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카페여급을 다루는 역사연극과 역사연구 -<이상, 열셋까지 세다>와 <깃븐우리절믄날>을 중심으로

        전영지 ( Jeon Young-ji ) 한국드라마학회 2017 드라마연구 Vol.0 No.51

        본고는 한국계 미국인 극작가 성 노(Sung Rno)의 희곡 <이상, 열셋까지 세다>(1999)와 한국인 극작가 성기웅의 희곡 <깃븐우리절믄날>(2008)의 비교를 통해 역사연극과 역사연구 사이의 관계에 대해 묻는다. 두 희곡 작품 모두는 일제강점기 요절한 천재시인 이상의 단편소설을 기반으로 이상과 이상의 주변인물들 간의 자살기도를 동반하며 일어났던 애정문제를 다룬다. 게다가 이 애정문제에 중심이 되는 여주인공들은 모두 카페여급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강한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의 카페여급 캐릭터, 그린과 권영희는 매우 상이한 인물로 설정되어있다. 식민지 조선의 기생과 기생의 근대적변형인 카페여급은 매춘 또는 `자유연애`에 관여하는 동시에 전통기예 또는 근대성을 향유하는, 양가성(兩價性)을 지닌 여성들로 여겨졌으나, 두 희곡은 이러한 양가적 특징 중 하나의 측면은 강조하고 다른 하나의 측면은 축소시켜 완전히 다른 상(像)의 여성캐릭터를 제시한 것이다. 필자는 두 희곡이 보이는 이러한 차이에 주목하고 한국어와 영어로 쓰인 식민지 조선의 카페여급에 대한 역사 연구서들을 검토하여 두 개의 다른 언어권에서 생산된 역사 서술 내러티브들이 보이는 공통의 관심과 관점을 밝힐 것이다. 결국 본고는 역사연극과 역사연구 모두 본질적으로 과거의 이야기를 잠재적 독자/관객과 소통하고자 시도하는 내러티브이기 때문에 언어가 누구와 소통할 것인가를 규정하며 상이한 역사쓰기를 추동한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plays and historical studies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Yi Sang Counts to Thirteen (1999) by Korean American playwright Sung Rno and Showa 10, Our Joyful Young Days (Gitbeun-uri-jeolmeun-nal, 2008) by Korean playwright Ki-woong Sung, as well as that of Korean-written and English-written historical studies concerning cafe-maids in colonial Korea. The two plays portray strong similarities; the both deal with the 1930s Korean poet Yi Sang and his love conflict, which included cafe-maids in its center and entailed suicide attempts. Nevertheless, the two cafe-maids - Green in Yi Sang Counts to Thirteen and Young-hee Kwon in Showa 10, Our Joyful Young Days - appear considerably different even in their job descriptions. While gisaeng and its modern incarnation of cafe-maids had ambivalent features of artistic talents/modern intellectualism and prostitution, the two plays provide the audience with different pictures by highlighting one aspect and blurring the other. Considering such dramaturgical technique in history narratives, I examine whether Korean and English-speaking historical scholarships concerning cafe-maids in colonial Korea echo the differences of the plays, and ask why, if they do. This research ultimately suggests that history plays and historical studies are alike as an attempt to communicate past stories with their potential readers/audiences, and thus conditioned by languages that storytellers choose, since the languages establish who their potential communication partners would be.

      • KCI등재

        일제시대 재미 한인의 다큐드라마 -『신한민보』게재, <셰계에 뎨일 큰 연극>과 <희문 열혈>을 중심으로

        전영지 ( Jeon Young Ji ) 한국연극학회 2016 한국연극학 Vol.1 No.59

        본 논문은 20세기 전반기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행된 한인 신문 『신한민보』에 게재되었던 두 편의 ‘다큐드라마’ 작품을 분석하여 일제시대 재미 한인들이 발전시켰던 민족주의 내러티브를 고찰하고자 한다. 논의 의 대상이 되는 두 작품, 백일규 작 <셰계에 뎨일 큰 연극>(1915)과 홍언작 <희문 열혈>(1923)은 각각 제1차 세계대전과 3·1 운동을 사실에 입각하여 다룬다. 그러나 이 두 희곡은 또한 국가와 세계의 관계에 있어 허구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두 희곡은 당시 조선인들에게 세계를 무대화할 능력이 있는 듯 과장하고, 세계의 무관심 속에서 실패로 돌아갔던 3·1 운동을 승리의 역사로 재구성한다. 이렇듯 두 작품이 그리는 민족의 미래는 재미 한인들이, 특히 제1차 세계대전 전후로 꿈꾸었던, ‘자비로운’ 미국의 ‘호의’ 속에서 근대화되어 세계와 호흡하고, 마침내는 독립을 이루는 모습이다. 재미 한인 작가, 백일규와 홍언은 이렇듯 ‘다큐드라마’의 장르적 특성을 살려 재미 한인들이 현실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허구적 내러티브를 진실처럼 직조한다.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국을 떠나 문명국과 동일시되 던 미국에 거주하며 민족을 염려하던 재미 한인들은 자신들이 제국의 검열망 밖에서 자유롭게 제국주의 일본을 비판하고 민족주의적 감정을 표출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서구 지식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근거로 자신들의 특권화된 위상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제국주의적이고 인종주의적 미국을 직접 체험하면서도 이상화된 근대성과 그것의 구체 화로서의 미국이라는 허구를 버릴 수 없었다. 결국 재미 한인들은 ‘다큐 드라마’라는 형식을 차용하여 자신들의 특권화된 위상이 근거하고 있던 허구에 대한 불신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키는 ‘as if’의 세계로서의 연극을 생산하며 자신들을 ‘민족의 후견인’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 논문은 결국 기존 한국 근대연극사에서 아직까지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던 일제시대 한인 디아스포라의 연극활동을 소개하며, 식민지 조선의 문화지형이 일제 대 조선의 이항대립 구도로 소급될 수 없다는 것을 밝히고, 연극이 민족주의 담론의 형성과 발전에 기여한 역할을 되묻는다. 이를 통해 민족주의 담론 또한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지우는 ‘다큐 드라마’의 형식으로 쓰여진 하나의 내러티브일 뿐이라는 점을 시사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wo docudramatic plays published in the California-based Korean newspaper, The New Korea (Sinhan Minpo): The Biggest Theatre in the World (Syekye-eso Tyeil Kun Yonkuk, 1915) by Paek Il-kyu, and Passionate Play (Huimun Yolhol, 1923) by Hong On. In analyzing these plays, I argue that Paek and Hong rendered fiction ­ that Korean immigrants in the U.S. sought to realize in reality ­ as if truth, by taking advantage of the docudramatic theatrical form. Arguably, Paek and Hong`s plays explore the most crucial global and local issues impacting Koreans in the 1910s: World War I and the March First Movement, respectively. While these plays are fact-based, they also include fictional parts, particular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the world. Specifically, Paek`s play portrays Koreans as having had the ability of staging the world, and Hong’s play reconstructs the March First Movement (that failed with no support from the world) into a victorious historical account. The nation`s future that these plays portray is, after all, the future that Korean immigrants in the U.S. wanted to pursue. That future consisted of Korea becoming a modernized, independent nation in ‘favor’ of the ‘generous’ civilization that the U.S. represented. Paek and Hong thus structured their plays in such a way as to facilitate the suspension of disbelief in the righteousness of American civilization, which Korean immigrants in the U.S. partially based their claim that they should serve as custodians of the nation. After all, I interpret the plays as having suggested an ‘as if’ version of existence that Korean immigrants in the U.S. created in order to further privilege their position, armed with their proximity to American modernity as well as distance from Japanese colonialism. This paper discusses theatrical activities by Koreans in the U.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readdressing such a largely overlooked history in contemporary scholarship, I challenge the prevalent nationalist historiography assessing the modernization of Korea as a consequence of the presumed exclusive interplay between Japan and Korea. In so doing, I also question the role theatre played in the formation of nationalistic discourses, which developed as nothing more than docudramatic narratives blurring the line between fact and fiction.

      • KCI등재

        수어연극의 미학적 윤리적 딜레마 -미국 국립농인극단(National Theatre of the Deaf)을 중심으로-

        전영지 ( Jeon¸ Young-ji ) 한국드라마학회 2021 드라마연구 Vol.- No.65

        본고는 미국의 ‘국립농인극단(National Theatre of the Deaf)’을 중심으로 장애학의 맥락에서 수어연극을 고찰한다. 국립농인극단은 1967년 창단된 이래 청력의 차이와 무관하게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향유할 수 있는 대중적인 공연을 창작하는 전문적인 직업극단을 지향하며, 수어와 음성언어를 혼용하는 이중언어극의 형식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이 과정은 미학적 윤리적 딜레마를 노출했는데, 국립농인극단이 발전시킨 이중언어극의 형식이 수어의 예술적 잠재성을 발현하며 ‘수어사용자’로서 농인의 사회적 위상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했으나, 다수의 청인관객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수어의 고유성을 희생하는 결과 또한 초래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문화권력이 상이한 언어권 사이의 통 번역 과정에서 원문 보다 수용자를 배려하며 선택되는 번역방식, 즉 ‘자국화 번역’의 방식으로 수어의 미학화와 통역이 진행되면서 출발언어/출발문화인 수어와 농문화의 특이성은 일정 부분 망실된 것이다. 본고는 국립농인극단의 초기 공연사에서 이와 같은 역설이 발생했던 지점들을 톺아봄으로써 장애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장애를 소수자 정체성으로 접근하여 이를 무대화하고자 할 때 살펴야 하는 구체적인 지점들에 대해 질문코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sign language theatre in the context of disability studies with a focus on the National Theatre of the Deaf in the United States. Since its foundation in 1967, the National Theatre of the Deaf(hereinafter NTD) has developed a form of bilingual language play that simultaneously uses American sign language(ASL) and English speech, aiming to create performances as accessible as possible to all people regardless of differences in hearing ability. However, this process has exposed an aesthetical and ethical dilemma; the form of bilingual theatre developed by NTD has demonstrated the artistic potential of sign language and in so doing contributed greatly to improving the social status of the deaf as ‘sign language users’, but at the same time resulted in sacrificing the uniqueness of ASL to some degree. In other words, the peculiarities of sign language and deaf culture are lost to some extent as aestheticization and translation of sign language put focus more on ‘domestication’, a translation strategy, where audience/readers with cultural power are considered more than original texts written in minority languages. This paper investigates specific moments in the NTD’s early performance history when such an irony occurred, and sought to provide specific factors which need to be considered when attempting to stage disability as a minority identity, as suggested by recent disability studies.

      • KCI등재

        동시대 아시아계 미국 연극의 다중언어전략과 디아스포라 미학 -줄리아 조의 <가지>를 중심으로

        전영지 ( Jeon Young-ji ) 한국드라마학회 2019 드라마연구 Vol.0 No.58

        연극학자 마빈 칼슨은 하나의 작품에 둘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21세기 세계연극의 중요한 특징이 될 것이며, 이에 따라 퍼포먼스 연구의 부상과 함께 상대적으로 경시되어온 연극에서의 언어문제가 재조명받게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한국어의 배타적인 사용을 암묵적인 공식처럼 여겨온 한국의 연극무대 또한 최근에는 다중언어극을 선보이기 시작했으며, 특히 다민족·다중언어 국가 출신 극작가들의 작품을 번역해 무대화하는 경우 다중언어극의 언어문제는 매우 첨예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일례로, 2017년 여름, 국립극단은 ‘한민족 디아스포라전’이라는 이름 아래 다섯 명의 재외 한인극작가들의 작품을 무대화했는데, 이 작품 중 다수는 숙련도가 다른 한국어와 영어를 차별적으로 사용하여 재외 한국인의 정체성을 다루었으며, 이에 따라 한국무대에서는영어가 부분적으로 사용되거나 통역이나 자막이 도입되었다. 본고는 기획전 공연작 중 국내관객과의 소통 면에서 가장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받은 줄리아 조의 작품 <가지>를 중심으로 다중언어극의 미학에 대해 논 의하고자 한다. 먼저 줄리아 조가 작가로서 자리하고 있는 연극 지형인 아시아계 미국 연극의 역사에서 언어 사용이 어떠한 변화양상을 보여왔는지를 검토하여 <가지>가 다중언어극으로서 지닌 정치적, 미학적 의미에 대한 논의의 맥락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가지>의 언어전략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중언어극은 아시아계 미국인 극작가들이 자신들의 정체성 탐구의 맥락을 미국 내 정치적 지형도에서 세계 환경으로 확장시키며, 이를 반영하기 위해 선택하고 있는 연극형식임을 논증할 것이다. 즉 아시아계 미국 연극의 언어전략의 계보학에 대한 고려 속에서 <가지>의 다중언어전략을 살펴, 최근 아시아계 미국 연극 지형에서 등장하고 있는 다중언어극은 세계화라는 문화현상 속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디아스포라 정서와 경험을 담아내는 동시대 연극미학의 하나의 방식임을 논증코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복장전환과 동성애 - 영국 르네상스시대 연극무대와 일본 에도시대 가부키를 중심으로

        전영지 ( Jeon Young Ji ) 한국연극학회 2018 한국연극학 Vol.1 No.68

        본고는 르네상스시대 영국의 연극무대와 에도시대 일본 가부키의 변화궤적을 추적하여, 복장전환(cross-dressing)과 동성애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복장전환, 특히 남자배우가 여성 등장인물을 연기하는 연희의 형태는 연극의 오랜 관행이었으나, 남성 여역배우들이 자아내는 동성애(同性愛) 함의와 배우들의 동성애적 활동은 17세기 영국의 연극무대와 일본 가부키 무대 모두에 변화를 불러온 핵심적인 요인인 동시에 연극 박해와 통제의 주된 근거였다. 이에 필자는 당대 연극사를 재검토하여, 복장전환이 이성애(異性愛) 중심 가부장제가 강제하는 공고한 이분법 기반의 사회 위계질서 구축방식과 어떠한 갈등을 빚었으며, 그러한 갈등이 복장전환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켰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당대에 존재했던 ‘동성애’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현재 ‘동성애’라는 단어가 함의하는 성행위의 스펙트럼과 상이했고 이에 대한 전반적 사회인식 또한 판이했으며, 복장전환에 가해졌던 지배층의 통제와 탄압 또한 일견 ‘동성애’ 즉 섹슈얼리티의 질서만을 문제 삼은 듯 보이나 기실은 계층화 된 사회질서 전반의 붕괴에 대한 불안을 반영하고 있었음을 논증할 것이다. 즉 복장전환의 역사는 섹슈얼리티의 역사 자체가 사회적 위계질서의 구축과 긴밀한 교호작용 속에서 쓰여졌다는 사실을 예증한다는 점을 역설하여, 연극사 연구에 있어 젠더적 관점이 가진 유효성을 재확인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oss-dressing and homosexuality by tracing trajectories of the English Renaissance theatre and the Japanese Edo kabuki. While cross-dressing, especially a type of practice that male actors impersonate female characters, has had a time-honored tradition that crossed national and cultural boundaries, the homosexual implication and engagement by female impersonators were key factors to societal concerns on theatre stages in both England and Japan during the 17 <sup>th</sup> century. In reviewing the histories of cross-dressing, I will pay attention to the ways in which cross-dressing practices struggled with heterosexuality-centered patriarchical systems established based on a strict gender dichotomy, and the changes such struggles brought to theatre stages. Specifically, I will discuss that both historical terms - shudo in Japan and sodomy in England - which can be retroactively identified as ‘homosexuality’ implied a very different spectrum of activities from what contemporary ‘homosexuality’ refers to, and social perceptions of them also significantly differed each other and also from the contemporary understanding. My discussion will also illuminate that anti-theatrical discourses and practices reflected ruling classes’ concerns on cross-dressing’s potentially subversive power threatening the strictly stratified social orders, although it may look like that they took issues only with female impersonators’ homosexual implication and engagement. After all, this paper reaffirms the efficacy of the gender perspective in the study of theatre histories by demonstrating that the histories of cross-dressing exemplify the fact that the history of sexuality was written in close interaction with the (re)construction of social 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