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진희의 졸업작품 「나에게 이르는 길」해설

        전진희 동덕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소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네 곡의 해설이다. 네 곡을 창작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음악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발표한 네 곡은 지금까지 공부해온 내용들을 토대로 독일 문학소설인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중 나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소설 속 각각의 장면들에게서 영감을 받아 작품으로 구성하였으며(1. 떨어지는 모든 것들 2. 결핍의 힘 3. Resignation 4. Pray) 이에 대한 의도하는 음악적 표현을 위해 다양한 작곡 기법들을 반영하였다. 본론을 통해 졸업 작품 ‘나에게 이르는 길’ 의 배경, 음악적 특징을 차례대로 전달 하고자한다.

      • 7차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외래어 연구 : A Study on loanwords in the 7th high school language arts textbooks

        전진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제7차 교육과정의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인 1학년에서 10학년까지의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외래어 사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와 같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를 활용하고, 고등학교 1학년인 제10학년 국어 교과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학교 급별로 비교 ·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여 결론에 대신하기로 한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상), (하)에서 조사된 외래어는, 고유명사를 포함하여 교과서 1쪽 당 0.58개의 어휘가 사용되었다. 이 수치를 초등학교 1.5개 및 중학교 0.75개와 비교한다면,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은 외래어가 사용되었고, 그 다음이 중학교이며, 고등학교가 가장 적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순으로 외래어가 등차적인 증가를 보여야 하는데도 그 결과가 반대로 나타났기 때문에 하나의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는 어휘 습득의 대상이 고유어나 한자어가 아니라 외래어이기 때문에, 저학년일수록 고유어나 한자어의 습득에 우선순위를 두고 외래어를 가급적 지양해야 할 것이다. 반면 고학년은 어휘 선택에 대한 분별력이 있기 때문에, 초 → 중 → 고로 갈수록 외래어가 감소되는 현상은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본다. 제10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조사된 외래어의 사용 빈도는 해당 단원의 제재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보인다. 외래어 사용 비율이 낮은 단원은 전통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거나 고전 작품이 그대로 실린 단원이었고, 외래어 사용 비율이 높은 단원은 시대적으로 현대적인 제재를 반영하거나, 글의 성격 내지 배경이 현대와 연관된 것으로 나타나, 특히 이러한 내용을 다룰 때 외래어 사용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본고에서는 종전의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문제, 즉 신뢰도 제고를 위하여 제10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고전의 성격이 짙거나 특정 어휘가 과다하게 사용된 단원들을 배제한 다음에, 동일한 방법으로 외래어의 사용 실태와 빈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원래의 조사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그리하여 교과서 1쪽 당 외래어 연어수 빈도는 0.61개로 단원 선별 이전의 0.58개보다 0.03개가 증가되었는데, 이는 앞선 결론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외래어 품사는 제7차 교육과정 초·중·고등학교 모두가 명사 중심이고, 이 중 고유명사도 상당수를 차지하였다. 어휘 면에서는 1학년에서 10학년 과정 전체에서 ‘인터넷, 컴퓨터’가 많은 사용을 보였는데, 이 분야의 외래어는 그 발달 속도만큼 빠른 순화 작업이 요구된다. 외래어의 원어별 분포는 1학년에서 10학년 과정 모두에서 영어가 약 90%를 차지하였다. 효율적인 순화 교육을 위해서는 외래어의 유입과 동시에 신속한 순화 절차를 거쳐서 대체어를 보급하는 한편,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외래어를 최대한 고유어나 한자어로 대체시켜 특정 내용이 아니라 글 전체를 대상으로 한 자연스러운 순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무조건적인 외래어 배제보다 한정된 범위에서 외래어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use of loanwords in language arts textbooks for grades 1 to 10 as one of the basic required cours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After the findings of existing studies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ere reviewe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grade 10, which referred to high school first grade, were analyzed, and they were compared to the textbook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and second volumes of the high school language arts textbook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included a mean of 0.58 loanword in each page, which included proper nouns, wherea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included a mean of 1.5 and 0.75 loanwords respectively.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employed the largest number of borrowed words, followed by th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the high school textbooks utilized loanwords the least. There's something wrong with this phenomenon, since the use of loanwords should gradually increase with school grades. Younger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should acquire native vocabularies or words in Chinese character first of all, and their exposure to borrowed words should be avoided as much as possible. In contrast, older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are able to make a selective choice of vocabulary, and the phenomenon that upper graders are exposed to fewer loanwords was undesirable. The loanword frequency in the language arts textbooks for grade 10 had to do with topics handled in each segment. The units that included a lower rate of borrowed words dealt with traditional things or classical works, and the segments that used much loanwords dealt with modern things or had to do with modern times. When this type of unit is handled, it's needed to take a more discreet approach to the use of loanwords. In order to produce more reliable results, which was overlooked in earlier studies, the segments of the language arts textbooks for grade 10 that leaned toward classical literature and excessively employed specific types of vocabularies were ruled out, and then the other units were investigated again to find out in which way and how many loanwords were utilized. W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first investigation, it turned out that the textbooks dealt with a mean of 0.61 total loanword in each page, which was 0.03 more than that of the first investigation(0.58). There was little gap between the results of the two investigations. As for a part of speech of loanwords, all the curren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included nouns, many of which were proper nouns. Every textbook for grades 1 through 10 put the Internet and computer in frequent use, and it's needed to take actions to deter computer-related borrowed words from being tainted. Concerning the original language of loanwords, English accounted for about 90 percent in all the grades for 1 through 10. To correct the verbal lives of students, good alternative words that could replace borrowed words should be supplied, and loanwords should be substituted by native words or words in Chinese characters as much as possible to enhance the language of learners. They should be educated to make the right, limited use of loanwords, instead of unconditionally having them stay away from words of foreign origin.

      •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유아 음악 교육 지도 방안

        전진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기는 인간의 발달 단계 중 가장 급격한 속도로 발달하는 시기로 인격의 기초가 확립되는 때이다. 음악교육은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신체활동 등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통해 심미적 체험을 하도록 하고 음악에 대한 다양한 감성표현을 언어적, 신체적, 창조적 표현을 통해 나타냄으로 음악과 그 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 유아 교육 기관을 통한 유아 음악 교육은 단순히 듣고 따라 부르는 가창위주의 수동적인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그것은 유아 스스로 사고하거나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적어지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유아의 음악적 발달 능력과 유아 교육과정을 토대로 유아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곡을 선택한 후,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하여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정했다. 이를 위해 유아 음악 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연령에 따른 음악적 능력의 발달 수준, 발달 수준에 맞는 적절한 곡 선정 기준, 7차 유아 교육과정 중 표현생활, 코다이 교육 철학, 코다이 교수법의 개요, 코다이 교수법의 구성요소, 코다이 교수법 적용의 실제 예를 차례로 살펴보고 유아의 연령에 따른 음악적 능력, 적절한 곡, 교육과정을 토대로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하여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즉 첫째, 4살이 되면 노래 듣기를 즐기고 따라 부르는 것을 좋아하고 ‘모방적 리듬 운동기’라 하여 신체를 이용하여 리듬을 표현할 수 있다. 5살은 노랫말과 리듬, 음높이를 모방해 부르는 능력이 증대된다. 6살은 ‘독창적인 노래’를 지어 부르는 것을 즐기며 즉흥적으로 가사를 바꾸어 부를 수 있다. 7살은 음정을 비교적 정확하게 구사할 수 있고 동일한 노래를 다른 속도와 다른 음높이로 부를 수 있으며, 음량의 변화나 곡의 속도에도 주의를 집중할 수 있게 되고 리듬의 정확도도 높아진다. 연령에 따라 변화되어지는 발달 수준에 맞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유아가 평소 경험하거나 흥미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을 소재로 하여 박자, 조성, 형식 및 길이, 음역, 빠르기, 셈여림, 리듬, 가락, 음정, 노랫말 10개 항목으로 나누어 유아의 수준에 맞게 곡을 선택한 후 교육과정에서 중시하는 보고, 듣고, 만지고 느껴보는 능동적인 다양한 활동들을 제시하였다. 셋째, 즐거운 음악 교육을 위해 리듬읽기, 손 기호, 신체 기호, 악기 연주, 즉흥연주 등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하였다 넷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음악적 능력에 맞게 리듬 읽기, 손 기호, 신체 기호, 악기 연주, 신체 놀이, 가사 바꾸기, 즉흥 연주 등 다양한 교수 방법을 활용하여 적절히 배치함으로 집중력과 흥미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코다이 교수법을 실제 수업에 활용함으로 유아들은 즐거운 수업 속에서 자연스럽게 음악적 요소들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유아의 리듬 능력과 음정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의적·능동적인 교육을 통하여 바른 인성과 감정조절의 능력을 키우고 심미적 성장을 비롯하여 사회적, 정서적, 지적, 신체적 발달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Sonorant destressing in pre-tonic penultimate syllables of English

        전진희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의 단어말 강세음절 앞에서 일어나는 공명음절 탈강세에 관한 연구 영어의 단어 강세를 설명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규칙이 사용된 다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는 점이다. 이 논문에서는 영어의 단어말 강세음절 앞에서 일어나는 공명음절 탈강세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최적성이론 (Optimality Theory)를 통하여 이 현상을 설명하였다. 단어 말에 강세음절이 오고 약추월 (Weak Retraction)이 일어나는 경우, 단어 끝에서 두번째 음절(Penultimate syllable)의 음절말 자음이 공명음일 경우 공명음절이 탈강세가 일어나 제 1강세가 뒤에서 세 번째 음절에 오게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공명음절 탈강세 (Sonorant Destressing)라고 한다. 이 논문에서는 CELEX (Baayen et al. 1999)에서 추출한 3음절 단어와 4음절 단어들을 대상으로 공명음절 탈강세에 영향을 미치는 다섯 가지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단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의 음절말이 장애음 (obstruent)인지 공명음 (sonorant)인지, 둘째, 공명음이 위치되는 음절 앞 음절이 한 개 인지 또는 두개, 셋째, 단어 끝에서 세 번째 음절이 중음절 (heavy syllable)인지 경음절 (light syllable)인지, 넷째, 단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의 음절말 자음의 조음 위치가 설정음(coronal)인지, 마지막으로 어휘 빈도가 어떠한지에 대해 고려해 보았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다섯 가지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두 가지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 끝 두 번째 음절의 음절말이 공명음일 경우 공명음 탈강세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공명음이 위치한 음절 앞에 음절이 한 개 있을 경우 공명음 탈강세가 그 다음으로 많이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Kiparsky (1979)의 The Medival Destressing Rule과 Kager (1989)의 Sonorant Destressing의 조건과 일맥상통하다. 따라서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하여 선행연구들을 실증적으로 증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공명음절 탈강세를 최적성이론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하여 얻은 공명음절 탈강세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두 가지 요인을 두 가지 제약을 통하여 형식화했다. 첫째, 단어 말음절이 장모음 (long vowel)을 가지면 강세가 와야 하는데 이러한 조건을 STRESSLONG 제약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둘째, 단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의 음절말 자음이 장애음이 아니라 공명음이 와야 하는 조건을 *ə+OBSTRUENTCODA (Hong, in prep) 제약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이 제약은 중성모음 (schwa) 다음에 장애음이 못 오는 제약이다. 이 두 개의 제약으로 공명음절 탈강세를 설명하기에 부족하여 *CLASH-HEAD 제약을 추가하였다. 이 제약은 강세가 다음 음절에 연달아 오지 못하게 하는 제약이다. 추가한 세 가지 제약으로도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이 공명음절 탈강세의 예외였다. 공명음절 탈강세의 예외에 해당하는 단어들은 단어말 음절이 제 2강세를 가지고 있고 단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의 음절말 자음이 공명음임에도 불구하고 제 1강세가 단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오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예외를 설명하고자 제약을 일련의 특정 그룹에 적용시키는 어휘명세제약 (lexically-specific constraint; Ito & Mester 1999, 2001; Pater, 2000; Hammond, 2004; Hong, 2008)인 *CLASH-HEAD(S)를 적용시켜 최적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CLASH-HEAD(S)는 공명음절 탈강세가 일어나는 어휘에만 적용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공명음절 탈강세에 어떠한 요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그러한 요인들을 최적성이론에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 공주지역 구술에 드러난 스토리텔링 속성연구

        전진희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Story telling’ refers to one of the methods to communicate with world by adding a value to story with fun and meaning. Story telling is also an expression method of pop culture in this post modern age in which ‘daily life has become a culture’ by using various codes such as public, medial, digital, dissolution, main agent, body, sense, image, imagination, expense and more. However, story which we commonly encounter is usually made with texts and this is because of the fact that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form of story telling as digital age has come. Story telling newly reproduces stories by using various stories from historical fact, folk tale, folk painting and classical novel as a source. As digital technology which fits to modern desires has been developing, the importance of story telling together with high∼tech public media have been emphasized. Each region has an unique story and it becomes a source of story telling. However, folk tale, myth and historical story are usually transformed into textual story from narrative story when collected. In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story telling before text is disappeared so only contextured story is remained. Transforming this back to story telling is currently focused by culture contents. Basically, story telling can be considered that old telling story is re∼introduced in this digital age. Certainly, not all the telling stories are not story telling but there is a high similarity between telling story and story telling in terms of basic characteristics. Therefore, good story telling can be made by using telling story in Gongju area. This study focuses more on characteristics of story telling methods than subject or contents of the story so it analyzed story delivering behavior or method not detail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various telling stories collected from Gongju area to find out what types of story telling factors they have and to utilize them by connecting them with cultural heritage, tourism or local festival. 스토리에 가치를 부여하여 재미와 의미를 담아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을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이라고 한다. 스토리텔링은 대중, 미디어, 디지털, 해체, 주체, 몸, 감각, 이미지, 허구, 소비 등의 다양한 코드로 하는 우리 포스트모던시대에 ‘일상이 문화’가 되어버린 대중문화의 표현 방식이다. 그렇지만 현재 우리가 주로 접하는 스토리는 텍스트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그러한 것이 디지털 시대로 넘어오면서 스토리텔링의 형태로 변화하게 되었다. 과거의 역사적 사실, 민담, 민화, 고전 소설 등에 담겨 있는 다양한 스토리를 원천소스로 삼아서 이를 활용하여 새롭게 재현해 내는 방식이 스토리텔링이다. 현대의 요구에 맞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첨단의 대중매체와 함께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각 지역에는 그 지역의 독특한 스토리가 널리 퍼져 있고 이러한 이야기는 지역의 스토리텔링에 중요한 원천이 된다. 그렇지만 대체로 민담이나 전설 혹은 역사이야기 등은 수집되면서 이야기체의 형태에서 텍스트의 스토리로 전환되었다. 그 과정에서 텍스트 이전의 스토리텔링 속성이 사라지게 되면서 결국 구성된 이야기만 남게 되었다. 이것을 다시 스토리텔링으로 전환하여 활용하는 것이 최근에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주목받는 내용이다. 현재 스토리텔링은 기본적으로 옛 구술이 디지털 시대에서 다시 등장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구술이 모두 다 스토리텔링이라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속성의 측면에서 보면 구술과 스토리텔링 사이에는 유사성이 크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사성을 감안하여 공주지역의 구술을 잘 활용하면 좋은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은 스토리의 주제나 내용보다는 스토리텔링 기법의 속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아래의 분석에서는 기본적으로 세세한 내용보다는 스토리를 전달하는 행위나 방식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공주지역의 구술에서 수집된 다양한 구술을 분석하여 그것이 어떠한 스토리텔링 요소를 품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을 지역의 문화유산이나 관광 및 지역축제와 연계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해보려는 것이다.

      • 석탄산업의 쇠퇴와 정부 정책변화 : 법령의 제정과 시행을 중심으로

        전진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dustrial policies of government are centered on promotion policies and therefore most research focuses on the growth process of industries. However, the government sometimes implements structural policies when necessary and executes exit measures of industries on the decline. Nonetheless, research on them is not much and research focusing on the "decline" process is lacking.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governmental policies on industries on the decline flow through a case study of the coal industry.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declining process of the coal industry based on laws related to the industry and look at how the government's policies on the coal industry have changed. This paper will examine changes in the government's main policies on the coal industry and the factors for such changes. The coal industry is concentrated in mountainous areas, closely associated with ordinary life, and in particular related to livelihood; the government's policies on the coal industry on the decline have two turning points. This paper shows that the government's industrial policies were divided into developmental policies on closed mine areas and environmental policies for mining areas; this paper exhibits the government's policies on the coal industry continuing thus far and their change process. This paper divides the declining process of the coal industry into three stages. As the background for it, Section 2 will examine the enactment of the three laws on temporary measures for the coal industry and policies to increase production from the coal industry. The first stage is the government's measures against the side effects of policies for nurturing the coal industry (1986~1995). This is described in Section 3. Section 3 will look at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Coal Industry and how the coal industry declined thereafter. The second stage is the government's measures against contraction of the local industry resulting from abandoned mines (1996~2025). This is described in Section 4. Section 4 will examine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Development and Support of the Closed Mine Areas and the process of the main content of the policies on the coal industry being changed into policies to support closed mine areas. The last stage is the government's measures against the environmental problems in mine areas (2006~). This is described in Section 5. Section 5 sums up the government's policies to prevent damages from abandoned mines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relevant laws.

      • 서울시무용단 정기공연의 창작경향과 한국창작춤에 미친 영향

        전진희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울시무용단 정기공연의 창작경향과 한국창작춤에 미친 영향 서울시무용단은 시민들의 문화향수권의 요구에 적절히 부응하고자 하는 노력과 새로운 창작 작업의 정기공연을 통하여 예술적 창작열과 자긍심을 추구하고자 하는 전문직업무용단이다. 그리고 이처럼 양립된 특성은 나름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유지해 나갈 수 있다는 관립단체로서의 긍정적인 면과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예술관에 갇힐 수 있다는 부정적인 면을 동시에 드러내었다. 하지만 우리의 전문무용단 정기공연에 나타난 창작 예술활동의 가치확립은 한국무용의 새로운 변혁기를 담당한 구심점이라는 전제를 가능케 한다. 따라서, 서울시무용단 작품의 창작경향에 대한 고찰과 동작 및 안무구성 분석을 통하여 그 춤언어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이 시대의 한국창작춤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과 미래적 전망을 얻을 수 있었다. 1. 서울시무용단 작품의 창작경향을 작품현황, 장르, 종류, 초연 및 재공연, 주제분 포, 연대별 장르, 연대별 주제 등 모두 7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등 10년을 주기로 한 시대적 특성과 각기의 안무자 성향별로 뚜렷한 차이점을 드러냄을 확인하였다. 2. 서울시무용단 대표작품 6개에 대한 움직임과 구성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상체의 움직임에서는 필체, 하체에서는 디딤새를 활용하고 있으며 구도 또 한 뭉친구도를 활용하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창작에 있어 각기 의 안무자들이 인간의 감정이나 자연의 흐름을 같은 방식으로 풀고 있음과 동시 에 한국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자리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3. 무대와 양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한국춤은 태동기부터 견지되어 온 지 역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일관된 동작의 맥을 유지하여 왔다. 우리는 이것을 한 국춤의 확고한 특성임을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작화된 작품의 전승보전 및 체제확립에 대한 노력과 연구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4.. 타장르와의 융합을 통한 춤언어 개발을 위해 교육프로그램 개발, 무용수의 인식 변화, 전문 무용수의 모집과 활용 등 다양한 방안모색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리 고 이러한 노력은 근시안적인 접근보다는 보다 장기적인 계획과 제도적 훈련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5. 전통의 창작화와 전통의 재구성은 춤언어 개발을 위한 필수적인 훈련과제로서 전문무용단원의 확고한 교육체계와 특성화 구축을 통하여 한번 창작된 작품이 오래동안 공연될 수 있도록 레파토리화 하여야 한다. 6. 서울시무용단 정기공연의 창작경향은 한국적 정서와 사상적 원리는 물론 전통적 춤사위를 바탕으로 새롭게 창작화 함으로써 한국무용계에 중대한 영향을 끼쳐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대적 흐름에 따라 춤의 양식과 춤언어 또한 변화 되기 마련이지만 이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서울시무용단의 올바른 가 치판단이 미흡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다양한 장르와의 융합이나 무용수 와 관객들의 적극적인 인식변화를 통하여 서울시무용단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나 아가 한국춤의 발전적인 미래에 이바지할 있는 연구개발을 지속하고자 한다. 주제어 : __한국춤__ , __서울시무용단__ , _직업무용단__ , __한국창작춤__ , __춤언어__

      • 백화점 판매직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

        전진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백화점 판매직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여 감정노동 관리에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백화점 판매직 근로자 19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감정노동과 수면의 질에 대해 조사를 수행하였다. 백화점 판매직 근로자의 감정노동은 남자보다 여자에서, 결혼은 미혼보다 기혼자에서, 연령은 41∼50세에서, 흡연자보다 비흡연자에서 감정노동의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전체 수면의 질 점수는 6.24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 하부요인 중에서 감정조절의 노력과 다양성, 고객응대 과부하 및 갈등, 감정부조화 및 손상, 조직의 감시 및 모니터링이 증가할수록 수면의 질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화점 판매직 근로자들에서 감정노동이 증가할수록 수면의 질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감정부조화를 적절한 시기에 조절하여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근로자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건강 보호를 위한 정서적 관리와 감정 노동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저널 쓰기를 활용한 대입 자기소개서 쓰기 연구

        전진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고등학생들이 저널 쓰기를 경험함으로 인하여 자아발견과 성찰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에 주목하고, 이것이 자기소개서 쓰기로 연계되는 과정을 살핀 연구이다. 대입 자기소개서의 도입배경과 평가의 방향을 분석하여 올바른 자기소개서 쓰기의 방향을 탐구하였다. 대입 자기소개서는 학생의 잠재력과 성장가능성을 평가하는 수단이다. 이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원자가 스스로를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다. 또한 자신을 알게 되는 성찰의 과정은 자기소개서를 쓰기 전 과정이나 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글쓰기를 통한 자아의 성찰에는 글쓴이의 존재를 변화시키는 힘이 있다. 자아의 발견과 반성, 자아정체성의 확립, 자존감의 향상 등의 내적 변화를 글쓰기를 통해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은 고등학생들이 참된 자아를 형성하고 진로를 결정할 때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본고에서는 고등학생의 성찰적 글쓰기 경험의 방법으로 저널 쓰기를 제안하였다. 저널 쓰기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짧은 시간 내에 자유로운 글을 씀으로 일상을 기록할 뿐 아니라 깊은 감정과 사고의 표현이 가능한 글쓰기이다. 또한 독특한 기법을 활용하여 초보자도 쉽게 따라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글쓰기를 위한 물리적 시간이 부족하고 감정을 표현하고픈 갈증을 느끼는 고등학생들이, 자기소개서를 쓰기 이전에 경험하기에 적합한 방법이 된다. 이에 저널 쓰기를 경험한 학생들이 자기소개서를 완성시켜 가는 과정을 프로그램화하여, 교육 실험을 진행한 과정과 그 결과를 보고한다. 또한 저널을 쓰는 과정과 완성된 자기소개서에서 나타난 성찰의 지점을 짚어보며, 글쓰기를 통해 자아와 전공적합성을 발견하게 된 과정을 분석·설명한다. 성찰의 과정을 거친 자기소개서가 학생에 의해 쓰여 지고, 평가자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는 새로운 교육여건의 형성이 필요한 때이다. 이 논문에서는 점진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자기소개서의 평가 문항과 고등학생의 글쓰기 교육 방향에 대해 논의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