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음파를 이용한 제 1천추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유용성

        전영대,김태균,심대무,김창수,Jeon, Young Dae,Kim, Tae Gyun,Shim, Dae Moo,Kim, Chang Su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2

        목적: 제 1천추 신경근 증상을 호소하는 추간판 탈출증 환자 및 척추 협착증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을 실시하여 고식적인 방사선 영상 증폭기를 이용한 방법과 비교하여 그 결과 및 정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나 척추 협착증으로 발생한 하지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제1 천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술 받은 3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행한 18명(A군)과 방사선 영상 증폭기를 이용한 20명(B군)을 1개월 추시 관찰하였다. 효과 판정은 통증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시각통증척도(VAS, Visual Analogue Scale)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요통 기능장애척도(K-MODI, Korean Modified Oswestry Disability Index)를 이용하였으며, 각 시술 소요 시간을 확인하였다. 결과: VAS 점수는 A군에서 시술 전 $7.40{\pm}0.85$, 시술 1개월 후 $4.7{\pm}1.43$로 나타났고, B군에서 시술 전 $7.39{\pm}1.02$, 시술 1개월 후 $4.36{\pm}1.64$로 두 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소요 시간은 A군이 $477.53{\pm}115.02$초, B군이 $492.47{\pm}144.38$초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MODI는 A군에서 시술 전 $72.8{\pm}12.3$에서 시술 1개월 후 $43.3{\pm}10.3$로 나타났고, B군에서 시술 전 $73.8{\pm}11.5$에서 시술 1개월 후 $44.1{\pm}11.2$로 두 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두 군 사이에서 VAS 점수 및 K-MODI 비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초음파를 이용한 제 1천추 신경근 차단술은 방사선 영상 증폭기를 이용한 고식적인 방법에 비해 임상 결과 및 소요 시간에 차이는 없으나, 외래에서 간단히 시술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추간판 탈출증이나 척추 협착증 환자에서 유용한 시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 and efficiency of S1 selective nerve root block using ultrasonography-guided compared with fluoroscopy-guided for lumbar disc herniation or spinal stenosis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2012 and December 2013, 38 patients who were with lower leg radiating pain for more than 1months and underwent S1 selective spinal nerve root block in our institution, were reviewed. They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included 18 patients with ultrasonography-guided and Group B included 20 patients with fluoroscopy-guided. Treatment effectiveness was assess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the Korea Modified Oswestry Disability Index (K-MODI). They were evaluated its preoperatively, postoperatively and 1 month later. We were recorded whole procedure time. Results: VAS was improved from 7.4 to 4.7 at 1 month in group A and from 7.39 to 4.36 at 1month in group B. K-MODI was improved from 72.8 to 43.3 at 1month in group A and from 73.8 to 44.1 at 1month in group B. Whole procedure time were $477.53{\pm}115.02s$, $492.47{\pm}144.38s$ in group A, group B,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 and K-MODI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Ultrasonography-guided sacral nerve root block is effective and accurate method in sacral radiating pain.

      • KCI등재

        일차 관절경적 수술 후 치료 실패한 슬관절 화농성 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적 치료와 함께 시행한 지속 세척술의 효과

        전영대(Young Dae Jeon),문장용(Jang Yong Moon),손정환(Jung Hwan Son),김종민(Jong Min Kim),최영(Young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4

        목적: 일차 관절경적 치료 후 실패한 슬관절 화농성 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적 치료와 함께 시행한 지속 세척술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3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슬관절 화농성 관절염으로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한 69예의 환자 중 치료 실패한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 68.9±11.3세, 추시 기간은 49.2±23.2개월이었다. Lysholm knee score 및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통해 임상 결과를 조사하고, 최종 추시까지 합병증 유무를 분석하였다. 결과: 14예 중 12예(85.7%)에서 증상 호전을 보였다. Lysholm knee score는 술 전 36.1±7.9점, 수술 12개월 후 84.2±9.2점으로 나타났고, VAS는 술 전 8.9±1.3점, 수술 12개월 후 2.1±1.2점으로 호전되었다(p<0.05). 9예에서 1차 수술과 동일한 균이 동정되었으며, 균이 동정되지 않은 5예 중 2예에서 추시 중 재발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최종 추시상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한 예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관절경적 변연절제술과 함께 시행한 지속 세척술은 일차 관절경적 치료 후 실패한 슬관절 화농성 관절염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rthroscopic debridement with continuous irrigation in patients with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after failed primary arthroscopic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Among 69 patients undergoing arthroscopic debridement for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from March 2008 to March 2013, 14 patients (5 male, 9 female; mean age, 68.9±11.3 years) with failed arthroscopic debridement for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mean follow-up period, 49.2±23.2 months). All 14 patients underwent re-do of the arthroscopic debridement, then continuous irrigation. Continuous irrigation following arthroscopic debridement was maintained for a mean 8.4±2.5 days. For clinical evaluation, Lysholm knee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were used at 1 month, 3 months, and 12 months after surgery. During the entire follow-up period, recurrence of infection and operation-related complication were also assessed. Results: Symptom improvement was observed in 12 cases (85.7%) of the 14 cases. Lysholm knee score was improved from 36.1±7.9 to 84.2±9.2 at 12 months after surgery (p<0.05). VAS was improved from 8.9±1.3 to 2.1±1.2 at 12 months after surgery (p<0.05). Synovial fluid cultures yielded positive findings in 9 of the 14 cases with the same bacteria in primary surgery. During the follow-up period, septic arthritis relapsed in 2 of the 5 cases with negative finding of cultures. After reoperation was performed in those 2 cases, no recurrence was observed to final follow-up. There was no complication related operation in any cases. Conclusion: Arthroscopic debridement combined with continuous irrigation is a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for failed arthroscopic debridement for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 KCI등재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ur Fracture in Patients over the Age of 80 Years

        Young Dae Jeon(전영대),So Hak Chung(정소학)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6

        목적: 80세 이상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에서 인공관절 반치환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로 인공관절 반치환술을 시행받고, 진단 당시 연령이 80세 이상인 환자 중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2명(62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무시멘트 주대를 사용한 군(1군, 32예), 시멘트 주대를 사용한 군(2군, 30예)으로 설정하였으며, 최종 추시 Harris 고관절 점수와 대퇴부 통증, Koval 분류에 의한 보행상태를 분석하였다. 결과: 1군이 2군보다 유의하게 수술시간이 짧고, 실혈량이 적었다. Harris 고관절 점수는 최종 추시상 1군, 2군이 각각 82.1±8.6점, 83.4±7.5점이었다. 시멘트 충전이 불량한 1예에서 대퇴부 통증이 있었다. 수상 전 보행상태로 회복은 1군, 2군이 각각 27예(84.4%), 25예(83.3%)였다. 추시 중 사망률은 1군, 2군이 각각 6예(18.8%), 8예(26.7%)으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무시멘트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은 시멘트 주대와 비교하여 만족할만한 임상적 결과를 보여, 80세 이상 환자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patients over the age of 80 years. Materials and Methods: Sixty-two patients (62 cases) who had unstable comminuted intertrochanteric fractures between January 2007 and February 2012 were evaluated. All patients were over 80 years old at the time of the diagnosis, and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12 month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received cementless stems (group 1, n=32) and those who received cemented stems (group 2, n=30). Functional results including Harris hip score, thigh pain, Koval’s ambulatory classification,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operation time, and the amount of blood loss were evaluated. Results: The operation time and the amount of blood los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1 compared to group 2. The Harris hip score was 82.1±8.6 points for group 1 and 83.4±7.5 points for group 2 at the final follow-up. One patient with poor cement press-fit level in group 2 experienced thigh pain. Twenty-seven patients (84.4%) in group 1 and 25 patients (83.3%) in group 2 recovered pre-injury ambulatory status. During the follow-up period, overall, 6 patients (18.8%) in group 1 and 8 patients (26.7%) in group 2 di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llow-up mortality rat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Considering the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cementless bipolar hemiarthroplasty may be a good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over 80 years old with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 KCI등재

        하지 방사통을 동반한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서 선택적 척추신경근 차단술의 유용성

        심대무(Dae Moo Shim),김태균(Tae Kun Kim),송승엽(Seung Yeop Song),김창수(Chang Su Kim),권병택(Byung Taek Kwon),전영대(Young Dae J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2

        목적: 하지 방사통을 호소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 대해 선택적 척추신경근 차단술의 이의 효과 및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4월부터 2013년 3월까지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조절되지 않는 하지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선택적 척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받은 총 642명의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1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군은 41명(A군), 단순 하지 방사통 환자군은 72명(B군)이었으며,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후 김의 평가기준상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인 환자는 A군 14예(34.1%), B군 45예(62.5%)로 단순 하지 방사통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좋은 결과를 보였다(p<0.05). Visual analog scale (VAS) 점수는 A군에서 시술 전 7.57, 시술 12개월 후 5.23으로 나타났고, B군에서 시술 전 7.11, 시술 12개월 후 3.49로 두 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A군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까지 시기가 B군보다 유의하게 늦게 나타났다. 결론: 하지 방사통을 호소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의 경우 초기 치료 시작 시기와 연관성을 보여, 신경병증성 통증의 적절한 평가를 통해 조기에 적극적인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시행을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effect and efficiency of selective spinal nerve root block for neuropathic pain patients with lower leg radiating pai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13 patients were evaluated and follow-up periods were a minimum of 12 month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included 41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and group B included 72 patients with simple lower leg radiating pain. Results: Fourteen (34.1%) patients in group A and 45 (62.5%) patients in group B had favorable results for selective spinal nerve block (p<0.05). Visual analog scale (VAS) was improved from 7.57 to 5.23 at 12 months in group A and from 7.11 to 3.49 at 12 months in group B. Conclusion: The initial treatment period for group A was significantly later than in group B. For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and radiculopathy, early assessment was recommended and early selective spinal nerve block could be a good treatment option for neuropathic pain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