 사건의 진행을 결정적으로 추진시키는 것도 오로지 신의 뜻밖에 없다. 자기자신 고유의 의지나 의식은 오히려 단지 이러한 신의 뜻을 이해하는 데 방해물로 이해될 뿐이다. 이러한 관점은 모릿쯔의 안톤 라이저와 비교해보면 정 반대의 현상으로 나타난다. 모릿쯔의 안톤 라이저는 종교적 자아의 무의식에서 자아를 의식하는 즉, 자아를 발견하는 데 반해, 헨리히 슈틸링은 철저히 자아를 무시하고 종래에는 자아를 완전히 부정한다. 여기서 우리는 자아의 정체성과 연관하여 심리적으로 주요한 요소들을 포착할 수 있다. 경건주의 신앙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심리적 측면의 부정적인 요소 가운데 하나가 바로 자아의식의 소멸이다. 내면에 침잠하여 오로지 신의 계시를 직감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경건주의적 수양은 자아에 대한 의지나 욕구를 그 싹에서부터 없앰으로써 자아의식의 생성 자체를 저지한다. 여기에 더하여 경건주의는 일상생활에 긍정적으로 결과하는 모든 일은 오로지 신의 가호와 인도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함으로써 자아의 의지를 중심으로 자신이 직접 이룩하였을 때 느끼게 되는 성취감이란 인정하지 않는다. 그 결과 슈틸링은 자아의 정체성 형성에 필수적 요소인 성취감을 체험해보지 못한다. 이처럼 자아의 성찰을 통한 자아형성은 슈틸링에게 있어서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경건주의적 종교관은 개인의 자아형성에 있어 처음부터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설이 진행됨에 따라 헨리히 슈틸링은 현실감각을 상실하게 되며, 현실에 대한 깊은 성찰력을 잃게 된다. 여기에 슈틸링이 정체성형성에 좌절하게 되는 원인이 놓여 있다.

      • KCI등재

        마디풀(Polygonum aviculare L.) 추출물의 대식구 면역증강 효과

        전창배,김영훈,Dulamjav Batsuren,Jigjidsuren Tunsag,노주원,판철호,이재권 대한약학회 2013 약학회지 Vol.57 No.6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whether the extract of Polygonum aviculare L. (PAE) can be applied to the immune-stimulating responses in macrophages (Raw 264.7 cell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WST-8 assay, and all four doses of PAE (5, 10, 20, and 40 µg/ml) had no significant cytotoxicity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PAE ncreased the produc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nitric oxide (NO), and mRNA expressions and protein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tumor necrotic factor (TNF)-α, interleukin (IL)-1β and IL-6) in the same cells. These immune-stimulating activities of PAE were found to be caused by the stimulation of NFκB signal and phosphorylation of MAP kinases (p38, ERK and JNK).

      • KCI등재

        Jean Paul 의 소설 " Die Flegeljahre " 에 나타난 정체성의 문제

        전창배 한국괴테학회 1999 괴테연구 Vol.11 No.-

        In Jean Pauls Flegeljahren geht es um die Problematik der Ich-Identita¨t, wobei seine zwei Helden, Walt und Vult, auf falsche gesellschaftliche Verha¨ltnisse ohne aufkla¨rerisch-moralischen Rigorismus reagieren. Walt phantisiert sich empfindsam, Vult reflektiert sich meist satirisch aus den identita¨tsverhindernden sozialen Verha¨ltnissen heraus. Fu¨r gelingende Identita¨tsbildung sind soziale und perso¨nliche Ich-Identita¨t unabdingbar. Walt verfehlt aber jene wegen seiner Unfa¨higkeit, situative Erwartungen zu erfu¨llen und zu geschriebenen sozialen Rollen gerecht zu werden; diese, indem er die Wirklichkeit stets empfindsam-schwa¨rmisch umdeutet. So erreicht er zwar die Autonomie des Phantasten, keineswegs aber perso¨nliche Identita¨t. Auch seine ru¨hrende allgemeine Menschenliebe wird von den Projektionen eigener Innerlichkeit bestimmt. Den von Walt idealistisch-empfindsam imaginierten richtigen klassenlosmenschlichen Verha¨ltnissen steht die tatsa¨chliche soziale Realita¨t unverso¨hnbar gegenu¨ber. Damit wird die mangelnde Identita¨tsfa¨higkeit jener Wirklichkeit offenbart. Es wird deutlich, daß Walts realita¨tslose Empfindsamkeit und Vults realita¨tsbezogene Hochstapelei gleichermaßen auf eine defizita¨re Lebenswelt reagieren. Jean Pauls resignativ-dualistisches Denken widersetzt sich der dialektischen Vorstellung gelingender Ich-Identita¨t. Freiheit und Glu¨ck. Ich-Identita¨t und eine humane Lebensform sind fu¨r Jean Paul in dieser Welt prinzipiell unerreichbar. Sie ko¨nnen nur in jener anderen Welt der Poesie und Phantasie in Erfu¨llung gehen. Trotzdem ist Jean Pauls Roman keine romantische Unendlichkeitspoesie, denn er sto¨ßt sich an der sozialen Realita¨t und entziffert die Ursachen verhinderter Ich-Identit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